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0년대 사회민주화와 대학민주화: 조선대학교 ‘1·8항쟁’을 중심으로

        김봉국 호남사학회 2023 역사학연구 Vol.89 No.-

        In the 1980s, in the reality of universities that were not free from the surveillance and control of the ruling power, it was difficult to prepare an opportunity for democratization within the school without social democratization. Similarly, social democratization without university democratization was also difficult to secure a sustainable power called student movement. In other words, the social democratization and the university democratization at the time developed by propelling each other. Examples of intensively demonstrating this mutual momentum are the ‘June Uprising’ in 1987 and the ‘1·8 Resistance’ at Chosun University the following year. The 1.8 Resistance, which symbolizes the struggle for democracy at Chosun University, began in earnest through the June Uprising, which was a decisive moment for social democratization. The Chosun University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had been stagnant due to the oppression of President Park Cheol-woong's system, regained confidence and momentum in the aftermath of the June Uprising, and finally won after 113 days of long-term sit-in demonstration and the January 8th Uprising. However, the Chosun University Democratization Movement did not stop at driving out the Park Cheol-woong faction. Centered on the ‘University Self-Governing Council (Daejahyeop)’, it presented a new form of the university autonomy movement and promoted the struggles of other universities. It also served as another opportunity for social democratization and transformation movements following the June Struggle, which ended with the “achievement of limited democracy.” At that time, the student movement forces that led the struggle for university autonomy went beyond the level of universities and aimed at transforming the entire Korean society. The Chosun University student movement group, which recognized the university as a stepping stone for social democratization and transformational movement, projected their political ideology into the autonomy struggle for university after the expulsion of Park Cheol-woong. They opposed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reproducing the ruling ideology and tried to regain the autonomy of university centered on University Self-Governing Council. Futhermore, they aimed for a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hrough overthrowing the military authoritarian regime and overcoming division. In fact, the struggle for autonomy at Chosun University resulted in the appointment of the democratic president and recruitment of democratic professors, the expulsion of government-patronized, violence, and incompetent professors, and reform of academic management and subject. However, the struggle for university autonomy closely adhered to the direction of the social transformation movement also brought about several problems. The bias in the political struggle of the student council deepened the sense of separation from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power of the struggle for university autonomy gradually declined due to friction among school members.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current reality of universities, which have degraded from a bridgehead of social transformation to a space of neoliberal domination, the meaning of the orientation, value, and institutional practice pursued by the Chosun University autonomy struggle seems not to be small.

