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교수학』(Didactica Magna)의 구조를 통해 본 코메니우스의 교수학습 원리 탐구

        나현규 ( Hyun Kyu Na ),이병승 ( Byung Se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3

        본 연구는 코메니우스의 대표적인 저서들 중 하나인 「대교수학」의 전체구조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동안 「대교수학」에 관한 연구는 주로 주제(교육 사상, 원리, 방법 등)를 고찰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코메니우스의 저작은 코메니우스 방식(전체를 통한 방식-예를 들어 ``전체 구조``를 통한 방식)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대교수학」은 잘 짜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연관성이 있는 서론(인사말, 헌사, 교수 기술의 용도)과 결론(32-33장)을 따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1-31장을 세분하여 5개의 단위(1-5장, 8-12장, 15-19장, 22-25장, 28-31장)와 4개의 연결고리(6-7장, 13-14장, 20-21장, 26-27장)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다시 코메니우스가 제시한 토대(1-12장), 진리(8-19장), 순서(15-25장), 길(22-31장)이라는 4개의 주제에 따라 단원별로 묶을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단원과 단원이 ``연결고리``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대교수학」의 교수학습 원리(인간의 3중 교육 본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원리, 토대 > 원리 > 실천 > 적용으로 나아가는 원리, 연결과 결합을 통해 이루어가는 원리, 나선형적 발전 모형을 가지고 있는 원리)를 더 명확하게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전체 구조를 통해 「대교수학」의 원리와 의미를 더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omenius` Great Didactic. Meanwhile, research on the Great Didactic was an investigation of topics(educational ideas, principles, methods, etc.). However we will study Comenius`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structure of Great Didactic(Didactica Magna). Great Didactic has a well-structured architecture. First, we may distinguish introduction(greeting, tribute, a use of teaching technology) and conclusions(Chapter 32-33). Next, chapters of 1-31 may be divided into five units(Chapter 1-5, Chapter 8-12, Chapter 15-19, Chapter 22-25, Chapter 28-31) and four links(Chapter 6-7, Chapter 13-14, Chapter 20-21, Chapter 26-27). These again can be grouped into four themes which are mentioned by Comenius; the basis(Chapter 1-12), and the truth(Chapter 8-19), sequence(Chapter 15-25), the way(Chapter 22-31). Interestingly, every unit is connected by link. Through this research we were able to determine more clearly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Great Didactic(the principle of triple human educational natures, the principle moving towards foundations-> principles-> action-> application, the principle of connection and combination, linear principles which has a spiral development model). We will be able to find better the principles and meaning of Great Didactic through the entire structure of it.

