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드라마투르그의 역사와 정치 사회적 기능에 대한 고찰

        서지영 ( Ji Young Seo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e term of dramaturg was introduced 20 years ago in Korea. But we are not accustumed to the concept of the dramaturg. The role of the dramaturg has its roots in the practice of mainland German theatre. Since the major intellects appointed Gotthold Lessing as the world`s first officially dramaturg, a dramaturgs has been considered as a person to direct plays, translate foreign dramas, commission works, prepare essays for inclusion in theatre programs, and usher. Then dramaturg across Europe continue to debate their function and possible functions within the theatre, while being employed across a range of performance forms and theatre development activities. The meaning of the terms dramaturg is relative and determined by the particular cultures and institutions in which individuals operate, and the function of dramaturg depends on the ecomomic and political conditions of production. But there is only one fixed point; dramaturgs have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reform of theatre. In this paper, I gave weight to view the history of dramaturg mainly in Germany. I treated the case of Lessing, Goethe, Brecht in Germany and Tynan in England. Especially I tried focus on the social and political functions of the dramaturg. There are two issues relevant to political tendency of the dramaturg. For one thing, dramaturg is related to a political ideology, and for another, dramaturg acts as a mediator. Since the 20th century, dramaturgs were working actively in the political theatre. Especially Brecht`s dramaturgy st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a work and its social context, and he wanted to contribute to a social reform by making revolutionary theatre. Brecht`s influence is remarkable on European political theatre of the 1960s and 1970s. A dramaturg must perform a delicate balancing act between different sides in the conflict. (ex. art and policy, theory and practice) In the process, dramaturg often experience reconciliation and conflict. The role of dramaturg all depends on the circumstances, but it is obvious that work for development of the theater is the essential role of dramaturg. Therefore, the contemporary dramaturgs should have an eye for beauty to find out characters of our theatre, and the dramaturg should reflect the spirit of the age at working in the contemporary theatre. 드라마투르그라는 용어가 한국에 소개된 지 20년이 되었지만 그 개념은 여전히 생소하다.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은 독일의 극장 관행에 뿌리를 두고 있다. 레싱이 최초의 공식 드라마투르그로 임명된 이래 드라마투르그는 희곡을 쓰거나 번역을 하고, 공연을 중개하며, 프로그램 북에 글을 쓰고, 연극을 안내하는사람으로 알려져 왔다. 유럽 전역에서 공연과 극장 업무에 드라마투르그를 고용하면서 그 역할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었다. 드라마투르그라는 용어는 문화와 제도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게 해석된다. 공연 제작의 경제적, 정치적 여건에 따라 그 역할도 달라진다. 드라마투르그의역할 중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드라마투르그는 역사적으로 연극개혁에 앞장서 왔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독일을 중심으로 드라마투르그의 역사를 조망하는 데 비중을 두었다. 레싱, 괴테, 브레히트, 그리고 영국의 타이넌의 사례를 고찰했다. 특히 드라마투르그의 정치 사회적 기능에 주목하고자 했다. 드라마투르그의 정치적경향은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정치 이데올로기와의 관련성이고 다른 하나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이다. 20세기 이후, 일련의 정치극 공연에 드라마투르그가 활발히 참여했다. 특히 브레히트의 드라마투르기는 작품과 사회적 맥락의 관계를 중시했다. 브레히트는 혁명적인 연극을 만들어 사회 개혁에기여하고자 했는데, 그의 영향은 1960, 70년대 유럽 정치극에서 두드러진다. 드라마투르그는 또한 서로 다른 입장들 사이에서 양자를 중재하여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드라마투르그는 예술과 정책, 현장과 이론 사이의 매개자로서 충돌과 화해의 과정을 겪게 된다.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은 상황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연극의 발전을 위한 업무가 그 본질인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동시대 드라마투르그가 해야 할 일은 우리 연극의 빈틈을 발견할 수 있는 안목을 갖추어야 하며, 더불어 시대성을 지닌 연극관을 가져야 한다.

