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를 통한 지역역사지리의 구성 - 충남 부여군을 사례로 -

        권선정(Seonjeong Kw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지역지리(regional geography)는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지리학의 오랜 전통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자연ㆍ인문현상이나 그들 사이의 관계를 함께 관심 갖는 분야이다. 본고에서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지역지리의 구성을 비판적으로 고민하면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습 즉 지역민이나 외부인 들에게 해당 지역의 생김새를 어느 정도 그려볼 수 있게 하는 실제적인 지역 지리의 구성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지역이 경험해 온 역사적 변천에 대한 관심인데, 이는 현재적 시점 중심의 지역지리 구성에 대해 시간 요소를 접목시키는 역사지리적(historical geography) 접근을 말한다. 다음으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특징적인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관심인데,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수많은 파편 중에서 지역의 차이나는 모양새 소위 지역정체성 (지역성) 구성을 위한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지리 구성이다. 여기서 ‘역사문화 경관 및 장소’는 역사적 사건이 관련되어 있거나 지역민에게 의미 있는 경험대상으로 유지돼 온 물질적, 언표적 공간텍스트로서 지역을 구성하고 있는 파편 조각들 즉 수많은 시간 지층을 머금고 있는 역사지리적 접근대상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관심과 관련해 구성되는 지역지리를 본고에서는 지역역사 지리(regional historical geography)로 규정하고, 충청남도 부여군을 사례로 지역의 전통적 모습이나 주요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시간단면 상의 지리적 재현물 즉 ‘역사문화 경관이나 장소’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사례 지역인 충남 부여군은 흔히 ‘백제의 고도(古都)’, ‘백제문화 권’으로 알려져 있고 지역민이나 지자체에서도 백제 또는 백제시대를 빼놓고 부여를 생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이다. 이러한 현재적 입장에서의 부여 지역의 장소 의미 구성은 부여군 소재 대표적인 역사문화 경관으로서 국가지정문화재를 비롯한 국가등록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도문화재자료, 향토유적 등의 시기별, 지역별 분포 상황을 통해 충분히 의미가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의 부여군은 ‘백제의 고도’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현재의 부여읍 일대를 포함한 부여현(扶餘縣)만이 아닌 석성현(石城縣), 홍산현 (鴻山縣), 임천군(林川郡) 등 조선시대 네 개 군ㆍ현이 함께 유지되어 온 지역이다. 이에 ‘백제의 고도’로서 부여의 장소정체성과 관련된 역사문화 경관 외에 조선시대 부여 지역 각 군ㆍ현의 행정중심지였던 읍치(邑治)에 주목하여 부여 지역의 전통 중심지 및 공간구성, 길 체계 그리고 근대 이후 국토공 간의 재편 과정에서 경험한 지역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함께 탐색해 보았다. 특히 전통도시 읍치가 갖는 역사적 장소성과 관련해 읍치 진산과 주산에 대해서도 주목하였다. Regional geography is a long tradition of modern geography that has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It is an approach that has studied both natural and human phenomena of the reg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m. In this paper, while critically considering the current regional geography, I tried to propose an different approach of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which is able to draw a picture of the regional difference, regional approximate appearance to the regional people or outsiders. The first is the interest in the historical transition that the region has experienced, which refers to a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hat incorporates the time factor into the geograph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time. The next is the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 landscape or place that constitutes the region. They may be a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and place that could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ies and localities. Her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are spatial fragments that constitute the region as material and linguistic texts that have been associated with historical events or have been meaningful experiences for regional people. Such landscapes and places are the meaningful objects of historical geography for constructing regional geography. In this paper, I d like to defin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as an approach with regard to these problematic considerations. And then I tried to construct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f Buyeo County, Chungnam Province through the geographical representations,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 on the cross-section of time which can identify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major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Buyeo County is often known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 It is almost impossible for regional people and local governments to think about Buyeo County without Baekje Kingdom or Baekje era. In this present position, it could be possible enough to construct the regional identity of Buyeo County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or Baekje cultural area through some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in Buyeo County such as the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and the regional remains, etc. However, we should not forget that the current Buyeo County includes the current Buyeo-eup area directly related to Baekje, but also other prefectures such as Seokseong-hyeon, Hongsan-hyeon, Imcheon-gun in the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it is an area where four counties and prefectures have been kept together for a long time. So, in addition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related to the regional identity of Baekje as the ancient capital of Baekje , I had to focus on Eupchi which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and the regional transportation node of each county and prefecture in the Joseon Dynasty. I think that Eupchi could be a clue and passage to explore the traditional appearances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region. It shows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region experienced in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the traditional center and space composition, the road system, etc. In particular, I have also paid attention to Jusan and Jusan of fengshui, the Korean traditional geography, in connection with the historical place meaning of the Korean traditional city Eupchi.

