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초기 노비 상속과 균분의 실상

        권내현(Kwon Nae-hyun)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2

        이 연구는 균분 상속이 철저하게 실시되었던 조선 초기 노비 분재의 방식과 실상을 분석한 것이다. 균분 상속은 제사나 결혼의 풍습과 맞물린 조선의 독특한 사회적 관행이었다. 현존하는 15세기의 분재기에서도 적극적으로 균분을 추구하려고 했던 당시인들의 의지가 잘 드러나 있다. 하지만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인 노비를 기계적으로 동일하게 나눈다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분재기 상에서 자녀들이 상속받은 노비 수는 균분이라는 개념에 막연하게 동의할 수 있는 수준이었지 실제로 동질적이지는 않았던 것이다. 물론 몇 가지 변수들을 제외하면 수적 균분에 접근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이가 나는 부분은 노비의 연령을 고려한 질적 균분의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자녀들이 상속받은 노비의 연령 분포를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면 더 철저한 균분이 실현될 여지가 있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여기에서 균분이란 의식은 물론 그 실현 의지를 제약했던 다양한 조건들이 동시에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노비의 연령 분포가 고르지 않아 자녀들이 상속받은 노비의 연령대에 불균형이 초래될 수 있었다. 이러한 불균형은 노비 가족을 완전하게 해체하여 균분을 실현하지 않고 그들의 결합 상속을 일부 용인함으로써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상속 과정에서 재주인 부모의 의지가 작용할 수 있었고, 일부 분재기에서는 자녀들 간에 합의에 의한 선택이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존재한다. 다분히 의도적이었던 것으로 보이는 상속 노비의 성비나 거주지의 불균형이 그 한 예이다. 이는 분재 방식이 ‘제비뽑기’와 같은 기계적인 균분만을 추구하지는 않았음을 보여 준다. 균분 의식은 철저하였고 이를 실현하려는 노력도 뒤따랐지만 균분이라는 전제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질적 균분을 일정 부분 제약했던 다양한 조건들이 존재하였다는 사실 역시 부인할수 없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s and real aspects of servant equal-division in the early Chos?n dynasty in which equal succession was thoroughly conducted. Equal division succession was a peculiar social practice of the Chos?n dynasty which was linked to ancestral rites and a marriage. Reviewing the heritage document in the 15th century, you will also find the will of the then current people who positively tried to pursue equal division. However, it was basically impossible to mechanically and equally divide servants which are living and moving creatures. The number of servants inherited to children was a level, vaguely similar with but actually not equal to the concept of equal division. Of course, except for several variable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servants are equally divided in number and unavoidably a few differences occurred in the process of qualitative equal division in consideration of the age of servants. But, concretely comparing age distribution of servants inherited to children shows that there was a little room for realization of more thorough equal division. Here, we can know that there existed consciousness of equal division and various conditions that restricted such will for realization. Above all, the age distribution of servants was not equal, so that imbalance could be brought in a range of age. Such imbalance used to also occur not by realizing equal division through complete dissolution of a servant family but by partly accepting their combination succession. Also, a possibility exists that the will of parents, an owner of servants, could apply to the process of inheritance, and some inheritance documents imply that a possibility of selection by agreement between children being performed. For example, the ratio of gender of inherited servants or imbalance of residential places seeming to have been highly intentional can be given. This shows that a method of dividing property did not pursue mechanical equal division such as ‘deciding by lot’. The consciousness of equal division was thorough and the efforts for realizing such consciousness was made, but it is not deniable that various conditions existed that partly restricted qualitative equal division within the range in which a premise of equal division was not damaged.