      • KCI등재

        논문 : 수행적 드라마투르기와 창조적 드라마투르그

        최영주 ( Young Joo Choi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3 연극교육연구 Vol.22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dramaturgy can not only be constructive but also creative during the procedure of production. In conventional text-based theatre, the dramaturg plays an auxiliary role in the production process, as a literary manager or a production dramaturg. The dramaturg`s role was limited during pre-production to a number of sporadic visits to rehearsal, and post-production to the role of mediator between the performance and the audience. In this, Cardullo insists, the dramaturg is the ``spokesman of words``, ``the champion of ideas``, and ``a believer in the spirit of well-wrought dramatic texts``. He concludes “the drarnaturg is to a play as a mechanic is to an automobile.” This implies the theatrical event happens separate to, and out of the reach of, the dramaturg. My interest resides in a new and enlarged dramaturgy which is constructed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in which the dramaturg can be creative, interacting with other participants within the production. Since non text-based performance theatre proliferated in the mid 1990s, theatre can be identified by whether it is text-based or not; the dramaturg faces a challenge in non text-based theatre. Without a given text, the dramaturg has to discover or construct dramaturgy during the rehearsal. Once freed from the authority of the text, dramaturgy becomes a contiguous area which mingles aspects of literature, theory, science, and society, as well as ideological conflicts. The term therefore connotes theatrical methods and ideas and thus becomes an area ripe for experinmentation. Peter Starrer succeeds in classifying these new dramaturgical practices as performative dramaturgy and summarizes their characteristics in a series of 10 notes. After observing the comparisons between conventional dramaturgy and new dramaturgy, along with its condition and cultural environment, I have focused on performative dramaturgy, as defined in Stamer`s notes. Firstly, perforniative dramaturgy constructs form within the production process. Secondly, it projects ideas onto the form and positions it in time and space. Thirdly, it is concerned with artistic experience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Lastly, it is undertaken as collaborative production. To examine how to construct perforrnative drarnaturgy, I analyzed the methods of two companies: Forced Entertainment and Rimini Protokoll. Forced Entertainment and their director and dramaturg, Tim Etchells, have appropriated performative dramaturgy into their production procedure, which can be more accurately specified as ``devising dramaturgy``. Based on Etchells`s words, I looked into the three phases of the production process, which are interrelated with one another. With Rimini Protokoll, I assembled fragments of comments, theories, and discourse about Rirnini Protokoll and an interview with their dramaturg, Sebastian Brunger. i1e Forced Entertainment made use of improvisation, Rimini Protokoll draw upon research-based practice. They find everyday ``specialists`` from outside of the theatre, invite them into the theatre, document their views and biographies, and chronicle them on the stage. In contrast to documentary theatre from 1920s and 1960s which tried to induce ideological conflict and to change society, Rimini Protokoll intend to reveal how discourses are build Documenting individuals`` views around the target discourse is a means to disclose not the statistical but the real. Consequently, I was able to find how these two examples combine the real with the staged by constructing the dramaturgy i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us escape formal experimentation. I also discovered that Etchells, a director and dramaturg, shares his role with other members, and Kaegi, Haug, Wetzel, Bninger of Rimini Protocol blur and swap roles with one another in a collaborative procedure.

      • KCI등재후보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사례 연구 : 그린피그의 < 두뇌수술 >, < 아무튼백석 >, < 나는야쎅스왕 >을 중심으로