      • KCI등재

        『대교수학』에 나타난 코메니우스의 ‘덕’ 이해와 덕 교육

        이응모 ( Lee Eung-m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대교수학』에 나타난 코메니우스의 덕 개념과 그에 따른 덕 교육의 방법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코메니우스는 『대교수학』서두에서 도덕 교육의 중요함에 대해 강조하였다. 『대교수학』은 코메니우스가 효율적 교수-학습의 원리뿐 아니라 도덕 교육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저술한 책이다. 연구자는 먼저 코메니우스의 인간 이해에 기초하여 덕이 질서와 조화라는 것을 밝혔다. 코메니우스는 성서와 인간의 본성적 성향을 근거로 인간은 지성, 덕성, 신앙을 소유한 존재로 이해하였다. 코메니우스에게 덕성은 질서와 조화를 추구하는 인간의 성품이다. 덕 윤리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코메니우스도 덕을 ‘좋음’에 대한 인간의 내·외면적 성향으로 이해하였으나 그에게 ‘좋음’은 ‘조화’와 ‘질서’였다. 그는 그리스도교의 견해에 따라 이 세상은 하나님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또한 신적 법칙이 담겨 있는 곳으로 보았다. 조화와 질서의 삶은 하나님의 법칙에 따른 삶으로 그것이 곧 덕 있은 삶이다. 덕을 위한 교육 방식으로 필자는 코메니우스의 인식론과 『대교수학』에 제시되어 있는 도덕 교육의 방법을 토대로 ‘모방’, ‘일반화하기’, ‘절제와 훈육’을 제시했다. 학생들은 감각을 통해 덕의 질서를 내면화 시키고, 일반화의 사유를 통해 세계 사물의 조화를 발견하며, 절제와 훈육을 통해 질서와 조화의 세계에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질서와 조화의 덕을 함양한다. In this paper, I discuss the concept of virtue and the methods of virtue education as presented in The Great Didactic by John Amos Comenius.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 Comenius proposes the importance of the moral education. He does not only write about the principles of the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but he also shows his deep interest in moral education. In this article, I first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Comenius’s virtue. According to him, the nature of human beings consists of reason, virtue and piety. Among them, virtue is the internal and external movements of human disposition that seeks order and harmony. In the light of Christianity, Comenius sees the world as a place created by God and containing the divine law. For him, the life of order and harmony signifies the life that follows the law of God, which is virtuous. As educational methods for virtue, I suggest ‘imitation’, ‘the thinking of generalization’, and ‘temperance and discipline’ based on Comenius’s epistemology and the methods for moral education presented in The Great Didactic. With such methods, students internalize the order of virtue through their senses, find harmony with objects in the world through generalization, and come into the world of order and harmony through temperance and discipline. Through such education, students are to cultivate the virtue of order and harmony.

      • KCI등재

        「조주후풍가」 해석의 문제점 - 이시의 「조주후풍가」와 광해 혼정기의 안동사림(1) -

        성기옥 진단학회 2010 진단학보 Vol.- No.110

        The theme of how we should understand and accept the Korean poems of the past has been one of the present writer’s major research concerns for the past more than ten years. Jojuhupung-ga, a song of advice for sailing before the wind, has been chosen simply as an example for case study in a series of such an effort to approach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opics. My core concern in this paper is not about an aesthetically outstanding work but about an unnotable work of common people. Unlike those of present times, most Korean poets of the past were rather amateur than professional: that is, they were not socially recognized professional poets but just ordinary individuals engaging in the usual everyday activities. How should we evaluate this un-noteworthy work in terms of literature, if it does have something that causes us to ruminate over the sincerity of life, even though its composition might be rather awkward or unsophisticated when seen from linguistic or aesthetic angles?This paper, analyzing Jojuhupung-ga as a sample case, can be considered a preliminary research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aforementioned question and seeking its solution; it examines various problems that might arise in understanding texts and interpreting the work.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discussion boil down to the following:1. Jojuhupung-ga, invoking an allegorical technique, is a didactic song that tells the author’s younger brothers, who were ingratiating themselves with the Daebuk-pa (Big North Faction) during the ruling of Gwanghae (15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to conduct properly in accordance with rationality. Beneath its surface, however, there lie the author’s worry about the imminent downfall of his family, due to his younger brothers ambitions for success, and his ardent wish for the survival of his family as well.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poem, therefore, would require u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blem of imminent reality than that of didacticism. 2. The vitality of Jojuhupung-ga goes together with the campaign for regaining the impaired reputation that intends to rehabilitate the Ocheon Family of the Yeongcheon Lee Clan, whose downfall was caused by the author’s younger brothers. Accordingly, the interpretation of the poem has passed through two phases, in line with the realistic needs of the author's offspring: (1) the phase of emphasizing the ethical, ideological character of the poem, and (2) the phase of emphasizing its ideated didactic character. The history of its interpretations has been, in its wake, that of rigid ones that are far from its true character of the original poem intended by its author. 과거의 우리 시를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는 지난 십수년여 동안 필자가 고심해왔던 연구의 중심 화두이다. 「조주후풍가」 역시 일련의 이런 관심사에 접근하기 위한 한 사례로서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여기서 필자의 주된 관심은 미적 차원의 ‘탁월한 작품’이 아니라 생활인 차원의 ‘평범한 작품’에 대한 것이다. 현대와 달리 과거의 우리 시인들은 사회적으로 공인된 전문적 시인이 아니라 비전문적 시인, 곧 생활인 시인들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언어적, 혹은 미적 조형에는 어눌하고 서툰 이들 시인의 평범한 작품에도 삶의 진정성을 되돌아보게 하는 그 무엇이 있다면, 이를 우리는 ‘문학적으로’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이 논문은 「조주후풍가」를 대상으로 하여 이런 문제를 고민하며 그 해결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선행적 연구로서, 텍스트에 대한 바른 이해와 작품 해석상의 문제점을 검토한 것이다. 논의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주후풍가」는 알레고리 수법을 원용하여 광해 혼정기 대북파에 부회한 아우들에게 순리에 따라 처신하도록 타이르는 교훈적 노래이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동생들의 출세욕이 몰고 올 시인 자신과 가문의 파멸을 우려하는, 생존을 위한 현실적 절박성이 더 짙게 깔려 있다. 따라서 작품에 대한 이해는 교훈성 이전의 이 현실적 절박성 문제에 더 주목하여 접근해야 할 것이다. 2. 「조주후풍가」의 생명력은 이시의 아우들로 인해 파멸에 이른 영천이씨 오천가문을 다시 일으키려는 후손들의 명예회복 운동과 궤를 같이 한다. 따라서 그 해석 또한 후손들의 현실적 필요에 따라 (1) 작품의 윤리적․이념적 성격이 강화되는 단계, (2) 관념화된 교훈성이 강화되는 단계라는 두 번의 국면 변화를 겪는다. 「조주후풍가」 해석의 역사는 곧 경직된 해석의 역사로서 작품의 참모습과 거리가 먼 역정을 밟아왔다.

