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으로의 이동과 확장, 최근 학원물 드라마의 경향

        문선영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2

        Web content leads the flow of huge changes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transformation in the interaction of the web and traditional media. Amid this trend, the school contents drama is now moving from television to the Web and is facing another. The drama, which was based on a growth drama, has become a variety of genres on the web, including romance, fantasy, comedy, mystery and mystery. There are ways that have been tried in TV school contents dramas but have not been able to occupy a central position through the Web. The expansion into romance, mystery and mystery genres that have been attempted in TV school contents dramas since 2013 is one of the changes in school contents dramas. The emergence of new genres and fantasy dramas that were rare in traditional school contents dramas is another thing to pay attention to. Small attempts, which are not noticeable on TV, move to the Web and settle down with a distinct personality. Countless school contents dramas broadcast on the Web are transforming old customs. First, the educational materials in web dramas focus on the main characters, namely teenagers. In TV school contents dramas, if teachers and parents often consult or lead to solve problems, most web dramas take the same approach as teenagers themselves or with friends. In web dramas, teenagers do not expect or rely on adults. The role of adults in school contents web dramas has been reduced. Second, web dramas aimed at teenagers have more play, entertainment and entertainment than educational functions or meanings. In a web drama on school contents materials, teenage characters' worries are not spread in a heavy and serious way, but rather in a cheerful and pleasant way. Web dramas tend to focus more on wild and vivid imagination than on the detailed structure of causal relationships or securing probability. Third, TV school contents dramas focused 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appreciation to the inmates. In web dramas, however, inmates do not just observe and appreciate various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re available. This is done through active flaws with game media such as RPG games and women-oriented love simulation games. The migration of the school contents drama to the Web goes beyond the limits of television, creating products that cater to the tastes of the inmates and showing their colors clearly. Web dramas on school contents materials set up stories, characters, and story space for teenagers to focus on their daily lives. They also use ways in which inmates can become absorbed and actively participate, just like sending a part of their daily lives in web dramas. This is expected to be appli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future. 웹 콘텐츠는 웹과 전통 미디어의 상호 작용 속에서 생산, 변형의 과정을 거치면서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주도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현재 학원물 드라마는 텔레비전에서 웹으로 이동하여 또 다른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성장 드라마 위주였던 학원물 드라마는 웹에서 로맨스, 판타지, 코미디, 추리, 미스터리 등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확장되었다. 그동안 TV 학원물 드라마에서 시도되었지만 중심 위치를 점할 수 없었던 방식들이 웹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2013년 이후 미약하지만 TV 학원물 드라마에서 시도되었던 로맨스, 추리, 미스터리 장르와의 결합은 학원물 드라마의 변화 중 하나이다. 기존 학원물 드라마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판타지물의 출현도 주목해야 할 점이라고 할 수 있다. TV에서 두드러지지 않았던 작은 시도들은 웹으로 이동하면서 뚜렷한 성격을 드러내며 정착한다. 웹에서 방송되는 수많은 학원물 드라마들은 오래된 관습을 변형시키고 있다. 첫째, 웹 드라마에서의 학원물은 주요 인물, 즉 10대 청소년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TV학원물 드라마에서는 선생님이나 부모님이 상담하거나 문제 해결을 주도하는 경우가 많았다면, 대부분의 웹드라마는 10대 인물 스스로 해결하거나 친구들과 함께 공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웹드라마에서 청소년들은 어른들에게 기대하거나 의지하지 않는다. 학원물 웹드라마에서 성인의 역할은 축소되어 있다. 둘째, 10대를 대상으로 하는 웹드라마는 교육적 기능이나 의미보다 놀이, 유희적 차원, 즉 오락적 기능이 확장되어 있다. 학원물 웹드라마에서 10대 인물들의 고민은 무겁고 진지한 방향으로 전개되기보다 명랑하고 유쾌한 방식을 취한다. 웹드라마는 인과 관계의 치밀한 구조나 개연성 확보보다 엉뚱하고 발랄한 상상력에 집중하는 경향을 취한다. 셋째, TV학원물 드라마가 수용자에게 감상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치중했다면, 학원물 웹드라마에서는 수용자에게 자신과 연결된 이야기를 단지 관찰하고 감상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참여의 기회를 확장하는 방향을 추구한다. 이는 RPG 게임, 여성향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등 게임 매체와의 적극적 결함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학원물 드라마의 웹으로의 이주는 TV가 가진 한계를 넘어, 수용자 층의 취향에 부응하는 생산물들을 만들어내며 뚜렷하게 자신의 색깔을 드러내고 있다. 학원물 웹드라마는 10대들의 일상에 집중하고, 선택하고 집중해야할 스토리나 인물, 이야기 공간을 설정한다. 또한 웹드라마에서 수용자가 자신의 일상의 한 부분을 보내듯이 몰입하고, 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식들을 활용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멀티 플랫폼 환경의 웹드라마 스토리텔링 특성 - MBC 제작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

