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기술시대에 있어 응용윤리의 교육적 활용전망

        김용섭(Kim, Yong-sub)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3 No.-

        과학과 공학(이공학)이 현대 사회의 발전에 미치고 있는 지대한 영향은 물론, 이공학은 모든 생활의 각 분야에 깊이 관련하여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연구가와 공학자들이 빈번히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은 인간의 행복과 도덕적 윤리적 문제와 직결된다. 그러므로 이들게게는 자신들이 담지하고 있는 사회적인 책임과 의무에 관한 깊은 인식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는 기술의 이용과 응용이 생활화된 오늘날의 모든 사람들에게도 다같이 해당된다. ‘과학과 공학 윤리’는 과학연구와 공학의 수행 그리고 기술의 이용에 관련된 윤리학적 기본 윤리들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하여 과학연구가와 공학자들이 연구 및 기업 환경에서 겪게 되는 도덕적 윤리적 문제들이 무엇인지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사례들이 논의되며, 이의 해결에 필요한 윤리학의 여러 개념적 도구들이 도입된다. 이를 통해 연구가와 공학자들이 그들의 자신들 뿐 아니라, 그들이 현대인 일반에게 미치는 윤리적 문제들을 자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연구가로서 그리고 공학자로서의 인격의 함양과 장인정신의 구축을 통해 인간적 자부심을 획득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론적 실천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마련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attention to the difference in question--moral education--and to explore it to some small extent. In particular, the perspective. I will be discussing it from is that of a professor of philosophy who regularly teaches courses in the theory of ethics, in Applied ethics, and in assorted practical ethical problems, and to diagnose what I cannot but see as a problem of moral education I and interested not only in the nature of the problem but also in what the causes of the problem are, and how to address it effectively. The fundamental problem of applied ethics consists in the conflicts between ethical theories by their applying. This seems to be a final problem for applied ethics to solve. In this situation, we should establish, first of all, the basic ideas, the method of applied ethics and the concept of expert. And the applied ethics would be obliged to cultivate moral character. Therefore, it would be a central behaviour of ethical expert to educate the students in the university who prepare for their profession. I believe, these are even the challenges that the applied ethics, finally philosophy, overcomes in this age. We can find the challenges and problems of professional ethicists in the education of engineering ethics of some universities, for instance, Univ of the Pacific(USA), Delft University of Netherlands.

      • KCI등재

        Business Ethics: from Financial Performance to Moral Values

        다니엘라 둔카(Daniela Dunca),김상원(Sang W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21 동유럽발칸연구 Vol.45 No.2

        학문적 사조로서 윤리학은 선과 악, 의로움과 불의 그리고 바람직함과 바람직하지 않음을 구별하는 가치, 원칙과 도덕 및 법 등의 총체성으로 무엇이 선이고 어떻게 하는 것이 선인지를 고심하는 것이다. 즉 한 사회를 구성하는 종교, 철학, 그리고 문화에서 창출된 사회의 관습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도덕적 가치와 규범의 보편성에 대한 주장은 항상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20세기 중반에 새로운 윤리 분야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유는 규범적 윤리학이 실천적 질문에 적절한 해답을 내놓지 못했기 때문이다. 사회는 발전할수록 과학과 기술의 빠른 변화와 함께 복잡해졌다. 이 결과 다양한 문제가 사회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응용윤리학은 규범윤리학이 제시하는 내용을 실제 생활에 응용해보고 실질적 해답을 제시해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구체적인 상황을 다루며, 분석은 특정한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즈니스 관계에서도 올바른 윤리가 적용되어야 한다. 적용된 윤리의 적절함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응용윤리학이 제시하는 것과 같이 조직의 행동 방식뿐만 아니라 의사 결정 과정의 도덕성도 고려 대상으로 삼는 것이다. 비즈니스 윤리를 설명하는 공리주의, 권리, 정의, 공동선과 같은 이론 및 분석 도구를 통해 사업주와 관리자는 직면한 윤리적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비즈니스 윤리의 핵심 목표는 사회에 봉사하는 것이며 경영진은 이를 수행하기 위해 직원과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도덕적 선을 마련하는 것이다. 동시에 기업이 확립한 윤리 기준에 따른 행동은 투자자뿐만 아니라 모든 이해 관계자가 항상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해 관계자라는 용어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할 수밖에 없고, 이들과 기업 조직 간의 상호 관계 형성은 비즈니스 윤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논쟁의 대상이었던 비즈니스 윤리에서 가장 강조되는 개념은 각각의 비즈니스에 관여하고 있는 모든 사람과 사회에 대한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는 기준을 세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Science of ethos, ethics considers the totality of values, principles and moral laws with which people distinguish good from evil, right from injustice, desirable from undesirable. But the claim of universality of moral values and norms always remains debatable. Therefore, in the middle of the twentieth century, a new field of ethics emerged, applied ethics. Moving away from ethics, as a philosophical discipline, applied ethics addresses concrete situations, whose analysis must consider a certain social-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Form of applied ethics, business ethics considers the way business organizations act, but also the moral consequences of decisions made. Through knowledge and analysis tools, business ethics allows managers to solve the ethical dilemmas they face. The central idea of business ethics is that the purpose of a company is to serve society, and management must convey this moral sense to employees. The ethical conduct of the company must relate to all stakeholders and not just investors. In this sense, the term stakeholders were imposed, emphasizing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organization. A central concept of business ethics that has sparked debates for and against, i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firms, both to all those involved and interested in the business, and to society.

