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지역 차나무 품종 4월 신초의 카테킨 함량 및 그 생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량 비교

        김주형(Ju-Hyung Kim),반유진(Eu-Jin Ban),문두경(Doo-Gyung Moon),이소진(So-Jin Lee),이동준(Dong-Jun Lee),문제학(Jae-Hak Moon),조정용(Jeong-Yong Cho) 한국차학회 2022 한국차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육종하고 있는 차나무 유전자원의 찻잎 특성을 이해하고자 4월 제주지역에서 자란 차나무 7개 품종(재래종, 금설, 보향, 상목, 참녹, 대차, 야부기다)의 1아2엽 신초를 대상으로 catechin류 함량 및 그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먼저, ODS-HPLC를 이용하여 차나무 품종 별 4월 신초분말에서 caffeine 및 catechin류를 정량하였다. 그 결과, 금설 신초는 다른 차나무 품종의 신초에 비해 총 catechin 함량뿐만 아니라 esterified catechin류인 EGCG와 ECG의 함량이 높았으나, 그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량은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보향 신초는 EGC 함량이, 그리고 보향과 참녹 신초는 EC 함량이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차나무 품종 별 4월 신초에서 real-time qPCR을 이용하여 catechin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차나무 품종에 따라 4월 신초에서 catechin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 발현량은 다소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4월 신초에서 dihydroflavanol 4-reductase (DFR), anthocyanidin synthase (ANS) 및anthocyanidin reductase (ANR) 등의 유전자의 발현량은 total catechin 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4월제주지역에서 생육하고 있는 차나무 7개 품종 신초에서 DFR, ANS 및 FGS가 catechin 생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고품질의 찻잎 생산 및 이를 이용한 다양한 용도의 차 가공품 개발을 위한우리나라에서 육종하고 있는 차나무 유전자원의 찻잎 특성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atechin content and its biosynthesis-related gene expression in six different cultivar tea leaves of Camellia sinensis harvested in April at Jeju Island. The caffeine and catechin contents in tea shoots with one apical bud and two terminal leaves were analyzed by octadecylsilan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expression of the catechin biosynthetic genes was also investigated using 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caffeine content of the tea shoots harvested in April ranged from 1.62 to 1.93 g/100 g dry wt. and the Chamnok cultivar tea shoot had the highest caffeine content among the cultivars. The total catechin content of the tea shoots harvested in April ranged from 5.22 to 7.18 g/100 g dry wt. The Kemsull cultivar had the highest total catechin content. The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nd epicatechin gallate (ECG) contents in the tea shoots of the Kemsull cultivar were 2.93 ± 0.04 and 1.26 ± 0.02 g/100 g dry wt., which was higher than the other cultivars. The EGC content in the tea shoots of Bohyang cultivar was 2.07 ± 0.04 g/100 g dry wt., followed by the Chamnok cultivar (1.69 ± 0.05 g/100 g dry w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levels of dihydroflavanol 4-reductase (DFR), anthocyanidin synthase (ANS), and flavan-3-ol gallate synthase (FGS) and the total catechin content were identified in the April tea shoots. However,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levels of flavonoid 3 ,5 -hydroxylase(F3 ,5 H), and total catechin content were also identifi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FR and FGS are potentially key genes that affect catechin accumulation in tea leaves grown in April at Jeju Island.

