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통섭 교양 과목은 왜 필요한가 -지적 통섭과 실천 통섭을 중심으로

        신종천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5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liberal arts education focused on the concept of consilience and concretizes consilience liberal arts into intellectual consilience and practical consilience, in order to consider why the sort of liberal arts that applies consilience thinking is necessary in the post-human era. Consilience refers to a harmony between disciplines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convergence, a method that achieves convergence between disciplines, and a tool that connects life and disciplines. Convergence as a result and consilience as a process also make a difference in the types of talent a person possesses. Convergence-type talent refers to a resultant human who can precisely design linkages with other fields based on expertise in one field, whereas consilience-type talent refers to a generative human who finds issues around them, focuses on those issues, and derives solutions by combining studies and data in various ways. Here, consilience-type talents create questions by observing certain phenomena, combine seemingly unrelated things in their own way, and develop a new framework to answer the questions. Their thinking flow is defined as ‘consilience thinking’. Therefore, consilience liberal arts education focuses on the acquisition of consilience thinking and allows students to reduce their prejudices and fears about other departments or other disciplines, lower the barriers to entry into other departments or other disciplines, and further deepen and broaden convergence thinking in their majors. However, in order to have such an effect in the post-human era, it is necessary for consilience liberal arts to divide into two parts: ‘intellectual consilience’ and ‘practical consilience’. The purpose of intellectual consilience is to make students realize that they can acquire consilience knowledge related to our lives and solve problems around us through consilience knowledge, whereas practical consilience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consilience thinking while creating results centered on actual activities by exploring the problems around them and analyzing the data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본 연구는 통섭적 사고를 적용하는 교양 과목이 포스트휴먼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왜 필요한지를고찰하기 위해, 교양 교육의 의미를 통섭의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와 관련된 통섭 교양 과목을크게 지적 통섭과 실천 통섭으로 나누어 구체화한다. 통섭은 결과로서의 융합으로 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문간 교류와 화합을 의미하는 동시에 학문간 융합을 이루기 위한 일종의 방법론으로서 삶과학문을 연계시키는 도구이기도 하다. 결과로서의 융합과 과정으로서의 통섭은 인재의 유형에 있어서도차이를 만든다. 융합형 인재가 자신이 갖고 있는 전문성을 중심으로 융합 가능한 범위를 미리 상정하고그 결과를 예측하는 결과지향적 인간을 말한다면, 통섭형 인재는 자신이 공감하는 문제에 따라 융합가능한 범위를 변화시키면서 솔루션을 도출하는 문제지향적 인간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통섭형인재는 어떤 현상을 보면서 질문을 생성하고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 서로 연관이 없어 보이는 것들을나만의 방식으로 조합하고 재배열하며 새로운 틀을 구상해내게 되는데,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사고의흐름을 통섭적 사고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통섭 교양 교육은 통섭적 사고의 체득에 초점을 맞추어학생들로 하여금 타 계열 또는 타 학문에 대한 편견과 두려움을 줄여주고 나아가 타 계열 또는 타학문으로의 진입장벽까지 낮춰 전공에서의 융합적 사고를 깊고 넓게 만들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만, 통섭 교양 과목이 복잡한 관계적 특성을 갖는 포스트휴먼의 시대에 그와 같은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지적 통섭’과 ‘실천 통섭’의 두 파트로 나누어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지적 통섭이 학생들로 하여금우리 삶과 관련된 통섭적 지식을 습득하고 우리 주변의 문제를 통섭적 지식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음을깨닫게 만드는 것이라면, 실천 통섭은 학생들 스스로 자기 주변의 문제들을 탐색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필요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실제 활동 중심의 결과물을 만들어내면서 통섭적 사고를 체험하게만드는 것이다.