      • KCI우수등재

        The Shaping and Progress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Since 1945

        Keumsoo Hong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4

        현대 역사지리학은 일제강점기 일본 여러 대학의 지리역사과에서 수학한 1세대 지리학자, 특히 노도양의 선구적인 활약에 힘입은 바 크며, 1960년에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이찬에 의해 본격적인 출발과 비약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었다. 사우어의 문하생인 니펜의 지도를 받은 연유로 이찬은 답사와 문헌자료에 입각한 버클리 학파의 방법론을 한국에 이식하였으며, 1988년에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를 창립하여 과거의 지리와 지리적 변화에 관심을 가진 학자의 역량을 결집하는 구심체로 삼았다. 2세대 학자가 양산된 1980년대 이래 한국 역사지리학은 케임브리지 학파의 단면법의 성과를 수용하면서 연구의 활성화를 기하고 있으며, 주제와 방법론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Korean historical geography as a distinct subset of modern geography began with the pathbreaking efforts of Do-Yang Roh in the second half of the 1940s. He was joined in 1960 by founding father Dr. Chan Lee who carried with himself the Berkeley geography he learned from Fred Kniffen, his advisor, and Robert West at Louisiana State University. Dr. Lee, the single-most important figure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ical geography, founded in 1988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in order to pull together those interested in past geographies and geographical change. Korean historical geography took off in the 1980s when large numbers of doctoral theses were produced domestically and abroad and British cross-sectional methodology added. Diversity in research theme and methodology characterizes present-day Korean historical geography.

      • 지역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역사부평’의 문화경관과 지역 정체성

        전종한(Jong Han Je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6 기전문화연구 Vol.37 No.-

        지역역사지리학(regional historical geography)이란 역사지리학의 하위 분야로서 어떤 지역(a region)을 매개로 그곳에서 전개된 자연과 인간의 관계, 지역적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환경과 문화와 역사의 연동 관계를 구명하려는 분야이다. 본 연구는 지역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적으로는 부평 지역, 시간적으로는 전근대 시기, 달리 말해 소위 ‘역사부평’의 지역 정체성을 궁극적 도달점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여러 선행 연구를 토대로 지역역사지리학의 전통적인 주제들을 추출한 다음, 이를 부평 지역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의 세부 테마들을 선정하였고 이들을 역사부평의 지역 정체성에 접근하기 위한 기본 내용 체계로 삼았다. 첫째, 지역의 정체성과 지역 이미지를 가장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대표 지명과 그 의미, 둘째, 부평의 치소 입지와 권력 공간의 구성, 셋째, 지역의 지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과 인지, 넷째, 인문지리의 핵심 요인인 주요 사회집단과 인물(주요 성씨 집단과 배출 인물), 다섯째, 지역 경제의 단면을 알려주는 주된 생업 기반과 인구 분포, 여섯째, 지역문화를 표상하는 문화경관 및 상징적 장소들, 일곱째, 시간에 따른 지역의 변모과정을 엿볼 수 있는 경관 변화 및 지역구조의 변동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역역사 지리학의 기본 내용 체계를 어떻게 구성할 것이며 구체적 서술 방식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지를 위한 유의미한 실험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is a subfield of historical geography. It is a fiel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having been developed there through a certain reg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environment, culture and history in the local context. In this study, the regional identities of so called historic Bupyeong , i.e. that of premodern Bupyeong, were set as the ultimate destination of study from the viewpoint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To this end, the author extracted traditional major themes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based on several previous researches, then applied them to the historic Bupyeong, and selected seven themes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ve name and its meanings that represent the regional identities and regional image most implicitly; second, the composition of historic Bupyeong s location and composition of the space of power; third, th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ographical environment; fourth, the major social groups and figure(major genealogical groups and its great figures); fifth, the main employment base and population distribution; sixth, cultural landscapes and symbolic places representing local culture; seventh, the landscape changes and the dynamics of regional structure that would show the changing process of the region through time. These seven themes consists of the framework of concents to approach the regional(local) identities of historic Bupyeong.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n meaningful experimental example of how to construct the contents framework of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and how to develop a specific narrative method to regional historical geographies in Korea.