      • KCI등재

        스리랑카산 지대 및 등급별 홍차류의 카테킨 성분 분석

        김태욱,최성희,현숙경 한국차학회 2019 한국차학회지 Vol.25 No.4

        Quantitative analysis using HPLC was carried out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catechins in the grades (orange pekoe, pekoe, flowery broken orange pekoe, and broken orange pekoe) and regions (highland, middle, and lowland) produced in Sri Lanka. The catechins of P, FBOP, BOPsp, and FFsp grades of highland Uva teas with unique flavors were also analyzed. In the OP region, the total catechins decreased as the region was lower. In the P grade, the total catechins in the highlands were more than double those in the middle and lowlands, and similar in the middle and lowlands. In the FBOP grade, the total catechin content in the highlands was significantly higher, whereas, in the BOP grade, the total catechin content in the highlands and lowlands was similar, but not in the middle regions. All of the high-grade black teas except for OP grade contained the highest epigallocatechin, and the middle and lowland contained the highest epicatechin gallate content. The catechin content of Uva black tea was higher in pekoe and similar in the remainder of the broken samples. 스리랑카에서 생산되는 홍차류의 등급별(OP, P, FBOP, BOP) 및 지대별(고지대, 중지대, 저지대) catechin류의 함량 및 조성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HPLC를 사용하여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특한향미를 가지는 고지대 우바 홍차류의 P, FBOP, BOPsp 및 FFsp 등급별 catechin류도 분석하였다. 지대별로OP 등급에서는 지대가 낮아질수록 총 catechins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P 등급에서는 고지대의 총 catechins 함량이 중지대와 저지대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고, 중지대와 저지대에서는 거의 동량 함유되어 있었다. FBOP 등급에서는 고지대의 총 catechins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으며, BOP 등급에서는 고지대와 저지대의 총catechins 함량이 거의 동일하고 중지대에서는 적게 나타났다. OP등급을 제외한 모든 등급의 고지대 홍차류에서 EGC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중지대 및 저지대에서는 ECG 함유량이 가장 많았다. 우바 홍차류의 등급별 catechin류 함량은 pekoe에서 총 catechins 함량이 높았고 broken된 나머지 시료에서는 비슷한 함량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모든 등급에서 EGCG 및 ECG 함유량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상피성 암세포주에 대한 녹차 Catechin의 효과

        박정현(Jeong Hyun Park),김대중(Dae Joong Kim),한장희(Jang Hee Hahn),김홍태(Hong Tae Kim),정용욱(Yong Wook Jung),성훈기(Hoon Ki Sung),김주영(Joo Young Kim),송인환(In Hwan Song),성언기(Eon Gi Sung),이융창(Yung Chang Lee)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5

        Catechin은 녹차에서 추출되는 폴리페놀의 주요성분으로 고혈압 및 동맥경화의 예방효과, 당뇨억제효과, 항산화작용, 항암작용 등에 직접 관여하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평양에서 제공받은 녹차 catechin을 이용하여 상피성 암세포주인 A549 (폐암)와 EATC (복수암)세포에 투여한 후 처리농도와 시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 관찰함으로써 녹차의 효과와 작용기전을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실험은 A549 세포와 EATC 세포를 배양한 후 녹차 catechin을 1, 10, 100, 500 μg/ml의 농도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광학현미경, 공초점현미경, 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세포의 구조적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MTT분석, 전기영동, 유세포분석기 등을 사용하여 세포 손상정도를 파악하였다. A549 세포에서는 catechin 1 μg/ml와 10 μg/ml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큰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100 μg/ml catechin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내의 검은 과립들의 수가 증가하였고 층판소체의 손상이 나타났다. 세포주기의 장애가 나타나 DNA 합성전기에 있는 세포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500 μg/ml 농도에서는 층판소체와 사립체의 파괴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고 세포주기의 장애도 관찰되었다. EATC 세포에서는 catechin의 농도가 A549 세포의 경우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세포증식 억제 및 세포손상 효과가 나타났다. 10 μg/ml 농도에서도 세포의 위축과 생존율의 감소가 일어났으며 전기영동상에 괴사되는 세포들이 파악되었다. 100μg/ml catechin을 처리하였을 때 자연사의 형태학적 관찰, 전기영동, 유세포분석 등에서 자연사 과정에 있는 세포들이 많이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녹차 catechin을 배양한 상피성 암세포에 투여함으로서 세포의 생존율과 증식이 억제되었고 그 과정에서 괴사, 자연사, 세포주기의 장애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일련의 세포손상과정을 유도하는 데 있어 세포의 종류, 처리 시간, 농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atechin is main component of polyphenol extracts from green tea, it is associated with prevention of hypertension and atherosclerosis, anti-diabetic effect, antioxidant, antitum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and its mechanism of green tea catechin on epithelial cancer cell lines in various concentrations and durations. For this study, epithelial cancer cell lines, A549 (lung cancer), EATC (Ehrlich-Lettre ascites tumor cell) were used. Inverted, light, confocal and electron microscopes were applied to find morphological changes. MTT assay, flowcytometric analysis, gel electrophoresis were used to compare severity of cellular damages to control after exposure to 1, 10, 100 and 500 μg/ml catechin for 48 hours. In the A549 cells, after 1 μg/ml and 10 μg/ml catechin treatments, there was no notable changes. However, exposure to 100 μg/ml catechin induced increase of cytoplasmic granules, destruction of lamellar body, inhibition of cell cycle, especially G0/G1. In the early phase of 500 μg/ml catechin administration, decrease of cell population, severe destruction of lamellar bodies and mitochondria, derangement of cell cycle were shown. In the EATC, such as those effects occurred after exposure to lower concentration of catechin than in that of A549 cells. After exposure of 10 μg/ml catechin, rounded-up cells and necrotic cells were found. Whereas, most of cells were under apoptotic changes-cytoplasmic condensation, nuclear fragmentation, cellular shrinkage, ladder pattern in the electrophoresis, when administrated 100 μg/ml catechi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xposure of catechin induced severe cellular damage and growth inhibition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And we confirmed that these effects of catechin were involved with apoptosis, necrosis and cell cycle arrest and were quite different according to cancer type. Therefore, much more research would be demanded before clinical application of catechin to human cancer therapy and this study would be the basic source for further study of green tea.