      • KCI등재

        통섭론의 비판적 이해를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통섭 논의의 방향 탐색

        허영주(Hur, Young-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1

        이 글은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통섭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며, 이를 통해 교육에서의 통섭 논의에 적합한 통섭의 개념과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통섭을 통섭(統攝)으로 개념화하고 이해하고 있는 세 관점과 통섭(通攝)으로 개념화하고 있는 세 관점을 비판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통섭(統攝)은 창조적 통섭(統攝)으로, 통섭(通攝)은 비판적 통섭(通攝)으로 개념화해야 함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에서의 통섭 논의는 통섭의 대상에 따라 차별화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교육학 기초학문분야 내의 통섭, 교육실천 학문분야의 통섭, 교과교육학을 위한 통섭, 교육이론과 실천의 통섭은 창조적 통섭(統攝)으로 방향을 잡아야 하며, 교육학 기초학문분야 간의 통섭, 교육학 기초학문분야와 실천학문분야의 통섭은 해석학적ㆍ비판적 통섭(通攝)으로 방향을 잡아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학과 타학문분야와의 통섭, 교과내용학의 통섭은 해석학적ㆍ비판적 통섭(通攝)과 창조적 통섭(統攝)의 두 차원에서 모두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에서의 통섭을 위해서는 통섭 목적의 수립, 조심스러운 개인 간 통섭, 진정한 개인내 통섭의 순차적 과정을 밟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연의 확대와 함께 내연의 충실이 통섭성공의 조건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represent different perspectives and explanations on consilience, and to provide appropriate concept and theory for consilience in education studies. So, it is explored that consilience theory of Wilson, Wilber, Whitehead, Deleuze, Wonhyo, Park Younggun. And it is provided that consilience as integration of knowledge is same creative consilience, and consilience as communication of knowledge is same critical consilience. Also, and it is proposed that used different consilience concept and theory following target of consilience for education studies. Consilience for foundational area of education, practical area of education, subject-educatio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re oriented towards creative consilience as integration of knowledge. But consilience between foundational area of education, and consilience for foundational and practical area of education are oriented towards hermeneutical-critical consilience as communication of knowledge. Also, consilience education and various disciplinary, consilience of curriculum are oriented towards both hermeneutical-critical consilience and creative consilience. Finally, it is proposed that solve the questions in consecutive order as check consilience's purpose, consilience of interindividual and consilience of intrapersonal for consilience of education studies. Also, it is proposed that strive to secure and deep educational studies in company with consilience.

      • KCI등재

        새로운 학문통합 프로젝트로서의 통섭에 대한 철학적 반성

        오용득(Oh, Yong-deuk)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2 No.-

        윌슨이 제안한 통섭은 사실상 계몽주의와 논리실증주의의 학문통합 이념을 계승한 새로운 학문통합 프로젝트이다. 『통섭』에서 윌슨은 모든 학문의 주제들을 진화생물학의 원리에 따라 설명할 수 있도록 그 기초를 다시 조직함으로써 계몽주의와 논리실증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명실상부한 학문통합을 성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통섭에 대한 많은 반론들이 제기되었다. 환원주의에 대한 반론, 학문들의 기능 통합에 대한 반대, 통섭의 정치적 함의에 대한 비판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반론들은 모두 통섭의 이론체계 외부의 논거에 의거한 반론들이며 통섭과는 다른 언어게임에 준거하는 주장들로서, 통섭에 대한 결정적인 반론이 될 수 없다. 이에 논자는 통섭의 논리에 내재하는 하나의 난점에 주목했다. 윌슨은 통섭이 인간 종의 진화적 이점을 제공한다고 주장하지만 진화생물학의 원리에서 볼 때 그런 식으로 학문을 통합하는 것은 오히려 인간 종의 진화적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 그것이었다. 통섭이 이러한 내재적 난점을 극복한다 하더라도, 다른 언어게임에 준거한 반론들이 제기될 수 있다는 사실은 또 다른 의미에서 통섭의 한계를 드러낸다. 통섭이 그러한 반론들에 대해 자기 자신을 규정하는 언어게임에 입각하여 재반박하는 것은 원리상 불가능하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통섭은 유일한 통합학문이 아니라 진화생물학이라는 하나의 언어게임에 입각한 하나의 세계관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것은 자연과학·사회과학·인문학의 모든 문제들이 진화생물학의 원리에 따라 설명될 수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사실이 진화생물학에 준거한 학문의 통합을 정당화하는 충분한 근거가 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consilience proposed by E. Wilson is in fact a new project to unify sciences. The consilience, as it were, succeed to the idea of the unification of sciences executed by the Enlightenment and the Logical Positivism. But these two had ended in a failure. Hence the consilience tried to unify sciences in conformity to the evolutionary biology, to overcome the weak points implicated in the theoretical systems of the Enlightenment and the Logical Positivism. Nevertheless this consilience project has been confronted by many kinds of the objection: refutation to the reductionism, opposition to abandon traditional division of labor in various sciences, criticism on the political ideology implicated in that project etc. But these are not sufficient to pull down the consilience project. For these are based on the other language game than what the consilience is based on. If we would raise an objection to the consilience, we ought to work out a strategy by which the logical aporia in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consilience disclosed. In this paper I pointed out a logical incoherence involved in the theoretical system of consilience. It was that the consilience contains two theses incompatible: the one is that the unification of sciences will give an evolutionary benefit to human species and the other is that the consilience may incur an evolutionary loss to human species. Even though the consilience overcomes the very logical incoherence, it surely confronts with another fault: the consilience can not make a counterattack the objections based on the other language game than what the consilience is based on. In this respect, the consilience seems to be not an unified science but a science founded on a language game.