        김혜연 ( Hye You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a base of deep introspection on field works by concretely analyzing each processes of three productions in which I worked with the same theatre and director. Analysis objects are working processes as a dramaturg of < Brain Surgery >, < Anyway, Baik Seok >, and < I am a Sexking >. < Brain Surgery > is made on the basis of a play written in 1945, whereas < Anyway, Baik Seok > and < I am Sexking > are devised theatres. As a result, I have discovered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production based on a precedent script, dramaturgical works were relatively well-organiz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oduction which has no precedent script, the system of dramaturgical works was unclear, confusing and in discord. The systemicity of the process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these are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those two cases. In addition, these are good in terms of stable working process but have limits in terms of emergence of new dramaturgy. Secondly, all those three productions showed postdramatic processes and outputs.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precedent scripts, the following two facts are evidences that all these three productions are postdramatic. One is the fact that we couldn`t make any blueprint on the final output during the process. The other is the fact that we considered the script(even in the case of the precedent script) as one of the materials like any other factors of the performance. Thirdly, metacognition towards the theatre itself and towards the role of a dramaturg formed a great part of all three productions. I had to constantly cross the borderlines of the theatre concept and the role of a dramaturg.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I could draw several introspections as follows on the role of a dramaturg in the postdramatic theatres. First, Dramaturgy should be related more closely with actual influences which a dramaturg makes for the final output, rather than with literary sensitivity which makes a dramaturg read the text properly. Therefore we need to free from the thought that the text analysis done by a dramaturg should be carried out as it is or in a literarily proper way. In other words, a dramaturg`s work itself can be another source for the production without reference to offer good analysis. Secondly, even though we cannot preliminarily define the role of a dramaturg in the devised theatre, it does not mean that it is unclear. This role certainly exist but not steady. In this sense, we can characterize the role of a dramaturg in the devised theatre as a main agent of metacognition. So I propose that we install processes of consultation for this metacognition works apart from the devising process. 이 연구는 드라마투르그로서 동일한 극단 및 연출과 함께 작업한 세 작품의제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장 작업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의 대상은 그린피그의 공연 < 두뇌수술 >, < 아무튼백석 >, < 나는야쎅스왕 >의 작업 과정이다. < 두뇌수술 >은 1945 년의 희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 아무튼백석 >과 < 나는야쎅스왕 >은 공동창작 작품이다.1)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희곡 텍스트가 선행한 작업의 경우 드라마투르기 작업 과정의 체계가 비교적 잘 잡혀 있었다. 반면, 선행하지 않은 작업의 경우 과정의 체계가 불분명하고 혼란과 충돌이 상대적으로 컸다. 결국 작업의 체계성과 합리적 의사 결정, 이 두 가지 사항은 희곡텍스트가 선행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이의 가장 큰 차이이며 안정적인 작업 진행이라는 점에서는 좋지만 새로운 드라마투르기의 출현과 관련해서는 오히려 제한이 될 수 있다. 둘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세 작품 모두 포스트드라마적인 작업 과정과 결과물을 보여준다. 희곡이 선행했건 선행하지 않았건, 우리가 만들 작품의 청사진을 그려볼 수 없었다는 점, 희곡이 선행한 경우마저도 해당 희곡을 공연의 다른 요소들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재료로서 파악하였다는 점 등은 포스트드라마적인 속성과 관련된다고 본다. 셋째, 세 작업모두에 있어서 연극 및 드라마투르그 역할에 대한 메타적 인식이 늘 크게 작용하였다. ``연극이란, 공연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경계를 스스로건, 협의 과정에서건 끊임없이 넘나들어야 할 필요가 있었으며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끊임없이 변화를 겪어야 했다.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포스트드라마 작품의 드라마투르그 역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성찰들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드라마투르기는 문학적감수성을 바탕으로 작품을 얼마나 제대로 읽어내는가에 달려있기보다는 그것이 공연으로 만들어지는 과정에 어떤 의미를 줄 것인가에 더욱 밀접하게 관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드라마투르그의 작품 분석이 그대로 공연화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서 분석 자체가 공연의 하나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식의 개입 방식도 필요하다. 둘째, 공동창작의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사전에정의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곧 불분명하다는 의미인 것은 아니며 그 역할은 분명히 존재하되 고정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뿐이다. 그런 차원에서 공동창작이산으로 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메타적 인식의 주체로서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규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메타적 인식과 관련된 협의 과정을 공동창작 과정과는 별도로 설정해 둘 것을 제안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뮤지컬에서의 드라마투르그 역할에 관한 소고