      •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atechin Derivatives from Persimmon Leaf

        Choi, Sang-Won,Chang, Eun-Ju,Kim, Hyo-Jin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1997 응용과학연구논문집 Vol.5 No.-

        감잎으로부터 분리한 catechin 유도체, (+)-catechin(C), (-)-epicatechin(EC), (-)-epigallocatechin(EGC), (-)-epicatechin gallate(ECg), 및 (-)-epigallocatechin gallate(EGCg)의 항산화작용을 in vitro 모델로서 설정한 효소적 및 비효소적 지질과산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가지의 catechin화합물의 DPPH 라디컬포착활성은 등량몰적으로 다음 순으로 증가하였다 : C≤EC<EGC<ECg≤EGCg(p<0.05). 그리고 리놀산자동산화에 대한 그들 화합물의 산화억제력은 EGC<EC<C<ECg≤EGCg≤α-Tocopherol<BHA(p<0.05) 순으로 증가하였다. 다음, 5가지 catechin화합물은 soybeain lipoxygenase(SBL)에 의해 유도되는 지질과산화반응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EGCg가 SBL에 대해 가장 높은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감잎 catechin 화합물의 주된 항산화작용은 catechin 분자 중에 존재하는 gallic acid에 의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ntioxidative activities of (+) -catechin(C) and its derivatives, (-) - epicatechin(EC), (-) - epigallocatechin(EGC), (-) - epicatechin gallate(ECg), (-) -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isolated from the leave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were evaluated by using enzymatic and non-enzymatic lipid peroxidation systems in vitro.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ive catechins increased at equimolar basis in the order : C≤EC≤EGC≤ECg≤EGCg(p<0.05).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catechin for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 EGC<EC<C<ECg≤EGCg≤ α-Tocopherol<BHA(p<0.05). In addition, five catechins inhibited the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by soybean lipoxygenase(SBL), especially EGCg show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SBL.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lloyl moiety in the catechin molecules may be mainly responsible for the antioxidative actions of catechins in persimmon leaf.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녹차 카테킨류의 pH에 대한 안정성 연구

        박영현,원은경,손동주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0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17 No.3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녹차중의 catechin류에 대하여 열수추출 및 HPLC 분석을 통하여 함량을 조사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pH조건이 녹차 catechin류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시판 중인 전남 보성산 녹차의 catechin류 함량은 (+)-catechin > (-)-EGCg > (-)-EGC > (-)-EC > (-)-ECg 순으로 추출되었고 Total catechin류의 함량은 103.72 ㎎/g이었다. 녹차에서 분리·정제되어진 catechin류인 (+)-catechin, (-)-EC, (-)-ECg, (-)-EGCg를 pH 3∼11에 대한 안정성을 흡광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techin류의 pH에 대한 영향을 최대흡수파장 및 흡광도 변화로 보면 pH가 높을수록 (+)-catechin과 (-)-EC은 흡광도가 증가되었고, (-)-ECg와 (-)-EGCg는 최대흡수파장이 증가되었다. 또한 7일간 실온에서 저장하면서 기간에 따른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 산성조건에서는 큰 변화가 없지만 알칼리조건에서는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catechin과 (-)-EC은 알칼리조건에서 흡수파장 400∼430 ㎚에서 저장기간이 길수록 흡광도가 증가되었다. 이는 녹차의 갈변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녹차 Catechin 유도체의 pH 및 저장기간에 대한 영향은 ECg, EGCg에 gallic acid의 결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C, EC의 불안정은 중합반응으로 생각된다. 녹차 catechin 류는 대부분 산성에서 저장기간이 길고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리활성이 강한 (-)-EGCg는 산성에서도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녹차의 기능성 성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pH를 낮게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e five main green tea catechin components such as (+)-catechin,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epicatechin gallate,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from commercial green tea by HPLC. Amounts of catechins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 (+)-catechin > (-)-epigallocatechin gallate > (-)-epigallocatechin > (-)-epicatechin > (-)-epicatechin gallate.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the following green tea catechins to pH in the range from 3 to 11 was studied using of ultraviolet spectroscopy :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 gallate,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green tea catechins were not stable at high pH and that the pH-, and time-dependent spectral alternatives were not reversible. In conclusion, low pH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green tea catechins.

