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분석

        이현숙(Hyeon-Suk Lee),강현석(Kang Hyeon-S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과 성취 기준을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데 있다. 2007 개정 국어 10학년 성취 기준은 29개, 2009 개정 국어Ⅰ과 국어Ⅱ의 성취 기준은 각각 15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절차적 지식을 적용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다’로 분류된 성취 기준의 수가 가장 많았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어Ⅱ는 국어Ⅰ의 연계 과목으로서 위계성을 지녀야 하지만 국어Ⅱ가 국어Ⅰ에 비해 심화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셋째, 국어과 내용 영역을 분석해보면 특정 영역에서의 편중 현상이 드러났다. 넷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하나의 성취 기준에 2개 이상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요구하는 성취 기준이 증가하여 교육 내용의 감축, 성취 기준의 축소가 실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섯째, 성취 기준에 사용된 동사를 분석하였을 때 명사와 동사의 구분이 모호한 부분이 많았다. 여섯째, 성취 기준에서 일부 동사의 사용 비중이 높고 의미가 매우 모호하여 성취 기준을 정확하게 이해하기가 어려우며, 해설서로도 보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고른 발달을 위해 다양한 범주를 반영한 성취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교사는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타당한 수업목표로 재조직해야 한다. 또한 교사가 성취 기준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성취 기준의 진술이 보다 명확해야 하고 해설서를 통해 포괄성과 모호함을 보완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29 achievement standards in High School Korea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15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I and the 15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II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high school Korean subject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apply procedural knowledge’ in Korean for the 10thgrade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understand conceptual knowledge’ in Korean I and Korean II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cond, Korean II should have hierarchical properties as an associate subject with Korean I. But it is difficult to admit that the latter has more profound contents than the former. Third, in the grammar section, most achievement standards are in the understand category. Fourth, the 2009 version has increased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that require more than one dimensions of knowledge and of cognitive course for each item, and no substantial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he whole achievement standards. Fifth, the analysis of verbs used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reveals that there are a lot of parts in which the distinction between nouns and verbs is vague. Sixth, it is difficult to exactly underst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as they contain a high frequency of the occurrences of some verbs and have very vague meanings. In order to help learners acquire various pieces of knowledge and broadly develop a cognitive course, we are required to provide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ing diverse categories. Teachers also by themselves should not apply those achievement standards concentrated on only some categories, but need to make efforts to precisely understand the intention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sider learners’ levels to reorganize class goal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연극 감상과 비평』 교과서 연계 분석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이연심 ( Lee Yeon Sim ) 한국연극교육학회 2021 연극교육연구 Vol.38 No.-

        As a follow-up study of advanced study, this study, having interest in the process of didactic transposition that occurs while realizing curriculum in school settings, aims to make a sequential analysis on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textbook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obtain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of textbook as well as revision of future curriculum. To achieve such purposes, this study established analysis standards based on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curriculum and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raft fo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Ⅱ-High School Art Subject Curriculum』 from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nalyze connectivity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establishment of units, this study examined large, medium and small units to identify in what units each of 23 achievement standards is being realized. With respect to learning objectives, this study set ‘Is learning objective established suitably for realizing achievement standards?’ as a standard of analysis, and for learning activity, this study generated and 90 elements for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by achievement standards (26 content learning elements, 49 aimed learning elements, 15 application learning elements) and set the elements as analysis standards.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ile borrowing the principle of textbook model focusing on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 as a formality,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textbook is reconstructed』 focusing on the eyes of recipients, not of producer in terms of contents, and most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being distributed and realized in a multiple number of units after being integrated between and within the areas excepting ‘Understanding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achievement standard [Yearbook 12-02-02] is omitted in the aforementioned process. Total 58 learning objective are suggested by small units and 21 of which are considered appropriate to realize each achievement standard, whereas 37 need to be improved for realizing achievement standards. Aspects of learning objectives that need to be improved are① learning objective that analysis-integration is necessary due to repetition or excessive segmentation, ② 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be reestablished due to duplication of learning contents, ③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be expanded for lack of learning content. As for learning activity, 86 out of 90 elements for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by achievement standards are being realized in a variety of textbook elements, but content or activity is omitted in 1 content learning element and 3 aimed learning element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learning activity, this study discovered problems such as learning activity without consideration to the amount of learning, learning activity that duplication of contents is worried, learning activity that learning contents are uncertain or there is a leap of learning process, learning activity that advance learning is required etc.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is study reconstructed curriculum in a creative way by looking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audience, this study organized to enable students to learn appreciation and criticism based on the elements of theatre and appreciation such as production, acting and stage instead of learning appreciation and criticism based on the type and style of theatr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①organization of textbook units based on the thorough analysis of curriculum, ②segmentation of learning objectives through analysis of curriculum, ③reexamination of the segmentation levels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④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xtbook and curriculum developers, ⑤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xtbook developers by subject, ⑥secure of performing and film materials as textbooks, ⑦case study of the use of textbook etc. for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revision of textbook.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textbook and formation of discourse about theatre curriculum and theatre textbook for the future.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화학 영역의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분석