      • KCI등재

        한국사에서 ‘문화권’이란 무엇인가

        장석흥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논총 Vol.41 No.-

        This article has been written in order to newly try study of regional history by dividing Korean historical culture as “Cultural area”. In traditional society, Korean historical culture had been developed in limited areas as build up living communities. Thus conditions of physical geography and socioeconomic backgrounds made each people’s lives different. In this process, historical culture areas of homogeneity could be created by mingling with living spaces, academic lines, zone of marriage networks and trading areas. The term “Cultural area” is conceptualized this historical culture spaces. Cultural area was formed by depending on conditions of physical geography in contrast with administrative district. Mostly cultural area was divided as “River cultural area”, “Mountain cultural area” and “Island cultural area”. Therefore, western part of Korea that has many livers was formed “Cultural area” around the rivers. On the other hand, eastern part of Korea that has many mountains was formed “Cultural area” around mountain and basin. Cultural area was existed as a historical being that had an each different aspect. Tamla (Jeju Island) cultural area that mixed farming culture and marine culture had been keeps its peculiarity and originality in 1,500 years. Kyungju cultural area was developed by Silla's history of 1,000 years. Andong cultural area that formed by Yi Hwang's academic line was inherited for 500 years. These “Cultural area” could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dentities through such a process. Korea cultural area divided 20~30 cultural areas by historical culture sections. These cultural areas formed the basis of developing Korean historical culture. Investig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area's characteristics is positively necessary for opening a new prospect of Korean history studies that was biased towards central history. 이 글은 한국의 역사문화를 ‘문화권’으로 구획하여 지역사 연구를 새롭게 시도하려는 뜻에서 작성한 것이다. 전통사회에서 한국의 역사문화는 일정한 지역을 무대로 삼아 생활공동체를 형성하면서 발전해 왔다. 그리고 자연지리적 조건 및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각기다른 삶의 자취를 남겼다. 그런 과정에서 생활권, 학맥, 통혼권, 상권 등이 어우러지며 동질성의 역사문화 공간을 구축할 수 있었던 바, 문화권이란 그 같은 역사문화의 공간을 개념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화권은 행정구역상의 구분과 달리 자연지리적 조건에 따라 형성되었으며, 대체로 강문화권․분지문화권․산문화권․섬문화권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리고 한국의 지형으로 볼 때 강이 발달한 서부 지역에서는 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문화권이 형성되었고, 산악으로 이어진 동부 지역에서는 주로 분지와 산을 중심으로 역사문화를 일구어 나갔다. 그리고 문화권은 역사적 생명체로서 각기 존재 양상을 달리하였다. 농경문화와해양문화가 어우러진 탐라문화권의 경우 육지와 달리 1천 5백 년 동안 고유성과독자성을 유지할 수 있었고, 신라의 경주문화권은 1천년의 역사 문화를, 퇴계 학맥을 근저로 조선시대에 형성된 안동문화권의 유교문화는 5백년의 세월을 두고계승, 발전되어 갔다. 그런 과정에서 이들 문화권은 각기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었다. 우리 역사문화의 갈래로서 2,30여 개의 크고 작은 문화권이 존재하고, 이들 문화권이 한국 역사문화를 일구어내는 토대가 되었음은 분명하다. 역사적 생명체로서 문화권의 자취와 성격을 규명, 복원하는 작업은 중앙사 중심에 치우친 한국사연구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일 것이다.