        현수정 ( Su Jung Hyun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dramaturg`s roles in contemporary Korean musical theatre and discusses their effective ways of participation in musical productions. Korean musical theatre has been continually flourishing. The total number of musical productions in 2012 were 162 including 124 musicals solely created by Koreans. Yet, it is rather difficult to find well-structured work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seems that dramaturgs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structure of musicals and quality of productions. But the local producers in Korea hardly think that the dramaturgs are essential in musical theatre. This is due to the preconception that dramaturgs involve in text only and rare chances to find the right persons, who are expert in both music and drama, for the position. And dramaturgy has not yet become an approved theatre producing method among many musical practitioner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possibility of dramaturgs` participation in Korean musical theatre with several case studies: one Korean musical, Laundry, two licensed musicals, Songs for a New World and Into the Woods, and two experimental Korean music theatres, Sa-chun-ga and Echo. They are all small, creative and non-profitable productions in which dramaturgs support directors and creators in various ways. The dramaturg was a collaborator with creators in Laudry, a mediator between production members in Songs for a New World, a researcher and an analyst in Into the Woods. Also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more creative dramaturgical methods in Sa-chun-ga and Echo, experimental Korean music theatres. On the other hand, dramaturgy in these musicals should have focused on scores(music/lyrics) more. Like a book, a score delivers circumstances, atmospheres, characters, and emotions in musical theatre, but in different ways. It is very important to integrate book and score for completeness. Comparing to play, musical theatre needs more cooperations between different fields and the balance between those fields(especially among book, music, lyrics) will bring out better production. Musical theatre is becoming more popular in Korea, and it is a place to learn about international culture and humanities. To develop performing arts culture in Korea,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audience with valuable arts and entertainment. Musical theatre has its voice in Korea, the roles of the dramaturgs in Korean musical theatre is thus very important. 이 논문은 한국 뮤지컬 작품들이 지닌 드라마 구조의 취약성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으며, 한국 뮤지컬에 드라마투르그가 참여하여 생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향성을 고찰해 보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한국 뮤지컬은 지속적으로 호황을 누리고 있다. 지난해인 2012년에 공연된작품 수는 162편이고 창작뮤지컬만 124편에 이른다. 그러나 이중 대본의 완결성을 보이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드라마투르그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줄 수 있는 대안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 뮤지컬의 드라마투르그에 대한 ``니즈``는 많지 않다. 드라마투르그가 연극 텍스트에만 관여한다는 인식 때문이기도 하고, 대본과 음악을 아우를 수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이 힘들기때문이기도 하다. 뮤지컬 드라마투르그의 방법론이 정리되지 않았다는 점도큰 이유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몇 가지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뮤지컬 제작 과정에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드라마투르그 역할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주요분석 대상은 창작뮤지컬 < 빨래 >, 라이선스뮤지컬 < Songs for a New World >와 < 숲속으로 >이다. 아울러 좀 더 확장된 형태의 음악극인 < 사천가 >와 < 에코 >를 통해 장르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드라마투르기 작업의 가능성에 대해 단편적으로나마 타진해 보았다. 이 작품들은 모두 창작자 중심의 소규모 프로덕션이나 대학 프로덕션에서 개발한 것들이다. 이러한 프로덕션들은실험적이고 창의적인 작품들을 시도하며 비영리 극단의 역할을 수행하곤 했다. 또한 그 과정에서 드라마투르그를 참여시키기도 했는데, 이는 창작진 구성과공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드라마투르그의 역할 수행이 이루어진좋은 예가 되어주고 있다. 한편, 이 작품들의 뮤지컬 드라마투르기 과정에서 스코어에 대한 비중을 좀더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뮤지컬 드라마투르그 역할의 특수성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뮤지컬은 음악과 드라마가 결합된 장르이기 때문에, 뮤지컬에서는 같은 분량의 연극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사를 통해 드라마를 전개시킬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다. 스코어는 상황, 캐릭터, 정서를 드러낸다는점에서 대사의 기능을 하지만, 청각적인 요소와 함축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만큼 빠르고 논리적인 정보 전달은 어렵다. 그렇다고 뮤지컬에서 음악이 서사를약화시키는 핑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 뮤지컬 드라마투르기는 음악으로 인해 드라마 구조가 약화될 수 있는 여지를 최소화하는 작업이다. 혹은 오히려 음악을 통해 총체성을 부각시키는 작업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대본 · 음악 · 가사를 비롯한 요소들 간의 긴밀한 통합성이다. 뮤지컬 제작에는 연극보다 더 많은 분야들의 협업이 이루어지며, 이분야들 간의 균형이 완성도를 좌우한다. 그런가 하면 뮤지컬은 열린 가능성을 지닌 장르기도 하다. 대본 · 음악 · 가사가 뮤지컬 드라마를 구성하지만, 그 형식이 고정되어 있지는 않다. 본문에서다룬 < 사천가 >와 < 에코 >는 뮤지컬의 외연을 확장한 예다. 이 작품들처럼 실험적인 음악극에서는 드라마투르그의 쓰임새가 더욱 높다. 드라마투르그는 작품이 다루는 소재에 대해 고증하고 내용과 형식의 부조화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조를 잡아주는 안전장치이다. 그리고 동시대 관객과 소통할 수 있도록 객관적인 시선으로 조언해줄 수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국내 뮤지컬 관객층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대중을 위해 재미와 함께 예술성과 완성도를 갖춘 작품을 제공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공연예술 문화의 발달에있어서 중요한 일이다. 뮤지컬은 이제 폭넓은 계층의 관객들에게 다양한 이슈를 제공하고 세계문화와 인문학을 익힐 수 있게 하는 창이 되어주고 있다. 뮤지컬의 사회적인 효과가 커질수록 드라마투르그의 역할 역시 점점 더 그 중요도가 커질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연극과 드라마투르그의 역할과 위치 :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 개념을 중심으로

