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자본주의 시각에서 본 아시아의 발전국가: 한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임현진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0 아시아리뷰 Vol.9 No.2

        This paper looks at historical trajectories of developmental states including South Korea, Japan, Taiwan and China often famed for their capital accumulation to examine if their success stories are being continued, curtailed or regenerated. With the knowledge that developmental capacities that are self-centered are important in spite of challenges from globalization, South Korea’s prospects and limits to capital accumulation as a developmental state are outlined by its experiences under the Park Chung-hee regime. It is critical to outline the characteristics of Asian developmental states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oday’s post-development states. With the onset of the 1997 financial crisis, Asian states have been criticized for having displayed the ironic nature of developmental states rooted in collusive ties between politics and business. However, Asian developmental states including South Korea, China, Taiwan and Japan were noticed in another light when they displayed efficient recovery from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As it cannot be assumed that all developmental states are efficient in capital accumulation, role of government becomes a necessary condition and not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se states. This paper contends that all developmental states are characterized by continuity and changes caused by internal path dependencies and external global economic conditions but discontinuity in their states is rare and developmental neoliberalism can be discussed in such context. 이 연구는 아시아 국가들의 자본축적의 성공 신화를 가져온 발전국가의 역사적 궤적을 살펴보면서 그것이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등에서 해체되고 있는지, 지속되고 있는지, 혁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세계화의 도전에서 불구하고 국가의 자심적 발전능력이 중요하다는 사실에서 지난날 발전국가의 자본축적 과정에서의 가능성과 한계를 주로 박정희 정권 아래의 한국의 경험에 입각하여 다루고 있다. 작금의 포스트 발전국가의 성격을 적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국가들의 발전국가의 특징을 적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1997년 아시아 국가들의 외환위기는 그 배후에 정경유착을 기반으로 한 발전국가의 모순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나, 2008년 세계적 경제위기아래 유독 아시아 국가들 중, 특히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이 신속하게 위기극복에 효율적이었다는 점에서 발전국가론은 다시금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물론 발전국가라고 해서 모두 자본축적 과정에서 효율적이라고 할 수 없듯이 국가의 역할은 필요조건일뿐 충분조건은 아니라 할 수 있다. 필자는 발전국가란 어느 국가이건 간에 내부적인 경로의존과 외부적인 환경요인에 따라 연속성과 변화가 있지만 결코 쉽게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는 맥락에서 발전주의적 신자유주의의 등장을 지적할 수 있다.

      • KCI등재

        기로에 선 동아시아 발전모델 : 한국과 대만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Korea and Taiwan

        윤상우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2 한국과 국제정치 Vol.18 No.3

        This stud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developmental states have been playing crucial roles in achieving economic success in East Asia, is designed to compare the crises and transformations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 Korea with those in Taiwan. State-led development in early industrialization has created contradictory tendencies to undermine state autonomy and state capacity, and resulted in the crisis of the developmental state itself. This study identify worldsystem constraints, democratic transition, and rise of big business as key factors in bringing about the crisis of the developmental states. The crises implicate the transformations of the development model. In Taiwan, we could find a tendency towards a 'soft-developmental stat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state can, though in a limited form, still be found. In Korea, however, because of intense conflict between the state and the societal forces, and of the failure of policy response, the developmental state has precipitously declined, winding up with a 'post-developmental state.'