      • KCI우수등재

        형법의 통섭적 발전가능성 -자연과학을 토대로 한 인간본성과 인간중심적 사고

        김혜경 한국형사법학회 2020 刑事法硏究 Vol.32 No.4

        In recent, consilience or grand integration of knowledge is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in academic field. In order to accept consilience in the criminal law or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consilience development, the following must be decided. First, it will be how to accept the meaning of consilience itself. Consilience, interdisciplinary fusion, convergence, and knowledge congruence, etc. may be used in various terms, but even the same term will be the essence of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opinion that criticizes consilience as reductionism, it is argued that the body cannot be the mind no matter how much analysis it is. In other words, because existence and reason are different in dimension, understanding nature and understanding culture and reason are not at the same level. Second, what does it mean to do or accept consilience? So far, two different studies have merged to create a new academic field. For example, it is not new that law and economics meet to create a discipline called legal economics or ‘law and economics’. Next, it is the question of how consilience achieves academic change or development or retreat. When the criminal law develops consensually, the concept of the criminal law is the same as in the past, but does the system of the criminal law change, or does it have to change the meaning of the constituent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rime to create a system that is different from now? Until now, it has been understood that consilience centers on science, as if all roads lead to Rome. However, if you still have a consilience perspective with the criminal law in mind, should not rule out “human-centered thinking”.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human-centered at this time is not exclusively thinking about things other than humans, but human-centered as a part of nature, including the community to which humans belong. 학문의 대통합을 주장하는 통섭이 주류인 시대에서, 통섭이 무엇인지, 그리고 법학에서 특히 형법에서 통섭적 발전을 한다는 것이 어떠한 방향성을 가지는지는 아직까지 명확하지는 않은 듯하다. 그런데 형법에서 통섭을 받아들인다거나 통섭적 발전가능성을 논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 가지가 선결되어야 한다. 첫째, 통섭 그 자체의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일 것이다. 통섭, 학제간 융합, 융복합, 지식의 합치 등 여러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동일한 용어라도 그 해석을 달리하는 바로 그것의 본질일 것이다. 환원주의라는 비판을 앞장세워 통섭을 부정하는 대다수의 입장은 몸(體)이 어떻게 마음(心)이 될 수 있는가를 반문하지만, 이에 대하여는 환원주의라 하더라도 나쁜 환원주의는 없다는 입장에서는 상생하는 통섭을 강조한다. 둘째, 받아들인다는 것, 통섭을 한다는 것이 어떻게 한다는 것인가? 이미 기존에도 두 개 이상의 영역을 아우르는 학문영역이 존재하였다면 통섭이 그리 새삼스럽게 화두가 될 필요가 있겠는가이다. 셋째, 그리하여 어떻게 학문적 변화 또는 발전/후퇴가 이루어 진다는 것인가의 문제일 것이다. 형법의 개념을 전면적으로 재편하여야 할 것인가, 아니면 형법의 개념은 두되 형법의 체계를 조정하라는 것인지 또는 범죄성립의 구성요건들의 의미를 변화시켜서 범죄성립이 현재와는 다른 방향으로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인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문제이다. 결론적으로 숙고해야 할 바는 그와 같은 통섭의 궁극적인 함의가 무엇인가이다. 지금까지 통섭은 과학을 중심으로,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처럼 모든 학문은 과학을 중심으로 긴 팔을 뻗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형법을 염두에 두고 통섭적 관점을 가진다면 ‘인간중심적 사고’를 배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때의 인간중심적이라 함은 인간이외의 것에 대한 배타적 사고가 아니라, 인간이 속한 공동체를 포함하여 자연의 일부로서의 인간중심이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에서는 우선 통섭의 개념 및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간의 지식의 통합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고(Ⅱ), 통섭, 그리고 자연과학적 발전에 대한 형법의 태도는 어떠하여야 하는지 검토한 후에(Ⅲ), 죄형법정주의, 책임주의 등 형법의 기본이념을 통해 형법이 자연과학과 조우하는 법에 관하여 아주 단편적으로 검토를 한 후에(Ⅳ), 인간본성과 형법의 인간화라는 문제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Ⅴ).