        김옥란 ( Ock Ran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3 드라마연구 Vol.- No.39

        This paper is a report on the activities of dramturg in the Korean theater. I started dramaturg job by the proposal of directors in the middle of 2000s. My early dramaturg duties, without a clear recognition, were critical commentary in the objective gaze(``outside eye``). Having a lasting relationships with particular theater company, I began to recognize the role of ``production dramaturg``. In the 2010s, producing theaters, Namsan Arts Center, Myeongdong Theater and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 were launched and I began to work professional dramaturg. This process showed how dramaturg works and environment changes of the Korean theater production were closely related each other.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the role of the Korean dramaturg through the dramaturg theory and history of world theater`s. This article mentioned theoretical case of Lessing and Brecht. In particular, Brecht`s concept of ``production dramaturg`` will be a good reference to ``theater company dramaturg`` and ``producing theater dramamturg`` in Korea. 이 글은, 한국연극에서의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 현장 보고서의 성격을가진다. 필자는 2000년대 중반 개별 연출가들의 제안에 의해 드라마투르그 작업을 시작했다. 필자의 초기 드라마투르그 활동은 드라마투르기에 대한 명확한 인식 없이 평론가의 객관적 시선(``외부자적 시선``)에서의 논평에 대한 요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며 드라마투르그 활동에 대한의식적인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특히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역할을 인지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2010년대에접어들면서 남산예술센터, 명동예술극장, (재)국립극단, 두산아트센터 등 국공립 제작극장의 출범 이후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로서 활동하게 되었다. 이상초기의 자생적이고 무의식적인 활동 과정, 특정 극단과 지속적인 유대감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활동하던 시기, 2009년 이후 본격화된 제작극장 시대에 요구되는 전문적인 드라마투르그 활동 등 필자의 활동 과정 자체가 한국연극의 환경 변화와 드라마투르그의 작업이 얼마나 긴밀하게 맞물려 있는지 보여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필자가 드라마투르그로서 겪었던 혼란과 고민들을 정리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러한 고민들을 해결해나가는 방법의 하나로 드라마투르기의 이론과 역사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과 현실적인 비전을 제시해보고자했다. 이 글에서 이론적 역할 모델의 일부로 제시한 레싱과 브레히트의 사례, 특히 브레히트의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의 개념은 한국적 현실에서 ``극단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드라마투르그``의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에 중요한 참고지점이 되었다.