      • KCI등재

        1980년대 한국 발전국가의 쇠퇴와 발전모델의 변화 : 발전국가의 성장의 역설과 국가-기업 간 관계의 경로의존

        장상철(Jang, Sangchul) 동양사회사상학회 2020 사회사상과 문화 Vol.23 No.3

        이 글은 1980년대 한국 발전모델의 변화에 대한 한 가지 설명방식을 제시한다. 1960년대 초 박정희 정권과 함께 등장한 한국의 발전국가는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 시기에 그 정점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 시기에 나타난 발전국가의 성장의 역설로 인해 1980년 이후 국가에 의한 정책변화의 시도가 나타나게 된다. 1980년대 발전국가의 해체와 발전모델의 변화를 가져온 중요한 정책변화의 내용들로는 중화학투자 재조정, 정책금융의 폐지와금리 자율화, 은행 민영화, 그리고 대규모기업집단에 대한 여신관리제도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시기의 정책시행 과정을 검토하면서, 발전국가 시기와는 달라진 국가-기업 관계의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다. 개발년대 동안 국가가 대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문제들을 바로잡으려는 국가의 의도가, 그 과정에서 거대 세력으로 성장한 기업들의 저항에 의해 굴절되고 좌절되는 모습들을 볼 수 있는 것이다. 1980년대의 자유화 정책은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막대한 규모에도불구하고 재무구조의 부실함이라는 약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재벌집단을 규제하는 내용을 담을 수밖에 없었지만, 정책 시행의 결과는 규제보다는 또다른 특혜의 제공이 된 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형 발전국가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 국가가 기업을 규율하는 도구로서의 금융자원에 대한 통제권한이었다고 본다면, 이 시기의 정책변화로 인해 한국의 발전국가는 해체되었거나 급격하게 약화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의 이러한 시도는 의도한 바와 같이 완전한 ‘자유화’ 또는 ‘민간주도’ 경제로의 이행을 이루어내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많은 이들이1980년대에 시작된 한국 발전모델의 변화는 1997년 외환위기에 이르러 완결된 것으로 보고 있지만, 외환위기 이후에도 발전국가 시기의 관행을 떠올리게 하는 성격의 정책 사례들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례들은 1980년대의 한국 발전국가의 해체와 발전모델의 전환이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졌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발전국가는 사라졌지만, 발전국가 시기의 국가-기업 간 관계의 관행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채 변화를 제약하고 있는 것이다. This essay presents a way of explanation about the change in the Korean economic development model brought about by the policy change in the 1980s.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which arose with Park Chung-Hee regime in the early 1960s has reached its pinnacle in the heavy and chemical industrial period in the 1970s. The developmental state’s paradox of growth has led the policy change attempted by the government since the 1980s. The important policy changes which brought about the dissolution of the developmental state and the change in the development model included the rearrangement in heavy and chemical industrial investment, the revocation of policy finance and the liberalization of interest rates, the bank privatization, and the change in the credit management system for the group of large-scale companies. And reviewing the proces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can identify the aspects of the state-company relationship varying from the developmental state era. The state’s intentions to rectify the problem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fostering and supporting the large companies during the developmental years, prominently have been refracted and setback by the resistance of the large companies which have grown up to the giant forces during that period. The 1980’s liberalization policy inevitably included the regulatory measures against the Korean Chaebols which made up gigantic portions of national economy but had financially-challenged structures. The consequence of the enforcement of policy was not so much regulating Chaebols as favoring them. Yet, if the crux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supposedly lay in the state’s authority to control the financial resources as the regulating tool against the companies,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at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was dissolved or rapidly weakened. However, it is seen that such attempts failed to achieve the transition to total ‘deregulation’ or ‘privately-led’ economy. Although many scholars have seen that the Korean development model began to change since 1980s and was brought to an end around the 1997 financial crisis, even after the financial crisis we can witness the characteristic policy cases recalling the policy practices during the developmental state era. Such cases lay bare the fact that the dissolution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and the change of the development model came up on a limited basis. The developmental state faded away, but the policy practices between state and companies remain only to put restrictions on the change.