      • KCI등재

        한국 조화 정신의 응용 윤리학적 접근 모색 - 고등학교 교과서 『생활과 윤리』의 내용을 중심으로 -

        배문규 ( Mun-kyu Ba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6 윤리교육연구 Vol.0 No.4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조화(調和) 정신을 응용 윤리학에 적용하여, 고등학교 윤리 교과서 『생 활과 윤리』의 주제와 내용에 실제로 서술이 가능함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당위적인 규범의 인지 및 행동을 요구하는 한국 전통 윤리 사상을 현대 사회의 윤리적 갈등 문 제 해결을 중시하는 응용 윤리학의 내용에 적용하여 서술한다는 것은 어려운 면이 있다. 하지만 한국 전통 윤리 사상들 중에서도 한국 조화 정신은 응용 윤리에 접근할 수 있는 탄력적인 사상이 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이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첫째, 한국 전통 윤리 사상 중에서 조화 정신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많은 한국 전통 윤리 사상 중에서 조화 정신이 가진 탄력적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개진하고자 한다. 둘째, 응용 윤리학의 의미와 교과서 『생활과 윤리』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생활과 윤리』에 서술 된 한국 전통 윤리 내용을 찾아보고자 한다. 셋째, 한국 조화 정신을 교과서 『생활과 윤리』의 주제 내용에 응용하여, 그 적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고, 교과서 주제 내용을 한국 조화 정신에 입각하여 서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우리 한국에서 생겨나는 윤리적 문제들의 해결 방법은 우리 한국 전통 윤리 사상 에 그 해답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 전통 윤리 사상들도 서양 윤리학처럼 응용 윤리에 적용될 수 있음을 모색해 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k whether the actual narration of the theme and contents of high school ethics textbook < Living and Ethics > by adapting the Korean spirit of harmony to applied ethics. Adapting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 which requires normative recognition of standard and behavior to applied ethics which emphasizes resolution of ethical conflicts in modern society and narrating is quiet complicated. However, the spirit of harmony among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appears to be flexible enough to approach the applied ethics. Therefore, this study will review the contents as follows. First, the spirit of harmony in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will be studied. And the flexible elements of the spirit of harmony among various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will be stated. Second, the connectivity between definition of applied ethics and text book < Living and Ethics > will be examined to seek narrativ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ethics in < Living and Ethics >. Third, the study will apply the Korean spirit of harmony to the theme and contents of textbook < Living and Ethics >, examine the applicability, and describe the theme and contents of textbook based on the Korean spirit of harmony. The researcher believes the resolution for ethical problems in Korea has its answer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Therefore, I will set forth that the Korean traditional ethical thoughts are able to be applied to applied ethics as the western ethical thoughts are.