      • SCOPUSKCI등재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 흰쥐 폐조직의 Phospholipae A₂ 활성과 Arachidonic Acid Cascade계에 미치는 녹차 Catechin의 영향

        김미지(Mi-Ji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7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 후 폐조직을 대상으로 폐조직 기능장애를 일으키는데 주된 역할을 하는 혈전생성능을 arachidonic acid(AA) cascade계를 통해 관찰하여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폐혈관 기능장애와 그에 대한 녹차 catechin의 항혈전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과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 군으로 나누고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군은 다시 식이 중 catechin 공급수준에 따라 catechin을 넣지 않은 군(MW group), catechin을 0.25% 급여한 군(MW-0.25C group), catechin을 0.5% 급여한 군(MW-0.5C group)으로 나누었다. 식이와 음료는 자유 섭식시키면서 2주간 사육한 후 2.45 GHz 대역의 주파수를 15분간 1회 조사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후 6일째 동물을 희생시켜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의 실험동물 수는 각각 10마리로 실험하였다. PLA2 활성은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로 30% 증가하였으며 MW-0.25C군은 15% 증가였으나 MW-0.5C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인지질분자종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lyso PE가 MW군에서 47% 증가되었으나 MW-0.25C군 및 MW-0.5C군에서는 각각 18%, 20% 증가되었다. TXA₂ 생성은 MW군에서 50%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catechin 공급군인 MW-0.25C군 및 MW-0.5C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PGI₂ 생성은 MW군에서 31%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catechin 공급군인 MW-0.25C군 및 MW-0.5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따라서 혈전생성지표인 PGI2/TXA2 ratio는 정상군에 비해 MW군에서 43%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MW-0.25C군 및 MW-0.5C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MW군에서 34%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atechin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에 피폭된 흰쥐 폐조직에서는 AA cascade계의 율속 효소인 PLA₂ 활성의 증가와 혈전생성지표로 인식하는 PGI₂/TXA₂ ratio의 불균형이 초래되었으나 catechin은 TBARS 농도를 낮추면서 PLA₂ 활성을 저해시키고 AA cascade계를 개선시킴으로써 항혈전 작용을 나타내었다.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microsomal phospholipase A₂ (PLA₂) activity and the arachidonic acid (AA) cascade in the lungs of microwave exposed rats were investigated. One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ting 100±10 g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normal group and three were assigned to the microwave exposed groups. The microwave exposed groups were sub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dietary catechin supplementation: catechin free diet (MW) group, 0.25% catechin (MW-0.25C) group and 0.5% catechin (MW-0.5C) group. Rats were sacrificed on the 6th day after microwave irradiation (2.45 ㎓, 15 min). The lung microsomal PLA₂ activity in the MW and MW-0.25C groups was 30% and 15% great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MW-0.5C group was observed. The percentage of phosphatidylethanolamine (PE) hydrolyzed in the lung microsome in the MW, MW-0.25C and MW-0.5C group increased by 47%, 18% and 20%, respectively, due to microwave irradiation. The formation of thromboxane A₂ (TXA₂) in the lung microsome was 50% greater in the MW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levels of TXA2 in the MW-0.25C and MW-0.5C group were normal. The formation of prostacyclin (PGI₂) in the lung microsome was 31% lower in the MW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hile the levels of PGI₂ in the MW-0.25C and MW-0.5C group were similar to the normal group. The lung microsomal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centration, which can be used as an index of lipid peroxide was 34% greater in the MW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W-0.25C, MW-0.5C and normal groups. In conclusion, lung function appeared to be improved by green tea catechin supplementation due to its antithrombus action, which in turn controls the AA cascade system.