      • KCI등재후보

        대통령 개헌안과 경제민주화

        노진석,이충은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8 국제법무 Vol.10 No.2

        Even though the bill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proposed by the President on last March 26th contained many positive contents such as basic human rights, there was almost nothing new related to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was a key social issue from the general election in 2012 to the two presidential elections, and President newly emphasized the ‘necessity of economic democracy’ at the memorial address for the 30th Anniversary of June Democratic Uprising in 2017, the contents of the bill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were such a poor result in the aspect of economic democratization. Even though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was frustrated, the evaluation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cess and the contents of the final bill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should not be neglected. If it is simply ignored as a past event, the similar error could be repeat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objective evaluation, the foothold of the future constitutional amendment should be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mmarizes the overall discussions of economic democratization from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n 1987 until a recent date, critically evaluates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aspect of the recent President’s constitutional amendment in its extension, and then suggests the complements in the future bill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First, on top of criticizing the interpretation of economic democratization as ‘economic privatization’ in the corporate pos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conglomerate democratization, and it is proposed that democratic principles should be applied to the economic area. Also, after examining the policies of economic democratization so far,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have been no huge changes in the actual contents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as the special committee of constitutional amendment has no experts in economic democratization, so that the articles with small changes do not mean much. Lastly, in order for the futur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economic democratization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current regulations, the grounds for justification that could concretely institutionalize sub-laws should be suggested, instead of the current abstract and rhetorical phrases. As a part of this system, the Monetary&Financial Committee of Sweden, cooperative, and codetermination system are reviewed. 지난 3월 26일 대통령이 발의한 개헌안은 기본권 등 여러 부분에서 긍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나 경제민주화와 관련해서는 새로운 내용이 거의 없었다. 경제민주화가 2012년 총선 국면에서부터 두 차례의 대선까지 핵심적인 사회 이슈였고, 현 정부에서도 대통령이 2017년 6.10 민주항쟁 30주년 기념사에서 ‘경제민주주의의 필요성’을 새삼 강조한 것에 비하면, 개헌안의 내용은 경제민주화적 관점에서 매우 초라한 결과물이었다. 비록 개헌이 좌절되었지만, 이번 개헌과정과 최종 개헌안의 내용에 대한 평가를 소홀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미 끝난 일이라고 그냥 넘어간다면, 유사한 잘못이 반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냉정한 평가를 통해 향후 개헌에 대한 발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논문은 87년 헌법 개정 당시의 논의부터 최근까지의 경제민주화에 대한 논의를 전반적으로 정리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최근 대통령 개헌안의 경제민주화적 측면을 비판적으로 평가한 후, 향후 개헌안에서 보완이 되어야 할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경제민주화를 기업의 입장에서 ‘경제민간화’로 해석하는 입장을 비판하고, 그것이 재벌민주화에만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 경제영역에까지 민주적 원칙이 적용되어야 함을 상정하고 있다. 또, 그러한 입장에서 지금까지의 경제민주화의 정책을 살펴본 후, 이번 개헌특위에 경제민주화 전문가가 없어 실제 경제민주화 관련 조문의 내용에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며, 다소 변화된 조항들도 큰 의미가 없음을 비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경제민주화 개헌이 현행규정과 차별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이 추상적이고 수사적인 문구보다는 하위 법률에서 구체적으로 제도화할 수 있는 정당화 근거를 헌법에 제시해야 하므로, 그러한 제도의 일환으로 스웨덴 금융통화위원회 및 협동조합, 공동결정제도 등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있다.

      • KCI등재

        노동조합운동과 진보정당 -민주화 이후 민주화 시기 노동운동의 역할-

        정병기 ( Byung Kee Jung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7 기억과 전망 Vol.17 No.-

        The premise of this article is that the democratization of June 1987 should be defined as a political democratization only beyond the confines of workplace and the democratization was not expanded into the workplace until the Great Struggle of Worker in July-September 1987. Moreover considering the content and purpose of `democratization after democratization` as establishment of socioeconomic, producer`s and lifestyle`s Democracy and regarding the working class as the historic subject of the democratization in this article I have inquired into the role and perspective of labor movement in democratization. The political democracy has been consoldated and socioeconomic democratization has been attempted in the decade of so-called the `System 1987` after the democratization of 1987. But by even aggressiver Neoliberalism in the period of IMF also the socioeconomic democratization became more difficult and the establishment of producer`s and lifestyle`s democracy has been worse off. Nevertheless both the wheels of labor movement, KCTU and KDLP, have contributed more than a little to the consolidation of political democracy and continued to form a relevant relation of each other and to struggle to a certain degree for the purpose of socioeconomic democratization. But practically by setting the final aim on the socioeconomic democracy they make their subjectivity of development of complete democracy blurred. In conclusion, labor movement of Southkorea should establish clear subjektivity of historic development toward complete democracy and define socioeconomic democracy as a condition or step to conform producer`s and lifestyle`s democracy.

