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김지연(Kim, Jiyeon)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20 동서정신과학 Vol.23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48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measurement tools were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three areas of psychological addiction tendency of adolescent toward smart-phone, psychological control of mother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being u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Mplus7.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measurement variables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each variables. In order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we presum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divided it into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Especially,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factor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criticism. On the other h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impact on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Seco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correlative effect on the tendency to addicted to smart-phone. Among them,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accusations of other people and the weaknes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ddition,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tendency to addicted to smart-phones. Third,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h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y in the path from the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to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mother s psychological control, increases the maternal perception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the tendency of addiction of smart-phone is increase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of parental control and understanding of maternal and emotional control of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child s emotional control and emotional awareness of the tendency of mothers to influence their addiction to older adult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의 초등학생 4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청소년용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인지적 정서조절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해 질문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 통계 프로그램과 Mplus7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하였고,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고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로 나누어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고 특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요인 중 인신공격이 높은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한 반면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타인비난과 파국화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보였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나누어 매개 효과를 각각 살펴 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으로 가는 경로에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이 증가하고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의 매개효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스마트폰 과다 사용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서 자녀측면에서의 접근 방법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고,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조현병 환자와 양극성 I형 장애 환자에서 인지조절 결함의 비교

        진보현,윤혜림,배민재,원승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0 신경정신의학 Vol.59 No.3

        Objectives Cognitive control is an adaptive behavior that requires goal-maintaining ability in response to a dynamically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nd profiles of cognitive control deficits to determine if cognitive control could be a possible candidate as a common pathophysiologic marker of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Methods Three group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mitted schizophrenia patients (n=56), patients in euthymic states of bipolar I disorder (n=52), and healthy control (n=57), who were matched on sex, age, years of education. The Continuous Performance Test of the AX version (AXCPT) was used to evaluate the cognitive control function. Intelligence, psychopathology, and psychomotor speed were also examined. The degree of cognitive control deficits was assessed by the commission error rates, correct response times, and the d’ values. Results Both patient groups performed worse in the AX and BX trials than the healthy control. Both patient groups showed a delayed response in all trials than the healthy control. The d’ value was the highest in the healthy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tient groups. The profile of defects in the two patient groups was the same, with the BX trial having the highest defects in the order of the AX, BY, and AY trial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ognitive control is impaired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I disorder. Impairments in cognitive control are likely to be a possible shared pathophysiological marker for both disorders.

      • KCI등재

        유동 지능에 따른 인지 제어 관련 뇌 활동의 차이 분석

        조수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3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individual differences in fluid intelligence modulates the neural mechanism of cognitive control during reasoning. A four term verbal analogical reasoning task was used with a variation in the degree to which cognitive control was needed to overcome interference from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words. During trials entailing strong cognitive interference, there was a stronger need for cognitive control. In Experiment 1, subjects made more errors and took longer to solve analogies when there was a greater need for cognitive control. In Experiment 2,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in fluid intelligence and the neural mechanism of cognitive control. Individuals with a higher fluid intelligence engaged bilateral anterior cingulate cortex, visual cortex, medial frontal pole, right lateral prefrontal cortex, basal ganglia and the ventral tegmental area of the midbrain to a greater extent when the need for cognitive control in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luid intelligence modulates the activity of the lateral prefrontal cortex,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the visual cortex which are commonly activated across various studies of cognitive control and reasoning and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fluid intelligence showed elevated activity levels in these regions. On the other hand,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which is one of the commonly deactivated regions of the brain showed less deactivation in individuals with higher fluid inteligence. This finding supports previous studies proposing that the default mode activity of the brain may be sustained during task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a high capacity for information processing. 본 연구는 유동 지능(fluid intelligence)의 개인차에 따라 추론 중의 인지 제어(cognitive control) 기제와 관련한 뇌 활동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간섭의 강도가 세 단계로 조작된 유추 추론 (analogical reasoning) 과제가 사용되었다. 인지적 간섭(cognitive interference)의 강도가 높은(낮은) 시행에서는 올바른 추론을 위해 간섭 해결을 위한 인지 제어가 더 많이(적게) 필요하였다. 실험 1에서는 인지적 간섭의 강도에 따른 행동적 수행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피험자들은 인지 제어가 많이 필요한 추론 시행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더 많은 오류를 범했으며 문제 풀이 시간도 길었다. 실험 2에서는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기기(fMRI)를 이용하여 추론 중 간섭을 해결하기 위한 인지 제어 기능이 강하게 요구될 때 유동 지능이 높은 피험자들에게서 활동 수준이 더 크게 증가하는 뇌 영역을 관찰하였다. 유동 지능이 높을수록 유추 추론 시 인지 제어가 강하게 요구될 때, 양반구의 전 대상 피질(anterior cingulate cortex), 시각 피질(visual cortex), 내측 전두극(medial frontal pole), 우반구의 외측 전전두 피질(lateral prefrontal cortex), 중뇌(midbrain)의 복측 피개 영역(ventral tegmental area) 등에서 뇌 혈류 수준이 더 크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맥락의 인지 제어 및 추론 시에 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외측 전전두 피질과 전 대상 피질, 시각 피질이, 추론 중 인지 제어 기제의 작용과도 관련될 뿐 아니라 유동 지능이 높을수록 그 활동 수준의 증가량이 크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인지 과제 수행 시에 활동 수준이 기저선보다 저하되는(deactivate) 영역에 속하는 내측 전전두 피질(medial prefrontal cortex)은 유동 지능이 높을수록 활동 수준이 덜 억제(less deactivate) 되었다. 이는 정보 처리의 역량이 우수한 피험자는 인지 과제 수행 시에도 뇌의 초기 모드 활동이 지속될 수 있다는 기존의 이론을 뒷받침한다.