      • KCI등재

        문화기억과 기억융합으로서의 아리랑

        권오경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9 No.-

        Until now, I have researched the way of Arirang consilience with the memorial culture and memorial consilience. At first, I studied about the function and the essentials of Arirang in the point of individual memory, and then I insisted that Arirang be needed as individual culture at first because Arirang is not a local or national song but a personal folk song intuitively. There are four types of changes of Arirang. First, it has changed from individual memory to collective memory. Secondly, it was originally collective memory. Thirdly, it became collective memory artificially. Lastly, it was reconstituted from forgotten memory. And I have researched the successive changing process of Arirang as a song of loss, resistance & overcome, and as culture as of now. In this process, I found that Arirang has changed from individual memory to collective memory. Also the sympathy and change of medium significantly affected the process. On the other side, Arirang has changed from collective memory to individual memory by the contact of genre, interference, and brokenness of genre's frame by the group experience. Also I suggested that in order to create new Arirang culture as cultural consilience we need the memorial consilience. Also the preconditions for the memorial consilience include functional memory, individual memory, stratification of memory, motive of memory, reinforcement of medium, caution for selection of knowledge, consumption patterns, etc. For the memorial consilience, habit-memory(past as present) and imagination of memory(past as future) are needed. And there are three stages for cultural consilience-the stage of remembering, making the memory, and memorial consilience. Typical examples of remember stage is building a museum or recording documents. Arirang festival or contest is related with the second stage-making the memory, and the best example of the third stage-memorial consilience is art consilience. At present Arirang includes not only songs but also culture-poems, movies, plays, items for daily use. Arirang has become a global song that people around the world enjoy and should preserve and transmit. For this reason, fieldwork and study of the Arirang must be restarted basically. Self-activity is also required for creating new Arirang culture. Local governments should preserve and transmit their local Arirang respectively but should not argue that their own local Arirang should represent the whole Arirang. Otherwise, Arirang culture cannot be in harmony, losing the function of social unification. 향토민요는 전승되는 과정에서 적층성과 유동성을 동반한다. 이 과정에서 향유자와 전승자의 기억이 매개되며, 기억의 기능에 따라 소리의 변이가 발생하고, 시대와 매체에 따라 소리의 기능이 달라진다. 민요의 사회적 역할은 담당층의 기억이론으로 접근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민요의 문화융합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아리랑을 중심으로 먼저 살펴보았다. 아리랑은 시대마다, 그리고 소리의 주체에 따라 ‘기억하기’를 되풀이해오면서 개인기억이 집단기억화되기도 하고 집단기억으로서의 아리랑이 개인기억화되기도 하였다. 특히 집단기억으로서의 아리랑은 집단기억하기, 집단기억 만들기, 재구된 집단기억 등으로 다양하게 집단화된다. 한편, 기억의 융합은 곧 과거의 융합을 현재에서 행동하는 것이다. 행동은 깊은 과거의 의식 속에 거의 무의식적, 잠재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순수기억을 선별적으로 불러내서 이것을 현실적으로 활동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기억 융합은 곧 문화융합으로 이어진다. 아리랑의 문화융합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습관적 기억화(과거의 현재화)와 기억의 심상화 과정을 설정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은 다시 기억 중심으로 보면, ‘기억하기단계’-‘기억만들기단계’-‘기억융합단계’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문화융합방안을 살펴보았는데, ‘기억하기단계’에서는 박물관건립 혹은 기록화 사업을 대표적 사례로 살펴보았고, ‘기억만들기단계’에서는 아리랑축제나 경연대회를, ‘기억융합단계’에서는 예술융합을 대표적 사례로 삼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의학 영역에서의 통섭의 개념

