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우선주의, 일-가정 양립제도, 성별의 상호작용과 유자녀관리자의 직장-가정 전이

        김현동 ( Hyondong Kim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3 여성경제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조사한 2010년 3차 여성관리자패널조사자료와 2018년 7차 여성관리자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조직우선주의, 일-가정 양립제도가 긍정적.부정적 직장-가정 전이에 미치는 영향이 유자녀관리자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하게 달라지는지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의 표본은 3차 여성관리자패널조사자료에 참여한 1,130명의 유자녀관리자와 7차 여성관리자패널조사 자료에 참여한 1,341명의 유자녀관리자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유자녀관리자가 조직우선 분위기를 높게 인식하면 긍정적 직장-가정 전이는 낮게 부정적 직장-가정 전이는 높게 인식한다고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제도를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제공하면 긍정적 직장-가정 전이를 높게 인식하게 된다. 유자녀여성관리자는 유자녀남성관리자보다 부정적 직장-가정 전이를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게 된다. 조직우선 분위기와 유자녀관리자의 성별은 부정적 직장-가정 전이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상호작용된다. 조직우선 분위기가 낮은 수준에서 유자녀여성관리자가 인식하는 부정적 직장-가정 전이는 유자녀남성관리자가 인식하는 부정적 직장-가정 전이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제도와 유자녀관리자 성별과의 상호작용은 3차 여성관리자패널자료에서는 부정적 직장-가정 전이를 높이지만 7차 여성관리자패널자료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유자녀관리자의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조직우선 분위기를 완화하고 일-가정 양립제도를 실시하여야 유자녀관리자가 직장-가정 양립을 추구할 수 있다고 시사한다. With 3<sup>rd</sup> (2010) and 7<sup>th</sup> (2018) female manager panel dataset from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family-friendly programs and manager gender on positive and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negatively and family-friendly programs positively influence positive work-family spillover of company managers. But, female managers perceive higher levels of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compared to male managers; and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exacerbates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of company managers.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and manager gender make negative interactions on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at low level of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female managers show higher levels of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compared to male managers; but. at high level of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female and male managers show similar levels of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anager gender when organizations plan and implement sets of policies and programs that mitigate submissive loyalty to organization and foster family-friendly working environments.

      • KCI등재

        근로자의 가족친화성교육프로그램 참여가 일·가족지향성, 일·가족전이 및 가족여가실천에 미치는 영향

        우종웅(Jong Woong Woo),이찬형(Chan Hyung Lee),김지은(Jee Eun Kim)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0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f Family-friendly program on employees` work and family involvement and work-family spillover and family leisure practice. For doing s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sample was drawn form 154 major companies`s employees in Seoul, Kyungkido, 2008 year by using the quota sampling. The statistics employed in the study were one-way ANOVA, X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cquir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 in work-family spillover according to participation of Family-friendly. Second, work and family involvement influences work-family spillover. Third, employee`s family leisure was higher levels of positive family to work spillover participation and more family-friendly program.

      • KCI등재

        일과 삶 균형 이론과 사례를 통한 이론과 실무적 제언

        박문기(Moon-Ki Park),정진철(Jin-Chul Jung)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4 기업과 혁신연구 Vol.7 No.1

        가족친화 제도 혹은 일과 삶 균형 프로그램은 크게 2가지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유럽의 접근법과 같이 복지차원, 미국과 같이 우수인력의 유치방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가족친화 제도는 명확한 정체성을 갖고 이들 프로그램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정부차원에서 여성인력의 고용률 제고 방안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면이 강하다. 최근 고용노동부는 고용률 70% 달성의 구체적 방안으로서 선택적 시간제 일자리를 촉진시키려 하고 있으며 이의 구체적 실천방안으로서 가족친화인증을 통한 가족친화제도의 확산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족친화제도의 이론과 기존 연구 결과를 부분적으로 제시하였고, 최근 가족친화 인증을 수여받은 광주도시공사의 가족친화 인증 내용을 사례로 살펴보았다. 공사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제도를 수행하고 있으나, 보다 발전적인 가족친화 우수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하며, 또한 이러한 제언은 단순히 사례 조직만이 아닌 우리나라 조직들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과 연구 결과, 그리고 광주광역시 도시공사 사례를 기초로 하여 실무적인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Great attention has been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work-life balance program or family friendly program in the theoretical research and practical survey report. These programs were at first developed to retain woman workforce who might be quit the job because of the family and child care matters. However, they are in practically not effective in the workplace even though they were equipped with well institutionalized. The reasons depicted from the research are not the work-life program system but the cultural climate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 of provision and utilization of family friendly program should be clarified and addressed. Its program may be utilized as means of one of the welfare program or to retain the women workforce. However it is provided and enforced onto the employees without specific strategic objective; therefore, the program can not be functioned to the organizational competitive power. Second, perceived family supportive culture is more important than the provision and introduction of family friendly program. Moreover, it is more important to employee perception about the family friendly program as organizational support than the mere institutionalization. Third, work-family program should be utilized onto the entire employees equally. The program may be not effective if it is to focus on the married women, because other employees who excluded from the program perceived it as unbiased system and inequality. Finally, flexible working conditions such as flex time program and compressed work program should be provided and utilized as the family friendly programs.