      • KCI등재

        문장 처리 능력 발달에서 실행 기능의 역할 재검증: 억제인가 인지적 유연성인가?

        남민지,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3

        Cognitive control hypothesis proposed that 4-5-year-old children’s immature inhibitory control leads children to commit unique interpretation errors in processing a temporary ambiguous sentence. However recent findings showed a tendency of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children’s sentence processing ability rather than inhibitory control.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ich component of executive function between inhibitory control and cognitive flexibility, directly relates to 4-5-year-old children’s sentence processing ability. Using flanker task, children’s cognitive flexibility and inhibitory control were measured. A sentence act-out task was also administered to measure children’s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flexibility indexed by sequential congruency effect significantly and uniquely contributed to children’s sentence interpretation errors, after controlling age, working memory, and abilities processing unambiguous sentences. By contrast, inhibitory control was not related to sentence process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ognitive flexibility plays a more crucial role than inhibition in the development of child sentence processing ability, suggesting further that active goal/cue monitoring may be an important aspect of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실행 기능의 하위 요소 중에서 인지적 억제의 미성숙은 만 4-5세 아동들의 문장 해석에서 문장 초기 정보를 억제하지 못하여 오류를 범하게 하고, 문장의 오해석을 수정하지 못하게 하는 주요한 원인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그 간의 축적된 연구들에서는 문장 처리 능력과 억제 능력 발달 사이의 직접적인 관계보다는 인지적 유연성과의 관련성이 더 많이 관찰되어 왔고, 두 요소 중 어떤 요소가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를 검토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 4-5세 한국어 습득 아동들의 문장 처리 발달에 실행 기능의 어떤 요소의 발달이 기여하는 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아동들에게 중의적인 문장을 들려준 후, 문장의 의미를 시연하게 하여 문장 해석의 정확도를 측정하였고, 플랭커 과제를 통해 억제와 인지적 유연성을, 청각 작업 기억 과제로 작업 기억을 측정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연령과 문장 처리 능력의 개인차를 통제하고도 4-5세 아동의 문장 해석 오류에 인지적 유연성은 유의하게 고유한 기여를 하였으나 억제 능력의 설명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실행 기능 발달에서 억제보다 목표 탐지 능력의 발달이 중요하다는 가설과 더불어 문장 처리 발달에서도 억제보다는 목표나 규칙의 변화를 꾸준히 탐지하면서 인지적으로 유연할 수 있는 정도의 발달이 보다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해외 의료관광객이 느끼는 통제력이 서비스 만족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성승,이정기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3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4 No.3

        Receiving medical services abroad is an event that involves a high level of risk and stress for most people. This study proposes and empirically examines perceived control as a factor that has a potential to reduce the stress associated with overseas medical experience and enhance satisfaction with i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n environmental psychology, one’s perceived control was divided into cognitive control, behavior control, and decision control. A research model and a set of hypotheses were constr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ch control on satisfaction and word-of-mouth communications among consumers who had overseas medical service experience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220 Chinese consumers who had visited Korea as plastic medicine tourists. Satisfaction with their service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both behavioral control and decisional control, but not by cognitive control. Thus, Chinese medical tourists prefer to maintain the belief that they are in charge of major decisions associated with the medical procedure, and that the results of the medical procedure will have personally desirable consequences. In addition, satisfaction experienced by Chinese consumers with overseas medical servi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word-of-mouth activ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set of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 KCI등재

