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식 명의신탁에 관한 연구

        노혁준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대학교 法學 Vol.61 No.3

        A person may transact under the name of other person for various reasons: she might want to lessen tax burden, circumvent strict regulations or just prefer not to expose her for better negotiation. In order to regulate opaque or suspicious usage of other person’s name, the Korean legislations adopted two separate statutes on financial transactions or real estate transactions: under the Act on Real Name Financial Transactions and Guarantee of Secrecy, financial transactions should be made under real name, with a handful of exceptions; also the Act on the Registration of Real Estate under Actual Titleholder’s Name urges buyers or sellers of real estates to register their own names. When it comes to share transactions, however, the legislative sentiment is not so restrictive. Parties to such disguised deals may face heightened gift tax risk, but no direct ban was adopted by any statute. Hence a lot of shares owned under the name of other person in Korea.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legal implications surrounding the shares whose nominal owners and beneficial owners are separated. Having analyzed around 70 Korean Supreme Court cases since 2014, the paper classifies share transactions under other person’s name into three groups. First, the creation of fake appearance through the registration on the shareholders list (Type 1). In Type 1, it is the beneficial owner to whom the shares legally belong. If the person whose name is appeared on the shareholders list sell the shares to 3rd party with bad faith, such sale and purchase shall be nullified. The only caveat is that the beneficial owner cannot exercise her shareholder rights toward the company till the shareholders list is revised (Art. 337 of the Korean Commercial Code). Second, acquisition of full legal entitlement by the shareholders on the list while leaving beneficial owner some economic interest (Type 2). In Type 2, the shares belong to the shareholders on the list and no legal rights are reserved to the person behind the scene. The latter may ask the former to keep the agreement which created the Type 2 and to follow her direction in exercising shareholders’ rights, but such asking has the effect in personam. The exercise of rights by shareholders on the ledger, ignoring such asking, would be still valid. Third, the separation of legal ownership (Type 3). It is not like a separation of ownership in title from ownership in equity under the Anglo-American trust law, but a jurisprudence unique to Korea. The shareholder on the list has legal ownership vis-à-vis third party or the company; the beneficial owner has legal ownership vis-à-vis the shareholder on the list. Traditional Korean jurisprudences have called this phenomenon “Myong-Ui-Sin-Tak” or Korean style trust of title name. As opposed to Type 1, a third party, whether with bad faith or good faith, may legally acquire full and valid ownership through a sale and purchase agreement with a shareholder on list under Type 3, even though the deal is against beneficial owner’s will.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gal implication of Type 3 should be revisited. The status of beneficial owner in Type 3 is very similar to that in Type 2: an ownership exercisable against only the shareholder on the list (Type 3) implies that the ownership has the effect in personam (Type 2). We may merge Type 3 concept into Type 2. (2) The Korean Supreme Court often failed to use exact terminology on cases containing separation of legal ownership. Under the Korean tax statutes, all of the three Types shall trigger strict gift tax. However, these broad applications should not be extended to non-tax cases and the difference of each Type, especially that of Type 1 and Type 2, should be clearly recognized. 주식 차명보유, 즉 명의대여자와 명의차용자간 협의에 따른 주식보유는 크게 간접대리, 명의신탁, 단순한 명의차용의 세 흐름으로 구분된다. 이 글에서 간접대리는 법적인 소유권이 대내외적으로 명의인에게 귀속되는 법률관계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의신탁은 대외적, 대내적 귀속주체가 명의대여자와 명의차용자로 분화된다. 단순한 명의차용은 법적 소유권이 대내외적으로 명의차용자에 귀속된다. 이 글은 단순한 명의차용 개념이 무용하지 않음을 논증하였다. 이는 은닉행위로서 유효하다. 주식 명의신탁에 대해 선의취득을 논한 판례 사안도 실은 단순한 명의차용 사안인바, 명칭상의 혼란에도 불구하고 법원이 실제 사안 처리에 있어서 단순한 명의차용 개념을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은 법원이 주식 명의신탁이라는 용어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는지 의문도 제기하였다. 원래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2는 그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를 주식 차명보유에 관한 사법적 논의에 그대로 가져올 이유는 없다. 좀 더 세분하여 각각의 법률관계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나아가 전통적 의미의 명의신탁이라는 영역을 별도로 인정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 영역은 대내외적 권리를 명의자에 귀속시키고 내부적 관계는 명의대여자와 명의차용자 사이에 채권적으로 규율하면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전통적 명의신탁 개념은 소유명의를 매개로 경제적 주체와 법적 주체를 분리하는 현상을 지칭한다는 유용성을 가질 수는 있다. 그렇지만, 이를 굳이 소유권의 관계적 분열이라는 특이한 법리로 연결시킬 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히려 쟁점은 주식 차명보유의 여러 유형 중 단순한 명의차용의 범위를 획정하는 것이 될지도 모른다.