      • KCI우수등재

        응용윤리에 대한 덕윤리적 접근의 비판적 고찰

        노영란(Young-Ran Roh)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3

        응용윤리에 대한 최근의 논의에서 두드러진 변화중의 하나는 덕윤리적 접근이 응용윤리의 전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응용윤리의 세부영역들 각각에서 덕윤리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제시하는 현재까지의 논의들을 넘어서서 응용윤리에 대한 덕윤리적 접근 자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한다. 먼저 덕윤리적 접근이 응용윤리의 목표와 성격, 그리고 방법론차원에서 어떤 장점과 문제점을 가지는지 살펴본다. 목표차원에서 보면 유덕한 사람을 기준으로 행위지침을 제시하는 덕윤리적 접근은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의사결정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법적, 사회적 정책이나 제도의 수립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데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다. 성격차원에서 보면 덕윤리적 접근은 의무론적 관점과 결과주의적 관점의 결합을 허용하며, 도덕적 이상을 삶 전반에 걸쳐 점진적으로 추구하도록 이끌며, 다원주의적 현실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들이 기대된다. 그러나 상대주의에 대한 우려나 덕들의 갈등문제 등으로 인해 대규모의 이질적인 비면대면 사회에서 일반적인 행위지침을 주는데 적합하지 못하다. 방법론 면에서 상향적 모델에 속하는 덕윤리적 접근은 일상화할 수 있는 어떤 체계적인 추론과정을 제시하지 못하며 아직 덕성을 함양하지 못한 사람들이 따르기 어려운 추론방식이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의무윤리 내지 규칙 윤리적 접근을 기본구조로 삼고 덕윤리적 접근을 보완적으로 취하는 응용윤리체계가 현대사회구조에서 효과적이라고 제안한다. 덕윤리적 접근은 도덕성을 확장하고 이를 실현하는 적절한 방식을 보여주며 사적 영역을 도덕적인 삶에 적절하게 반영하도록 해주고 너무 복잡한 상황이나 다양한 가치들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다원적인 해결을 허용하는 등의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the virtue ethics approach itself to applied ethics,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contemporary applied ethics. For this it is examined what would be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at approach in the aim,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applied ethics. The virtue ethics approach presents action-guidance through virtuous persons but this action-guidance does not work well as the foundation for both the individual and the social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the latter. In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applied ethics the virtue ethics approach is expected to have some merits such as the coordination of the deontologist and the consequentialist perspective, the gradual pursuit of moral ideal, and the reflection of pluralistic realities. It, however, is not appropriate for giving general action-guidance to us in a large-scale, heterogeneous, non face-to-face society because it brings about the worries of relativism and the conflicts of virtues. The virtue ethics approach, as a bottom-up model, does not present a routinizable reasoning procedure and it is not easy for ordinary nonvirtuous people to follow its reasoning way.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this study suggests a system of applied ethics in which deontological ethics or rule ethics serves as a basic structure and virtue ethics has complementary roles.

      • KCI등재

        미래사회를 대비한 도덕과 동양윤리교육의 방향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1 No.1

        본 연구는 다가올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도덕과 동양윤리교육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것이다. 이미 시작된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앞으로 사회 구조, 직업 체계, 삶과 가치관 등 모든 것들이 현재와는 다르게 전개될 것이다. 미래가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될지는 인간에게 달렸고, 이는 결국 교육의 몫이다.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는 사회탐구 영역 중 학생들의 선택 비율이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다가올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적응력, 상호성, 주체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로 경쟁력이 높다. 특히 단순 지식이 아니라 윤리적 탐구와 윤리적 성찰을 바탕으로 현대 윤리 문제와 쟁점을 응용윤리로 융합한 성격으로 미래 대비를 위해 필수적인 교과이다. `생활과 윤리`는 역사적으로 `시민 윤리`, `현대 생활과 윤리`를 토대로 하며, 교육과정 개정 당시 `전통 윤리` 교과의 내용 요소를 흡수·통합하기로 하여 응용윤리 중심으로 개설된 교과이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통합의 원칙은 찾아보기 어렵고, 동양윤리 내용이 점점 축소되어 아주 핵심적인 내용 요소마저도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다가올 사회를 책임질 미래세대에게는 다양한 능력이 요구되는데, 집단 학습을 위한 자아 성찰과 협력적 상호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도덕적 능력의 함양을 위해 동양윤리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동양윤리 요소들이 포함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생활과 윤리`에서 동양윤리는 윤리 쟁점에 대한 동양적 대안을 탐색하고, 윤리적 성찰을 통하여 윤리적 탐구와의 균형을 모색하며 그 역할과 과제를 새롭게 정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동양윤리 전공자들은 학생들에게 교육해야 할 핵심 개념과 내용 요소를 추출하고,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동양 윤리적 대안 연구 결과들을 반영하여 차기 교육과정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east ethics education how to prepares for future society focussing on `living and ethics` subject in highschool. The fourth revolution which is begun yet changes social system, job structure, life style and sense of values not the present day but also the forthcoming future. The aspect of future depends on human. The Education determine the positive future or negative future. `Living and Ethics` subject is highly competitive because of students` demands and needs of future society. The living and ethics subject is significant because of teaching modern social problems or issues through both ethical investigation and ethical introspection. Historically, `civic ethics` and `modern living and ethics` is the matrix of `living and ethics` based on applied ethics in west philosophy. But from that time down to this day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contents in the `traditional ethics` is not kept in this subject. The needed abilities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are adaptability, mutuality, and subjectivity. The ethical investigation is significant, but on the other hand ethical introspection is insufficient for attaining the goal of the subject.