      • KCI등재

        포스트 발전국가로의 전환: 한국·일본·대만의 경험

        윤상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20 아시아리뷰 Vol.9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s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to the post-developmental state, and to identify diverse trajectorie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post-developmental states in the East Asian Capitalism.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experiences of South Korea, Japan, and Taiwan which were considered as core countries adopting the developmental state model actively and achieving economic development successfully.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globalization, the transformative path of the post-developmental state in East Asia has differed from country to country. While South Korea and Japan have tried to dismantle the developmental state model and turned into neoliberal model, Taiwan has maintained the developmental state model basically despite of some decline and modification. Second, even though some national variations, convergence tendency into neoliberalism was founded obviously in the East Asian development models. Third, nevertheless, because institutional inertia of old developmental state remained and affected more or less to development model, the post-developmental states in East Asia have revealed hybrid forms and distinctive features. For example, Korea's model since the post-developmental state would be characterized as the 'developmental neoliberalism.' Fourth, developmental and interventionist policies under Korea and Japan's neoliberalism and Taiwan's developmental state have almost failed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and positive performances. Fifth, as the East Asian countries shifted into neoliberal economy, all of them have suffered from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and social polarization. 이 연구는 동아시아 자본주의에서 발전국가 이후 포스트 발전국가로의 전환을 고찰하고 포스트 발전국가의 유형과 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주요 분석대상은 동아시아 발전국가 모델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한국, 일본, 대만으로서, 이들 국가에서 1990년대 이후 나타난 발전국가의 변화요인과 전환경로의 다양성을 밝히고자 했다.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화 이후 동아시아의 포스트 발전국가의 전환경로는 국가별로 상이한 흐름이 나타난다. 한국과 일본은 발전국가 모델의 해체와 신자유주의 경제로의 전환이 나타나는데 비해, 대만은 약화·변형되긴 했지만 발전국가의 기본틀이 유지되고 있다. 둘째, 국가별 편차는 존재하지만 세계화 시대의 동아시아 발전모델에서도 신자유주의 방향으로의 수렴경향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난다. 셋째, 그럼에도 동아시아 국가들은 과거 발전국가의 관성도 강하게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 발전국가적 지향성을 지닌 발전주의적 신자유주의의 특성을, 일본은 케인즈주의적 개입성향이 강한 규제국가적 신자유주의의 특성을 보인다. 넷째, 그러나 신자유주의 하에서 한국과 일본의 발전국가적 정책이나 대만의 혼종적 발전국가에서 추진된 전략산업 육성이 의도했던 정책성과를 거두거나 경제적 효과가 있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섯째, 한국, 일본, 대만 모두가 신자유주의로 경도됨에 따라 경제적 불평등과 양극화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 국가 모두 부분적인 복지정책으로 대응할 뿐, 복지국가적 경로를 대안적인 발전모델로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지 않다.

      • KCI등재후보

        일반 논문 : 동북아 발전국가에 대한 세계화의 영향: 해체인가? 재구축인가?

        안승국 ( Seung Gook Ahn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1

        이 논문은 동북아 발전국가에 대한 세계화의 영향을 분석하면서 세계화시대에 있어서 동북아 발전국가의 미래를 전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기하는 문제는 세계화 시대에 있어서 동북아의 국가 역할은 자기규제적 시장으로 대체되었는가이다. 현 단계에서 동북아 국가들은 구발전국가모델(관료적 발전국가모델)과는 차이가 있지만 여전히 발전국가의 속성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세계화가 동북아 발전국가의 존립조건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에 발전국가의 역할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고 국가개입의 효율성은 어떻게 확보될 수 있는가하는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 핵심은 세계화 시대에 있어서 동북아 국가의 성격은 신자유주의적이어야 하는가 아니면 발전주의적이어야 하는가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논문은 첫째 최근 동북아 국가의 역할변화를 분석하였다. 우선 발전국가에 대한 기존의 논의에서 출발하여 세계화가 발전국가에 미친 영향을 논의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의 발전국가 개념을 수정하여 유연적 발전국가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셋째, 동북아 국가들이 선택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유연적 발전국가를 논의 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와 동북아의 관료적 발전국가모델은 유연적 발전국가모델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연적 발전국가는 세계화 시대에 생산과 기술혁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시킬 수 있고, 외국투자를 유치할 수 있으며, 국내기업과 초국적기업을 연계시킴으로써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국가이다. 이러한 능력은 다중적 연계성(multiple embeddedness)을 기반으로 한다. 동북아 국가들은 세계화에 직면하여 국가의 적응성을 증진시키려고 한다. 즉, 발전국가는 세계화과정에 역행하기 보다는 적응함으로써 세계화과정 자체를 국민경제의 발전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동북아 국가들은 생산 네트워크의 재조정과 국내기업의 해외진출 지원, 직접투자 유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적응성은 동북아 국가들이 세계적 차원으로 활동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민간기업과의 새로운 협력방식의 모색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North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s. The central question of this paper is whether the role of Northeast Asian states has been successfully replaced by the self-regulatory market. It appears that Northeast Asian states have a more flexible role than in the old state model, which retains some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mental state. Therefore, this paper will also discuss how the state`s role must evolve in order to achieve development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o accomplish this research goal, this paper looks at the changes taking place in terms of the role of Northeast Asian states. First, there is a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al state, which leads to discuss of globalization`s impact on developmental states. Second, this paper proposes the flexible developmental state modified from the old state model. Third, options are presented for Northeast Asian countries: the neo-liberalistic regulatory state or the flexible developmental state. Northeast Asian bureaucratic developmental states transformed themselves into flexible developmental states in the 1990s. An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flexible developmental states have the capacity to create production network and technology innovation,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Link Local business with transnational corporations to promote development. This ability is based on multiple embeddedness. Northeast Asian states have attempted to promote the state`s adaptability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In other words, these states have been able to utilize the very process of globalization as a strategy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by adapting themselves to globalization rather than going against the globalization process. In this context, Northeast Asian states have actively sought to readjust production, networks, given assistance to overseas development, and attracted foreign direct investment. This adaptability has streamlined the search for new types of cooperation with private corporations that are expanding business activities on the global scale.