      • KCI등재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의 보상에 대한 사회법적 고찰

        이희성(Lee Hee-Soung)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7 No.-

        5ㆍ18광주민주화운동이 우리 역사에서 민중민주운동으로서 갖는 의의와 역할은 매우 크다. 5ㆍ18광주민주화운동에 의한 광주시민의 희생은 수많은 희생 중에서도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고귀한 생명을 바쳐 국가를 수호한 희생이므로 가장 숭고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국가수호를 위한 희생은 존엄한 가치로 영원히 존중되어야 하며, 그에 관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보훈정책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보훈복지정책은 현대 복지사회에서의 다양한 사회보장제도에 우선하는 정책이 되어야 한다. 또한 국민은 그들의 희생정신과 애국정신을 계승하여 국가를 수호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책무가 있다고 본다. 이에 따라 5ㆍ18민주화보상법과 5ㆍ18민주유공자예우법 등 관련법들이 제정되어 민주화운동관련자의 희생을 보상하고 명예를 회복시켜줌으로써 관련자와 그 유족들의 생활안정과 복지향상을 도모하고 국민화합과 민주발전에 이바지하고자하였다. 5ㆍ18광주민주화운동의 피해자들의 보상문제를 사회법적인 측면에서 볼 때, 국가는 개인을 희생의 원인이 되는 상황에 처하도록 강요하였다는 의미에서 적어도 추상적으로는 어떠한 형태로든 국가가 희생에 대한 책임을 완전히 면할 수 없다. 또한 특별히 공동체 전체에 책임이 귀속되는 인적 피해에 대해서 국가에게 보상 책임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5ㆍ18광주민주화 운동관련자의 보상을 위하여, 우선. 5ㆍ18광주민주화운동의 기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확한 기간을 법규정에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어서 5ㆍ8광주민주화운동의 관련자들에게 어떠한 처우를 하여야 할 것인지의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다른 민주화운동관련자 및 국가유공자들과 통일한 처우를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5ㆍ18광주민주화운동의 관련자들에 대한 보상이나 처우도 국민의 의식 수준에 부합되게 점진적인 방법으로 행하는 것이 이행기적 현실에서는 불가피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피해자 보상에 관련된 법률들의 근본적인 제정취지가 민주화운동 관련자들에게 유족보상과 상이보상. 의료지원금, 생활지원금 및 기타 지원금 등을 지급함으로써 생활안정과 복지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사회법적인 의미에서의 사회보장에 해당되는 것이라고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5ㆍ18민주유공자예우법에 의한 교육지원, 취업지원, 의료지원, 대부 및 기타지원 등의 실질적인 지원을 통하여 영예로운 생활이 유지ㆍ보장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면 사회법적인 의미에서의 사회보장 차원 에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법리적으로 5ㆍ18민주화보상법의 보상은 민주화보상법에서의 보상처럼 국가 의 위법한 행위에 대한 국가배상적 성격을 갖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의 보상은 특별한 형태의 국가배상으로 이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조정급부를 제공함으로서 민주화운동관련자의 생활안정과 복지향상을 도모한 급여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사회보상을 기능적 측면에서 보아 피해를 입은 모든 사람들에게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는 사회 법적인 사회보장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회보장급여라고 해석하여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사회법적인 면에서 법제도를 정비함으로써 5ㆍ18광주 민주화운동 피해자들의 사회적 생활안정과 복지향상을 도모하며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방향도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본다.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be said to have played an extremely significant role in the Korean history. The sacrifice of Gwangju citizens during the movement should be regarded as the loftiest of all as it may be compared to one of those that are devoted to protecting a nation in an imminent danger of extinction. Such sacrifice must be remembered eternally as a respectable value the merit for which should be rewarded as a part of national policy. The merit and welfare policy in this regard should have priority over various social security systems in the present welfare society. Besides, people should be ready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to inherit the spirit of self-sacrifice and patriotism for the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 Consequently, the law of compensation for the victims of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law of honorable treatment for persons of merit at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were legislated in a bid to stabilize life and improve welfare of the bereaved families who were sacrificed in connection with the democratization in Gwangju by compensating their sacrifices and recovering their honor for the ultimate contribution to national harmony and democratic progress of the country. In view of social law, the nation can't be entirely free from obligation to compensate at least in an abstract form for the victims of the May 18th Gwangi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sense that the government at that time drove individuals to the condition that caused such sacrifice. In particular, the nation is liable to compensate for the loss of life for which the community as a whole should take responsibility. With respect to compensation for the people associated with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t is most vital to clearly define the concerned period in the law in a move to exclude the possible dispute as to the term in issue. Besides, it is also imperative to determine how to treat the people related to the movement. In this connection, the first thing to keep in mind of all is that the victims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should be treated same as those of other movements and merits. In other words, it should be seen as essential in an interim period to improve step by step the compensation or treatment for the victims of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compliance with the extent of national consensus. Furthermore, it may be understood as national security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law when the real purpose for legislation of the laws concerning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s to stabilize the life of the victims and improve their welfare by providing the bereaved families with compensation for families and the wounded, medical aids, provisions for life and other subsidies. And if the law of reward for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purports to offer practical supports to the persons of merit by means of aids for education. medical care. job finding. financial loan and others in an attempt to guarantee or maintain their life with dignity for them. such compensation should be dealt with at the dimension of social securi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law. Out of the juristic standpoint, it is common to see the compensation by the law of compensation for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as that of compensation by the government for its illegal acts in accordance with the law of compensation for democratization. In this instance, however, such compens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national compensation of special form or social readjustment and payment for stabilizing life and increasing welfare of the persons associated with the democratization movements. Therefore, it may be no exaggeration to say that such social compensation is a sort of grant for social security that functions as social law guaranteeing the social security from the point of social law. At this