      • KCI등재

        신학과 드라마의 만남

        허요환(HEO Yo-Hwa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4

        본 논문은 신학과 드라마의 만남을 시도한다. 특히 설교자의 정체성을 드라마터지(dramaturge)로 규정하고 이를 통해 설교자의 실천을 설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드라마터지는 연극무대를 준비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직책이다. 이 직책에 종사하는 사람은 연극대본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모으고 작품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드라마터지는 무대 연출가와 배우들에게 필요한 조언을 하는 일종의 예술적 컨설턴트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드라마 터지가 담당하는 대본에 대한 연구와 그 의미전달 역할이 성경텍스트를 연구하고 전달하는 설교자의 역할과 유사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드라마터지의 시각에서 설교자론을 제시하고 그 유익을 다른 설교자상과 비교하려고 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설교자에 대한 전통적인 두 모델인 교사(teacher)-설교자 모델과 전령(herald)-설교자 모델을 각각 살필 것이다. 이를 통해 설교자의 교사됨은 디다케(didache) 전통에 강조점을 두었다면, 전령은 케리그마(kerygma) 전통에 분명한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교사와 전령이라는 설교자론은 부족한 부분이 있다. 설교자가 누구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새로운 메타포는 신약성경의 디다케와 케리그마 전통을 포괄할 뿐만 아니라 포스트모던 감수성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청중을 말씀사건의 구경꾼이 아닌 참여자로 이끌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필자는 신학의 드라마적 이해를 통해 그려보는 신학적 설교자상인 드라마터지를 제안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dramaturge as preacher’s identity. This article compares dramaturge model to two others: teacher and herald models. The teacher-preacher model is a homiletic identity whose role is dedicated to aiding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cripture and the doctrinal and ethical implications of the Christian faith. However, it is not clear what the Holy Spirit plays in the event of the spoken Word. The second model of herald-preacher assumes that when the kerygma is spoken, it is the revelation of the Word, Jesus Christ. While in many ways this model is trying to empower the preacher, however, it ironically downplays the human responsibility of the preacher in the event of the Word. The dramaturge-preacher model is an alternative way. In the dramaturge model, the Scripture is the script for performance and the triune God is the author of the Scripture. The Holy Spirit is the main director who is directing cosmological performances of the holy catholic church. Preachers at local churches have the responsibility of directing the local performance through proclaiming and instructing the Word of God. They pay attention to studying the Scripture and to proclaiming the drama of God. My point is that the purpose of preaching is to help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drama of God as faithful and creative performers. In the end, I argue that the dramaturge-preacher model is useful for inviting people to play their own roles in the ongoing drama.

      • KCI등재

        사르트르 희곡작품의 국내 수용 양상 연구

        지영래(JI, Young-Rae) 프랑스학회 2011 프랑스학연구 Vol.55 No.-

        Sartre, se voulant d'abord romancier et philosophe, n'accorde au théâtre qu'une place secondaire parmi les différentes facettes de son activité. Pourtant le théâtre constitue sans aucun doute le genre le plus populaire et le plus connu de son oeuvre. Nous avons tenté, dans cet article, d'abord (1) de cataloguer les diverses représentations du théâtre de Sartre en Corée depuis 1951 (année où les Mains sales ont été jouées par la compagnie théâ trale "Sinheop" sous le titre Red Gloves) jusqu'à nos jours, puis (2) d'inventorier ses pièces traduites en coréen, et enfin (3) de faire le recensement des articles en coréen consacrés au théâtre de Sartre. Dans le théâtre coréen contemporain, le théâtre français joue un rôle considérable, et la lecture des recherches sur le théâtre sartrien nous permet de réaliser qu'il a largement dominé la scène pendant toutes les années soixante-dix et quatre-vingts avant de disparaître complètement de la scène après 1991. L'étude que nous avons faite mène aux conclusions suivantes : premièrement, du fait que le théâtre de Sartre a été introduit par le biais de l'interprétation américaine de l'après-guerre, l'image que les Coréens ont eu de Sartre dans les premiers temps était faussée. Deuxièmement, si le théâtre a été si bien reçu par le public coréen, c'est en tant qu'oeuvre à dominante politique et dans le contexte politique relativement sombre de la Corée, surtout dans les années 1970-80. Troisièmement, en dépit de l'importance du théâtre de Sartre dans l'histoire du théâtre coréen contemporain, ses pièces majeures, telles que Huis clos, Le Diable et le Bon Dieu, Kean, Les Séquestrés d'Altona, demeurent intraduites en coréen. Il sera nécessaire de les traduire afin de mieux comprendre les idées sartriennes et pour mieux apprécier notre auteur comme un grand dramaturge.