      • KCI등재

        서사성의 힘과 성서교수법적 함의: 플레처의 『원더웍스』에 근거하여

        고원석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w direction of Bible didactic in an era of a paradigm shift. The key concept guiding this didactical direction is narrativity. Literary scholar Angus Fletcher, in his work Wonderworks, researched how the narrativity of literature provides humanity with the powers (technology) comparable to the technologies of modern nuroscience. Literature possesses the power of story; The story connects individual events offering a beginning and an end, thus provides people with existential answers beyond the present moment. Additionally, the narrativity of literature serves as a powerful tool for understanding and conveying emotions. By providing emotional empathy and connection to the reader, narrativity amplifies emotions such as love, wonder, and trust, empowering readers to overcome their conflicts and challenges based on the intensification of these emotions. Similarly, the stories of the Bible possess a significant influence that can resonate with secularized modern Christians. From a narrative perspective, the fundamental motives of the Bible are intricately linked to the existential basic questions that modern people think of. For instance, the doctrine of substitution in the Bible not only encapsulates purely religious significance, but also addresses actual issues of people. The substitutionary acts of Christ provide fundamental solutions, suggesting ways in which humanity can coexist. Additionally, the acts of Jesus Christ in the Gospel narratives lead humanity to perceive our history from a redemptive standpoint, and the tension structure of the story vividly allows an engaging exploration of the thoughts and actions of various individuals surrounding Christ. Furthermore, with efforts to discover the hermeneutical meaning of the black flame through the white flame, the Bibliodrama expands the emotions and sentiments of readers. By bringing the events of the Bible into the present, it transforms them into personal experiences and stories, encouraging active engagement and response to them currently. 본 연구는 대전환의 시기를 맞아 성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찾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방향성의 키워드는 서사성이다. 영문학자 플레처(Angus Fletcher)는 『원더웍스』(Wonderworks)에서 문학의 서사성이 현대과학의 발견에 못지않은 힘(테크놀로지)을 인류에게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지 고찰하였다. 문학은 서술의 힘을 가지고 있다. 문학의 스토리는 서로 분리된 사건들을 연결시켜 처음과 끝을 제공함으로써 현실을 넘어 자신의 기원과 종착지에 의구심을 가졌던 인류에게 실존적인 답을 제시해 준다. 또 문학의 서사성은 감정을 이해시키고 전달하는 뛰어난 도구다. 서사성은 독자에게 감정적 공감과 연결을 제공하여 사랑, 경이, 신뢰 등의 감정을 증폭시키고 그 감정의 증폭에 힘입어 독자들은 갈등 상황과 문제 를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성서의 스토리는 세속화 및 과학화의 영향 속에 있는 현대 그리스도인들에게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서사적 관점에서 볼 때, 성서의 근본 주제는 인류가 고민하는 근본적인 삶의 문제를 관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성서의 대속 사상은 인류의 보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그리스도의 대속적 행위는 인류가 공존하며 공생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을 제시해 준다. 또 성서 복음서에 등장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건은 인류의 역사를 구속의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이끌어 주며 복음서 스토리의 긴장 구조는 그리스도를 둘러싼 다양한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생동감 있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울러 성서 스토리의 빈 공간에 주목하고 그 빈 공간을 드라마적 행위를 통해 채워가는 비블리오드라마는 독자들의 감정과 정서를 확장시키고 성서의 사건을 현재화함으로써 성서의 사건이 나의 사건, 나의 스토리가 되게 한다.