        최원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1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과학과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개발을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의 분석을 통해, 각 대단원마다 태도 관련 성취기준의 반복적 제시, 성취기준의 중복, 상위 교육과정에 포함된 개념의 추가, 행동영역 중 ‘지식의 적용’의 추가, 교육과정 상세화 부족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평가기준의 분석을 통해 태도관련 성취기준에서 평가기준 도달점 판단의 어려움, 성취기준과 개념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평가기준 설정의 혼란, 평가기준의 중복, 평가기준 도달점의 모호한 구분, 행동영역 중 ‘지식의 적용’ 추가, 성취기준과 불일치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문제점은 새 교육과정에 근거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based on revised science curriculum on 2007, we analys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based on 7th science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we extracted problems which was repeated suggestion of attitude-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dupl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ddition of higher grade concept, addition of ‘application of knowledge' as behavior domain, shortage of curriculum specification. And Through the analysis of assessment standards, we extracted problems which was difficulty of benchmark judge at the attitude-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confuse of setting of assessment standards which has same concept level as achievement standards, duplication of assessment standards, ambiguous division of benchmarks, addition of ‘application of knowledge' as behavior domain, disagreement with achievement standards. Extracted problems suggested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based on revised science curriculum on 2007.

      • KCI등재

        ‘文化’ 영역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내용 분석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d analyse a level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culture’ pursuant to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The domain of ‘culture’ consists of 3 medium-sized parts and 5 components of the content.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 are developed depending on the components. I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fter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 and suggest the level of achievement categorized as three phases according to achievement standards.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standards could be utilized for class. I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examples about ‘culture’ in the light of the aforementioned situations. Tools for multiple choice, write-out answer, and performance assessment are illustrated in detail.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 for an affective domain is required as follow-up measures. 이 글은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화’ 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을 소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화’ 영역은 3개의 중영역, 5개의 내용 요소로 구성, 조직되었으며, 내용 요소에 따라 학습내용 성취기준이 개발되었다. 그리고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학교의 교수․학습과 평가 활동에 활용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문화’ 영역 예시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선다형, 서술형, 그리고 수행 평가 도구를 몇 가지 예시했다. ‘문화’ 영역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 개발이 후속 과제로 요청된다.

      • KCI등재

        Hauenstein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정치영역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분석