      • KCI등재

        한국의 민주화 과정과 시민사회 -사회자본의 기제로서 시민단체의 역할 변화를 중심으로-

        김태룡 한국거버넌스학회 201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7 No.2

        Since the 'June 29th Declaration of Democratization' in 1987,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a period of sweeping changes. The changes have not been merely a reflection of the passage of time, but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the very principles that steer our society. Over twenty years have passed and there appears to be no end to times of exhilarating changes. The old mind set of the period preceding 1987 collapsed swiftly and the search for a new paradigm still continues through a variety of initiatives and reforms as democratization celebrates. Korea is now on the road to democratic transition. The authoritarian regime, which have looked so strong, have come to an end and it is in the process of the democratic transition. This essay offers historical views and the framework for an explan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reparatory and phase of democratization: the cause of legitimacy crisis with regard to the start of democratization, the process of mobilization in respect to the driving force of democratization In conclusion, democratization is a political process that reveals the structured contingency, in which the political elites of the authoritarian regime as well as the democratization camp may have an unintentional role in the decision phase of democratization. This is largely owing to the fact that in such a fluid and uncertain environment, the political elites may momentarily or mistakenly commit themselves to democratization. Korean civic groups have historically had a strong influence in political/ public affairs and have received significant recognition for their achievements. Under the new administration, Korea is currently experiencing a new shift in its democratization. As the country is moving toward more democratic governance, from authoritarian regimes, civic groups in Korean society meet new challenges.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역할은 대단히 컸다. 특히 시민사회의 일원으로서 시민단체의 괄목할 만한 역할과 성장은 놀라울 정도였다. 그러나 이 같은 역할과 성장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민주화는 아직도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다. 6.29 민주화 선언이 있은지 20여년이 지났지만, 한국 사회에서 근원적 변형으로서의 새로운 거버넌스가 구축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런 측면에서 한국의 민주화는 민주적 제도만이 복원된 상태일 뿐, 민주적 실천의 문제는 그대로 현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시민사회의 형성과정과 역할을 추적해 보고, 시민사회의 진화과정에서 등장한 시민단체의 역할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시민사회의 역할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민주적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부족한 측면이 노정되었고, 특히 시민단체의 역할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다시 말해 한국의 시민사회는 다시금 건강성을 회복하여야 하고, 새로운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시민사회의 대리자로서 시민단체의 경우는 본래적 가치를 회생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1970년대 서남동 목사의 사회상 인식과 민주화 운동

        최성환 ( Choi Sung-hwa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2 호남학 Vol.- No.72