      • KCI등재

        서사민요의 장르와 문학적 특징:충청 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서영숙 한국민요학회 2008 한국민요학 Vol.23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genre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folk ballads focused on the works in Chungcheong district. The genre of folk ballads could be classified in the narrative genre. That’s the reason why it has a narrater that makes a progress of events directly and indirectly, events are formed with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But it may show other characters according to the actualization(the oral performance). So they could be called, the typical, the lyric, the dramatic, the didactic. Folk ballads are getting inclined to get lyric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of the change of circumstances of performance. For instance, folk ballads were sung withlabour before, but they are sung with leisure or rest. Therefore singers of folk ballads sing it more emotionally compared with singing it with labour. So folk ballads becomes to get lyric characteristics. We ought to give a careful consider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because I examined only works of Chungcheong district. Moreover through investigation about genre of folk ballads have to be executed. In order to get the definite result, we should expand investigation of folk ballads to the all districts and compare the existent aspects of folk ballads in districts. I look forward to succeeding the study of folk ballads more briskl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genre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of folk ballads focused on the works in Chungcheong district. The genre of folk ballads could be classified in the narrative genre. That’s the reason why it has a narrater that makes a progress of events directly and indirectly, events are formed with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But it may show other characters according to the actualization(the oral performance). So they could be called, the typical, the lyric, the dramatic, the didactic. Folk ballads are getting inclined to get lyric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of the change of circumstances of performance. For instance, folk ballads were sung withlabour before, but they are sung with leisure or rest. Therefore singers of folk ballads sing it more emotionally compared with singing it with labour. So folk ballads becomes to get lyric characteristics. We ought to give a careful consider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because I examined only works of Chungcheong district. Moreover through investigation about genre of folk ballads have to be executed. In order to get the definite result, we should expand investigation of folk ballads to the all districts and compare the existent aspects of folk ballads in districts. I look forward to succeeding the study of folk ballads more briskly.

      • KCI등재

        반성적 저널에 나타난 중등수학교사의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인식

        이경화,이은정,박미미,송창근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학연구 Vol.27 No.3

        Teachers are the primary agent of didactic transposition. In the process of transposing mathematical knowledge presented in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to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in a classroom, teacher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not only teachers' personal factors but also circumstances and constraints existing inside and outside of classrooms. Therefore, to understand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we need to analyze influence of institutional and socio-cultural factors on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process. Identifying factors and constraints influencing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provides important opportunities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of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and develop their classroom practices. This study analyze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s on didactic transposition by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their didactic transposition process using their reflective journal about their classroom practices.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five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ng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We also found that different teachers had different extent of influence of five factors on their didactic transposi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ways to help mathematics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교사는 교수학적 변환의 핵심적인 주체이다. 교사가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제시된 수학적 지식을 수업에서 가르칠 지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에는 교사의 개인적 요인들뿐만 아니라 교실 안팎의 환경과 제약들이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교사의 교수학적 변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사회적 요인들이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광범위하게 파악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교사의 교수학적 변환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제약들을 분석하고 확인하는 것은 교사의 교수학적 변환을 심도 깊게 이해하고 교사의 수업 실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수학교사들의 반성적 저널을 활용하여 교사들의 교수학적 변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그들의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교수학적 변환에 영향을 미치는 다섯 가지 요인들을 확인하였으며, 다섯 가지 요인들이 교수학적 변환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교사들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교수학적 변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수학적 변환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학연구 Vol.26 No.2

