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원불교 효사상의 현대적 이해

        조정현 한국효학회 2015 효학연구 Vol.0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효사상의 현대적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하는데 있다. 원불교는 1916년 소태산(1891-1943)의 대각에 의해 한국에서 개교되어 세계로 뻗어가고 있는 종교로서 국내 4대 종교의 하나로 자리하고 있다. 또한 원불교는 모든 종교에서 그렇듯이 원불교의 교리와 실천이 담긴 경전에서 효(孝)를 강조하고 있다. 소태산은 효가 그 형식은 시대에 따라 다르나 효의 정신은 어느 시대에나 변함없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밝히며 효를 강조하였다. 더불어 소태산은 4은 중 부모은에 원불교의 효를 밝혔다. 소태산의 뒤를 이은 정산(1900-1962)은 효는 보은의 도를 행하는 보은행에 있으며 효의 실행은 사은의 모든 은혜를 발견하는데 있다고 하였다. 3대 종법사인 대산(1914-1998)은 효와 자비를 강조하며 효의 성자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효를 중요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태산과 정산, 대산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서 원불교가 표방하는 효사상을 대외에 인식시킬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n understanding of filial piety in Won-Buddhism, religion founded in Korea. After many years of searching for the truth and undergoing ascetic practices, Sotaesan(1891-1943),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attained supreme enlightenment in 1916. Won-Buddhism is now recognized as one of four major religions in Korea and is growing worldwide. Similar to other Eastern traditions, the virtue of filial piety is emphasized in Won-Buddhism. According to Sotaesan, although the practice of Hyo(filial piety,孝) may vary according to the era, the spirit of filial piety will continue throughout the ages. One of the main teachings in Won-Buddhism is the Fourfold Grace which includes the Grace of Parents. Filial piety is one of the main concepts in the section on the Grace of Parents. Jeongsan(1900-1962), the second Prime Dharma Master of Won-Buddhism, taught that the way to practice filial piety was to show gratitude to one's parents, which is accomplished by awakening to the Fourfold Grace. Daesan(1914-1998), the third Prime Dharma Master of Won-Buddhism, filial piety and benevolence and is therefore known as the sage of filial piety.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step to present the concept of Won-Buddhism's thoughts of filial piety.

      • KCI등재

        법, 관습, 전통 ; 한국사회에서의 법과 관습 -역사적 및 법학적 접근-

        최종고 ( Chong Ko Choi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서울대학교 法學 Vol.47 No.2