      • KCI등재후보

        로에 선 동아시아 발전모델: 한국과 대만 비교연구

        윤상우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2 한국과 국제정치 Vol.18 No.3

        This stud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developmental states have been playing crucial roles in achieving economic success in East Asia, is designed to compare the crises and transformations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 Korea with those in Taiwan. State-led development in early industrialization has created contradictory tendencies to undermine state autonomy and state capacity, and resulted in the crisis of the developmental state itself. This study identify worldsystem constraints, democratic transition, and rise of big business as key factors in bringing about the crisis of the developmental states. The crises implicate the transformations of the development model. In Taiwan, we could find a tendency towards a ‘soft- developmental state,’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state can, though in a limited form, still be found. In Korea, however, because of intense conflict between the state and the societal forces, and of the failure of policy response, the developmental state has precipitously declined, winding up with a ‘post-developmental state.’

      • KCI등재

        발전국가, 배태된 자율성, 그리고 제도론적 함의

        구현우 서울행정학회 2009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0 No.1

        The theory of developmental state that seeks to explain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East Asia has the merits which can explain developmental mystery that neoclassical economics cannot explain. However, as a result of concentrated on state-centered theory, the theory of developmental state underestimates the interrelation between state and society. In this context embedded autonomy starts with the idea that states vary in the way they organized and tied to society. In some nations, like Zaire, the state is predatory, ruthlessly extracting and providing nothing of value in return. In others, like Korea, it is developmental, promoting industrialization.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d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in Rhee Syung Man, Park Chung Hee, and Chun Doo Hwan Govern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1950s Rhee Syung Man government maintained a state autonomy by means of the comprehensive control of economic resources and the oppressive state apparatus, but it lacked a state capacity. As a result, Rhee Syung Man government was a predatory state that concentrated on an extraction of economic resources in society. On the contrary, Park Chung Hee government institutionalized developmental state by means of the reform of bureaucracy based on a merit system and the developmental policy coalition called 'Korea Inc.' Like the core discussion of embedded autonomy, autonomous state with a high state capacity led the rapid Korean industrialization. Second, the growth of capitalists in Korea depended on state policy. Therefore, capitalists in Korea were 'the political capitalists' from birth. However, like the case of heavy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and economic liberalization in the 1980s, state policy sometimes gave rise to 'boomerang effects' that decrease a state autonomy and activity. Third, in the 1980s, 'the crisis of developmental state' was 'the crisis of success', not 'the crisis of failure'. In other words, according as developmental state had successfully accomplished historical mission, paradoxically its historical necessity slowly decreased, in consequence developmental state has gone away from history.