      • 학제적 윤리경영 연구를 위한 논의: 메타윤리학 관점에서

        김승범 ( Seung Bum Kim ),신호상 ( Ho Sang Shin ) 한국윤리경영학회 2016 윤리경영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윤리경영에 대한 학제적 연구의 일환으로 윤리학적 관점 중심의 윤리경영에 대한 하나의 시도이다. 윤리학의 영역은 크게 이론규범윤리학, 실천응용규범윤리학, 메타윤리학으로 분류되며, 윤리경영은 실천응용규범윤리학 중 한 분야로 간주된다. 이 분류 중 메타윤리학은 윤리학적 논의에 대한 언어논리학적 접근이다. 선에 대한 논의가 맞는지, 명제가 윤리적 명제인지 등에 대해 분석철학적 관점에서 지난 20세기의 100여 년간 연역논리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메타윤리학적 유산들이 국내 연구에는 사실상 전혀 반영되지 않은 채 윤리경영에 대한 논의들이 다분히 귀납추론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윤리학과 경영학의 학제적 연구로서 윤리경영의 일환으로 메타윤리학적 유산 중 하나인 ‘자연주의적 오류’와 ‘존재-당위 논쟁’을 통해 현재 비중있는 연구주제들에 대한 검토 및 이견 제시를 진행했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메타윤리학의 비판을 가장 성공적으로 극복한 윤리이론인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의 특징을 제시하여 향후 윤리경영 연구가 메타윤리학적 관점의 비판으로부터 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one of the trial for discipline research with view of Ethics toward Business Ethics. Ethics is divided into 3 parts; Theoretical Normative Ethics, Practical and Applied Normative Ethics, and Meta-Ethics, moreover Business Ethics is included in a part of Practical and Applied Normative Ethics. Meta-Ethics is an approach of Linguistic Logics for Ethical agenda. It was analyzed with Logic of Deduction about “Is it for Good?” or “Is this proposition Ethical?” on the view of Analytical Philosophy, during the last century. However, there is nothing on Business Ethics which has been studied without any Meta-Ethics ways, but only the way of Induction. So, it was suggested for criticizing recent Business Ethics study with ‘Naturalistic Fallacy’ and ‘being-ought to argue’ as the impacted legacy of Meta-Ethics through discipline study. As a alternative, the best answer for criticizing with Meta-Ethics, called theory of Moral Reasoning of Kohlberg, to variously progress for local Business Ethics studies.