        조수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2 신경정신의학 Vol.51 No.6

        현재 여러 학문 분야에서 도입되고 있는 통섭의 개념을 정신의학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과거의 역사를 살펴보고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저자는 첫째, 인간 존재가 원래 통섭적이라는 근거들, 둘째, 정신의학의 발달사, 셋째, 종교와 정신의학과의 관계, 넷째, 정신의학에서 적용되어 온다양한 치료방법들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인간이 기본적으로 통섭적으로 설계가 되어 있다는 점, 정신의학의 발달사에서 원래 통섭적 접근이었다는 점, 다양한 환원주의적 접근을거쳐 원래의 통섭적 모델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 종교와 정신의학과의 관계, 음악치료, 미술치료, 문학치료 등을 고려한다면 영혼이라는 주제가 실제 다루어져 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소견들에 입각하여 저자는 정신의학에 통섭의 적용 모델로 생물-정신-사회-영혼 모델(Bio-Psycho-Socio-Spiritual Model)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new model in psychiatry for understanding the psychopathology and to provide a new treatment modality. Methods In this paper, the author attempted to apply the concept of ‘Consilience’ to the field of psychiatry. Recently, the term ‘Consilience’ has been very popular and has been used frequently across the various academic fields. The original meaning of ‘Consilience’ is ‘to jump (consilience) together (con). ‘Consilience’ was first used by William Whewell and Edward Wilson borrowed it to describe the unity of knowledge. In one word, ‘Consilience’ can be defined as ‘to unify every field of knowledge and science to understand the human being and to improve the life of human being’. Results First, the human being by itself is the integrative being and consilient. Second, the developmental processes of psychiatry show that there are three definite developmental phases,including ‘period of Consilience’, ‘period of diverse development’, and ‘reappearance of period of Consilience’. Third, in terms of historical perspective, the basic attitudes of religion have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asic concept of psychiatry. Finally, the treatment modalities in psychiatry show that integrative methods, including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treatment have been applied.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Bio-Psycho-Socio-Spiritual Model’ is suggested to apply the concept of ‘Consilience’ to the field of psychiatry.

      • KCI등재후보

        교과통합의 관점에서 본 ‘통섭’의 의미와 한계

        김정래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이 논문은 '통섭' 의 개념이 교과통합에 어떻게 관련되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통섭'의 의미를 '정합', '합치', '통일', '통합' 등의 유사어와 관련하여 분석한 다음, '환원적 통섭'과 '가법적 통섭'으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전자는 '본유의 통합'에, 후자는 '배움의 통합'에 적합한 개념임을 확인하였다. 마음의 계발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은 문명의 발달과 맥을 함께 한다. 이 점에서 문명의 발달은 의식고양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의식고양의 과정으로서 '분화'와 '통합'의 의미를 살펴보고, 교과의 특성에 비추어 환원주의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환원주의는 세상을 설명하는 데 요구되는 '본유의 통합'이라는 관점을 제공해 준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인간 활동의 영역이 존재하며 이들 영역이 환원적 통섭의 대상이 되기 어렵다는 한계를 드러낸다. 희랍의 '프락시스'(praxis)와 '포이에시스'(poiesis) 영역이나 유학(儒學)의 '인설'(仁說)의 경우, 환원적 통섭을 가지고 설명하기 어려운 영역이거나 개념이다. 이를 토대로 교과통합의 관점에서 환원적 통섭[統攝]의 한계와 가법적 통섭[通涉]의 실제적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를테면, 교과내용 중 언어화(articulation)되지 않는 영역 문제와 오우크쇼트(Oakeshott)의 '경험의 양상' 문제는 환원적 통섭의 핵심인 '설명'의 기능을 가지고 다루어질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 결론적으로, 교과통합의 논점이 '통섭'이 지향하는 '본유의 통합'보다는 '배움의 통합'에 맞추어진 것이라면, 교과통합 논의는 '환원적 통섭'이 갖는 결정적인 단점인 '학습영역의 축소' 문제가 야기되지 않도록 경계할 필요가 있다. 즉 교육과정 논의에서 '학습영역의 축소'를 경계하기 위하여 '통섭'의 의미는 아이들을 편협한 심성에 매이지 않게 한다는 교과통합 원래 취지에 비추어 '환원적 통섭'보다는 '가법적·융합적 통섭'의 의미를, '수직적 통섭'보다는 '수평적 통섭'의 의미를, 그리고 '統攝'보다는 '通涉'의 의미를 우위에 두고 교과통합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s tried to show whether the sense of consilience can contribute to the problems of curriculum integration. For this, the concept of consilience is to be examined as two forms of it: the additive or confluent consilience and the reductive consilience. As a result of argument in this paper it concludes that there is the limit and pitfall in the concept of reductive consilience to apprehend the curriculum integration. The adoption of reductive consilience for curriculum integration can actually reduce the scopes and boundaries of the contents the pupils should learn in the light of the idea of liberal education. Thus our concern should be focused on the sense of additive or confluent consilience rather than reductive one that Edward O. Wilson has emphasized. As shown in the paper, there are some activities and the fields of knowledge that cannot be reduced to any other activities, and hence ones that we should treat as separate and independent subjects. The concept and the discourse of ren (仁), as adopted in the classical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is to be a quite example for the counter-argument against the Wilsonian consilience. In a word, the argument for curriculum integration under the name of consilience should be tackled not to lessen but to enlarge the scope of various fields and forms of knowledge that pupils have to learn, as it initially aims.