      • KCI등재

        지역 공공극장 운영 활성화를 위한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 연구

        황아람(Hwang, ARam) 한국예술경영학회 2021 예술경영연구 Vol.- No.60

        본 연구는 공연장 전문인력으로서 드라마투르그라는 직무 도입의 필요를 주장하기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드라마투르그란 연극, 무용 등 공연예술 작품 제작 과정에서 예술적 지향을 제시해주는 전문 스태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개별 작품에 참여하는 프로덕션 드라마투르그와 극장 내 상주하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상임 드라마투르그를 지역 공공극장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 모색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특히 지역에서 공공극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화예술회관에 드라마투르그 직무 도입 통한 이점과 이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회관 내 드라마투르그는 지역주민 대상의 문화예술서비스 확대, 지역예술가의 창작기회 확대,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 중앙과 지방 간의 문화격차 해소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임 드라마투르그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문화예술진흥법 또는 공연법 개정, 문예회관 운영 시스템 개선, 공연장 성과평가방식 변화, 공공부문의 양성과정 신설 등 다방면의 노력이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sist on the need of introducing the position of dramaturgs as professionals at performance venues. A dramaturg is a professional staff member that proposes an artistic orientation in the making process of performing arts works such as play and dance. Dramaturgs are divided into production dramaturgs participating in individual works and permanent dramaturgs resident in the theater. In the present study, discussions developed around plans to make use of permanent dramaturgs at local public theaters. The study introduced the advantages of the dramaturg position at culture and arts centers serving as a public theater in the community and propose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for it. At a culture and arts center, a dramaturg will play the roles of expanding culture and arts service to local residents, increasing creative chances for local artists, contribution to the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and narrowing the cultural gap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the rest of the nation. The introduction of a permanent dramaturg system should be supported by efforts across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revision of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Public Performance Act,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ulture and arts centers, change of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for performance venues, and introduction of a cultivation course for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연극학적 분석을 통한 역대 대통령과 영부인의 공중관계 커뮤니케이션: <대한뉴스>와 KTV의 70년 분석