      • SCOPUSKCI등재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 흰쥐 폐조직의 Phospholipae A<sub>2</sub> 활성과 Arachidonic Acid Cascade계에 미치는 녹차 Catechin의 영향

        김미지,Kim, Mi-J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7

        본 연구에서는 흰쥐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 후 폐조직을 대상으로 폐조직 기능장애를 일으키는데 주된 역할을 하는 혈전생성능을 arachidonic acid(AA) cascade계를 통해 관찰하여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폐혈관 기능장애와 그에 대한 녹차 catechin의 항혈전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지 않은 정상군과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한 군으로 나누고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군은 다시 식이 중 catechin 공급수준에 따라 catechin을 넣지 않은 군(MW group), catechin을 0.25% 급여한 군(MW-0.25C group), catechin을 0.5% 급여한 군(MW-0.5C group)으로 나누었다. 식이와 음료는 자유 섭식시키면서 2주간 사육한 후 2.45 GHz 대역의 주파수를 15분간 1회 조사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 조사 후 6일째 동물을 희생시켜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의 실험동물 수는 각각 10마리로 실험하였다. $PLA_2$ 활성은 마이크로웨이브 조사로 30% 증가하였으며 MW-0.25C군은 15% 증가였으나 MW-0.5C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인지질분자종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lyso PE가 MW군에서 47% 증가되었으나 MW-0.25C군 및 MW-0.5C군에서는 각각 18%, 20% 증가되었다. $TXA_2$ 생성은 MW군에서 50%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catechin 공급군인 MW-0.25C군 및 MW-0.5C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PGI_2$ 생성은 MW군에서 31%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catechin 공급군인 MW-0.25C군 및 MW-0.5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따라서 혈전생성지표인 $PGI_2/TXA_2$ ratio는 정상군에 비해 MW군에서 43%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MW-0.25C군 및 MW-0.5C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MW군에서 34%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atechin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에 피폭된 흰쥐 폐조직에서는 AA cascade계의 율속 효소인 $PLA_2$ 활성의 증가와 혈전생성지표로 인식하는 $PGI_2/TXA_2$ ratio의 불균형이 초래되었으나 catechin은 TBARS 농도를 낮추면서 $PLA_2$ 활성을 저해시키고 AA cascade계를 개선시킴으로써 항혈전 작용을 나타내었다.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 on microsomal phospholipase $A_2$ ($PLA_2$) activity and the arachidonic acid (AA) cascade in the lungs of microwave exposed rats were investigated. One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ting $100{\pm}10$ g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normal group and three were assigned to the microwave exposed groups. The microwave exposed groups were sub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dietary catechin supplementation: catechin free diet (MW) group, 0.25% catechin (MW-0.25C) group and 0.5% catechin (MW-0.5C) group. Rats were sacrificed on the 6th day after microwave irradiation (2.45 GHz, 15 min). The lung microsomal $PLA_2$ activity in the MW and MW-0.25C groups was 30% and 15% great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group and MW-0.5C group was observed. The percentage of phosphatidylethanolamine (PE) hydrolyzed in the lung microsome in the MW, MW-0.25C and MW-0.5C group increased by 47%, 18% and 20%, respectively, due to microwave irradiation. The formation of thromboxane $A_2$ ($TXA_2$) in the lung microsome was 50% greater in the MW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levels of $TXA_2$ in the MW-0.25C and MW-0.5C group were normal. The formation of prostacyclin ($PGI_2$) in the lung microsome was 31% lower in the MW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hile the levels of $PGI_2$ in the MW-0.25C and MW-0.5C group were similar to the normal group. The lung microsomal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centration, which can be used as an index of lipid peroxide was 34% greater in the MW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W-0.25C, MW-0.5C and normal groups. In conclusion, lung function appeared to be improved by green tea catechin supplementation due to its antithrombus action, which in turn controls the AA cascade system.