      • 가족친화기업 인증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대희,김진회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21 社會科學論文集 Vol.- No.-

        The recent accelerating decline in the population due to the declining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the increase in women's economic activity, and the interest in work-life balance has recently changed to a value that pursues a balanced life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there is. As a policy, the 'Act on Promotion of Creation of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was enacted in December 2007 to encourage workers to balance work andfamily and create a social environment through family-friendly management. The business has continued to grow since its inception. 13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and as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certification system of companies (institutions) has increased, social sympathy is being fo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doption rate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was ncreasing, and second, structural improvement items suitable for the stabilization phase of the family-friendly certificationsystem were suggested

      • KCI등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amily-Friendly Program on Organizational Life and Job Commitment and Performance

        Won-Hee Lee(이원희),Seung-Sub Eum(엄승섭),Woo-Hee Kim(김우희),Yong-Joon Lee(이용준)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2 No.12

        Investigations into family-friendly company culture have been carried out for various companies and conglomerates. But there has never been such investigation for police organization, so this investigation is intended to see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culture that makes use of family-friendly program for the police organization. To this end, how the internal factors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 culture affects organization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is empirically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it is found that family-friendly program has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life and welfare, and the welfare, in return, i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 Exploring Family Engagement in Museum Education by Utilizing the Contextual Learning Model

        Lee Se-Ji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2 Journal of Digital Media & Culture Technology Vol.2 No.2

        Museums are increasingly implementing family education programs, yet there remains a scarcity of research differentiating these initiativesconventional educational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constructivism framework that underscores the crucial role of participant interactions to investigate the principles underpinning family-friendly museum exhibitions. After an analytical comparison of elements associated with family-friendly museum education, the Children’s Museum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emerged as a model institution that effectively integrates key aspects of family-oriented learning and fostering meaningful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Findings in this study advocates for the creation of tailored family education programs catering to family-oriented visitors through diverse learning modalities.

      • KCI등재

        기업특성과 가족친화제도 활용 용이성

        민현주(Hyunjoo Min) 한국노동연구원 2010 노동정책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최근 기업들이 다양하게 도입하고 있는 일ㆍ가족 양립지원정책들 중에서 기업들의 도입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종업원들에 의한 활용도가 높은 두 가지 정책, 즉 육아휴직제도와 본인병가제도의 활용편이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적 수준의 특성이 조직 내 개인들의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2단계 다층모형(two-level multilevel model)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개인수준에서 영유아기나 미취학기 아동을 둔 여성관리자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관리자들보다 오히려 육아휴직제도나 본인병가제도 활용을 어렵게 인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아휴직제도의 활용 편이성과 본인병가제도 활용 편이성 모두에서 장시간 근로는 여성관리자들이 일ㆍ가족 양립제도를 활용하는 데 주요한 장애요인으로 지적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조직적 수준에서 여성 정규직 비율과 핵심인력 비율이 높은 조직에서 여성관리자들의 일ㆍ가족 양립제도 활용에 대한 어려움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attitudes towards the use of childcare leave and sick leave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corporates have recently adopted and the use rates of which are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 family friendly programs. This study takes advantage of two-level multilevel model to analyze various effects of variables at an individual level and at an organizational levels at the same time, using the panel study on Korean Women Managers colle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08. This study finds that, first, at an individual level, women managers with babies or preschoolers are more likely than other women to feel uneasy in taking advantage of the family-friendly welfare programs. Secondly, longer work hours lead fewer women to make use of both programs. Finally, this study highlights that women managers are more likely to feel constrained in take advantage of the programs as the percentage of women in the core human resources and the percentage of women in regular employment increase.

      • KCI등재
      • KCI등재

        일과 삶 균형 프로그램 필요성 지각이 직무몰입, 도움행동, 지각된 경력영향에 미치는 효과와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

        이화상(Hwa-Sang Lee),정진철(Jin Chul J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6

        본 연구는 일과 삶 균형 차원의 가족친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정도가 직무몰입, 도움행동, 지각된 경력영향 등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들 관계에 대한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 실증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금융기관 여성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첫째, 가족친화 프로그램의 필요성 지각이 직무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도움행동이나 지각된 경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러한 관계는 조직후원인식에 따라 조율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순히 가족친화 프로그램을 도입에 의한 효과성 기대의 어려움을 지적하고 일과 삶 균형을 이루고 여성직원들의 직무태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조직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현재 고용노동부가 추진하는 일가양득의 프로그램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지침을 줄 수 있고 기업차원에서 이러한 제도를 보다 전략적 차원으로 접근하여 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차원의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고 있다. 가족친화제도를 사용하는 여성 직원들은 이러한 제도 사용하는데 ‘눈치’를 보고, 제도를 사용함으로써 경력성공에 부정적으로 영향 미칠지 모른다는 우려감을 가진다는 점을 배려해야 한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은 금융기관이며 성과에 대한 경쟁이 심한 곳이기 때문에 더욱 업무외 활동에 대한 참여가 경력의 불이익이 올 가능성이 잠재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정부가 추진하는 고용률 70% 달성을 위한 기초적인 제안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기업들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일과 삶의 균형 프로그램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the verify the effect of family friendly program on the helping behavior, career consequence, and job involvement. Furthermore, the role of moderator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family friendly program, helping behavior, career consequence, and job involvement.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the family friendly program or work-life balance program may reduce the level of job involvement, and confirm the previous evidence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moderate the effects of the family friendly program on the job involvement, helping behavior, and career consequence. On the basis of following empirical evidenc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