        박종민,이세영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2 No.4

        This study analyzed reports related to former presidents and first lady in 70 years of Daehan News and KTV through Goffman's dramaturgical analysis.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expression types of the leading actors, the President and the First Lady, the tactics in the report, the hidden team responsible for executing the report, and the role of the audience of the issue stakeholders who appear in the report as part of the public, the situation of public relations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of the times was analyzed. First, verbal giving expressions were often expressed by the president directly or indirectly on administrative and diplomatic issues on behalf of the country, and non-verbal expressions were often expressed by the president alone. Public audience participation was large when the President was accompanied by a married couple, followed by defensive tactics in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dramaturgical loyalty’ in which the audience was changed periodically, and the audience appeared in the order of the general public, political group members, and government group employees. The main hidden performers of the presidential reports were the general administration and diplomatic tea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oncepts of theatrical analysis, various audience participation strategies (defensive strategy, dramaturgical loyalty, and dramaturgical circumspection) were found when the president appeared as a political party (in verbal giving and expression classification). The presidential reports related to the state and political parties were more proactive than the public. This was a result showing the nature of the content of the government-led media. In addition, there were many audiences in the role of ‘shills’ in the presidential reports related to the public and political parties. It was also characteristic that man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red on the topic of the presidential couple-accompanied report and international public relations. In addition, when looking at the differences between regimes, it is revealed that the military dictatorships used the government media to propagate more for the people. Roh Moo-hyun was overwhelming in terms of personal expression, and the more recently there were more reports about the President and First Lady, who did not appear directly, and there were many reports that the people did not participate. The differences for each first lady were also analyzed. 본 연구는 <대한뉴스>와 KTV의 70년 내 역대 대통령과 영부인 관련 보도를 고프만의 연극학분석법을 통해 주연배우인 대통령과 영부인의 표현 유형과 보도 내 책략, 숨은 보도 실행 주체팀, 국민의 일부로 보도 내 등장하는 쟁점 관계자의 역할 등을 분석함으로써 시대적 대국민 공중관계커뮤니케이션 상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언어적 표현은 대통령이 국가를 대변하여 행정과 외교쟁점을 직간접적으로 발언한 것이 많았고, 비언어적 표현은 대통령 단독 등장이 많았다. 국민관객 참여가 많을 때, 대통령이 부부동반, 정부 지지 책략도 많았으며, 관객이 주기적으로 교체되는 연극학적 충실도 많았고, 등장 관객들은 일반 국민, 정치단체원, 정부 단체 직원 순으로 많았다. 대통령 관련 보도의 주요 숨은 공연 주체는 일반 행정과 외교팀이었다. 연극학 분석 개념간 연관성 분석 결과, 대통령의 정당 입장 보도(언어적 주는 표현)인 경우에 다양한 관객 참여전략(방어전략, 연극학적 충실과 용의주도)이 많았고, 국민 관련보다 국가 및 정당 관련 대통령보도가 사전 행위적이었다. 이는 정부 주도 매체 내용의 성격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또한, 국민과정당 관련 대통령 보도에 호객꾼 역할의 관객 등장이 많았다. 대통령 부부동반 보도와 국제PR 주제에 초등학생들이 호객꾼으로 많이 등장하는 것도 특징적이었다. 또한 정권 별 차이를 보면, 군부 독재 정권에서 오히려 정부 매체를 이용해 국민을 위한다는 선전을 더 많이 했음이 드러난다. 개인 입장 표현은 노무현이 압도적이었고, 최근에 올수록 직접 등장이 없는 대통령과 영부인관련 보도가 많았으며, 국민이 등장하지 않는 보도가 많았다. 각 영부인 별 차이도 분석되었다.

      • KCI등재

        솔 레빗의 『짐 쏘프, 전미대표선수』가 이룬 문학적 성과 및 극작상의 오류 고찰

        황규철 ( Kyu Cheol Hwang ) 韓國아메리카學會 2009 美國學論集 Vol.41 No.2

        This paper aims at finding out the literary achievements and the dramaturgical errors in the dramatization of the protagonist`s entire life in Saul Levitt`s Jim Thorpe, All-American. The criticism on the play does not exist except Hua`s relatively detailed textual criticism and two stage reviews on it. However, we can find out the critical standard to evaluate the play by making critical research for some biographies on Thorpe which pay attention to his tragedies as well as his triumphs. One of the achievements of the play is that it portrays the abuses of American policy of the off-reservation education for the Native Americans` children. Besides, the play criticizes the verbal violence based on racism of the American press. Furthermore, the play depicts the organic process of forming and disseminating the racial prejudice against the Native Americans by means of the collaboration of the American government and its press. However, Levitt commits some significant dramaturgical errors. These errors can be subdivided into those of simplification, omission, distortion, and ambiguity. Firstly, the play simplifies a few Thorpe`s unfortunate biographical facts. Secondly, it does not dramatize not only the political calculation of AAU (Amateur Athletic Union) and the class discrimination of 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which caused the forfeiture of Thorpe`s two gold medals but also his participation in the production of the movie, titled Jim Thorpe, All-American (1951) whose characteristic is the significant distortion of his life as a whole. Thirdly, the play distorts Pop Warner`s egocentric aspiration for fame as well as Thorpe`s religious identity. Lastly, the play makes mistakes by casting the roles of the white Indian school teachers to the Native American chiefs and by making Thorpe give contradictory answers to the question regarding his racial and ethnic identity before and after his death. In conclusion, Saul Levitt succeeds in revealing that the assimilationist education policy for the Native Americans of the American government and the verbal violence based on racism of the American press form and disseminate the racial prejudice, but commits some significant dramatugical errors in dramatizing Jim Thorpe`s life as a whole. Nevertheless, his play paves the way for the reexamination of Jim Thorpe`s both-sided life in the historic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