        서남동(1918∼1984)은 대한민국 민중신학의 개척자이자 민주화 운동가이다. 그의 신학과 관련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지만, 민주화 운동과 관련된 논문은 없는 실정이다. 이 글에서는 1970년대 한국 민주화 운동 시기를 중심으로 서남동의 민주화운동가로서의 면모를 재조명하였다. 첫째, 그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고향인 섬 자은도에서의 경험과 목포시절 양동교회에서의 인연을 중심으로 살폈다. 둘째, 신학자인 서남동이 사회참여에 적극성을 보이게 된 계기와 유신 시대에 그의 인식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셋째, 서남동의 민주화운동 참여 활동을 세부적으로 분석했다. 그의 민주화운동은 1970년대 초부터 끊임없이 지속되었다. ‘한국 그리스도인의 신학적 선언’, ‘민주회복 국민선언’, ‘교수 자율권 선언’, ‘3·1민주구국선언’, ‘나라의 민주화를 위한 5개 단체 성명’, ‘지식인 134인 선언’ 등의 활동이 그 중심에 있었다. 그는 두 차례에 걸쳐 총 3년 2개월 동안 수감생활을 겪었지만 민주화 운동에 대한 초심이 변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민주화 운동가로서 서남동에 대한 평가를 연세대 학생들의 복권 운동과 사망 후 추모사 내용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은 민중신학자인 서남동의 성장배경과 시대 인식을 새롭게 주목하고, 그의 민주화 운동가 활동 내력을 구체적인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Seo Nam-dong (1918∼1984) is a pioneer of popular theology of Korea as well as a democratization activist. With respect to his theology, there are many studies but there is no thesis regarding his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is article, with the focus on the period of 1970s fo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of Korea, the appearance of Seo Nam-dong as a democratization activist is demonstrated once again. First, the characteristics displayed in his growth process has been sought with the focus on his experience in his home island, Jieun-do, and his ties in Yangdong Church in Mokpo. Second, the turning point for Seo Nam-dong who was a theologian to enthusiastically involved in the social participation and his perspectives in the Yusin era are analyzed through detailed data. And thir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ctivities of Seo Nam-dong are analyzed in details. His democratization movement continued unequivocally from the early 1970s. At the heart of it all, there were activities of ‘Theological Declaration of Korean Christians’, ‘People’s Declaration of Democratic Restoration’, ‘Declaration of Professors for Self-regulation Right’, ‘March 1 Democratic Patriotism’, ‘Statement of 5 Organizations for the National democratization’, ‘Declaration of 134 Intellectuals’ and so on. On two occasions, he was imprisoned for a total of 3 years and 2 months, but his longing towar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had not compromised. As a democratization activist, the evaluation of Seo Nam-dong could be affirmed through the reinstatement movement of Yonsei University students, contents of memorial speech given for his memoirs after his death and so forth. This article has its implications in the aspect of newly paying attention to the background of growth for a popular theologian, Seo Nam-dong, and his perspective on time, and reviewed comprehensively on his history of activities as a democratization activist.

      • KCI등재

        대만의 민주화와 경제성장의 딜레마

        국민호(Min-Ho Ku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5 현상과 인식 Vol.39 No.3

        대만의 대내 민주화는 1986년 야당인 민주진보당 설립으로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1996년 총통 직선과 2000년 민진당으로의 정권교체를 통해 완성되었다. 대만에서는 야당 설립을 통해 민주화 과정을 시작한지 불과 15년 만에 다른 어느 나라에 비해서도 손색없는 민주화된 국가를 이루어낸 것이다. 대만 민주화의 특색은 집권당 최고통치자가 앞장서서 민주화를 추진하였다는 것이다. 집권당인 국민당의 장징궈 총통과 리덩후이 총통이 앞장서서 개혁을 주도하여 야당 설립 허용, 계엄령 철폐, 입법위원(한국의 국회의원) 직선제 실시, 총통 직선제 실시 등의 중요한 정치 개혁을 이루어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의 근 20년간 대만에서는 민주화 및 독립이라는 정치 현실이 경제 문제를 압도하였다. 천수이벤이 대만 독립을 추진함에 따라 독립이 새로운 민주화 이슈로 대두되면서 중국과의 갈등이 첨예화되었다. 대만 독립은 대만 민주화의 최종목표가 되었다. 중국은 대만 독립 문제에 매우 강경하게 대처하고 있다. 그 결과 대만정부와 대만 독립을 저지하는 중국과의 마찰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고 이 과정에서 중국 대륙으로의 진출 시기를 놓친 대만 경제는 침체를 면치 못했다. 1970-80년대 대표적인 동아시아 신흥공업국으로 경이적인 경제성장을 하던 대만은 1990년대 이후 정치적 민주화 투쟁 및 독립 투쟁을 거치면서 2000년대에 이르러 심각한 경제침체를 경험하였다. 대만의 눈부신 민주화는 결과적으로 대만 경제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였으며 중국에의 경제 의존을 강화시켰다. 대만의 민주화 과정에서 국내 민주화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나 민주화의 공고화를 위한 대만 독립 문제에 있어서는 대 중국 관계에서 커다란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대만 독립이라는 민주화의 최종 목표와 경제성장이 중국이라는 변수 앞에서 양립할 수 없게 되었고 대만 주민들은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이것이 대만의 정치와 경제 간의 달레마이다. Taiwan’s democratization began in 1986 when the Democratic-Progressive Party as an opposition party was established. The direct President election was enforced in 1996, and the regime was changed in 2000. The long march to democratization in Taiwan was completed. Taiwan built the admirable democratized state within 15 years since it had established the opposition party. The specific character of Taiwan’s democratization is that the political leader of the ruling party himself was at the head of Taiwan’s democratization. The political leaders of the Guomintang(the National Party) in the 1980s and 1990s were at the head of reform. They achieved critical political reforms by accepting the establishment of the opposition party, abolishing the martial law, enforcing the direct election of the President and National Assemblymen. During the last 18 years between 1990 and 2008 the political goal of democratization and independence overwhelmed the economic matters. As President Chen Shui-bian pursued Taiwan’s political independence, independence became the new goal for Taiwan’s democratization. But it aggravated the conflict between China and Taiwan. China was very critical about the trial of Taiwan’s political independence. As a result the conflict between the Taiwan government which pursued Taiwan’s political independence and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opposed it was inevitable. In the process, Taiwan’s economy which lost the time to find a larger market in China could not escape from the economic depression. Taiwan as a representative member of Newly Developing Countries in East Asia had recorded the impressive economic progress in the 1970s and 1980s. But it experienced critical economic depression in the late 1990s and early 2000s during the process of inner democratization and the outer struggle for political independence against China. The remarkable success for the democratization of Taiwan worked as a stumbling block for Taiwan’s economic development and it enhanced the economic dependence on China. Taiwan’s inner democratization strengthened the inner power to struggle for Taiwan’s political independence but suddenly it has faced with a big conflict in its relationship with China. Taiwan"s successful democratization was not able to go with its economic development. Taiwan people are now being pushed to choose either one of the two, political independ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That is the dilemma of Taiwan today.