        고선희 ( Ko Seon-h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9 No.-

        본고에서는 지상파의 멀티 플랫폼 전략에 의해 개발된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특성을 분석해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TV 시청률은 급속히 하락하고 있는 반면 웹 플랫폼의 영향력은 날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상파 방송사가 TV와 웹을 동시 공략하고자 내놓은 웹드라마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서사 유형인 드라마가 어떻게 변하고 있으며 어디로 향해가고 있는지 무엇보다 잘 보여줄 텍스트라고 판단했다. 주요 분석대상은 지상파 3사 중 가장 일관되게 드라마의 멀티 플랫폼 전략을 수행해 온 MBC의 웹드라마 5편이었다. 분석 결과 이들 드라마는, 통합체적 서사 완결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 웹드라마보다 기존의 TV드라마와 더 유사했고, 계열체적인 면에서는 일반적인 웹드라마들과 유사한 스토리텔링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5 편 모두 로맨스 드라마의 장르관습을 적극 동원하고 있으며, 거기에 판타지적 설정을 더해 일상의 판타지를 구현하고 있었다. 또한 만화·애니메이션적 캐릭터와 판타지적 설정을 통해 ‘유사 리얼리티’를 재현함으로써, 웹드라마의 주요 수용자인 청춘세대의 취향에 소구하고 있었다. 요컨대 지상파가 멀티 플랫폼 전략으로 개발한 웹드라마는 장르관습과 캐릭터 재현, 리얼리티 구현에 있어 기존의 TV드라마 보다는 웹드라마 다수의 스토리텔링 특성에 맞추는 방향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실을 통해 웹드라마도 그 나름의 미학을 형성해가고 있을 가능성도 예측할 수 있었다. 아울러 기존 드라마의 클리셰를 적극 동원하고 있는 웹드라마들이, 비판의 대상이 되기보다 오히려 또 다른 즐거움의 요소로 소비되고 있는 문화 현상에 주목하여, 이를 디지털 세대 특유의 ‘데이터베이스 소비’ 현상으로 해석해 보았다. 웹드라마는 뻔한 스토리와 익숙한 드라마 클리셰로 단순히 소비되고만 있는 게 아니라, 그 나름의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대중과 만나고 있다고 본 것이다. 지상파가 개발한 멀티플랫폼 콘텐츠로서의 웹드라마는 이러한 현상을 보여주며 디지털 시대의 전개에 따른 우리의 이야기 문화가 어디로 향해가고 있는지 가늠케 해주는 유의미한 텍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meaning and meaning of storytelling in web drama Developed by terrestrial TV broadcasters. Web dramas have been developed with their crisis response strategies. Web drama is part of a multi-flat forming strategy.while TV ratings are declining rapidly, the impact of the web platform is increasing day by day. The main subject of analysis was five web drama of MBC. MBC has been the most consistent the multi-platform strategy about drama among the three terrestrial broadcasters. As a result of analysis, these dramas are more similar to conventional TV dramas than general web drama in that they have integrated volumetric narrative completeness, and they have similar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to general web dramas in terms of sequence. It is reproducing 'pseudo-reality' by fantasy setting and animated character, and the active mobilization of romance genre customs. In short, it was found that web drama developed by terrestrial multi - platform strategy wa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many web dramas rather than existing TV dramas. Through this fact, it was also possible to predict the possibility that web dramas are forming their own aesthetics. In addi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ultural phenomenon in which the ‘clicher’ of web drama is consumed as another factor of pleasure rather than being criticized. It is interpreted as the 'database consumption' phenomenon unique to the digital generation. Web drama is meeting with the public through its own storytelling method.