      • KCI등재후보

        문화·역사지리의관점에서 본중등학교역사교과서

        김한종 한국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연구 Vol.- No.15

        There is the intimate relations between history and geography. Geographical viewpoint is necessary to effective history learning. This study analyzed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on the view of the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The analysis criteria of this study are‘ the interaction of people and environment’,‘ historical meaning and change of region’and‘ culture diffusion and mutual exchange’, which are main concepts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This study analyzed Middle School History and High School Korean History published in Mirae N. mostly and the history textbooks of other publishers when necessary. The relation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is unilaterally described in history textbooks. The descriptions of history textbooks focused on geographical environmental influence on people, or emphasize environmental change by people’s activities on the contrary. But history textbooks didn’t describe the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History textbooks didn’t regard the region as the complex of cultural elements. The regions were described as examples of national history or historical sites. Most contents of them were national history, and their descriptions were concerned on natural environments. Recently, people’s specific lives and historical understanding with multiple viewpoint have been valued in the history educatio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with pluralistic viewpoint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in history education. Contents of life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have been increased, and the cultural exchange and diffusion has been emphasized in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But historical changes are still focused on political and economic history, and life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are described separately from politics or economy. The culture as the complex of people’s viewpont and activity was seen in history textbooks. 역사와 지리는 상호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효율적인 역사학습을 위해서는 지리적관점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서술내용을 문화·역사지리의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의 기준으로 삼는 것은 문화·역사지리의 주요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지역의 역사적 의미와 변화, 문화 전파와 교류이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주로 (주)미래엔에서 나온『중학교 역사』(상)·(하)와『고등학교한국사』이다. 그밖에 필요할 경우 다른 출판사의 교과서를 검토하였다. 역사교과서는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일방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지리적 환경이 인간에게미친 영향에 초점을 맞추거나, 반대로 인간의 활동이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켰는 지 서술하였다. 그렇지만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상호작용의 관점으로 보는 서술은 나타나지 않는다. 역사교과서에는 문화요소의 복합체로서 지역이 나타나지 않는다. 역사교과서에서 지역은중앙 역사의 사례이거나 문화유적지로 등장한다. 역사교과서가 국가사를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으며, 지역의 자연 환경에만 관심을 쏟기 때문이다. 근래 역사교육에서도 인간의 다양한 삶과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를 강조한다. 이에 따라 역사교과서에도 생활사나 문화사 서술이 늘고 있으며, 문화 교류와 전파에 관심을 쏟는다. 그러나 역사 변화를 정치, 경제사를 중심으로 서술하는 경향이 바뀐 것이 아니라, 이와는 별개로 생활사와 문화사를 서술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관점과 행위와 가미된 복합체로서 문화는 찾아보기 어렵다.

      • KCI등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창립 후 20년(1988-2007) 발전과정

        이은숙(Eunsook Lee)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 역사 지리 Vol.21 No.1