        Research on didactic transposi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has about 25-year and about 35-year long history in and out of Korea, respectivel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in trends of those research and to suggest tasks needed to be tackled. Major findings are followed. First, studies done in Korea tended to focus on the application of the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for proving its effectiveness in understanding mathematics textbooks and mathematics lessons in-depth. It is suggested to conduct meta-analysis of the accumulated results or analysis of further applications of the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to improve theoretical aspects of didactic transposition. Second, new categories for extreme teaching phenomenon were found and new typology in knowledge to be considered in the didactic transposition was developed in a few studies done in other subject matter education. Application of these to mathematics education may enhance research in didactic transposition of mathematical knowledge. Third, praxeology or a complex of praxeology for Korean school mathematics should be explored as did in other countries. Fourth, there have been rich attempts to link perspectives in didactic transposition to other perspectives or fields such as anthropology, human and education in technology era, praxeology theory in economics, epistemology in other countries but not in Korea. It is suggested to extend the scope of discussion on didactic transposition and to relate various concepts given in other disciplines. Fifth, clarification or negotiation of meaning for the main terms used in the discussion on didactic transposition such as personalization, contextualization, depersonalization, decontextualization, Topaze Effect, Meta-Cognitive Shift is suggested by comparing researchers’ various descriptions or uses of the terms. 교수학적 변환 관련 국내 연구는 약 25년 동안, 국외 연구는 약 35년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와 국외에서 이루어진 교수학적 변환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과제를 제안하는 데에 목표를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연구에서는 교수학적 변환 이론이 수학교과서와 수학수업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관점이자 방법이 된다는 것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하여 입증하는 데에 치중해왔다. 그동안 파악한 사례를 메타적으로 분석하거나 새롭게 설계하여 적용한 사례를 기초로 교수학적 변환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에서도 수학교육학 외부의 연구 중에는 극단적인 교수 현상을 추가로 확인하거나 메타적으로 교과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까지 시도한 경우가 있었다. 이들 연구를 수학교육학 내부의 논의맥락에서 재해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재 또는 실재의 복합체로서 학교수학을 이해하고 기술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국외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므로 이를 국내실정에 부합되는 형태로 수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고유의 실재 또는 실재의 복합체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개선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넷째, 국외 연구에서는 교수학적 변환 이론을 인류학, 기술문명 시대의 인간과 교육, 인간행동학, 인식론 등 다양한 학문분야의 주요 개념과 연결해왔다. 국내 연구에서도 연구대상을 확장하고 다양한 연결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국내 연구에서 사용하는 교수학적 변환 관련 개념과 용어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지리수업에서의 교수학적 변환에 근거한 극단적인 교수현상

        김민정 ( Min Jung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0 No.2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teachers` didactic transposition on the contents of actual geography classroom and extreme didactic phenomena that occur in the process. Teachers attempted transposition by interpreting and reorganizing the contents to be taught referring to the contents in the textbooks. The extreme didactic phenomena that distort the essence of teaching and learning were found among the didactic transpositions. Taking the field of geography classroom as the starting point, I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of didactic phenomena on the basis of episodes occurring in actual educational fields.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확률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신보미,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08 수학교육학연구 Vol.18 No.1