      • KCI등재후보

        광고회사의 커뮤니케이션 전략 트렌드 변화에 관한 연구 -제일기획의 CMC 전략을 중심으로-

        조순호 ( Soon Ho Ch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33 No.-

        요즘 한국 광고업계에 통섭(統攝)의 새바람이 불고 있다. 제일기획을 위시한 한국 메이저 대행사들이 저마다 `통섭`이라는 화두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광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제일기획에서는 2009년 벽두에 `통섭 마케팅 커뮤니케이션(Consilience Marketing Communication)`이라는 새로운 광고 전략을 선포하기에 이르렀고 전사적으로 통섭에 대한 연구 및 적용 방안을 독려하고 있다. 통섭은 시대적 흐름이며 광고업계에서는 필연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음이 분명해진 것이다. 통섭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와 광고 서비스의 궁극적인 목표가 매우 통(通)한다는 사실, 그리고 기존의 IMC 전략으로는 서비스의 한계에 부딪혔다는 전반적인 인식 때문이다. 이제 통섭의 시대가 도래 했다는 것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최근 들어 학계에서부터 활발한 연구 방향이 모색되고 있으며 광고업계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에서도 이를 수용하고 권장하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트렌드 변화를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 하에 연구 방향을 잡게 되었으며 이 논문을 통해 광고업계의 통섭적 마케팅 방안을 분석해보고 조심스럽게 그 방향성 및 비전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Recently, a new wind of Consilience is blowing into the Korean advertising industry. Major advertising agencies, including Cheil Communication,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Consilience, and are exploring measures to apply it to the advertising communication services. Specifically, Cheil Communication set a new advertising strategy called `Consilience Marketing Communic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and has been encouraging the research and application of consilience at the entire corporate level. Obviously, consilience is the trend of times and has become a new trend to which advertising industry has to conform desperately. That is because the implied meaning of consilience and the ultimate goal of advertising service are in mutually consistent context, and there is a general recognition that the existing IMC strategy has not been effective very much in overcoming the constraints of service. Indisputably, the era of consilience has arrived. Recently, academic circles have been exploring the direction for research vigorously, and ordinary companies, as well as advertising companies, began to accept and recommend consilience. This study sets the direction for research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t is necessary to keep a close eye on this shift of trend, and intends to research pertaining to the methods for the consilience service of advertising industry and seek the effective measures carefully.

      • 통섭을 통한 홀리스틱교육의 가능성 연구

        명지원(Myung Ji Wo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1 韓國敎育論壇 Vol.10 No.1