      • KCI등재

        이혼 재산분할 제도의 개선방안 ―분할대상과 분할비율에 관한 개정의견을 중심으로―

        이선미 한국가족법학회 2022 가족법연구 Vol.36 No.2

        The right to claim property division upon divorce was introduced by the revision of the Civil Act in 1990. The purpose of the property division upon divorce is to achieve substantial equality between the spouses not only during the marriage but also after dissolution of the marriage by distributing property appropriately and equitably when marriage is dis- solved. In the property division trial, a conclusion is drawn through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property subject to division and determining the division ratio, so the judgment on these two issues is decisive for the appropriate property division. Though the law should be able to provide legal principles for the two issues, the current statute does not provide predictable standar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ivil Act to clearly define the property to be divided and the ratio of division. According to the case law regarding the property subject to division, the court can order division of substantive common property, that is the property form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both spouses, regardless of the name of the owner. Even the inherited property and gifts can be in- cluded in the property subject to division if the other spouse contributed to its maintenance or prevention of its reduction. The current proposed revision of the Civil Act stipulates that common property and the property based on the common property are subject to division. There may be many other ways to define property to be divided in a way that is consis- tent with the people’s legal opinion and provides clear standards. As such, I present two methods. First, for couples who have been marri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or have several common children, all of their assets can be considered as property subject to division. Second, in principle, it is possible to consider the property set by the parties in the marital property agreement as the property subject to division, and if there is no such agreement, all of their assets may be considered as property subject to division. Currently, the law does not stipulate any division ratio, so the court sets the division ratio for each case. But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marriage system, it is reasonable for the law to declare equal division as a principle. However, exceptions need to be granted to doing equal divi- sion. Proposed revisions of the Civil Act both past and present stipulate that common property is divided equally, while each spouse’s own prop- erty acquired by inheritance or as such is not. We can also modify the principle of equal division in other ways. For example, we can choose a way that the residence for marriage cohabitation should be divided equally, while the rest can be divided differently. Alternatively, the law can require the spouses to set the division ratio by marital property agree- ment, and if there is no such agreement, to divide the property equally. If the law is revised to set a uniform standard about the property divi- sion in case there is no agreement,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marital property agreement system more convenient and reliable for the spouses who want to form their marital lives according to their own will.