      • KCI등재

        중국 현실 소재 웹 드라마의 장르 특징과 사회적 의미 연구

        우로,최영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애니메이션연구 Vol.16 No.1

        In terms of content, Chinese realist web dramas mainly reflect the thoughts, feelings and social situations of modern Chinese people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and refer to ‘real time’ and ‘realistic spirit’ in terms of formality, which refers to video works suitable for Web sites to participate in the investment of filming and broadcast on video sites. Since 2014, when the so-called ‘Web Drama’ is cited as the first year of the so-called ‘Web Drama’, Web dramas have rapidly emerged as a new content powerhouse in China, boasting ratings that surpass television dramas. In addition,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s interest in discovering realist material influenced the format and content of the drama, regardless of the type of media platform, and created a new genre called ‘realistic web drama.’ The remake of the Japanese drama <Women in Tokyo>(2017) was praised for its realistic portrayal of a 10-year-old woman from Sichuan in southern China who lived in Beijing, the capital city, and set an amazing web drama ratings record of 1.2 billion views within a month of airing. The drama features a visualization of fast rhythms, an online broadcasting format using the Web and a self-confessed personal narrative by the protagonist’s monologue. Also, the rise of realism material is significant in the rise of Web dramas that replace television dramas that have dominated Chinese pop culture since the 1990s. The success of the book <Women in Beijing>(2018) confirms that the everyday lives of the general public have a considerable amount of marit as the main content of the broadcast. Instead of ‘Grand Narrative’, which pays more attention to the rich trends of history, it will also reflec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to pay attention to small stori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epic is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the post-80(80後) generation born after reform and opening. Web dramas are inseparable from the new platform of the Internet, and naturally fully reflect the culture of the younger generation who are used to utilizing these media. Social fluctuations and the rise of a new generation due to changes in the economic system and a sudden change in the material foundation inevitably cause not a few social problems. <Women in Beijing>shows a humane search for a number of social problems that China’s younger generation is experiencing today. As mentioned above, the genre and social significance of <Women in Beijing> as a realist web drama were the main reasons why the drama was successful in both its workability and its box office success. 중국 현실 소재 웹 드라마는 내용적인 면에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인의 현대 생활을 배 경으로 주로 현대인의 사상과 감정, 사회 상황 등을 반하고 ‘현실 시간’과 ‘현실 정신’을 담으며, 형식적 인 면에서 촬 및 투자에 웹 사이트가 참여하고 동상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방송하기에 적합한 상 작품을 가리킨다. 본고는 중국 현실 소재 웹 드라마의 성공 사례로서 <북경여자도감(北京女子圖鑑)>(2018)을 중심으 로 이러한 드라마 장르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사회적 의미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른바 웹 드라마 원년 으로 지목되는 2014년 이후 중국에서 웹 드라마는 텔레비전 드라마를 능가하는 시청률을 자랑하며 새로운 콘 텐츠 강자로 급부상했다. 이와 더불어 현실 소재 발굴에 대한 시진핑 정부의 관심은 미디어 플랫폼의 종류를 막 론하고 드라마 형식과 내용에 향을 주었으며 현실 소재 웹 드라마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켰다. 일본 드라 마<동경여자도감>(2017)의 리메이크 작인 <북경여자도감>은 중국의 남부지방인 쓰촨 출신 여성이 수도인 북 경으로 상경해 생활한 10년간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그려내 호평을 받았으며, 방송 1개월 만에 12억 뷰라는 놀 라운 웹 드라마 흥행 기록을 세운 바 있다. 이 드라마는 빠른 리듬의 시각화 진행, 웹을 이용한 온라인 방송 형식, 주인공의 독백에 의한 자기 고백적 개인 서사를 장르적 특징으로 삼는다. 동시에 1990년대 이래 중국 대중문화 의 최강 콘텐츠로 군림해 왔던 텔레비전 드라마를 대체하는 웹 드라마의 부상에서 현실 소재의 선전은 적지 않 은 의미가 있다. <북경여자도감>의 성공은 일반 대중의 일상적인 삶이 방송의 주요 콘텐츠로서 적지 않은 메리 트를 지닌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 역사의 유장한 흐름에 더욱 관심을 기울이는 거대서사(grand narrative) 대신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에 착하는 작은 이야기들에 주목하는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문화적 흐름과 연관된다. 다른 한편, 그 서사는 개혁개방 이후 출생한 포스트 80(80後) 세대의 일상과 긴히 연관된다. 웹 드 라마는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플랫폼과 불가분의 관련을 맺으며, 자연스럽게 이러한 미디어를 활용하는 데 익숙 한 청년 세대의 라이프 스타일과 문화적 취향을 반한다. 경제 체제의 변화와 물질적 토대의 급변으로 인한 사 회 변동, 그리고 새로운 문화 주체로서 청년 세대의 부상은 필연적으로 적지 않은 사회 문제를 불러일으켰다. 웹 드라마 <북경여자도감>은 이처럼 오늘날 중국의 청년 세대가 겪고 있는 수많은 사회 문제들에 대한 인문적 탐 색을 시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실 소재 웹 드라마로서 <북경여자도감>의 장르적 특성과 사회적 의미는 이 드라마가 작품성과 흥행성이라는 두 측면 모두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웹 드라마의 흥행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여경,양옥빈,임성준 한국전략경영학회 2018 전략경영연구 Vol.21 No.3