        김태수(Kim Tae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정치영역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Hauenstein의 교육목표 분류학’을 활용하여 중학교 정치영역의 성취기준 9개와 평가기준 27개에 포함된 60개의 문장을 분석하였다. 성취기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영역 차원에서는 ‘인지적 영역’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정의적 영역’이 있다. 성취수준 차원에서는 ‘2.0 동화’가, 문장 진술에 사용된 동사에서는 ‘이해한다’가 가장 많다. 평가기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영역 차원에서는 ‘인지적 영역’만 있다. 성취수준 차원에서는 ‘2.0 동화’가, 문장 진술에 사용된 동사에서는 ‘설명할 수 있다’가 가장 많다.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문장에 진술된 동사가 일정한 규칙 없이 한 개의 동사가 하나의 성취수준 또는 여러 수준으로 사용되고, 다른 동사와의 관계에도 위계가 없어서 문장 분석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개발과 관련해서 다양한 영역(인지⋅정의⋅심동) 포함하기, 학교급별 학생 발달 정도와 교과별 특성을 반영하여 성취수준 정하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사용되는 동사의 기준 제시하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정합성 높이기를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political domain. By using “Hauenstein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60 sentences included in 9 achievement standards and 27 assessment standards in the middle school political doma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that ‘cognitive domain’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affective domain’ in the domain level. ‘2.0 assimilation’ was the most common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understand’ was the most common verb used in sentence statements. Nex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ssessment standards showed that there was only the ‘cognitive domain’ at the domain level. Also, ‘2.0 assimilation’ was the most common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can explain’ was the most common verb used in sentence statements. The verbs in the sentences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make sentence analysis difficult, because one verb is used at one achievement level or multiple levels without a certain rule and other verbs have no hierarchical relationshi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flects the level of student development by schoo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ncluding various area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By doing so, this study proposes the determination of achievement level, the standards of verbs used in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and increasing the consistency of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 탐색: 한국과 미국 과학 교육과정 검토를 중심으로

        백남진 ( Nam Jin Pai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문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성격을 검토하고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교과 교육과정의 성격을 분석하기 위해 기준의 유형 및 기준 진술의 유형을 살펴보고, 둘째, 교과 교육과정의 성격을 과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성취기준의 진술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규명하고, 셋째, 차세대 과학 기준의 수행 기준 진술 사례를 검토하고, 넷째, 차세대 과학 기준이 한국의 교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진술에 주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내용 기준, 교육과정 기준, 수행 기준의 유형에 따라 각각 내용 중심 진술, 활동 중심 진술, 수행 중심 진술로 기준 진술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분석 결과, 성취기준이 내용 중심 진술의 경향을 보임에 따라 수행 기준이 아닌 내용 기준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성취기준 진술의 개선을 위해 미국의 차세대 과학 기준(NGSS)의 수행기대 진술 경향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성취기준은 학생이 달성해야 할 능력이 무엇인지를 제시해야 한다. 둘째, 성취기준을 진술하기 위해 교과의 기능 혹은 과정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셋째, 성취기준은 지식과 기능 차원이 연결되어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핵심 지식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성취기준의 양을 적정화해야 한다. 다섯째, 성취기준을 통해 지식간의 관련성이 나타나도록 지식들이 구조화되어 제시되어야 한다. 앞으로 수행 기준의 성격을 반영한 성취기준의 진술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탐구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national subject curriculum and to explore different ways to state achievement standards. To that end, this study first reviewed standards types and statement types. Second, it analyzed achievement standards, focusing on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rd, it reviewed NGSS performance expectations. Finally, it drew implications from NGSS performance expectations. This study proposed several ways to improve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First,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present the competencies students are expected to attain. Second,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clearly identify the skill(s) and/or process(s) in each subject area. Third,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present the connec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each subject. Fourth,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must be limited by selecting the core ideas of the subject content. Finally, better structuring of subject content is needed to represent connections across core ideas in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성취기준을 바라보는 초등교사의 관점과 해석