      • KCI등재

        영국 명예혁명(1688-89)과 한국의 민주화(1987-97)의 비교역사학적 연구(1): 타협민주화의 비교사적 고찰

        김용직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7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8 No.2

        This is a comparative research of Britain’s Glorious Revolution(1688-9) and Korea’s 1987 Democratization. Striking similarities indicate that these belong to the same category of democratization by compromise. First, there are two distinct political forces that recognized historical mission of making political compromise. Challenge groups that have evolved into a coherent threat to authoritarian system staged new level of struggles. Whigs emerged as a strong enemy of royal power in the late 1680s. Then in 1688 key compromise was made between Tories and Whigs. Compromise is a major aspect that defined Korea’s case as well. Korea’s democratization in 1987 was launched first by the initiative of democratic movement forces. In June 29, a grand scheme of compromise was declared by government leader Rho. Second, the two historical cases of democratization are great success stories that created lasting constitutional system. The 1987 Korean constitution has been molded by democratization and served as keystone of Korean Democracy. British during the Glorious Revolution agreed to launch a King-in-parliament. Compromise by major political parties in Korea could establish a balanced political system of democracy with single term presidential rule, which has lasted three decades 본 연구는 17세기 국의 명예혁명과 20세기 한민국의 민주화를 타협민 주화라는 민주화의 이론적 모델을 비교역사학적으로 적용하여 고찰하다. 필자는17세기국과20세기한국두나라의정치적격변사례를타협민주화 라는관점에서비교사적연구를시도하다. 두나라의혁명과민주화의사례 가 공간적으로 유럽과 동아시아, 그리고 시간적으로 3세기 간의 격차가 존재 함에도불구하고타협민주화라는점에서매우유사성이특징적으로나타났고 다음의결론들을도출하다. 첫째, 양국의민주화의중심에는두개의이질적이지만타협을중시하는정 치세력의 등장과 이들 사이의 갈등뿐 아니라 정치적 타협이 존재한다는 점이 다. 국의 17세기 명예혁명은 이전 시기 정변의 계승적 성격을 갖는데 이에 는 장기적인 왕권에 한 의회세력의 도전이 작용하다. 1688년 국의 토 리와휘그는타협하고그결과오렌지공윌리엄에한비서한을보내국 왕 제임스에 한 의회의 투쟁전선에 지원세력으로 가담시켰다. 무엇보다 토 리와휘그와의초당적타협이위력을발하고국왕과의회의타협도큰몫을 한 것이다. 한국은 87년민주화에서는 야권내의 민주화운동세력이 등장한 6,10 항쟁이초기민주화전개의절정을이루었고직후에권위주의정부내온 건개혁파를 변하는 노태우의 6.29선언이 중기 타협정치의 성공에 크게 공 헌하다. 둘째, 두 나라의 정치적 사건들은 양국의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헌정체제를 탄생시키고발전과번을가져다준위한성공의사례이며그중심에는두 정치세력의 협력과 타협이 중요했다. 국의 명예혁명 사건은 국왕과 의회와 의갈등사이에서결국양자사이의타협적거버넌스체제를도출하게되었고 그것이 이후 30년 동안“의회내 국왕제”라는 특이한 입헌군주체제로 나타났 다. 반면, 한국의87년민주화는운동권과야당의연합에의한민주화요구로 시작되었고5공정부내의노태우를중심으로한온건파의응과협력으로성 취될수있었다. 이후한국의민주화는여야간의정치적타협으로이어져 5년담임통령에 의한 87년헌정체제의 수립으로 귀결되었고 지난 30년 동안 한국의 민주주의 를이끌어왔다.