      • KCI등재

        ‘통속성’ 개념의 분화/분단과 문화평등주의

        李하나 ( Lee Ha-n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이 글은 식민지시기부터 해방후를 거쳐 1990년대에 이르는 시간 동안 문화예술 및 교양오락 분야에서 끊임없이 언급되고 재정의되었던 개념 중 하나인 ‘통속’과 ‘통속성’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감성의 분단사’라는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남북의 분단이 단지 국토의 분단, 체제의 분단일 뿐만 아니라 개념의 분단, 나아가 감성의 분단이라는 것을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식민지시기 ‘통속’의 개념은 처음엔 ‘보통’, ‘누구에게나 통하는’ 등의 일상개념으로 시작되었으나, 1930년대 중반 이후 예술 개념으로서의 ‘통속’은 현저하게 ‘저급’과 ‘저속’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일상 개념으로서의 ‘통속’과 예술개념으로서의 ‘통속’은 해방후 각각 북한과 남한으로 나뉘어 전개되었다. 북한에서는 ‘통속’의 긍정적 의미가 확대되어 문화예술에서도 ‘통속성’이 지향되었으나, 남한에서는 ‘통속’의 긍정적 의미가 사상되고 부정적 의미로만 사용되어 ‘통속성’은 지양되어야할 무엇으로 치부되었다. 북한에서 ‘통속성’은 ‘인민성’의 중요한 내용으로서 여겨진 반면, 남한에서는 ‘통속성’의 문제가 ‘대중성’과 함께 거론되어 ‘대중성’에 포함되어 이해되기도 하고 ‘대중성’의 하위를 이루는 것으로 이해되기도 하였다. 어느 쪽이든 ‘통속성’은 대중의 저급한 취향을 뜻하는 말로서 부정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20세기 초 평등의 관념이 한국사회에 들어오면서 대중 누구나 계몽과 각성을 통해 높은 수준의 문화를 향유할 수 있다는 문화평등주의가 대두하였는데, 당시 ‘통속교육’의 활성화는 이러한 시대 분위기에서 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평등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처음엔 결과의 평등이 중시되었지만 점차 과정의 평등 쪽으로 강조점이 옮겨갔다. 일상개념으로서의 ‘통속’이 대중의 성장을 전제로 결과의 평등을 중시하는 평등주의 감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문화예술 개념으로서의 ‘통속’은 지식인과 대중 사이의 위계를 전제로 기회 균등이라는 과정의 평등을 중시하는 평등주의 감성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남한은 후자를, 북한은 전자를 선택함으로써 남북은 두 개의 평등주의에 기반한 두 개의 ‘통속성’을 갖게 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ition process of the concept of 't'ongsok'(popularity), one of the concepts that has been constantly mentioned and redefined in the field of culture, arts and entertainment during the period from colonial period to the 1990s through liberation. It aims to reveal that the division of the North and the South is not only the division of the country, the division of the system, but also the division of the concept, and further the division of affect. The concept of 't'ongsok'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itially began with the concept of life such as 'normal' and 'connected to everyone', but since the mid-1930s, 't'ongsok' as an art concept remarkably understood the meaning of 'low grade' and 'low taste'. 't'ongsok' as a concept of life and 't'ongsok' as an artistic concept were developed into North Korea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after liberation. In North Korea, the positive meaning of 't'ongsok' was expanded to the culture and arts, but in South Korea, the positive meaning of 't'ongsok' was thought and used only as a negative meaning, so 't'ongsok' was regarded as something to be avoided. In North Korea, 't'ongsok' was regarded as an important content of 'inminsŏng', whereas in South Korea, the issue of 't'ongsok' was discussed along with 'taejungsŏng' and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aejungsŏng' and understood as subordinate to 'taejungsŏng'. It also became, either way, 't'ongsok' has been used negatively as a term referring to the poor taste of the public. As the notion of equality entered Korean society in the early 20th century, cultural egalitarianism emerged, saying that anyone in the public could enjoy a high level culture through enlightenment and awakening, and the activation of 't'ongsok gyoyuk' at that time came from this atmosphere. From the point of view of equality, at first, equality of outcomes was emphasized, but the emphasis gradually shifted toward equality of process. While 't'ongsok' as a concept of life is based on an egalitarian sentiment that emphasizes equality of outcomes on the premise of the growth of the public, 't'ongsok' as a concept of culture and art is based on a process of equal opportunity on the premise of a hierarchy between intellectuals and the public. It was based on an egalitarian sensibility that values equality. By choosing the latter for South and the former for North Korea, the South and North have two concepts of 't'ongsok', or two kinds of egalitarianism.