        Since its foundation, the Association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ers has mainly dealt with the issues such as Koreans' traditional perspectives on geography, perceptions about environment, Korea's history and culture embedded in the cultural landscape,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ical phenomena. During the initial ten years, the active research of th korea's traditional geography of the Association became the well-established area of Korean studies. The following ten years of the Association were devoted to studies of old map, Feng Shui landscape and the building of general system of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t the same time, one observes an increase of the studies adopting the cultural and ecological approach as a way to address environmental problems. To connect modern human geography and traditional geography, there have been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toponyms or contemporary diaspora. Young geographers in particular have been trying to use cultural-political or social-economical approaches regarding historical changes in society and culture, and to apply systematic approaches to the formation of culture. 1988년 창립이후 한국문화역사지리확회는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전통적 환경지각 방식, 문화경관에 각인되어 있는 우리역사와 문화, 과거 문화역사지리적 현상의 복원 등을 주요과제로 삼았다. 처음 10년 동안은 한국의 전통지리학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국학연구의 한 분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다음 10년 동안은 고지도나 또는 풍수경관 등 전통지리학연구의 증가와 함께 종합적 체계구축을 위한 노력을 하여 왔다. 한편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문화생태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가 증가되었으며, 현대 인문지리학과 전통지리학의 연결방안의 하나로 다학문적 접근을 시도한 지명 연구, 현대 디아스포라 연구 등 많은 성과를 올려TEk. 특히 젊은 지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방법론적 대안으로 신문화지리학적 접근, 사회와 문화의 역사적 변동에 대한 문화정치적 접근, 사회경제적 접근, 문화 형성에 대한 구조적 접근도 시도되고 있다.

      • KCI등재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Localised Modernity of Korea : Cultural Geography of Family and Kinship

        송원섭(Wonseob, So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4

        본 논문은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서양에서 설정된 근대성이라는 개념의 획일성을 해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영미권과 한국의 문화역사지리학 분야에서 근대성 연구들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이루어진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문화역사지리학의 인접학문분야인 인류학에서의 근대성 연구들을 통하여 다중적 근대성이라는 것은 가족 또는 친족을 통한 분석에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결론부에서는 신문화지리학에서의 경관개념을 바탕으로 수행되는 가족 또는 친족 연구가 다중적 근대성의 지리학에 접근하게 위해 매우 효율적인 하나의 연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This paper is organized around three major themes. The first objective is to look at multiple modernities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Second, in science research, localised modernity and family studies can empirically confirm the existence of multiple modernities. The third is a landscape-directed human geographical imagination for the study of localised modernity. I will demonstrate how multiple modernities are possible in Anglophone and South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s a result of this previous literature review.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laced on geographical studies of Eurocentric and Westerncentric modernity in Anglophone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fter that, the chapter will discuss how contemporary historical geographers have cast doubt on Eurocentric and Westerncentric modernity studies and proposed multiple modernities. I will use social anthropology to demonstrate that the existence of multiple modernities, a concept introduced into Anglophone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s modernity studies, can be empirically confirmed. By arguing that ‘family or kinship’ should be a critical lens through which to examine the concept of localised modernity, the concept of multiple modernities will be emphasized.

      • KCI등재

        A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Localised Modernity of Korea - Cultural Geography of Family and Kinship -

        송원섭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1 문화 역사 지리 Vol.33 No.3

        This paper is organized around three major themes. The first objective is to look at multiple modernities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Second, in social science research, localised modernity and family studies can empirically confirm the existence of multiple modernities. The third is a landscape-directed human geographical imagination for the study of localised modernity. I will demonstrate how multiple modernities are possible in Anglophone and South Korean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s a result of this previous literature review.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laced on geographical studies of Eurocentric and Westerncentric modernity in Anglophone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After that, the chapter will discuss how contemporary historical geographers have cast doubt on Eurocentric and Westerncentric modernity studies and proposed multiple modernities. I will use social anthropology to demonstrate that the existence of multiple modernities, a concept introduced into Anglophone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s modernity studies, can be empirically confirmed. By arguing that ‘family or kinship’ should be a critical lens through which to examine the concept of localised modernity, the concept of multiple modernities will be emphasized.