        노인 천식에서 인지 기능 장애가 천식 조절에 미치는 영향

        허규영 ( Gyu-young Hur ),예영민 ( Young-min Ye ),문소영 ( So Young Moon ),김주희 ( Joo-hee Kim ),정기석 ( Ki-suck Jung ),박해심 ( Hae-sim Park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구 대한알레르기학회) 201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5 No.1

        Purpose: Assessment of the severity and clinical course of asthma is important for effective disease control. Cognitive and physical impairments occur due to the aging process, which may impact on asthma control. We aimed to evaluate the impact of cognitive function on the assessment of asthma control in older asthmatics as a prospective interventional trial. Methods: A total of 50 mild to moderate asthmatics over 60 years of age were enrolled. Three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asthma control test (ACT), the asthma-specific quality of lif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 Form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dementia version (SNSB-D),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and the Seou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were applied for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67.0±4.9 years, and 30 patients (60.0%) were female.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ACT for determining well-controlled asthma were 91.7% and 39.5%, respectively. Regarding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22 patients (44%) had mild cognitive impairment, 4 (8.7%) had dementia, and 17 (34%) had depression. Total SNSB-D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n ACT score of ≥20 (P=0.015). The ACT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NSB-D results in analyses adjusted for age, sex, education duration, lung function, and depression (P=0.004). Conclusion: We fou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functions, as measured by SNSB-D, and asthma control status, as measured by ACT scores, in older patients with asthma. Therefore, cognitive impairment may be associated with poor asthma control in older asthmatics.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5:34-40)

      • KCI등재

        Optimal Rhythm Control Strategy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Daehoon Kim,Pil-Sung Yang,Boyoung Joung 대한심장학회 2022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52 No.7

        For almost 20 years, data regarding the effect of rhythm control therapy for atrial fibrillation (AF) on cardiovascular prognosis in comparison with rate control therapy has not been conclusive. The safety of rhythm control and anticoagulation therapy has generally improved. Recently, it was revealed that a rhythm-control strategy reduced the risk of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than usual rate control in patients with recent AF (diagnosed within 1 year). Within 1 year after the AF diagnosis, early initiation of rhythm control led to more favorable cardiovascular outcomes than rate control. Early rhythm control reduced the risks of stroke and heart failure-related admission than rate control. Moreover, rhythm control was associated with lower dementia risk than rate control. Finally, early rhythm control treatment was also effective in patients with asymptomatic AF but less effective in older adults. Therefore, in patients with AF, rhythm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at earlier stages, regardless of symptom.

      •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학생-학생, 교사-학생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CASE 활동을 중심으로