        “관습은 최량의 법”이란 말처럼, 법, 관습, 관습법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계가 한국의 역사와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I. 관습과 관습법 관습과 관습법의 개념에 대하여 블랙스톤(Blackstone) 이래 벤담(Bentham), 레이드(Reid), 풀러(Fuller) 등의 여러 이론이 있다. 실빙(Helen Silving)은 관습법을 사실적 측면과 심리적 측면으로 설명한다. II. 한국전통에서의 관습법 졸저 「서양인이 본 한국법속」 (1989)과 「Law and Justice in Korea」 (2005)에서 서양인이 본 한국법과 관습에 대한 관찰들을 소개하였다. 한국에서 원래 풍속이라 부른 관습은 오륜(五倫)과 예(禮)에 기초하고 있었다. 근본적으로 조상숭배에 근거하고 있다. III. 관습과 예 중국에서 기원한 법과 주자가례(朱子家禮)와 한국의 관습 사이에 괴리가 있어 1474년에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1844년에 『사례편람(四 便覽)』이 발간되었다. 도이힐러(M.Deuchler)는 한국사회의 유교화(Confucianization)를 분석하였고, 전혜성은 조선형법의 시행에서 중국과 달리 관습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검증하였다. IV. 향약 향약(鄕約)은 동아시아보통법(East Asian Common Law)의 일부를 이루는데, 조선조에 이퇴계와 이율곡에 의하여 모범적으로 실시되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지형적 협소성으로 인하여 관습법은 비교적 동질적이었고 중앙정부에서 표준화 할 수 있었다. 유교적 예와 윤리, 일반인의 관습 사이의 긴장은 향약 등의 자치규범으로 조화될 수 있었다. 양법미의(良法美意)와 순풍미속(淳風美俗)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V. 근대화와 관습법 관습과 관습법의 조사사업은 1906년부터 일본식민주의에 의해 실시되었다는 데에 복잡성이 있다. 우메 겐지로(梅 謙次郞)의 지휘 아래 수년간 실시한 결과가 「관습조사보고서」로 발간되었다. 문제는 일본민법의 개념에 맞추어 ‘관제관습화(官製慣習化)’한 사실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은 강한 관습법적 권리의식을 가졌음이 확인되었다. 그런 점에서 대만의 관습법과 사정이 달랐다. 1908년부터 1910년 사이 법전조사국은 71개 항목에 관해 조사하였다. 일본통치하에서 법과 관습의 근대화는 지금까지 ‘식민 후 근대성’(post-colonial modernity)의 문제를 심각히 야기시키고 있다. VI. 변화하는 사회의 관습법 해방 후 한국사회는 전쟁, 혁명, 새마을운동, 도시화, ‘세계화’로 ‘빨리빨리’의 극심한 사회변화를 겪고, 공동체성(communality)과 사회연대성에 동요가 오고 있다. 한편,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박정희 정권에 의해 효의 부활이 장려되었다. 유교뿐 아니라 불교와 그리스도교도 효(孝)를 긍정적으로 보고, 입법에서도 효의 장려를 지원하고 있다. 1992년 한국법제연구원에서 한국관습법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여기에는 경상도, 충청도, 제주도에서의 향약, 동규(洞規), 계칙(契則) 등 관습법적 유산이 확인된다. VII. 현대한국에서의 관습법 1. 헌법 국가는 전통문화를 계승해야할 의무를 지고 있고, 2004년 헌법재판소는 ‘관습헌법’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2. 행정법: 공직자윤리법, 노인복지법 등에서 전통윤리와의 접촉이 보이고, 지속 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과 관련하여 관습법과 연결된다. 3. 민법: 전세권, 공동소유형태, 관습법상 법정 지상권(地上權)등이 논의된다. 신의성실의 원칙도 관습과 연결된다. 4. 가족법: 가정의례준칙, 건전가정의례의 정착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종중(宗中)과 관련되어 관습법이 중요시된다. 5. 상법: 박원선 교수의 수집연구에 따르면 상관습의 전통에 따라 현재도 각지에서 상관습법이 통용되고 있다. 6. 형법: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는 처벌되지 않는다. 결론 한국은 관습과 관습법의 전통을 강하게 갖고 있지만, 서양법을 수용하여 근대화한 후 1세기 동안 격심한 사회변화로 그 위상이 현저히 위축되고 있다. 세대간 정의(generational justice)가 심각히 논의되고 있다. 한편으로 관습법은 시대착오적인 것처럼 보이면서도, 다른 한편 올바른 법문화의 정착을 위하여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과제로 의식되고 있다.

      • KCI등재

        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

        남동신 ( Dong Sin Nam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4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3 No.-