      • KCI등재

        부부 쌍방의 총 소극재산이 총 적극재산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이 가능한지

        이승원 사법발전재단 2013 사법 Vol.1 No.25

        이 글은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에 있어 부부 쌍방의 소극재산(채무) 총액이 적극재산 총액을 초과할 경우에도 재산분할이 가능한지에 관한 대법원 2013. 6. 20. 선고 2010므4071, 4088 전원합의체 판결의 해설이다. 종래 대법원은 부부의 일방이 청산의 대상이 되는 채무를 부담하고 있어 총 재산가액에서 채무액을 공제하면 남는 금액이 없는 경우 상대방의 재산분할 청구는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판시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경우 재산분할을 허용하지 않는 입장이었다(대법원 1997. 9. 26. 선고 97므933 판결 등).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입장에 따르게 되면, 예를 들어 부부 일방은 큰 액수의 빚을 지고 있는 반면 상대방은 그보다 적은 액수의 재산을 가지고 있는 경우까지도 재산분할을 허용하지 아니하여 결국 이혼 후에도 부부 일방이 그 빚을 모두 떠안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됨으로써, 공평의 관념 및 재산분할 제도의 근본 취지 등에 반한다는 비판이 있어 왔다. 대상판결(다수의견)은 재산분할 제도의 본질과 근본 취지 및 민법 규정 등을 살핀 후, “소극재산의 총액이 적극재산의 총액을 초과하여 재산분할을 한 결과가 결국 채무의 분담을 정하는 것이 되는 경우에도 법원은 그 채무의 성질, 채권자와의 관계, 물적 담보의 존부 등 일체의 사정을 참작하여 이를 분담하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인정되면 그 구체적인 분담의 방법 등을 정하여 재산분할 청구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판시하여, 채무의 분담을 허용하지 아니한 위 종래의 대법원판결들을 변경하였다. 다만 대상판결은 채무를 분담할 경우에는 적극재산을 분할할 때처럼 일률적인 비율을 정하여 당연히 분할 귀속되게 하여야 한다는 취지는 아니고,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채무를 분담하게 할지 여부 및 그 분담의 방법 등을 정하여야 한다는 점을 부가하였다. 이러한 다수의견에 대하여, ① 종래 대법원의 입장을 그대로 유지하여 채무의 총액이 적극재산의 총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산분할(채무의 분담)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반대의견, ② 채무 자체의 분담을 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는 반대의견과 같은 입장이나, 그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현저한 불공평을 해소하기 위하여 재산분할 청구인에게는 양(+)의 순재산이 남아 있지 않은 반면 상대방에게는 그 명의의 순재산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상대방의 순재산 가액을 한도로 재산분할을 명할 수 있다는 별개의견, ③ 앞서의 별개의견과 기본적으로 궤를 같이 하되 그 분할의 범위를 달리 하여, 상대방의 적극재산가액을 한도로 재산분할을 명할 수 있다는 별개의견이 있었다. 대상판결은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의 허용 범위에 관한 통일적인 기준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종래 대법원판결에도 불구하고 하급심은 위와 같은 경우에 있어 재산분할을 허용하는 입장과 불허하는 입장으로 나뉘어 있었다), 부부 쌍방의 실질적인 공평을 지향하고 양성평등을 강조하는 현 시대의 흐름과 그 방향을 같이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대상판결에 의하여 이혼에 따른 재산분할에서 채무의 분담이 허용됨에 따라 그에 수반되는 법률적 쟁점들, 즉 채무 분담의 허용 기준과 구체적인 분담 방식 등에 관하여 법원의 심리부담이 다소 가중될 수는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 및 법리는 앞으로 당사자들의 공방과 사실관계의 심리, 분담 방식에 관한 법리 검토 ... This paper is a commentary on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s 2010Meu4071(Main claim), 2010Meu4088(Counter-claim) decided on June 20, 2013 which decided the issue whether property division in divorce is possible in case where the married couple's negative property(debt) exceeds the total positive property. Previously the Supreme Court had held that where one spouse's debt exceeds the total property value, the other spouse's claim to property division is not allowed(Supreme Court Decision 97Meu933, Sep. 26, 1997, etc.). Under the foregoing precedent, for example, if one spouse has huge amount of debt and the other one has property less than the debt, property division is not allowed, and after the divorce, debtor spouse remains burdened with the total debt. Such result invited criticism since it violates the concept of equity and fundamental idea of the property division system. The subject case(the majority opinion) examined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property division system and provisions of the Civil Act. The Supreme Court held that “where negative property(debt) exceeds the total positive property and property division results in debt division, the court may accept the property division claim by determining the specific method of division if the court acknowledges that the debt division is appropriate in light of the nature of the debt, relationship to creditor, existence of collateral, etc. Thus, the precedents to the contrary were overruled. However, the subject case does not mandate a certain rate in the debt division unlike in the property division, but requires deliberation of the total circumstances in deciding whether to divide the debt and the method of division. On the other hand, the dissenting opinion held that ①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should be maintained, and where the debt exceeds the total positive property, property division(debt division) should not be allowed;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e opinion holds that ② it has the same opinion with the dissenting opinion that the debt itself cannot be divided, but to resolve conspicuous inequity from such rule, where the property division claimant has no positive(+) net property and the other one has own net property, property division can be ordered to the extent of such net property; another separate opinion held that ③ in the same framework of the foregoing separate opinion, the property division can be ordered to the extent of the other spouse's positive property. The subject case established uniform criterion as to the permissible scope of the property division in divorce (the lower courts had not been uniform in allowing or denying the property division in the aforementioned situation despite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Thus, the subject case has a special meaning in pursuing substantial equity between husband and wife, which consists with the modern trend emphasizing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As the subject case allows debt division in the divorce property division, the follow-up legal issues including the permission standard for debt division and the specific division method may impose extra burden to the court. Specific criteria and legal principles are expected to be materialized by means of the parties' legal arguments, examination of the facts of the cases, discussion of legal principles as to the pertinent division method.