        한민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22 No.1

        Teachers have a responsibility to teach students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classes, as sta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owever, the question of how a teacher interprets performance achievement standards and applies them to a class will depend on each teacher’s competence. At present, the prior study of achievement standards is mostly focused on the manner in which the standard-based statement is made. Of course, there are studies on interpret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but the focus on methodological aspects of how to use them in textbooks. Therefore,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achievement standa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ed to approach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terpret of achievement standards. This study finds that teachers had a view of using achievement standards themselves as a objective, a view of using achievement standards as a means, and a mix of the two views. The view of teachers interpreting achievement standards is closely related to curriculum leadership in that it is based on the teacher’s competence to handle a curriculum. Consequently, a teacher’s interpre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will serve 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level curricula in managing curriculum leadership.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도 명시되었듯이 교사는 수업을 통해 성취기준을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책무가 있다. 따라서 성취기준은 교사가 자신만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중요한 기본 틀인 셈이다. 하지만 교사가 성취기준을 어떻게 해석해서 수업에 적용해 나갈지 하는 문제는 교사 개개인의 역량에 달려있게 된다. 현재 성취기준에 대한 선행연구는 대부분이 성취기준 진술 방식이나 개선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물론 성취기준 해석에 대한 연구도 일부 존재하지만 교과서 상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방법론적인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문헌연구를 통해 성취기준의 현재 위상을 알아보고 면담을 통해 실제 현장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운영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가 성취기준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접근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는 성취기준 그 자체를 목표로서 삼는 관점과 성취기준을 도구로 삼는 관점 그리고 두 관점이 혼재한 관점이 존재하였다. 이렇게 성취기준을 해석하는 교사의 관점은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의 능력, 즉 교육과정 리더십에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성취기준을 바라보는 교사의 관점과 교육과정 리더십은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교사가 성취기준을 바라보고 해석하는 관점은 교사수준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발휘되는 교육과정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서 작용할 것이다.

      • KCI등재

        평가기준과의 관계 측면에서 본 도덕과 성취기준 개선 방향 논의

        신호재(Shin Ho J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4

        본 연구에서는 평가기준과의 관계 측면에서 본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 지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평가기준은 성취기 준에 근거해서 개발된 것으로, 성취기준의 도달점에 주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평 가기준과의 관계를 부각시켜 성취기준을 보면 성취기준이 원래 목표로 한 바를 얼마나 효과 적으로 달성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분석 결과 현 도덕과 성취기준은 추상성과 포괄성 이라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존 도덕과 교육 과정 성취기준에서 사용되었던 추상적인 어휘 및 표현을 선정하여 재진술하는 작업을 해야 하고 둘째, 도덕과 성취기준 배당시간 기준 현황을 검토하며 내용 및 포괄성 측면에서 문제 의 소지가 있는 성취기준의 경우 재진술 방안을 함께 연구하여 성취기준 개발 과정에 직접적 으로 적용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This paper demonstrated the problem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2015 mor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assessment standards and presented idea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since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with the outcome showed in achievement standards. Thus, with this close relationship,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degree to which these achievement standards were met. After review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thoroughly, their abstractive and inclusive statements were identified as the problems. The idea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as follows. First, abstractive statements should be selected from the former curriculum and restated for the further curriculum. Second, the time allotted for every achievement standard should be examined, and a way to restate theses standards with inclusive statements should be studied. Lastly, the result has to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developing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미술과 인성 중심 성취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강도현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2 No.-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defines art as “a core part of the curriculum and character education” mentions the positive effects of character education. However, detailed research that studies the core competency of art, the character competency related to the Five-year Comprehensiv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he core value virtue as it is closely combined and applied to each subject is lacking. Therefore, the basis of this study is the establishment of practical measures of characterorient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2015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reorganize and propose character-oriented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For this stud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mpetency, character competency, and core value virtue that were presented in the 2015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the 2015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nd the 2016 Five-year Comprehensive Plan for Character Edu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expert surveys (FGI, in-depth interview, Delphi questionnaire). Second, theoretical models for establishing character-oriented achievement standards(character-oriented achievement standards development procedure model and character-oriented achievement standards relationship model) were designed using the didactical transform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subject on the basis of character-oriented art theory and educational needs. Third,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developed in the previous stage, we proposed the final development of character-oriented achievement standards on the ba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and practical teaching-learning activities of the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for the application of character-oriented achievement standard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education of subject competency and character competency required for future society by developing and proposing character-oriented achievement standards, and preparing concret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its implementation.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등에 대한 심각성이 사회 문제로 크게 부각되면서 2009 개정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인성교육 강화 정책이 최근까지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교육부(2015)는 핵심역량 기반의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15년 인성교육 강화 정책을 기반으로 미술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미술교과의 핵심역량 및 인성계획 5개년 종합계획의 인성 역량, 핵심 가치와 덕목을 통한각 교과에 적용된 연구들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인성 중심교육의 실천력 강화를 위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미술과 인성 중심 성취기준을 개발·제안하였다. 본 연구의과정은 첫째, 전문가 조사(델파이 설문, FGI, 심층면담)를 통하여 2015 개정 미술과교육과정, 2015 인성교육진흥법, 2016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미술교과 역량과 인성역량 및 핵심 가치와 덕목 등의 관계를 재조명하였다. 둘째, 인성 중심 미술교육 이론과 교육적 요구를 바탕으로 미술과의 특성을 교수학적으로 변환하여 “미술과 인성 중심 성취기준 개발 절차 모형”과 “미술과 인성 중심 성취기준 관계모형”을 구안하였다. 셋째, 앞서 개발한 이론적 모형을 근거하여 “2015 개정 미술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초등)”을 기반으로 “미술과 인성 중심 성취기준”을 개발 제안하였으며, 이를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한 실천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앞으로 미술과에서의 인성 교육 실천을 위한 밑거름이 되어지길 바라며,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미술교과 역량과 인성역량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있기를기대한다.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 핵심역량 모형에 기반한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성취기준 개발 연구

