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거버넌스 연구의 경향 분석: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유재미 ( Yu Jae-mi ),오철호 ( Oh Cheol H.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 정보화정책 Vol.22 No.4

        1990년대 이후 새로운 국정운영에 대한 대안으로 도입된 거버넌스 개념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e-거버넌스(electronic governance)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e-거버넌스란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문제해결 및 정책결정 행태에서 벗어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정부-시장-시민사회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호 협력적 네트워크를 통해 협력·조정하는 국정운영 방식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최근 15년간 우리나라의 행정 및 정책분야에서 진행된 e-거버넌스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e-거버넌스의 전반적인 연구경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접근관점 및 연구영역 측면에서 볼 때, 전자정부 및 정보화 정책 등의 행정영역과 ICT 정책 및 사업 등의 정보통신 영역의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목적의 경우, 국내의 e-거버넌스 연구는 문제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하려는 문제지향성을 띠고 있으나, 이론검증을 통한 문제해결방안 제시 연구나 현상 내지 사건의 인과관계 모형 검증을 통한 설명적 연구 등이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경향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e-거버넌스의 이론적 체계 확립을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1990s, the notion of governance has been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way of understanding the new trend of public administration. Then, it was followed by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e-governance (electronic govern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E-governance means an approach to understanding how to manage state affairs. It emphasizes the notion of governance where various actors (government-market-civil society, etc.) adjust and cooperate through mutual collaborative network, not a unilateral decision-making form of government, in order to solve common problems. It also carries the notion of ‘electronic’ in the sense that it operates on the basis of utiliz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is study systematically attempt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methodologies of e-governance in major Korean journals and proceedings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olicy studies over the last 15 years. Some of the findings are worth noting: first, e-governance studies in Korea are in large measure concentrated on the government-centered perspective. Also, past studies tend to focus on problem-solving by suggesting policy alternatives. Past studies, thus, seem to pay relatively less attention to explanation of the phenomena through rigorous analysis.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review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some of conceptual or methodological issues related e-governance studies, thus, to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f e-governance.

      • KCI등재

        전자정부의 진화와 시민참여 : e-거버넌스 관점에서

        윤성이 ( Seong Yi Yun ) 慶熙大學校 社會科學硏究院 2007 社會科學硏究 Vol.33 No.3

        지금까지 각국이 전자정부를 통해 추구해온 비전과 목표는 대부분이 행정업무의 효율성과 공공서비스 개선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전자정부의 중요한 한축인 민주적 가치실현을 위한 노력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적 분야, 즉 시장과 기업의 정보화는 효율성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최우선의 목표로 할 수 있다. 그러나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정부가 반드시 투명하고, 책임 있는 그리고 민주적인 정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전자정부 구현이 행정의 효율성과 경쟁력 강화에 한정되지 않고 민주적 가치실현과 나아가 새로운 거버넌스(governance) 구현이라는 전자민주주의 범위까지 확대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의 전자정부 추진현황을 살펴보았을 때 아직까지는 행정업무의 효율성이라는 좁은 의미의 전자정부 개념에 치중하고 있으며, 민주적 가치의 실현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전자정부 즉, e-거버넌스의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향후 전자정부 개념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거버넌스, 즉 e-거버넌스 구현까지 포함하는 범위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전자정부(e-government)는 정부의 업무처리 방식과 관련된 부분에 사용될 수 있는 개념이며, e-거버넌스는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 하는 공공서비스 전달 및 정부와 시민들 간의 상호작용의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즉 시민들이 단순히 공공서비스의 소비자가 아니라 공동 생산자로서 정책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중요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 기업, 그리고 시민단체 사이의 파트너십 형성, 정부업무처리 과정의 분권화, 정치과정의 공개와 투명화 등이 요구된다. E-government means a democratic government which provides the best level of public service efficiently through ICTs. Most of e-government projects have been focused on improving government service deliveries. Efficiency and best service delivery have been a main theme of e-government visions and objectives, without full consideration of achieving democratic values.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can be a main goal of digitalization in private sector. However an efficient and competitive government does not always mean a transparent, accountable and democratic government. The goal of e-government should be extended to the level of realizing e-governance, not being limited to achieve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competitive power. Although South Korean governments have steadily carried out various e-government projects, e-government has not reached to the stage of e-governance. If the purpose of e-government is to combine administrative services with informatization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the main purpose of e-governance is to widen the measures for citizens to participate in the policy making process and its execution. For e-governance citizens should be engaged in policy making process as active participants, instead of being remained as clients of government services.