        1억 뷰 이상의 성과를 보이는 작품들이 줄지어 떠오르며 새로운 차세대 킬러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는 웹 드라마는 다양한 구성과 장르들을 소화하고, 여러 분야의 제작주체가 참여하는 새로운 형식을 가진 스토리텔링 콘텐츠로서 젊은 층 사이에서 전통적인 콘텐츠의 자리를 대체해 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급성장하고 있는 국내 웹 드라마에 내재된 고유한 특성을 중심으로 웹 드라마의 흥행성과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웹 드라마가 가진 주요 속성을 스낵컬처 콘텐츠로서의 속성, 시청자간 커뮤니케이션이 주도하는 사회적 소비(social consumption) 콘텐츠로서의 속성, 그리고 영상 콘텐츠들이 공유하고 있는 속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에 기초해 각 속성별로 웹 드라마의 흥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을 도출하고 가설을 설정해 실증분석 하였다. 스낵컬처 콘텐츠로서의 웹 드라마의 흥행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으로는 로맨스/코미디 장르와 제작진의 웹 드라마 제작 참여경험을 도출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사회적 소비 콘텐츠의 속성에 기반한 웹 드라마의 흥행요인으로는 시청자의 댓글 수, 팬덤이 큰 남성 아이돌 가수의 주연, 시청자간 커뮤니케이션 기회 확대를 위한 순차 업로드 전략을 도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또한 영상콘텐츠로서의 웹 드라마 흥행요인으로는 메이저 기업의 제작 참여, 크로스미디어 편성전략, 기존 원작의 보유를 도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네이버TV캐스트에 2013년 2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올라있는 웹 드라마 완결 작 총 256편을 연구표본으로 삼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로맨스/코미디 장르와 감독의 웹 드라마 연출 경험, 댓글 수, 크로스미디어 편성전략이 흥행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변수들은 웹 드라마의 흥행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증분석 결과의 해석과 더불어 본 연구의 의의와 공헌점, 그리고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Web dramas are attracting more and more audiences in Korea, especially among the young generation. As the growth of web drama challenges the traditional content industr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ctors which affect web dramas' performance in order to formulate adequate strateg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empirically verify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performance of Korean web drama. Building on previous work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important properties of Korean web drama, namely, properties of 'snack-culture,' 'social consumption', and 'traditional video content.' Then several variables and hypotheses were set under these properties for multilateral empirical analysis. 'Snack culture' properties of Korean web drama suggest the romance/comedy genre and directors and writers' previous experiences with web dramas would positively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a web drama. 'Social consumption' properties of Korean web drama suggest the number of viewer comments in the bulletin, the star power of a male idol singer, and the sequential release strategy would positively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a web drama. Traditional properties of video content, such as movies and TV dramas suggest that the participation of a major firm in producing, cross-media programming strategies, and the use of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ies (IP) would positively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a web drama. For an empirical investigation, 256 web dramas which were listed in Naver TV Cast platform at the time of October, 2017 were used as the sample. Some dramas had been listed from as early as February, 2013.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test hypotheses. Results show that the romance/ comedy genre, directors’previous experiences with web dramas, number of viewer comments in the bulletin, and cross-media programming strategies indeed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web dramas. However, other variables are not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of a web drama. The contribution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스낵컬처(snackculture) 시대의 새로운 이야기 양식, 웹드라마의 서사 구조에 관한 연구