      • KCI등재후보

        한국발전주의 국가의 한국형 신자유주의 국가로의 전환: 해외직접투자 정책을 중심으로

        진시원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3 국제지역연구 Vol.12 No.4

        This paper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discourse on ‘the developmental state’ and proposes new conceptual frameworks such as ‘the post developmental state’ and ‘Korean type Neo-liberal state’ in order to ignite another round of academic discussion concerning the validity of the somewhat outdated discourse on Korea as a developmental state. Thus, in this paper Korea’s developmental stages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developmental state; the post-developmental state period; and, finally, the Korean type Neo-liberal state period. This paper argues that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se three periods depend on the degree of coherence among economic policies, economic belief systems, and economic institutions. The case study in this paper delineates Korea's historical trajectory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policy. 본 연구는 기존의 ‘발전주의 국가론’이 내포하고 있는 한계를 지적함과 동시에 심화·발전시키기 위하여 ‘후기 발전주의 국가’와 ‘한국형 신자유주의 국가’라는 새로운 개념 틀을 제시한다. 발전주의 국가와 후기 발전주의 국가 그리고 한국형 신자유주의 국가 간의 차이점은 경제정책과 경제 신념체제 그리고 경제제도 간의 일치성의 여부에 따라서 구분된다. 발전주의 국가 시기에는 경제정책과 경제 신념체제 그리고 경제제도가 발전주의식 국가 개입에 정합성을 가지고 일치되어 있었고 그러한 정합성과 이들 간의 모순의 부재는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추진력과 효율성을 강화시켰다. 그러나 후기발전주의 국가 시기에 들어서 한국은 경제정책과 경제 신념체제 그리고 경제제도 간의 균열과 갈등이 증폭되기 시작했다. 외국의 압력을 회피하기 위한 기만적인 자유화 정책이 지속적으로 선보인 반면, 관료내부와 정부 부처 간의 발전주의와 신자유주의를 사이에 둔 경제 신념체제의 분열은 지속되었고 경제제도는 발전주의에 굳게 정박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효율적인 시기는 경제위기를 맞아 한국형 신자유주의 국가 시기로 진입하면서 변모되었다. 즉, 관료내부의 자유시장과 국가개입을 사이에 두고 발생했던 경제 신념체제적인 균열은 신자유주의 신념체제로 수렴화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전환기 국가 시기의 특징은 발전주의에 깊이 뿌리내린 경제제도가 신자유주의식 신념체제가 추진하는 경제개혁에 저항하고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후보

        외환위기의 극복과정을 통해 본 한국 발전국가의 변형과 미래

        홍성걸 ( Sung Gul Hong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이 논문은 한국 경제발전 과정을 설명해 왔던 발전국가론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외환위기라는 심각한 위기에의 대응과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한국형 발전국가의 변형과 미래를 조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발전국가의 제도적 특성을 한국적 상황에서 재검토하고 위기대응과정에서 나타난 발전국가의 단기적 부활과 중장기적 변형과정을 비교역사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위기의 특성은 단기적으로 발전국가의 제도적 특성을 부활시켜 지연된 구조조정정책을 가능하게 하지만 발전국가의 구조적 약화는 단기적 정책의 성과를 제한하는 경향을 보인다. 아울러 위기탈출을 위한 대응정책은 양극화와 비정규직의 증가 등 장기적으로 국가가 해결해야 할 새로운 과제를 만들어 낸다. 양극화와 공정사회의 실현 등 새로운 정책과제는 정부에 대한 높은 신뢰와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하지만 발전 이후의 변형된 발전국가는 오히려 정부에 대한 불신과 무능력, 사회적 갈등 심화 등의 부정적 유산을 통해 이러한 새로운 과제를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퇴행적 한국 발전국가는 범세계적 시장자본주의의 구조적 문제에 대응해야 하지만 위기 대응은 다시 단기적 성과와 장기적 악화를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 결론적으로 발전국가의 부정적 유산(억압체제로 인한 계급갈등 심화, 양극화, 사회적 불신 등)을 청산하지 못하면 한국의 국가는 문제해결능력을 회복하기 어렵고, 궁극적으로 한국의 정치경제적 선진화는 불가능하다. 분명한 것은 한국의 발전국가는 과거의 경험을 통해 높은 상황적응성을 갖고 있지만, 법치주의, 경제력 집중 완화, 사회안전망 확충 등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확보하지 못하면 그 장점을 극대화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that had been viewed as a source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Main methodology for this study is a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based upon in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studies on the developmental state. The developmental state has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that enable it to play critical roles in development. As economic development achieved, however, those characteristics are waning over time, and the autonomy and capacity of the state have been seriously weakened. The Asian crisis came when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has been in such situation. The Asian crisis was a main source of revit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ate. Thus the Korean state could begin major reforms in several areas such as corporate, financial, and labor sectors that were not possible due to the weakened state. But the reforms were only partially successful because the negative legacies of the developmental state resurged immediately after the partial success of reforms. In addition, short term reactions accelerated the seriousness of long term problems such as income bipolarization and lack of trust to the government. Through the historical experiences, there is no doubt that the Korean state has high adaptability to the changing environment. But without expanding the social capital, such an adaptability would not be realized in the long run.