      • KCI등재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와 정치리더십: 동아시아 사례 비교

        이동윤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0 국제지역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cess of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of five democratized countries in East Asia, and to explore the political leadership in political process for democratic consolidation. Especially,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nterrelation between democracy and political leadership in the political process after democratization. After democratization, many countries want to make consolidation of democratic political regime. However, democratic consolidation of some countries was failed because of authoritarianism legacy and faulty political leadership. In the process of democratic consolidation, corruption was very important factor for weakness of political leadership, and also arbitrary political leadership was caused of failure for democratic consolidation. For democratic consolidation after democratization, it needs more democratic and mature political leadership in the political process of democratic consolid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 국가들 중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이행기에 나타나는 정치리더십의 행태를 비교 분석하여 이것이 민주주의 공고화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보는것이다. 현실적으로 민주화 이후 나타나는 정치과정의 정치리더십은 과거 권위주의체제 시기의 정치적 잔재를 버리지 못하고, 일방적이며 독단적인 통치행태를 표출함으로써 국정 운영을파행으로 이끌고 정치적 위기 상황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더불어 구시대의 악습인 부패 문제 또한 정치지도자와 엘리트들의 정치리더십을 약화시키고 사회적 불안과 정치적 위기를 유발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체제가 제도적으로 내재화되지 못하고 선거만능주의나 대중영합주의로 흐를 경우, 정치리더십의 위기는 민주주의의 사회적 혼란과 위기로 발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민주주의와 관련된 기존 연구와 논의들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국가들의 민주화 이후 정치리더십과 민주주의 공고화 사이의 상관관계를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정보기술과 민주화의 패러독스?: 미국의 정보기술 수출통제정책 변화와 중국의 인터넷 발전

        고경민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2 평화학연구 Vol.13 No.3

        China has the most sophisticated and powerful Internet control and censorship system as well as the largest Internet market in the world. In the perspective of democratization hypothesis, China’s Internet development is a paradoxical ca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mpact of a democratization hypothesis on liberalization of U.S. export control system, and to indicate practical limits of the hypothesis. Unlike the perspective of democratization hypothesis, this paper focused on possibility of a paradox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emocratization that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and strengthening of the existing authoritarian regimes. On the basis of democratization hypothesis, Clinton Administration transferred information technology as a means of the democratization of authoritarian regimes, but th technology will strengthen efficiency and legitimacy of authoritarian regimes. This paper indica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s of democratization hypothesis, that is a paradox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emocratization.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정교하고 강력한 인터넷 통제체제를 구축했으면서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네티즌을 보유한 최대의 인터넷 시장이다. 민주화가설의 시각에서 이러한 중국의 인터넷 발전 상황은 역설적인 사례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중국의 인터넷 확산과 통제가 양립할 수 있는 기술적 조건을 제공한 미국의 정보기술 수출통제 자유화에 미친 민주화가설의 영향을 분석하고 그 현실적 한계를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 민주화가설의 시각과 달리, 기존 권위주의 체제의 유지 및 강화에 기여하는 ‘정보기술과 민주화의 패러독스’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논문은 민주화가설에 입각하여 권위주의 체제의 민주화를 위한 수단으로 정보기술을 이전했지만, 오히려 정보기술이 권위주의 정권에 의해 통치 효율성이나 체제 정당성을 강화하는 효과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실증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