        Seokkuram(Seokkuram石窟庵), located on the eastern summit of Mt. Toham near Gyeongju, is a Buddhist shrine in the form of a stone grotto, absolutely unique in East Asian history. The author, viewing Seokkuram not as human-centered but rather a spiritual space, analyzes its uniqueness in light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who, what, where, why, when, and how. Methodologically, the paper reinterprets the oldest surviving document concerning Seokkuram found in the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from a fresh perspective, and thereby seeks to adduce a new paradigm for research on Seokkuram.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Seokkuram, the factual basis of some of the basic questions have already been adequately answered: “who”?Prime Minister Kim Daeseong; “when” the mid-8th century; “where”?in Gyeongju on the eastern summit of Mt. Toham. The first chapter surveys the results of past scholarship, supplementing them in places with the author`s personal views. Continuing with a discussion of the question of “why”, the author analyzes in depth the phrase: “... construct [this] stone Buddhist shrine for [my]departed parents of [a] former generation.” That is, the author notes that the conceptual basis underlying the establishment of Seokkuram incorporated a union of a concern for public good (功德思想) blended with that of filial piety (孝). While such a union had a precedent in Indian Buddhism, the author points out that it was further strengthened within Chinese Buddhism. Accordingly it may be understood as part of the Chinese adaptation of Buddhism. This work places greatest emphasis on Chapter 2, in which the issue of “what was this entity we know as Seokkuram?” is addressed. In fact, the name of Seokkuram (石窟庵) and its prior version, Seokpulsa (Seokpulsa石佛寺), are merely superficial appellations, but up to the present there has been almost no discussion of their true nature or character. The author accords strong significance to a reference to “heavenly palace” (天宮) found in adocument on Buddhist religious teachings, deriving from the first chief monk of Seokpulsa, and sets forth his view that Seokkuram was created by Kim Daeseong as a spiritual space, more specifically as a heavenly palace in which dwelled Indra, ruler of the Trayastrimsa, or Thirty-three Heavens. Last, Chapter 3 concerns itself with ‘how’. Using “heavenly palace” as a central conceptual paradigm, the paper examines the special features of Seokkuram: its location on a mountaintop over a sacred spring, its orientation, its use of stones, and the rotunda of the domed roof. Using these features?which prior scholarship either did not notice, misunderstood, or discussed only partially?a reinterpretation is provided and thereby, at last, it may be said that Seokkuram in its original form is recovered, as created by Kim Daeseong to be in full accord with the countenance of a heavenly palace.

      • KCI등재

        국창쇄록(菊窓瑣錄)의 일화 선택과 이상적 인물 형상

        이강옥(Lee, Kang-ok)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5

        This article analyses Kukchangsheorok(菊窓?錄) edited by Whoweon Lee (李厚源). Kukchangsheorok(菊窓?錄) represents the image of ‘ideal king’, ‘ideal Sadaebu(士大夫)’, and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kings and Sadaebus. Ideal king is very strict in reflecting himself and generous in taking care of retainer and people. He practices filial piety towards his parents, and strictly disciplines his children. The most important virtue of ideal king is the ability to choose the wise men and to listen to their expostulation. Ideal Sadaebu holds fast to his principle and ideology. He leads a sincere and austere life. He willingly remonstrates with the king about his foolish conduct and behaviors. Keeping his belief and caus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He would not confer with the vulgar people not to taint his principle. Promoting public interests and keeping justice are his priorities. Prerequisite to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Sadaebu is king’s will and ability to find the talented subjects without being confined to the traditional measures of appointing officials. Once chosen, the subject would have king’s total support. The king would listen to the remonstrance of the retainer, reflecting on himself. In return, the retainer should demonstrate extraordinary ability in administration or scholarship, and remonstrate with the king without any reservation. Whoweon Lee(李厚源) tried to find a solution of the cri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retainer of his time by selecting those anecdotes which incorporated ideal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his subjects. Kukchangsheorok(菊窓?錄) tried to give lesson not only to king but also to Sadaebu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al cases. Rather than following the tradition of Japrok(雜錄), Kukchangsheorok(菊窓?錄) selected the episodes from didactic books. Kukchangsheorok(菊窓?錄) highlighted frugality, filial piety, expostulation and uprightness as the essential virtues of ideal king and his retainers, while avoiding adapting the negative anecdotes of unworthy kings. By foregrounding the positive parts of the past society, Whoweon Lee(李厚源) wanted to console his contemporary society and to give the model example which people could emulate. Kukchangsheorok(菊窓?錄) used epitaph as a significant source of anecdotes. Since epitaph aims to announce the owner of the tomb and to explain his life to the posterity, epitaph inclined to take the tone of praise and commemoration. The positive perspective and narrative method of Kukchangsheorok(菊窓?錄) came from those of epitaph. It can be concluded that Kukchangsheorok(菊窓?錄) is a kind of epitaph written on papers, enabling many model kings and Sadaebus’s virtuous personalities to shine. Future generations would try to emulate their virtuous personalities and principles, by reading Kukchangsheorok(菊窓?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