      • KCI등재

        동북아 전자상거래 공동체 구성을 위한 e-Governance

        최석범(Seok-beom choi),이용근(Yong-Keun Lee),이충배(Choong-bae Lee),김창봉(Chang- bong Kim),김시중(Si-joong Kim),박경희(Geong-Hee Park) 한국국제상학회 2008 國際商學 Vol.23 No.1

        As a condition for efficient establishment of e-Governance, each country in Northeast Asian region should guarantee political security and stable economy policy in order to reduce distrust and discontent among the nations in the region. It is also required to converge ultra-regional systems and also to develop the protective contrivances to strengthen regional security. Basic directions for the organization of e-Governance should include successive procedural approaches, step-by-step increase of the participating nations and parties, phased extension of cooperation. In order to drive this initiative in proactive and sustainable manner, it is required to present the vision on e-Governance in Northease Asia community, to set up a secretariat, to eliminate obstacles, to establish supporting policies for private sector participants. The prpose of this paper contributes to activate the e-Commerce in Northeast Asia by constructing the e-Governance in Northeast Asia step by step.

      • KCI등재

        Linking E-Government to Good Governa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Young Bum Lee,Anand Desai,Byung ryoul Ju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Crisisonomy Vol.13 No.10

        이 논문에서는 도서개발국가들(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을 대상으로 전자정부의 발전과 거버넌스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기존 문헌들은 대부분 전자 정부 발전과 거버넌스와의 선형적 관계를 가정하여, 전자정부의 발전이 거버넌스의 다양한 측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두 변수의 관계가 단순한 선형적 관계가 아니라, 두 변수사이에 그 영향을 조절하는 변수가 개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정부 발전의 거버넌스에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즉, 전자정부의 발전이 거버넌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사회적 여건에 따라 간접적인 효과도 갖는 실증 모형을 설정하여, 그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이 연구는 사회적 개방성이나 법에 의한 통치 등 사회적 여건 변수가 조절변수로서 전자정부 발전과 거버넌스와의 관계에 개입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전자정부의 발전이 거버넌스에 미치는 다양한 경로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Most studie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overnment development and good governance have concluded that e-government has largely positive effects on various aspects of governance. However, an important criticism of the current literature on e-government is that the relationship often lacks a theoretical found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e-government and good governance, based on the conjecture that while there is a link between the two, conditions must be ripe for e-government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good governance. We propose a framework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vernment and good governance is both direct and indirect, moderated by social conditions. As an exploratory effort, we test this model in the context of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and find that the effects of e-government on governance are moderated by other social conditions such as social openness and the rule of law to influence governance. These results are encouraging as we attempt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by which e-government can play a role in enhancing good governance.

      • KCI등재

        참여정부 전자정부 사업의 전자거버넌스 수준

        임태훈 ( Tae Hoon L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論集 Vol.40 No.2

        This study researched how far the Korean e-governance is from the e-government. The purpose of e-government is not only to process the public works efficiently but also to communicate with people electronically.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how much th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realized in Korean e-government project. For this, the e-governance functions differentiated from the e-government were derived, and categorized as the three stages-one-way information, two-way transaction, participatory collaboration. Then, the Korean e-government project were examined where it is in these three stages. As a result of this study, almost the Korean e-government projects remained in the stage of the one-way information. It is hard to say the Korean e-government becomes e-governance.

      • KCI등재

        한국에서의 시민중심적 e-거버넌스의 형성과 발전 - 그 형성 과정에서의 정부 역할을 중심으로

        김혁(金赫)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7 신아세아 Vol.14 No.2

          거버넌스의 개념에 대한 논란이 채 마무리 지어 지기도 전에 기술의 획기적 발전은 또 다른 양태의 지배 및 관리 구조로서의 시민중심적 e-거버넌스의 형성을 야기하고 있다. 정보 기술의 획기적 발전은 과거 정부가 누려왔던 정보의 독점을 더 이상 용인하지 않게 되었고, 시민사회에서의 강력한 네트워크의 형성 및 새로운 양태의 권력집단 형성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지배의지와 관리능력은 실제로 매우 제한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성은 시민사회의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더욱 강화될 뿐만 아니라 전자적 의사결정 시스템의 현실적 적용과 함께 전혀 새로운 체제로서의 시민중심적 e-거버넌스의 형성을 구체화하고 있다.<BR>  한국의 사례를 보면 정부주도의 행정정보화 및 전자정부 수립의 정책들은 결과적으로 시민사회의 성장을 가능하게 만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인 기반으로 작용하였다. 결국 정부주도의 전자정부 구축 사업들은 사이버 공간안에서의 신속하고도 통합적인 의사 소통에 따라 시민사회의 분산된 힘이 결집될 수 있는 가능성을 현실화시킴으로써 정부의 의도와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정부와 시민사회는 기존의 권력 개념으로 볼때 서로 경합하는 측면이 존재하나, 한국에서는 새롭게 등장한 온라인 공동체가 신정부의 탄생시기부터 동조 및 지지 세력으로 인지됨으로써 상호 공조의 전제하에 정부는 적극적인 국민참여 정책을 견지하였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한국 사회에서의 시민중심적 e-거버넌스 형성에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Although the concept of "governance" has not been reached an agreement in academic circles yet, a new concept of "citizen-centered e-Governance" is coming to the fore with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Our civil society no longer tolerates the information monopolization by the government, and it can build a powerful network without the intervention of government. These societal changes might be a sign which shows the formation of citizen-centered e-Governance as a new governing system.<BR>  It is the efficiency-oriented policies such as "administration informatization" and "e-Government building" under the active governmental leadership that have become a cornerstone for the growth of civil society ironically. Though there generally exists a struggle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around the power to govern,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the newly appeared on-line communities as supporting power, Consequently, this amicable relationship played a positive role in the process of citizen-centered e-governance formation in Korea.