      • KCI등재후보

        한국 발전관료제의 작동메커니즘: 박정희정권(1961-79) 하에서 정치적 요인과 발전제도

        이종찬 ( Jong-chan Rhee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3 No.2

        기존의 많은 정치경제 연구들은 박정희정권이 왜 그리고 어떻게 고도 경제성장을 달성하였는가를 한국의 '발전관료제' 혹은 '발전국가'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한국 국가의 시장개입을 충분하게 설명하지 못하여, 비교국가시각에서 볼 때에 한국만이 가지고 있었던 독특한 정치적 요인과 발전제도를 포함하는 작동메커니즘을 분석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1960년대의 '국가주도 경공업화'와 1970년대의 '국가주도 중화학공업화' 과정에서 발전관료제의 작동메커니즘을 분석한다. 정치적 요인들은 '정치화된 정책이념', '대통령의 강한 영향력’, 그리고 '차별적인 명령'이고, 이들은 한국 발전관료제의 작동메커니즘을 형성시켰다. 이러한 요인들은 경제관료제, 정책네트워크, 금융제도로 이루어져 있는 발전제도를 설립하고 작동시켰다. 더 나아가서 위의 세 가지 요인들은 한국 경제관료들이 대기업의 투자결정에 깊이 개입할 수 있도록, 관료들의 집단정체성, 이해관계, 그리고 권력관 계를 형성하고 증진시켰다. 따라서 박정희정권 하에서 발전국가의 작동메커니즘은 동아시아의 권위주의 발전국가뿐만 아니라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일본과 프랑스의 발전국가에서 볼 수 있었던 작동메커니즘들과 차별화된다. The puzzling question is why and how the Korean developmental bureaucracy or the strong economic bureaucracy alone had not been sufficient to explain successful state interventions in industrialization for high economic growth under Park’s regime. This study analyzes both state-led light industrialization during the 1960s and state-led heavy and chemical industrial drive during the 1970s, in terms of operational mechanisms of the developmental bureaucracy. These developmental governances comprised positive political factors and distinctive developmental institutions to empower economic bureaucrats’ intervention in the investment decision-making of big business firms. This paper identifies distinctive political factors such as politicized policy ideas, strong presidential influence, and discretionary command. These three exceptional variables had mainly formed operational mechanisms of the Korean developmental bureaucracy. They had a great influence on establishments and operations of Korean developmental institutions such as the economic bureaucracy, policy networks and financial systems. Furthermore, these political factors created and increased collective identity, interests, and power of Korean economic bureaucrats in the process of successful state intervention in the market. As a result, operational mechanisms of the Korean developmental bureaucracy were distinguished from those in advanced developmental states (Japan and France during the 1950s and 1960s), as well as in other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s under an authoritarian reg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