      • KCI등재

        재산분할제도의 발전 및 향후과제

        이혜진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東亞法學 Vol.- No.68

        The property division at divorce was introduced by the revision of family law in 1990. Before its introduction, the property clearance and support at divorce was accomplished by paying consolation money, but because its legal characteristic carries a damage, a spouse responsible for breaking marriage could not be compensated sufficiently for her or his contribution to making wealth during marriage. As even an irresponsible spouse could not be given as much money as through property division, there was no guarantee of the liberty of divorce. The newly-prescribed only one article in 1990 gave a judge a broad discretion in deciding assets and ratio of property division. Because the provision about property division only tells that the properties made by both sides’ cooperation can be divided, a retirement allowance or pension not given at a close of argument and debts exceeding positive assets have been excluded in division more than 20 years, but the Supreme Court en banc has changed recently its prior decision and decided that they are also objects of division. In deciding ratio of division, courts had a tendency to undervalue the housewives’ doing housework in the intial stages of introduction, but recently more decisions came out that housewife’s ratio of division exceeded 50%. Nevertheless the division ratio decided by a judge varies due to the lack of clear rule. So it needs making a rule prescribing clearly that an equal property division is a ground rule, but that judges can change the ratio from case to case. And pre-division measures for searching the other party’s assets out easily will be needed. 이혼 시 재산분할청구제도는 1990년 가족법 개정으로 도입되었다. 재산분할제도가 도입되기 전 이혼하는 부부의 재산의 청산 및 부양은 위자료라는 이름으로 해결되어 왔는데 위자료는 결국 이혼사유를 유책적으로 야기한 자의 피해당사자에 대한 손해배상의무의 성격을 가지는 것이어서 유책배우자라면 설사 재산취득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하더라도 재산의 청산이나 이혼 후의 부양에 필요한 금액을 요구할 수 없었다. 또한 유책배우자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실무상 위자료의 항목으로 인용되는 금액은 지금의 재산분할비율에 비해서는 미미하여 이혼의 자유를 실질적으로 보장하지 못했다. 그러나 단 한 개의 조문만 신설하다보니 분할대상재산이나 분할비율은 전적으로 법관의 재량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쌍방의 협력으로 이룩한 재산이 분할대상재산이라고만 되어있어 재산분할청구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 당시 아직 수령하지 않은 퇴직금이나 연금, 적극재산을 초과하는 채무 등에 대해서는 여러 반론이 있었음에도 20년 이상 분할대상이 아니라고 판시해오다 최근에서야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로서 견해를 변경하여 분할대상 재산이 됨을 인정했다. 그럼에도 분할의 가능성만 설시하고 의무자가 분할된 장래의 연금이나 퇴직금을 임의로 지급하지 않을 경우 권리자가 지급기관을 상대로 직접 지급을 구할 수 있는지 등 현실적 집행의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어 이 부분의 실효성확보방안이 필요하다. 분할의 비율에 대해서 도입 초기에는 전업주부의 가사노동의 가치를 평가절하 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최근에는 50%를 초과하는 사건의 비율이 과거에 비해 현저히 늘어났다. 그럼에도 통일된 기준의 불비로 하급심마다 비율에 차이를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배우자 상속분의 강화와 함께 이혼 시 배우자의 재산분할비율도 강제로 균분하는 입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으나 재량을 허락하지 않은 채 비율을 고정화하는 것은 구체적인 사안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탄력적인 운용을 할 수 있는 입법이 필요하다. 원칙적으로 균분으로 하되 균분이 부당한 경우에는 당사자의 청구에 의해 증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입법이나 실무상의 지침을 마련하는 등 통일성 있는 기준을 제시해야할 것이다. 그 외에도 재산분할제도를 실효성 있게 하기 위해서는 청구 전, 재산의 소재를 간이한 방법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필요하다 할 것이다.