        모더니즘의 요소주의적이고 결정론적 특징은 학문을 분과주의로 나타났으며, 학문 분과간의 소통의 부재는 총체적인 인간 실존의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모더니즘 기획에 대한 성찰적 의미와 더불어 홀리스틱 패러다임(holistic paradigm)으로의 전환이 요청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 학계 내외에서 통용되고 있는 통섭(統攝) 개념과 생태학·시스템적 접근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홀리스틱교육의 개념과 내용을 밝히고, 에니어그램을 통한 환경교육을 접근하는 데 있어서 에니어그램 안에 여러 학문의 내용을 복합적으로 구성하고 연계시켜 통섭과 홀리스틱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홀리스틱교육은 개인적 의식의 고양을 통한 자신과 사회와 역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공존과 연대와 협동으로 건강한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집단지성을 강조한다. 제시한 에니어그램과 스토리모델은 하나의 모델 안에 수많은 학문영역을 포괄하고, 개인과 사회, 우주까지의 영역을 아우르는 의식의 진화 및 개인과 사회의 당면한 이슈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실천하고 해결해야하는지에 대한 큰그림(big picture)을 보여준다. 홀리스틱교육의 접근을 통해 개인 내적 차원에서 우주적 차원까지의 내면세계의 지평의 확대를 통한 문제의식을 제고하고 성찰캐 한다. In this paper, I will assess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thereby try to show the proper way that the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could meet each other. In section Ⅲ, I delineated Wilson's concept of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It is the core of his project of consilience to unify the humanities and the natural sciences through the natural scientific methods and therefore he claims that it is in principle possible to carry out the project of consilience. In section Ⅳ, I examined holistic education - environmental education - through consilience. I dealed with the various types and ways of properly carrying out the transdisplinary approach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 proposed the Gurjieff's Enneagram on model, Story model on environmental education as holistic education through consilience. In section Ⅴ, I showed the prospect and the task of consilience and holistic education. Whole-being education for 21st century is holistic education that is in pursuit of harmony of internal self and neighbor and the universe. From the viewpoint of holistic education and consilience, we need to incorporate the fram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the perspectives in the following: 1) to emphasize a respect for life and relationships among living things; 2) To emphasize earth ecology education and earth community education; 4) To emphasize the education which integrate body, emotions, consciousness, the spirit; 5) To emphasize an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would be real or genuine their communication and meeting.

      • KCI등재

        통섭형 전문인력으로의 미래형 육군 양성 및 관리 방안

        최재호(Choi Jaeho),이신일(Lee Shinil),박요한(Park Yohan),박준형(Park Junhyeong),현종훈(Hyun Jongh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전환, 그리고 코로나 19로 인하여 급변하고 있는 시대의 흐름에 부합하는 육군의 인재 관리 시스템 고안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육군 인재상(3C)에 통섭적 역량(Consilience)을 추가한 4C로의 확장을 주장하고, ‘통섭형 전문인력 양성 및 관리’를 위한 ‘통섭형 리사이클링 인재 관리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통섭형 인재는 기존 육군의 인재상인 3C에서 ‘통섭(Conlilience)’을 추가한 것으로, 다변화 및 돌발적 상황에적극성을 갖고 유연하고 대처할 수 있으며, 상황의 불확실성과 복잡성 속에서 어떠한 형세에도 전투에 임할 수 있는 인재, 인성적 측면을 기반으로 고정관념을 탈피하고, 편협하고 소극적인 자세를 벗어나 창의적이고, 복합적 판단 및 사고가 가능하며, 어떠한 문제든지 적재적소가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의미한다. 육군은 이러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소요 및 획득 – 교육 – 보직 - 평가 및 진급 - 新 조직 문화 구축]의 5 단계를 제시하고 있으나, 본고에서는 이러한 인재 시스템의 합의를 더욱 폭넓게 확장하기 위하여 [채비 – 소요 및획득 – 교육 – 보직 – 평가 및 진급 – 新 조직 문화 구축 – 전역 및 사회 복귀 - 환류]의 통섭형 리사이클링 인재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 기존 과정과 중복되는 단계는 개선을 위한 제언을 첨언하였다. 이를 통해 미래 전장, 미래 환경에 적합한 육군의 인적 자원 관리 전반에 걸친 변화의 방향을 모색한다. This study aims to design a talent management system for the army that is in line with the transition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rapidly changing times due to COVID-19. To this end, they insisted on the expansion to the 4C with the addition of Consilience to the existing 3C of the Army, and devised the ‘Consilience-type recycling talent management system’ for ‘Consilience-type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management’. The concept of ‘Consilience-type talent’ is to add consilience capability to the existing talent of the army. It means that the army has outstanding ability to handle problems in diversified and unexpected situations, and they are capable of fighting in uncertain and complicated crisis. Also Consilience-type people are the talents equipped with humanities knowledge who break the current framework, are willing to voluntarily and creatively meet challenge, and solve any problems immediately in the right place. The Army is presenting the five stages of [Requirement and Acquisition - Education - Position - Evaluation and Promotion - Establishment of A New Organizational Culture] to foster these talents, but in this paper, in order to expand the consensus of these talent systems more broadly, [Equipment - Requirement and Acquisition Education Position Evaluation and Promotion Establishment of A New Organizational Culture Discharge and Return to society Feedback], a consilience-type recycling talent management system was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ere added for steps that overlap with the existing process. Through this, it seeks the direction of change throughout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army suitable for the future battlefield and future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