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공무원의 승진 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평등성과 공정성을 중심으로 -

        권일웅 ( Illoong Kwon ),한승희 ( Seung-hui Ha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5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2 No.2

        여성 공무원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위직급 중 여성 공무원 비중은 여전히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승진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차별과 유리천장은 여성의 승진 동기를 저하시키고, 이러한 승진 동기의 저하는 여성이 리더십 역할에 열등하고 소극적이라는 선입관을 증대시켜 여성차별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생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남성보다 낮은 여성 공무원의 승진 동기를 높이기 위해 남녀 간 동일한 대우를 강조하는 형식적 평등성과 여성이 가진 지식·기술·능력을 활용하는 공정한 조직운영방식을 구분하고, 어떤 방식이 더 유의미한지 분석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정책지식센터의 중앙공무원 인식조사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공무원이 가진 지식과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공정한 조직운영방식이 여성의 승진 동기를 높이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대와 30대 여성 공무원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오히려 단순한 성별을 기준으로 한 평등대우는 오히려 남성공무원들의 승진 동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성별을 기준으로 한 동등한 대우를 넘어서 여성공무원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며 여성의 능력개발과 연계된 공정성을 강조한 인사정책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Even though the number of female civil servants has been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female civil servants in high-ranking positions is still low.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promotion (glass ceiling) would reduce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and increase prejudice that females are inferior and passive in leadership positions. Furthermore, the lack of motivations for promotion could cause a vicious circle which may strengthen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civil servants. To increase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this study distinguishes formal equality which focuses on equal treatment between men and women, and equity which makes use of knowledge, skill, capacity of female. Also, this paper investigates which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Using a survey data on central government civil servants in Korea, this paper shows that equitable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efficient use of knowledge, skill of female has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Interestingly, we can observe more significant effect in female civil servants on the age of 20s and 30s. Also, this paper shows that formal equality decreases motivations of 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paradigm shift of personnel policy from equal treatment between men and women to equitable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use of knowledge, skill, capacity and focuses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female.

      • KCI등재

        몽골 여성 리더십과 여성 공무원 리더십 향상에 관한 연구

        냐물지이 투무르바타르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23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13 No.4

        As the interest in the role of female lead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has increased in the 21st century, Mongolia has also shown a growing interest in this regard. However,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on female leadership and female leaders is lacking in Mongolia. Due to these practical condition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of female leadership, the current status, future trends, and the status of female civil servants in Mongolia. Therefor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trends of non-traditional leadership or feminist leadership that determine contemporary leadership. Additionally, it explores the current status of female civil servants in Mongolia and proposes measures to foster leadership among female civil servants.

      • KCI등재후보

        여성 공무원의 조직지원과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와의 관련성

        이윤정,김숙일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2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level on job satisfaction and stress for local female civil servants. In the reality that women's social life is subject to various restrictions, social support for women is insufficient. Organizational support can be said to be social support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y for workers. The study of improving the social status of female workers by understanding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nd enhancing their work ability and performance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women's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workplac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s verified empirically, and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maintain stable job activities of female workers in the future.

      • KCI등재

        여성 공무원은 승진에서 불리한가? 승진 영향요인과 성별 차이

        변지현,오성수 한국정책과학학회 2022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6 No.1

        Despite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the Balanced Personnel Policy, many empirical studies have reported female civil servants’ disadvantage in promotions. These previous studies are limited to using perception data, insufficiently addressing actual promotion experience. To confirm whether the gender gap in promotions actually exists, this paper analyzed the number of promotions by gender. Findings suggest that the number of promotions of women is lower than that of men, especially among central government workers and workers who started civil service at the ninth rank. The gender promotion gap is partially explained by women’s shorter years of service and a lower rate of open competitive recruitment. However, gender still significantly affects the number of promotions after controlling other promotion factors, indicating the probability of gender discrimination in promotions. Therefore, to narrow the gender promotion gap, it is necessary to improve fairness in promotion decisions wi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sonnel management while increasing female human capital, including work experience. 공직 내 여성의 대표성을 높이기 위한 균형인사 정책의 지속적 추진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험적 연구들이 여성 공무원의 승진이 불리함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응답자의 인식에 기초해 있다는 한계가 있어 본 연구는 승진 자료 분석을 통해 성별 승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의 승진횟수가 남성보다 낮았으며, 특히 중앙부처 공무원 사이에서 그리고 9급 입직자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이러한 성별 차이 중 일부는 여성의 재직기간이 짧은 점과 공채 출신 비율이 낮은 점 등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승진 영향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차이가 존재하는 점은 승진에 차별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성별 승진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재직기간 등 여성의 인적자본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만 여기에 더해 공정한 승진인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직문화 및 인사관리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여성 공무원이 정부의 질에 미치는 영향

        권혜연(Hye Yeon Kwon),권일웅(Illoong Kwon) 한국인사행정학회 2017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6 No.3