      • 재산분할의 기준 정립을 위한 방안 연구

        최은정,안문희 사법정책연구원 2016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16 No.-

        재산분할제도는 법원에 광범위한 재량권이 부여된 가사비송사건이다. 이 연구는 재량적 분할의 장점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당사자에게는 어느 정도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해주고 법관들에게는 판단의 참고자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재산분할의 기준 정립’에 관한 논의를 시작할 때가 되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실무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의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산분할제도의 연혁 및 현재의 상황을 돌아보고, 특히 재산분할의 대상과 비율에 관한 실무의 운영모습을 살펴보았다. 참고할 수 있는 해외 각국의 재산분할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도 병행하였다. 또한 기준 정립에 있어서의 고려요소로서, 특유재산의 분할대상으로의 편입 기준, 새로운 형태의 재산에 대한 기준, 균등분할의 원칙 등도 제안하였다. 이 연구보고서가 향후 법률적 관점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상황과 국민의 법의식까지 수렴한 합리적인 재산분할 기준을 정립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division of property is a family non-litigation case that provides the court with significant discretionary power.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he understanding that the advantages of discretionary division of property should be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while at the same time acknowledging the need for developing a standard of property division so as to guarantee legal predictability for the parties and source of reference for judges. In forming the basis of setting the applicable standard in practice,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story and current operation of the institution of property divisio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properties subject to division and how the ratio of division are determined in practice. A comparative law analysis of various foreign jurisdictions is also conducted. Moreover, the standards for recognizing a separate property and a new property as being subject to division, as well as the principle of equal division have been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property division. The present research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rational standard of property division that reflects not only the legal standpoint but also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society and the public legal consciousness.

      • 재산분할의 기준 정립을 위한 방안 연구

        최은정,안문희,변지영,김정환,계인국,박준선,이제우,강현주 사법정책연구원 2016 연구보고서 Vol.2016 No.9

        재산분할제도는 법원에 광범위한 재량권이 부여된 가사비송사건이다. 이 연구는 재량적 분할의 장점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당사자에게는 어느 정도의 예측가능성을 확보해주고 법관들에게는 판단의 참고자료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재산분할의 기준 정립’에 관한 논의를 시작할 때가 되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실무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의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재산분할제도의 연혁 및 현재의 상황을 돌아보고, 특히 재산분할의 대상과 비율에 관한 실무의 운영모습을 살펴보았다. 참고할 수 있는 해외 각국의 재산분할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도 병행하였다. 또한 기준 정립에 있어서의 고려요소로서, 특유재산의 분할대상으로의 편입 기준, 새로운 형태의 재산에 대한 기준, 균등분할의 원칙 등도 제안하였다. 이 연구보고서가 향후 법률적 관점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상황과 국민의 법의식까지 수렴한 합리적인 재산분할 기준을 정립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division of property is a family non-litigation case that provides the court with significant discretionary power. The starting point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he understanding that the advantages of discretionary division of property should be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while at the same time acknowledging the need for developing a standard of property division so as to guarantee legal predictability for the parties and source of reference for judges. In forming the basis of setting the applicable standard in practice,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story and current operation of the institution of property divisio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properties subject to division and how the ratio of division are determined in practice. A comparative law analysis of various foreign jurisdictions is also conducted. Moreover, the standards for recognizing a separate property and a new property as being subject to division, as well as the principle of equal division have been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property division. The present research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rational standard of property division that reflects not only the legal standpoint but also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society and the public legal consciousness.