        이은철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etency-orient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dynamics of Reformed life theology for the Korean church that has stopped growing. A com- petency-based curriculum should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This is a very important task. Accordingly, this study constituted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 and the five Solar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Next, the core competencies suitable for each area were extracted from the core competency model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de- veloped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educational goals were composed by confluence of the extracted core competencies a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each area. The draft achievement standard was developed focusing on knowledge, skills, and atti- tudes in the constituted educational goals. The draft achievement standards have 27 educational goals and 87 achievement standards. In order to valida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ex- perts responded to the Delphi questionnaire. The experts are two scholars who majored in Reformed Life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and two experts in educational technology who maj- ored in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s a result of expert Delphi, the achievement standards developed for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 and the five Solar have the following validity. The average is 4.75-5. The degree of convergence is 0 to 0.38. The degree of agreement is 0.85~1.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 was verified with the first questionnaire. So, no expert Delphi survey was added. However, the opinions of experts were reflected. Therefore,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finally improved. The final improved achievement standards consisted of 28 educational goals and 88 achievement standards. 본 연구목적은 사변화 신학으로 인해 한국교회와 성도들의 성 장이 멈춰버린 것에 대한 혁신을 위해 주창된 개혁주의생명신학 의 역동성이 반영된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 수행되었 다.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성취기준 의 개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를 위해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과 5대 솔라의 교육목적을 구성하고, 선행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핵심역량모형을 기반으로 각 영역에 적합한 핵심역량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핵심역량과 교육목적을 기반으로 융합적인 교육목표를 구성하였고, 구성된 교육목표를 기반으로 지식, 기능, 태도가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성취기준 초안 을 개발하였다. 성취기준 초안에서는 27개의 교육목표와 87개의 성취기준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성취기준의 타당화를 위해서 개 혁주의생명신학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기독교교육학을 전공한 전문가 2명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과정 편성을 전공한 교 육공학 전문가 2명을 통해서 전문가 델파이를 수행하였다. 전문 가 델파이 결과, 7대 실천 운동과 5대 솔라의 성취기준에 대한 타당성은 평균 4.75에서 5.00으로 나타났고, 수렴도는 0에서 0.38 로 산출되었고, 합의도는 0.85에서 1로 산출 되었다. 1차 설문을 통해서 개발된 성취기준의 타당성이 검증되었기에 전문가 델파 이 설문을 중단하였다. 다만 전문가들의 수정 사항 의견을 반영 하여 성취기준을 최종 개선하였으며, 최종 개선된 성취기준은 교 육목표 28개, 성취기준 88개로 구성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