        대표관료제(representative bureaucracy)의 실현, 사회적 형평성 제고, 그리고 고급 여성인력의 노동 시장 참여를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 등의 논리에 힘입어 여성의 공공부문 참여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이 정부의 질(quality of government)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부문 인력구조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정부의 질을 크게 네 가지 측면 -공정성(impartiality), 투명성(transparency), 부패수준(corruption), 효율성(efficiency)- 으로 나누어 여성공무원의 비율이 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159개 국가를 대상으로 한 the Quality of Government Expert Survey자료를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 ‘고위’ 공무원의 비율이 증가하였을 때 4가지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나, ‘전체’ 여성공무원의 비율증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오지 않았다. 이는 단순히 여성공무원의 수를 확대하는 것만으로는 정부의 질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할 수 없고, 고위직 여성 공무원의 비율을 증대하는 것이 효과적이 라는 것을 시사한다. 즉, 공공조직에서 유리천장 문제의 해결이 대표 관료제를 통한 형평성 확보뿐만 아니 라 정부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도 필요한 정책임을 시사한다. Female participation in the public sector is growing to improve representative bureaucracy, social equ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paper quantit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this trend on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discusses policy implications on public sect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using the quality of government expert survey data on 159 countries, we estimate the effects of female civil servant ratios on impartiality, transparency, corruption, and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The analyses show that overall female civil servant ratio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but that female civil servant ratios in high-ranked jobs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eaking glass ceiling for females in the public sector would not only improve social equity and representative bureaucracy, but also increase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동기의 다차원적 구조와 조직몰입: 성차(性差)를 중심으로 한 시론적 접근

        원숙연,전소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0 行政論叢 Vol.48 No.2

        공직에서 여성의 수적인 증가 뿐 아니라 질적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에 대한 적절한 동기부여가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여성은 불리한 조직구조와 관행 속에서 남성과 상이한 경험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기가 조직몰입에 작용하는 과정에서의 성별차이에 무게중심을 두었다. 이와 함께 동기(내재적・외재적 동기, 무동기, 주입적 동기, 공공서비스 동기)와 조직몰입(정서적, 규범적, 지속적 몰입)의 다차원적 구조에 주목하여 보다 분석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서울시 25개 구청 소속 5급에서 9급 공무원 7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동기에 있어서 성별차이는 공공서비스 동기(남성>여성)를 제외하고 발견되지 않았다. 조직몰입에 있어서 정서적, 규범적 몰입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지속적 몰입은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에 있어서 남성(무동기(-)>공공서비스>주입적 동기)과 여성(무동기(-)>내재적>주입적 동기)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동기의 다차원이 조직몰입의 세 가지 하위차원에 미치는 영향력도 성별에 따라 차별적임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결과가 여성인력의 활용은 물론 효과적인 조직관리에 갖는 의미를 논의하였다. Accompanying the considerable increase in female civil servant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ir motivation in terms of effective utilization of human capital. Despite policy interventions for gender equality, women’s experiences tend to be different from their male counterparts’ under male-dominated practices and structures. Keeping this in mind and applying gender persp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 between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and the multidimensionality of motivation (amotivation, intrinsic and external motivation, introjected motiva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ive-continuance-normative). A survey of 718 civil servants in 25 district office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as conducted. The findings were that, except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gender differences in motivation were not foun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affective and normative motivation: male employees were more highly motivated in terms of those two dimensions in comparison to their female counterparts. Relations between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differed by gender. On the one hand, for male civil servants, amotivation was a mostly negative anteceden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trojective motivation followed. On the other hand, for female public servants intrinsic motivation rather than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a relatively strong antecedent to organization commitme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gender equality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공무원과 정부조직의 청렴도-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진종순(Jongsoon Jin) 한국부패학회 2011 한국부패학회보 Vol.16 No.3

        Female participation in the government agencie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since 1990s. In fact, the number of females working in a couple of agencies is even higher than that of males, and this trend will continu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is trend on the level of corruption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by examin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Does the increase in female participation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reduce or increase the level of corruption in the sector?" This empirical study aims at achieving three goals. First, to develop a new reason that supports female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Second, to diversify the study of corruption in Korea, and finally,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new variables that influence corruption in government agencies.

      • KCI등재

        여성공무원과 정부조직의 청렴도 -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진종순 한국부패학회 2011 한국부패학회보 Vol.16 No.13

        Female participation in the government agencies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since 1990s. In fact, the number of females working in a couple of agencies is even higher than that of males, and this trend will continue.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is trend on the level of corruption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by examin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Does the increase in female participation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reduce or increase the level of corruption in the sector?" This empirical study aims at achieving three goals. First, to develop a new reason that supports female participation in the labor market. Second, to diversify the study of corruption in Korea, and finally,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new variables that influence corruption in government ag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