        김성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이화교육논총 Vol.11 No.-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과학수업에서의 CASE(Cognitive Acceleration through Science Education)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학생-학생, 교사-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인지수준에 따라 교수학습과정에서의 상호작용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CASE 활동에서 상호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활동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에 비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문제상황에서 변인을 잘 찾아내지 못하고, 원인변인(독립변인)과 결과변인(종속변인)을 잘 구분하지 못하며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변인의 수가 적어 변인통제를 잘하지 못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문제를 인식할 때 문제가 제시되는 상황에 크게 의존하였다.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자신보다 능력이 뛰어난 동료나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였고,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스스로 또는 자신과 마찬가지로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였다. 조 안에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이 토론을 주도하고 있을 경우에는 조원들 사이의 상호작용만으로도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기 때문에 교사의 도움을 크게 필요로 하지 않았다. 그러나 조 안에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이 없거나 토론을 주도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교사의 개입이 있어야 문제인식과 문제해결이 일어났다. 학생들은 변인통제와 관련된 CASE 활동을 하면서 변인통제를 하는데 공통적인 오류의 유형을 나타내었다. 학생들은 변인통제에 있어서 알아보고자 하는 원인 변인을 변화시키고 나머지 원인변인을 통제하는 것이 아니라, 알아보고자 하는 원인 변인을 통제하고 나머지 원인변인을 변화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인지수준이 낮을수록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변인의 수가 적었고, 고려해야 할 변인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변인을 구분하지 못하였다. 학생들은 공정한 실험이란 결과가 같게 나오도록 원인변인을 조절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위의 결과는 CASE와 같이 학생-학생,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집단 협동 토론학습에서, 인지수준이 다양한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인지수준이 높은 학생이 조 내에서 토론을 이끌도록 조를 구성하고, 인지수준이 낮은 학생들도 적극적인 사고활동을 할 수 있도록 조 구성원들 사이에서 메타인지적 질문이 오고가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교사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action pattern of student to student and teacher to student by student's cognitive level on some CASE(Cognitive Acceleration through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in 1st grad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For this purpose, verbal interactions during students were doing CASE activities were audi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And classroom observation and interview with students were carried out. In general, high cognitive level students led the all parts of discussion. Low cognitive level students had difficulties in perception and solving the problem as compared with high cognitive students. Low cognitive level students did not find variables well in a problem situation and they did not discriminate between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y also did not consider various variabl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y have difficulties in controlling variables. Low cognitive level students were able to solve the problem when high cognitive level studenst or teacher gave some hints or assistance in perception and solving the problem. Students were showed some similar patterns of controlling variables. They controlled the independent variable to be changed and changed the independent variable to be controlled. They tended to think that 'fair' test means 'same result' or 'compensation for handicap'. Majority of students preferred CASE activity to normal science lesson. They thought that CASE activity made them think more and encouraged them to interact with peers. On the other hand, these made students feel CASE activity was more difficult than normal science lesson. Students preferred help from peers to teacher when they faced with difficulties during the activities. In conclusion,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interactions during the lesson, first of all, teacher should notice individual students' character and intervene to facilitate the environment for metacognitive interaction. Key Words: CASE activities, Cognitive level, Control variables, Interactions.

      • KCI등재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 인지 및 실천에 따른 비교 연구

        전정숙,최성미,이윤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In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fection control cognition and to practice that dental infection control of dental hospital accreditation. The subjects on the study were dental hygienists in Daegu and Kyungbuk cities from April to May 2015. The questionnaires of this study,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modified and complement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20.0. First, factors of dental infection control according to workplace depended existence chief of dental infection management in small numbers and almost of these don't have programs and education of dental infection control. Thus these found out cognition of not hospital accreditation but also infection control rules in that. Also cognition and to practice of dental infection control showed in difference according to workplace that the protection individual, asepsis procedure, control of dental equipment, control of infectious waste and laundry. Thus these differed that wa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cognitive and to practice dental hospital accreditation and infection control rules in dental hospital accreditation. Finally dental hospital more than dental clinic was awareness that was infection control rules in dental hospital accreditation of cognition and to practice of the infection control. thus that was higher in cognition and to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s above results, in order to minimize the infection prevention in the dental clinic, the regular infection control system an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In the end these dental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should be placed in hospitals to increase cognition and practice. 본 연구는 치과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치과감염관리의 인지 및 실천의 실태, 치과감염관리 인증제 및 감염관리 규정의 인지 여부에 따른 인지도 및 실천도의 차이를 비교·분 석하고자 하였으며, 2015년 4월부터 5월까지 대구·경북치위생사들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근무지 내에 감염관리 담당자는 소수이며 대부분 치과위생사로 진료시간이 길어져 감염관리의 시간적 여유가 없어 소홀히 이루어졌으며, 대부분 감염관리 부서나 감염관리 프로그램이 없다고 하였고, 치과위 생사 대부분이 치과의료기간 인증제 및 인증제 내 감염관리 규정의 유무를 인지하지 못했다. 치과위 생사들은 인증제를 실시하여도 치과 감염 통제의 인식과 실천은 개인 방어, 멸균과정, 치과 장비, 감염관리의 실천도와 인지도는 차이를 보였다. 향 후 치과감염관리의 최소화를 위해서 체계화 된 치과 감염관리 제도와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치과감염관리 인증 지침이 병원에 배치되어 인지도 보다 실천도를 높여야 한다.

      • KCI등재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가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김혜원,이지연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5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late school-aged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anger contro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higher scores o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emotional clarity, increase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cores and higher levels of anger control were found. And emotional clarity had direct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addition,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direct effect on anger control. Second, emotional clarity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anger control.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anger control. Third,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had an effect on anger control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Discussion o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presented.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가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생 41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고,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며, 분노조절을 잘했다. 그리고 정서인식 명확성이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 및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각각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였다. 둘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는 분노조절에 직접 영향도 미치지만,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각각 부분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의 이중매개로도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