      • KCI등재후보

        Treadmill 운동과 DNA 및 칡 Catechin 섭취가 흰쥐 생체내 지방조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치호,조진국,이은정,손영희,남혜영,최일신 한국축산식품학회 200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운동부하와 DNA 및 칡 crude catechin의 급여에 의한 생체내 성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조군, 운동부하군, 운동부하+DNA 및 운동부하+DNA+crude catechin 첨가군으로 나누어 사육하였다. 각각 0.4% DNA와 0.1% 칡crude catechins을 해당 횐쥐에 급식시켰으며, 운동부하군은 Treadmill에서 20 m/min의 속도로 6주 동안 운동시켰다. 사육실험종료 후 체중 증체량과 체지방무게를 먼저 칭량한 후, 항산화활성과 체지방조성을 ki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6주후 각 군간의 최종 체중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간장, 부고환주위지방 및 신장주위지방은 운동부하군, 운동부하+DNA 첨가군 및 운동부하+DNA+crude catechin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p<0.05)을 나타냈다. 또, 혈중 phospholipid, cholesterol 및 triglyceride농도는 운동부하군, 운동부하+DNA 첨가군 및 운동부하+DNA+crude catechin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p<0.05), HDL-cholesterol은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 GPT 활성은 각 군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GOT활성은 운동부하를 처리한 군에서 적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TBA가는 각 군간에 유의 차가 없었다. 또, 혈중 NEFA 수준은 운동부하+DNA+crude catechin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이상의 실험에서 운동과 더불어 crude catechin 섭취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혈청지질의 성분의 향상에 보조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Rats(Sprague-Dawl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following four groups, control, exercise only, exercise and the intake of DNA, exercise, and the intake of DNA plus crude catechin. 0.4% of DNA from salmon egg and 0.1% crude catechins from Puerariae thunbergiana roots were fed to the rats. The exercise group was exercised in a treadmill at 20 m/min speed for 6 wks. Body weight and body fat weight of 4 groups were investigated, and the body fat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organs and biochemical test. After 6 wks, body weigh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ose 4 groups, but body fat weight in exercised group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weight of liver, epididymal adipose tissue(E.A.T) and perirenal adipose tissue(P.A.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s of exercise only, exercise and the intake of DNA, exercise and the intake of DNA plus crude catechin(p<0.05). Phospholipi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f serum were decreased by exercise, but HDL-cholesterol level of serum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5). GOT, GPT and glucose levels in serum were slightly decreased by crude catechin, but serum NEFA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crude catechin(p<0.05). Results indicated that excercise with the intake of crude catechin would be helpful for the functional development of the compositions in blood lipid.

      • KCI등재

        국내산 밤 일부 품종의 기능성 성분분석과 항산화 및 대식세포 활성

        이현주(Hyeon-Ju Lee),정미자(Mi Ja Chung),조재열(Jae Youl Cho),함승시(Seung-Shi Ham),최면(Myeon Cho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9

        국내산 밤 일부 품종(단택, 대보, 석추, 옥광, 병고)의 기능성 성분 분석과 이들 물질들의 항산화력 및 밤 추출물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국내산 밤 일부품종의 내피와 과육에서 coumarin, gallic acid 그리고 catechin이 HPLC에 의해 검출되었다. 밤 내피에 가장 풍부한 기능성 성분은 catechin이고 그 다음 gallic acid와 coumarin 순이었으나, 과육에서는 gallic acid만 검출되었다. 따라서 밤의 기능성 성분인 gallic acid와 catechin의 항산화력을 DPPH radical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을 통해 알아보았다. Gallic acid과 catechin을 6.0 mg/100 g 처리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작용이 각각 69.4%와 38.3%였으며, gallic acid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농도 의존적이었다. Gallic acid를 동일한 농도의 catechin과 비교하면 모든 농도구간에서 catechin보다 gallic acid가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은 gallic acid보다 catechin이 높았다. 더하여 밤의 과육, 노란과육 및 흰과육 추출물들이 대식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병고 흰과육 추출물은 현저하게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병고, 단택, 대보 및 옥광의 노란과육 추출물 역시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와 비교하여 현저히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켰다. 노란과육 추출물이 흰과육 추출물보다 더욱 더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켰고, 5품종 중 병고가 대식세포 활성을 가장 증가시켰다. Antioxidative and macrophage phagocytic activities and contents of functional component in selected Korean chestnuts (Dantaek, Daebo, Okkwang, Seokchu, Byunggo) were evaluated. Coumarin, gallic acid and catechin in inner skin and whole kernel of selected Korean chestnuts were detected by HPLC. The predominant functional components in inner skin of chestnut were catechin, followed by gallic acid and coumarin. However, the whole kernel had only gallic acid. Thus,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allic acid and catechin were evaluated through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SOD like activity. Gallic acid and catechin at 6.0 mg/100 g exhibited 69.4% and 38.3% of scavenging activities on DPPH radical, respectively.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gallic acid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Gallic acid was found to possess high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than equivalent amount of catechin at all concentrations, whereas catechin was found to have higher SOD like activity than gallic acid. In addition, pre-incubation of macrophage with white kernel extract from Byunggo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phagocytic activity and yellow kernel extracts from Byunggo, Dantaek, Daebo and Okkwang, leading to an increase in phagocytic activity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Yellow kernel extracts was found to have higher phagocytic activity than white kernel extracts. Byunggo had the highest phagocytic activit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 chestnut may provide a natural source of antioxidants and active i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