      • KCI등재후보

        Landscape Changes in a Local Lineage-based-Village of South Korea: The Hidden Geographies of Darsil Village, Gyeongsangbuk-do Province

        송원섭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9 한국고지도연구 Vol.11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 and people of a certain local lineage-based-village of Korea through the concept of a ‘precarious peace’. During the last 40 years, based mainly on the notion of Neo-Confucianis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of the local lineage-based-villages of Korea has been explored not only by Anglophone and Korean but also by Korean human geographers. Despite of the great achievement of their research, it seems to be hard to say that multifaceted-conceptual approaches – peace, materiality, landscape, modernity, etc. - to the local lineage-based-villages of Korea has been unveiled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Using GIS data analysis, on the land registry records of Darsil village between the 1910s and the 1970s-1980s and 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the villagers, the paper shows that water conflicts for rice cultivation of the village was an ever-present danger, threatening the collapse of the community of Darsil village before the 1970s-1980s. From this empirical basis, a concept of peace as a precarious socio-spatial process emerges, contributing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 for the local lineage-based-villages of Korea.

      • KCI등재

        문학사 교육과 문학 문화 - 최남선을 중심으로 -

        오문석 ( Oh Moon-seok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49 No.-

        최근 교육현장에서 문학사 교육은 축소 위기에 직면해 있다. 처음에는 과거의 문학사 교육이 단편적 지식의 암기 교육에 그쳤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지식의 암기보다는 문학적 경험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문학적 경험과 문학적 실천이 강조되면서 지식을 강조하는 문학사 교육이 퇴조하게 되었다. 하지만 본 논문은 문학사 교육이 지식의 주입에서 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문학사 교육에 문화사 개념을 도입하면 지식 중심의 기존 문학사 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문학사 교육에서는 문학 개념을 당연한 것으로 전제하는 경향이 있다. 문학사 교육은 문학의 정전을 전수하고 보존하는 방법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문화사의 관점을 도입하면 문학은 이미 완성된 것이 아니라 생성과정에 있는 유동적인 대상으로 간주된다. 문학은 문화적 산물인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사 교육에 문화사의 관점을 도입하면 문학이라는 것이 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변형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문학사 교육은 고정된 지식의 전수 방법이 아니라 문학의 생성 배경을 확인하는 과정이 된다. 최근 문화적 환경의 급변으로 인해 문학 교육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문자 매체에 의존하는 문학을 구시대의 유물로 간주하는 태도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과거의 문학 정전을 전수하려고 노력하기보다는 문학이 문화적 산물이며 지금도 생성 중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문학 문화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문학사 교육은 과거의 지식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의 현재적 상황을 이해하는 바탕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그 사례로서 문학 개념에 큰 변화가 있었던 개화기를 선정하고, 최남선의 문학적 실험에 전제되어 있는 문화적 배경을 해명하고자 했다. 창가와 신체시와 같은 실험적 작품들은 최남선의 문화적 사명감이 반영된 결과물임을 알게 되었다. 그것이 `바다`에 대한 새로운 관점, 그리고 역사 지리학적 전망에서 비롯된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문학 문화 개념이 문학사 교육에서 새 방향을 제시해줄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confronts a crisis of reduction from the university curriculum nowadays. At first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rejected by the critical comment that the education on the history of literature had been only a memorizing education not a direct abundant experience concerned with literature. However taking lesson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not just a acquisition of some new literal knowledge but a process of confirming the background of producing literature. Literature is a creature of the culture. Therefore the works of literature remained in the history are not the fixing canons as like a museum specimen. The circumstance around literature is rapidly changing a lot. Literature is regarded as the remains of the old era because a letter not a picture or a screen is the medium that conveys the contents of literature. So today we need the teacher in the literature class who let the student know the new discovery that literature is not the unchangeability in the narrow history of literature but the fluid object in the wider history of culture. The literature experiments by Choi, Nam Su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re the good examples for this pedagogic argument which the history of literature should be included in the history of culture. The great change in the concept of literature happened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in Korea. Choi, Nam Sun, the brilliant poet and critic and publisher created the serial experimental works as like a song named `Chang-ga` or a new-style poem named `Sin-che-si` grounded on the cultural mission of the age. He introduced korean a new angle on a `sea` and completed the mission with the considerate prospect from historical geograph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onfirm that the concepts of the literature as a culture phenomenon will show us a new direction in the class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