      • KCI등재

        온라인 정치 커뮤니케이션과 플랫폼효과: 부산광역시 홈페이지 사례

        김범수 ( Beomsoo Kim ),박근영 ( Keun Young Park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6 韓國 政治 硏究 Vol.25 No.1

        본 연구는 소통 구조인 플랫폼효과에 주목하여 전자정부 플랫폼과 전자거버넌스 플랫폼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차이를 분석하였다. 전자정부 플랫폼은 시민이 말하고 정부가 듣는 1:1 소통구조이기 때문에 정부가 소통을 통제하고 시민의 공론적 참여가 제한을 받는다. 반면에 전자거버넌스 플랫폼은 시민 다수가 말하고 듣는 다수:다수 소통구조로서 공론화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가설을 부산시 홈페이지중 "부산시에 바란다"와 "정책포럼"의 글들을 비교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정책포럼"에 게시된 글들의 공개비율은 68%였고, "부산시에 바란다"의 경우에는 52%였다. 또한, 공론장 수준에서 "정책포럼"에 게시된 글들이 "부산시에 바란다"의 글들보다 글의 논리성, 관계성, 그리고 공론으로서의 수렴 가능성이 높았다. 시민들은 전자거버넌스 플랫폼에서 좀 더 공개적이고 논리적이며, 서로를 존중하며, 공론으로 수렴하는 글들을 더 많이 작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자민주주의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인터넷 소통구조인 플랫폼이 갖는 중요성을 알려준다. 정부와 시민 사이의 정치 소통은 시민의 행위와 함께 정부가 어떤 플랫폼을 설계하고 운영하는가에 영향을 받는다.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are classified into the two; one related to agency and the other to structure. By comparing the e-government platform and the e-governance platform, this study exclusively focuses on "Platform Effect," one of the structural factors of the Internet political participation, which has long been neglected by many scholars. On E-government platform, because of its unique one to one structure that the government listens to what citizens say, the government tends to control the entire communications and citizens have restrictions in participating in public sphere. On E-governance platform, by contrast, it is more likely that citizens successfully develop the public sphere since multiple numbers of citizens talk to and listen to each other simultaneously. These Platform hypotheses have been applied to two online participation platforms in Busan City Homepag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 of publicly opened opinion postings on e-governance platform, "Jeong-Chaek Forum" is greater than that on e-government platform, "Busan-si-e-ba-ran-da" by 68% to 52%. As for the degree to which the public sphere has been developed, if evaluated by opinions posted on these two platforms, e-governance platform is higher than e-government platform in dimensions of logic, relationship, and comprom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municative platform is important in realizing the e-democracy. In particular, the role of e-governance platform is so crucial for e-democracy that it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as citizen`s choices. In conclusion, if a government intends to drive citizen` vigorous participation in public sphere, it should design e-governance platform.

      • KCI등재

        우리나라 전자정부서비스 이용 실태 추세 분석

        권혁성,김준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정보화정책 Vol.23 No.3

        The Korean government has done annual fact-finding surveys on the use of e-government since 2007, but put little effort to analyse and draw implications. We analyzed the trend of the use of e-government in Korea using the survey results of 2012~2015. While the awareness and the user uptake of e-government in Korea have increased steadily, the relative portion and frequency of the use stagnates and falls back. Korean citizens still utilize in-person channel more than e-government channels, and the speed of the transfer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is not fast enough. While more than 95% of the Korean people intend to use the e-government as the main channel in the future, their actual rate of use was 43.2%. We suggest following measures to overcome the troubling situation and increase the uptake of e-government services in Korea through: the expansion of mobile e-government services, strengthening of seamless services, elevation of the level of customization, increasing frequency of using the current e-government services, and raise of the awareness level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E-Government Portal. 우리나라의 전자정부서비스 이용 실태조사는 200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2012년부터는 통계청 승인통계로 인정받아 매년 엄격한 방법론에 따라 실시되고 있으나, 조사결과에 대한 심층 분석과 함의 도출은 아직 미진한 상태이다. 이논문에서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이용 실태조사 결과에 나타난 추세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전자정부서비스의 인지도와 이용률이 증가하여 저변 확대에는 성공하였으나, 이용 비중이나 빈도는 정체 또는 후퇴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국민들은 아직도 직접방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이를 전자정부 채널로 바꾸는 속도도 느린 편이다. 또한 전자정부서비스 이용에 대해 긍정적인 의향을 갖고 있었으나, 실제 이용은 부진하였다. 이용 활성화 방안으로 모바일 전자정부서비스의 확대, 연계서비스의 확대, 맞춤형서비스의 확대, 기존 전자정부서비스의 이용률 제고,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한 인지도 제고 및 대한민국정부포털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거버넌스와 인터넷 시민참여의 제도화