        Several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simulation could be a main didactic instrument in overcoming misconception and probability modeling. However, they have not described enough how to reorganize probability knowledge as knowledge to be taught in a curriculum using sim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heoretical knowledge needed in developing a didactic transposition method of probability knowledge using simulation. The theoretical knowledge needed to develop this method was specified as follows : pseudo-contextualization/pseudo-personalization, and pseudo-decontextualization/pseudo-deper-sonalization according to the introductory purposes of simulation. As a result, this study developed a local instruction theory and an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y for overcoming misconceptions and modeling situations respectively. This study summed up educational intention, which was designed to transform probability knowledge into didactic according to the introductory purposes of simulation, into curriculum, lesson plans, and experi- mental teaching materials to present didactic ideas for new probability education programs in the high school probability curriculum. 확률 교육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률 오개념을 극복할 수 있으며 확률 모델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확률 오개념 극복과 확률 모델링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에 시뮬레이션을 도입하고자 할 때, 확률 지식을 가르칠 지식으로 재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확률 오개념 극복 교수학적 상황과 확률 모델링 교수학적 상황 구성에 필요한 교수학적 의도와 세부적인 설정 계획을 국소적 수업 이론과 가설 학습 경로의 형태로 구체화하였다.

      • KCI등재

        지리 지식의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

        조성욱 ( Sung Wook Cho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9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내용 교수 지식과 교수학적 변환의 의미와 차이점을 살펴보고, 지리 지식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을 제시했다. 첫째, 내용 교수 지식은 교과 내용과 학습자의 이해, 교수 방법의 이해에 관한 지식을 포괄하는 개념이고, 교사의 특수성이 반영되기 때문에 명시적이고 구체화하기 어렵다. 이에 반하여 교수학적 변환은 내용 교수 지식과 기반을 같이 하면서도 특히 교육 내용의 분석과 재구성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일반화가 가능하다. 둘째, 교과서의 교육내용 제시 방법을 기준으로 지리 지식을 분류하면 이해형 지식, 경험형 지식, 적용형 지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해형 지식은 사회 현상 중에서 지리적 현상을 인식하고, 분류 및 용어를 부여하는 과정에 관련된 지식이다. 경험형 지식은 이해한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에 관련된 지식으로 외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이해된 지식을 자신의 지식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 관련된 지식이다. 적용형 지식은 자신이 이해하고 경험하여 자신의 지식으로 만든 지리 지식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확인하고 해석하여 변화를 예측하는 것과 관련된 지식이다. 셋째, 각 유형별 지리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방법으로, 이해형 지식은 지리적 현상의 인식 ⇒ 차이점 발견 ⇒ 원인 및 요인 파악 ⇒ 분류 및 용어 부여 ⇒ 용어 및 개념 이해의 순서로 내용을 전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경험형 지식은 사례의 도입 ⇒ 사례 분석 ⇒ 인식 결과 확인의 전개 방법을 제시하였다. 적용형 지식은 사례의 도입 ⇒ 해석 과정 ⇒ 가치 판단 ⇒ 적용 및 예측의 전개 방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look into the meaning and differenc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didactic transposition`. And examine didactic transposition method of geography knowledge which is classified 3 typ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comprehensive concept include the understanding of subject contents and learner and teaching method. It is difficult to generalization because of include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didactic transposition` is focus on 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subject contents, therefore it is more simple to find the common and generalization tha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econdary, this study is classify the geography knowledge as understanding knowledge, experience knowledge, application knowledge by presentation method of subject contents in curriculum and textbook. Understanding knowledge is that the cognition the geographical phenomena among social phenomena, find the cause and factor, classify and grant the name. Experience knowledge is that the understand knowledge transpose into reconstruction through analysis and experience by himself. Application knowledge is that reconfirm and interpretation and prediction through various example. Thirdly, didactic transposition of each type is as follows; understanding knowledge is cognition of geography phenomena ⇒ find the difference ⇒ select the cause and factor ⇒ classify and grant name ⇒ understanding of name and concept. Experience knowledge is introduce the example ⇒ analysis and experience ⇒ confirm the result of cognition. Application knowledge is introduce the example ⇒ interpretation process ⇒ value judgement ⇒ application and pre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