      • KCI등재

        전자증권제도에 의한 주식제도의 변화와 주주명부의 기능 강화

        박철영 한국기업법학회 2019 企業法硏究 Vol.33 No.2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is to realize the complete dematerialization or electronicization of securities based on the developed deposit settlement system. In order to distribute stocks and other rights, the issue of physical form is no longer necessary, and a company to which the electronic securities system is applied can no longer issue traditional certificated securities. It is a major innovation of securities regime in commercial law. It will bring about a big change in the operation of the corporation and stock system under the commercial law. Various matters related to stock, such as issuance of certificates, transfer of title, closing of shareholders' list, will be omitted, even including beneficial owner system and beneficial owner list under Capital Markets Law. The investors can exercise its shareholder rights directly to the company by restoring its shareholder status under commercial law. The shareholders' list shall be made regularly (quarterly) in addition to the record date, and in case of necessity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hareholder (stipulated i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Above all,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 and its shareholders, which have been severely cut off, will be greatly improved as the shareholders' list which has been divided by the deposit system, will be united and regained its original legal statu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ason for notifying the owner's details for the shareholder list, and also it is necessary to add the shareholder's contact information (e-mail address and telephone number) on the shareholder list. In addition, it is also needed for the company to grant the right to request shareholder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registrar and the account manager. 전자증권제도는 그동안 발달된 예탁결제제도를 기반으로 유가증권의 완전한 무권화 내지 전자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주식 등의 권리가 유통되는데 있어 더 이상 주권 등의 권면은 불필요하고, 전자증권제도가 적용되는 회사는 더 이상 주권 등 전통적인 유가증권을 발행할 수도 없게 된다. 상법상 유가증권제도의 일대 혁신이다. 이에 따라 상법상 주식제도 및 주식회사 운영에 큰 변화가 생긴다. 주권의 발행과 명의개서, 주주명부폐쇄, 공시최고 등 다양한 주권 관련사무가 생략된다. 자본시장법상 실질주주제도와 이에 따른 실질주주명부도 폐지된다. 투자자는 상법상 주주의 지위를 회복하여 회사에 대하여 실질주주제도에 의하지 않고도 직접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다. 주주명부는 권리행사 기준일 외에도 정기적(분기)으로, 또한 정관의 규정에 따라 주주확정을 위해 필요한 경우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예탁결제제도에 의해 이원화되고 형해화되었던 주주명부가 일원화되고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게 됨으로써 그동안 단절이 심했던 회사와 주주와의 관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몇 가지 추가적인 과제가 있다. 우선, 주주명부 작성을 위한 소유자명세 통지사유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상장회사 표준정관 등에 의해 실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데, 장기적으로는 작성주기 단축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주주명부 기재사항에 주주의 연락처(전자우편 및 전화번호)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상법 대신 전자증권법의 개정에 의해서도 할 수 있는데, 정보제공에 동의한 주주를 대상으로 하면 크게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일본의 예를 참고하여 회사가 주주 확인을 위해 필요한 경우 전자등록기관과 계좌관리기관에 대하여 주주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권리(정보제공청구권)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