        김혁(Hyok Kim) 한국정당학회 2010 한국정당학회보 Vol.9 No.1

        인터넷을 통해 정부와 기업, 그리고 시민과의 연계성은 과거와는 전혀 다른 양태로 변화하고 있고, e-거버넌스의 구축으로 새로운 국정운영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더 많은 정보가 다양한 계층과 영역의 참여자 간 쌍방향 의사교환 통로를 통해 교환되고 있고, 일반 시민의 정치사회적 잠재력은 한층 확대되었다고 평가된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시민은 보다 많은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되고, 직접적인 정치적 요구는 물론 이에 대한 정책결정에도 영향력을 행사하게 됨으로써 정책결정과정의 직접적 참여자의 지위로까지 올라서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양적 참여의 확대만으로 국정운영이 가장 효율적이며 민주적으로 이루어지는 진정한 e-거버넌스가 달성이 가능해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서울시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민의 참여를 지원하는 전문가 그룹의 활동이 거버넌스적 제도화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e-거버넌스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서는 시민과 정부 사이에 정보 비대칭으로 상호불신 및 비합리적 의사결정이 발생하는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시민사회에 충분할 정도의 정보 유통과 습득이 가능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양한 씽크탱크로부터 정책지식에 대한 전문적 식견으로 무장한 ‘정보화된 시민(informed citizens)’이 활발하게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제도적으로 구축되었을 때, 시민이 정부의 동반자가 되어 효율적이고 민주적인 e-거버넌스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 link between a civil society between business and governmental sectors has been dramatically changed in a different pattern from what it is used to, and a distinctive governance type in terms of e-Governance has already emerged. As citizens can grasp more valuable information and policy knowledge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y obtain more socio-political potential in decision-making processes. Citizens are approaching to a status of direct policy-maker. However, e-Governance cannot be accomplished only with the quantitative changes in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analyzing the e-Governance case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derive a lot of help from professionals and officials for building up a desirable e-Governance. A institutional mechanism which secure sufficient information and policy knowledge flow to a civil society must be invented, in order to avoid from occurring mutual distrust and irrational decision-making. Whe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 ‘informed citizens’ can participate without any restrictions is build up, we can attain a democratic and efficient e-Governance in which citizens become real partners with the government.

      • KCI등재

        e-거버넌스 관점에서의 국가정보화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이연우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9 정보화정책 Vol.16 No.2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른 정부역할과 사회변화를 설명하는 e-거버넌스에 대한 논의가 기술적, 이념적 그리고 시민사회의 성숙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논의의 바탕에는 정부·시민사회·시장 구성원간의 관계범위나 이념, 의사소통의 유형, 기술의 실현 수단 등 다양한 구성요소의 변화에 따라 행정정보화에서 전자정부, 그리고 e-거버넌스로 이행된다는 논지에 근거를 두고 있다. 본 논문은 e-거버넌스를 구성하는 요소들과 정보화촉진시행계획상의 정보화사업과 연계하여 국가정보화 정책의 변화과정에서 각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실재하는지를 살펴보고, 국가정보화가 e-거버넌스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도출하고자 했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우리나라 정보화 정책이나 사업은 주로 정부 내부 업무의 능률을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었고, 서비스 제공이나 국민과의 의사소통을 위한 콘텐츠(contents) 구축과 단순 정보제공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Recently. discussions over e-governance, which explains government roles and social changes resulted from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have been made in the technical, idealogical and civil society aspects. The evolution from e-administration and e-government to e-governance is explained in the contexts of five interrelated factors such as administrative ideology, decision-making and communication types, enabl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relationship among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This paper analyzes the evolution of the national IT policy by interconnecting the factors of e-governance and projects of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promotion action plan.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 IT policy from 2000 to 2007 mainly focused on improving the internal efficiency of the government. Also,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creation of contents and communication channels were designed just simply to provide citizens with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