      • KCI등재

        응용 윤리학의 방법으로서 자연화된 반성적 평형

        김일수 ( Kim Il-so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2 No.1

        전통적인 규범 윤리학이 접근하기 어려운 현대의 윤리적 문제들의 실천적 해결에 일차적 목표를 두는 응용 윤리학은 이제 새로운 윤리학의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반성적 평형은 응용 윤리학의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주요한 방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원리와 사례에 동등한 관심을 가지는 반성적 평형에서는 구체적 윤리적 쟁점에 관한 도덕 판단과 개별적 사례들을 포괄하는 일반적인 도덕 원리가 서로 일관된 체계로 나아가게 된다. 반성적 평형은 새로운 도전에 개방적이며, 역동적인 과정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복잡한 응용 윤리의 주제들에 적합한 탐구 방법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한편으로 반성적 평형은 신뢰할 수 없는 주관적 판단들 간의 정합성에만 의존하는 순환 논증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왔다. 반성적 평형이 응용 윤리학에서 유효한 방법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정당화의 기준을 제공할 수 있는 온건한 토대가 필요해 보인다. 이때 과학은 관련된 사실을 통해 오류를 교정하고, 합리적인 탐구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반성적 평형에서 온건한 토대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독립적 신뢰성을 가지는 과학 분야의 지식은 잘못된 사실에 기초한 도덕적 주장을 교정해주고, 과학적 탐구 방법은 동등한 정합적 체계를 유지하는 복수의 반성적 평형들 중에서 최선의 대안을 잠정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합리적인 절차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자연화된 반성적 평형은 개방성과 융통성을 가지는 정합주의 성격은 유지하는 동시에 정당화를 위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응용 윤리학을 위한 대안적 방법이 될 수 있다. Applied ethics, which aims at the practical resolution of contemporary ethical problems that traditional normative ethics is difficult to approach, is now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field of ethics. In this context, reflective equilibrium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major method to be used in the field of applied ethics. In the reflective equilibrium, which considers principles and cases equally, both moral judgments on practical ethical issues and general principles that cover specific cases move toward a consistent system. Reflective equilibrium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inquiry method for issues of complicated applied ethics in that it is open to new challenges and involves dynamic processes. However, critics say that the method of reflective equilibrium that follows coherentism is only a circular argument and is based on subjective judgment.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has been a steady of stream of criticism that reflective equilibrium is merely a circular argument that relies only on consistency among unreliable subjective judgments. In order for reflective to function in a plausible method in applied ethics, it seems necessary to have a moderate foundation to provide objective standards of justification. Science can serves as a moderate foundation in reflective equilibrium by correcting errors through relevant scientific facts and proving rational scientific method of inquiry. Knowledge in the field of science with independent credibility corrects moral arguments based on wrong scientific facts, and scientific method can provide a rational procedure to provisionally choose the best alternative among multiple reflective equilibrium that maintain an equal coherent system. This naturalized reflective equilibrium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cohentism with openness and flexibility while presenting objective standard for justification. In this regard, it can be alternative method of applied ethics.

      • KCI등재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과 조직 방안

        김남준(Kim, Nam-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시대와 변화된 사회에서 제기되는 국가·사회적 요구 및 학문적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과 조직 방안을 정립하는 것이다.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은 도덕과의 교육적 인간상의 실현과 도덕과 교과역량의 함양에 기여할 수 있고, 윤리학을 구심점으로 한 학제적 접근을 요구하는 응용윤리의 주제들,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들, 도덕과의 내용 구성 원리로서 가치 관계 확장법 등을 고려하여 선정·조직되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학교 ‘도덕’ 과목에서 ‘자연·초월과의 관계’ 영역을 ‘인간 이외의 존재·생태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으로 수정하고, 그 영역에서 과학기술 시대의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을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중심으로 내용 체계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과목에서 도덕적 탐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응용윤리학의 접근 방법을 내용 요소로 반영하고, ‘생명과 윤리’ 영역에서 내용 중복 문제를 완화하고 생명윤리의 토대가 되는 논의에서 최근의 학문적 논쟁에까지 이를 수 있도록 인간 대상 연구와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을 내용 요소로 포함하며, ‘과학과 윤리’ 영역에 지능정보윤리, 로봇윤리 등과 같은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을 반영한 내용 체계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contents selection an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selected and organized to contribute to fostering moral man with competency of moral education, and considering the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 the principle of contents organization of moral education, and new ethical issues in the new era. Based on this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here of ‘the relationship with nature·transcendence’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modified to the sphere of ‘relationship with non-human being·ecological community’ in which new ethical issues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be discuss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ology of applied ethics, ethical issues of human subjects research and human enhancement, and new ethical issues of AI ethics, Robot ethics etc.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Life & Ethics’ subject.

