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사회 : 내국인 국제관광수요에 대한 소득 및 여행가격효과 비교연구

        박진석 ( Jin Seok Park ) 국제지역학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대륙별로 선정된 13개 국가에 대한 내국인 국제관광수요의 특성을 소득 및 여행가격탄력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990:1부터 2006:2까지의 분기별 자료이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국인의 13개 국가별 국제관광수요와 실질소득, 그리고 여행가격변수들 사이에는 안정적인 장기균형관계가 존재한다. 둘째, 13개 국가들에 대한 국제관광수요의 소득탄력성은 모두 `1`보다 크게 나타나 국제관광은 사치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득탄력성은 국제관광 대상 국가별로는 차이가 존재하지만 여행거리별로는 일관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소득탄력성이 큰 국가로는 호주, 필리핀, 태국, 중국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13개 국가들에 대한 국제관광수요의 여행가격탄력성 역시 국가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즉 여행가격탄력성은 탄력적인 경우와 비탄력적인 경우가 혼재하였으며, 전체적으로는 탄력적인 경우가 비탄력적인 경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여행가격탄력성이 가장 높은 국가로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낮은 국가로는 홍콩과 미국을 들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for selected 13 destination countries by estimating income and travel price elasticities using quarterly data from 1990:1 to 2006:2. Major findings of this paper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for 13 destination countries, real income and travel price variables are confirmed. Second, the estimated income elasticities of Korean tourism demand for 13 destination countries are all elastic; especially, those for Australia, Philippine, Thailand and China are very elastic. And their estimated values vary with destination countries, which implies the income effects for 13 destination countries are all different; however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income effects could be characterized by traveling distances. Third, the estimated travel price elasticities of Korean tourism demand for 13 destination countries also differ from destination countries; in most cases, they are elastic except those for Hong Kong and United States. The most travel price elastic countries are Canada, Australia and New Zealand.

      • KCI등재

        Incorporating a New Measure of Travel Cost for Estimating International Travel Demand

        제상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4

        Most recent studies examines the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by differentiating holiday travel into visiting friends and relatives, and business travellers, while using a new measure of travel costs for international tourists inbound to the U.S. As a new measure of travel costs, the ‘the zonal travel cost’ approach (USDA, 2000) for the measurement of travel costs is employed. The use of the zonal travel cost is a first for international travel literature. Based on this new measurement, this article examines international tourism demand for the United States (U.S.) by classifying travel deman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trip and incorporating a new measure of travel costs and its determinants. Based on the pooled generalized least squares model, we find that the new measure of travel costs improves model accuracy. Second, we find that tourism demand elasticities vary by trip purpose. The latter finding is significant, as travel for business is more inelastic than tourism.

      • KCI등재

        아세안지역의 국가간 여객통행수요 추정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문진수,박준환,정호영 대한교통학회 2008 大韓交通學會誌 Vol.26 No.6

        Due to the limitations in the statistical data, the existing studies adopted rough methodologies with strong assumptions in the estimation of international passenger travel demand forecast in the ASEAN reg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rnational passenger travel demand models using scientific methodologies. This study proposes a direct demand model using the immigration and emigration data between countries in the region. This i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estimating trip generation and trip distribution separately due to the data limitation in the region. As there does not exist the mode choice model for the region, this study estimates a mode choice model using the Stated Preference technique. The mode choice model is separated into three categories of models according to the range of distance between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travel; this is to reflect the different behavior in mode choice according to the travel distance. The result of model estimations suggests that the estimated models produce resonable results statistical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s are useful for the future travel demand estimation in the ASEAN region. 기존의 아세안지역 국가간 여객통행수요예측에 있어 적용된 방법론은 자료의 한계로 인하여 모형을 이용하기보다는 개략적인 분석방법론과 가정위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안 지역의 국가간 여객통행 수요예측을 위해 개발된 모형을 제시한다. 통행발생과 통행분포 모형을 개별적으로 추정하기에는 해당지역의 통계자료구축이 미흡한 상태이기 때문에 국가간 출입국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통행발생과 통행분포를 동시에 고려하는 직접수요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현재 연구대상지역의 경우 국가간 통행에 대한 수단선택모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수단분담율 산정을 위해 명시선호기법을 이용하여 수단분담모형을 추정하였다. 통행거리에 따른 수단선택행태의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세 개의 거리대로 구분하여 수단분담모형을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모형의 설명력과 변수의 유의성 측면에서 대체적으로 양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형은 향후 아세안지역의 통행수요예측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가 간 항공여객수송량 변화추이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윤대식(Yun, Dae-Sic),이찬휘(Lee, Chan-Hwi)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2

        This paper analyzes yearly variation of the air passenger travel volume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Using aggregated data, yearly variation of the air passenger travel volume is analyzed. The paper includes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on time-series data of the international air passenger travel volume. The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period between the year 2002 and 2012. Furthermore, some direct air travel demand models are developed by panel regression analysis for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air passenger travel volume of each international route connecting Korea. The analyt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air passenger travel volume for international routes connecting Korea had been increased between the year 2002 and 2012, excluding period between the year 2008 and 2009. Secondly, it is found that GDP or GDP per capita of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amount of export/import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exchange rate, and the number of LCC routes(lines)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air passenger travel volume between Korea and Asian countries. Thirdly, it is found that GDP of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amount of export/import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countries, and exchange rate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air passenger travel volume between Korea and non-Asian countries.

      • 한중 국제여객선 항로의 운항 실태에 관한 연구 : 목포-상해 국제여객선 취항에 대비하여 To cope with opening Mokpo-Shanhai route

        윤명오 木浦海洋大學校 2005 論文集 Vol.13 No.-

        1990년 한-중 여객선항로가 개설된 이래 여객 및 화물의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왔다. 운항 초기에는 주요 승객이 소상인들로 구성되었으나 근래에 들어 일반승객으로 대체되고 있다. 또한 양국간의 컨테이너 화물도 정기 컨테이너선 항로가 개설될 만큼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은 대 중국 여객선 항로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현재 목포-상하이간 여객선항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는 목포항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Since Korea-China passenger shipping routes have opened in 1990, the volume of passengers and cargoes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At the beginning of the routes, most of passengers are consist of tradespeople, who are replaced by common travellers in these days. Also the volume of containers between two country are enlarged enough to establish full container shipping lines. This paper intends to investigate and to analyse the current passenger shipping marker for China, and to apply to Mokpo which has a project to open passenger shipping route for Shanhai,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