      • KCI등재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임자선,김성준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논문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 제시된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문장제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을 살펴봄으로써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을 생각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와 익힘책에 제시된 자연수의 곱셈 문장제를 동수누가, 비율, 비교, 정렬, 조합의 5가지 의미 유형으로, 나눗셈은 등분제와 포함제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에서 미지수의 위치에 따라 처음량, 변화량, 결과량을 묻는 문장제의 구문 유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문장제 문제해결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는데, 앞서 분석한 곱셈과 나눗셈의 문장제 유형을 의미와 구문으로 나누어 2차례의 검사를 실시하여 정답률과 학생들의 오답 반응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곱셈은 동수누가에서의 정답률이 높게 나온 반면 나눗셈의 경우 포함제와 등분제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교과서의 문제 유형 분포와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곱셈과 나눗셈 문장제의 효과적인 지도와 학생들의 문장제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문장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arithmetic word problem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and workbooks of 3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And we analyzes type of the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4th graders prefer in the course of arithmetic word problem solving an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s per the type in order to seek efficient teaching methods on arithmetic word problem solving of students. First, in the mathematics textbook and workbook of 3rd grade, arithmetic word problem of multiplication and division suggested various things such as thought opening, activities, finish, and let's check. As per the semantic element, multiplication was classified into 5 types of cumulated addition of same number, rate, comparison, arrayal and combination while division was classified into 2 types of division into equal parts and division by equal part. According to result of analysis, the type of cumulated addition of same number was the most one for multiplication while 2 types of division into equal parts and division by equal part were evenly spread in division. Second, according to 1st test result of arithmetic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element of arithmetic operation meaning, 4th grade showed type of cumulated addition of same number as the highest correct answer ratio for multiplication. As for division, 4th grade showed 90% correct answer ratio in 4 questionnaires out of 5 questionnaires. And 2nd test showed arithmetic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element of arithmetic operation construction, as for multiplication and division, correct answer ratio was higher in the case that 4th grade students did not know the result than the case they did not know changed amount or initial amount. This was because the case of asking the result was suggested in the mathematics textbook and workbook and therefore,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to understand such questions as changed amount or initial amount which they did not see frequently. Therefore, it is required for students to experience more varied types of problems so that they can more easily recognize problems seen from a textbook and then,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 KCI등재

        Efficiency and Fairness in the Walrasian Mechanism

        조홍종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JOURNAL OF ECONOMIC RESEARCH Vol.20 No.1

        We consider fair allocation problems of dividing a social endowment of infinitely divisible goods among agents with equal rights to these resource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implications of the three axioms (population monotonicity, resource monotonicity, and welfare domination under preference replacement) on the Walrasian mechanism from equal division. In a pure exchange economy, the Walrasian mechanism from equal division fails to satisfy resource monotonicity and welfare domination under preference replacement with homothetic preferences. Next, we impose three distributional criteria (equal division lower bound, no envy, and no domination) on general economic problems of fair division and investigate whether each criterion is compatible with the Walrasian mechanism from equal division. We mainly find that (i) in the absence of substitution effects the transfer paradox occurs if and only if the preference replacement paradox occurs and that (ii) in the presence of substitution effects in demand, the preference replacement paradox may occur even when the transfer paradox does not.

      • KCI등재

        Efficiency and fairness in the Walrasian mechanism

        ( Hong Chong Cho )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JOURNAL OF ECONOMIC RESEARCH Vol.20 No.1

        We consider fair allocation problems of dividing a social endowment of infinitely divisible goods among agents with equal rights to these resource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implications of the three axioms (population monotonicity, resource monotonicity, and welfare domination under preference replacement) on the Walrasian mechanism from equal division. In a pure exchange economy, the Walrasian mechanism from equal division fails to satisfy resource monotonicity and welfare domination under preference replacement with homothetic preferences. Next, we impose three distributional criteria (equal division lower bound, no envy, and no domination) on general economic problems of fair division and investigate whether each criterion is compatible with the Walrasian mechanism from equal division. We mainly find that (i) in the absence of substitution effects the transfer paradox occurs if and only if the preference replacement paradox occurs and that (ii) in the presence of substitution effects in demand, the preference replacement paradox may occur even when the transfer paradox does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