      • KCI등재

        중등교육과 고등교육 간 기업윤리 교육의 차이에 대한 소고: 사회윤리학을 중심으로

        김승범,신호상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2

        [Purpose]Recent research trends of business admistration studies pay keen interests on the issues of substantiality and business ethics. It is further noted is the Korean Government is encouraging startups to develop the engine of growth and to improve employment structure. This study finds that it is important for startups to have educations on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ethics, along with business administra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ir survival rates. By the same token, it is important to educate business ethics to the main economic actors and agents of the future. Also, the consistency between educating business ethics in secondary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must be assured, too. [Methodology]This study makes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education programs of business ethics in secondary education as offered by EBS TV during the past five years and those of business ethics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and MBA programs. [Findings]There is a difference that Business Ethics is understood as a applied and practical Ethics which is explained on the way of Social Ethics, in secondary education, but a part of Business Administration without any interdisciplinary understang include Ethical, Psycological, or anything, in higher education. [Implications]Social Ethics based upon applied and practical ethics was not being offered in higher education. However, in order to manage companies to be sustainable and profitable, soci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studied and applied. [연구목적]최근 기업 연구는 지속가능성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에 윤리경영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 정부가 성장 동력 개발 및 취업 개선을 위해 창업을 선도함에 있어, 경영학적 방법으로 창업의 성공률 개선도 중요하나, 기업가 정신 및 윤리경영 등의 교육을 통해 좋은 기업을 경영할 수 있게 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 같은 맥락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인 7~12학년의 중등교육의 기업윤리 교육도 미래 경제주체들에게 기초적인 지식을 가르치고, 보다 훌륭한 기업가가 될 기반을 제공하기에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현재 중등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업윤리 교육과 고등교육에서의 연구와 교육간의 일관성은 중요한 문제이다. [연구방법]중등교육에서 진행되는 윤리경영에 대한 교육을 EBS 수능특강을 대상으로 지난 2012년 이후 2016년까지 5년간의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경영학 전공의 대학과 대학원, 그리고 MBA에서 진행되는 윤리경영의 커리큘럼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중등교육은 윤리경영을 ‘사회윤리학’ 중심의 실천응용규범윤리학 중 일부로 보고, 고등교육은 이러한 구조적 이해나 연구가 없다는 차이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향후 이론규범윤리학 중심의 학제적 연구를 통한 실천응용규범윤리학 연구와 ‘사회윤리학’에 대한 이해를 높여 경영학 내 윤리경영연구에 기여하고, 나아가 기업가의 윤리경영의 근간이 되어 건전한 기업과 장수하는 기업이 창출되는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Applying Anthropology to International Studies in Northeast Asia : An Exploration of Educational and Ethical Issues in Expatriate Research

        섀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3

        This research presents a brief study and an exploratory retrospective of the current researcher’s work and research in South Korea and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challenges of integrating anthropology within the broader interdisciplinary field of international studies. The chief research questions are, what important lessons emerge from examining the research, teaching and career experiences of an expatriate professor serving in Northeast Asia, and regarding the role(s) of applying anthropology within international studies in the same region? The paper examines applied anthropological research the present researcher has done in South Korea as an expatriate professor and the primary contexts influencing his training and on-going work, including the broad state (institutional contexts) of the fields of international studies, anthropology and applied anthropology in South Korea and Northeast Asia. Next, the paper explores the author’s research involving countries and cultures in the region, both published and unpublished research. The paper also discusses anthropological pedagogy: how the researcher has used applied anthropology to teach about international affairs, international development, business, and logistics, some of the primary domains of anthropological application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studies in Korea. This research also considers important ethical and research issues and challenges that expatriate anthropological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can face in South Korea, including teaching and handling applied social science research ethics. The study concludes with key lessons derived from these examples of studying diverse aspects of cultures in Northeast Asia from an applied social science perspective. Chiefly, while anthropology and applied anthropology offer highly valuable, practical perspectives on academic and practitioner issues in international studies, Northeast Asia and South Korea need to develop and expand anthrop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including actual training programs in applied and public anthropology. If not, the capacity of anthropology and applied anthropology to contribute to international studies and other domains in the region will be hin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