        강건해 ( Kang Keon-hae ) 한국드라마학회 2020 드라마연구 Vol.0 No.60

        본 연구는 웹플랫폼에 게시될 목적으로 제작된 웹드라마의 서사 구조를 파악하여 드라마의 양식적 특징을 탐구하고자 시작되었다. 먼저 웹플랫폼을 통해 무료로 제공되는 짧은 길이의 드라마를 ‘웹플랫폼 드라마’로 명명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처럼 ‘웹플랫폼 드라마’로 범주의 제한을 둔 것은 이들 드라마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웹드라마’와 구분되는 이야기 구조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웹드라마가’ 기존의 드라마 형식을 고수한 채 ‘웹’을 드라마 재생의 도구로서 활용하는 것과 달리 ‘웹플랫폼 드라마’는 스낵컬처의 서사 콘텐츠로서 ‘웹’의 환경에 적합한 형식으로 구조화되고 있다. 웹플랫폼 드라마는 ‘에피소드(episode)’라 불리는 10분 내외의 분절된 드라마가 10여 편가량 묶여 완결되는 외형적 특징을 지닌다. 그리고 이러한 에피소드들은 개별적으로 소비되는 까닭에 독자적 이야기 구조를 지니면서도 완결된 드라마의 세계로 수렴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서사의 입구와 출구는 개방되어 있고, 몰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플롯은 간결해진다. 이러한 형식은 웹플랫폼 드라마가 구동되는 매체의 환경과 가상과 현실이 병존하는 상황에 익숙한 수용층의 특성에 부합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웹플랫폼 드라마의 가장 큰 구조적 특징은 이야기가 전통적 서사전개 양식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웹플랫폼 드라마의 사건들은 인과적 결속에 구속되지 않는 탈위계적 전개를 보이며, ‘우연’을 적극적인 서사 추동의 기법으로 활용한다. 또한 증폭된 갈등의 해결을 통해 ‘무엇’에 도달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지 않으며, 당면한 순간을 유희적으로 향유하는, ‘과정’에 충실한 전개를 보인다. 결국 드라마의 전개과정에서 드러난 갈등은 무화되고, 결말은 관객이 기대하는 희극적 마무리에 이르는 양상을 보인다. 웹플랫폼 드라마의 이러한 구조는 필연적 인과관계를 서사의 기본으로 삼아 온 대중적 이야기 양식과는 구분되는 서사 전략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 to explore the stylistic features of the drama by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web dramas intended to be posted on Web platforms.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se dramas as ‘web platform dramas’. The reason why the category of "web platform dramas" has been differentiated is that this type of drama shows a distinct narrative structure from general web dramas, which use the web as a tool for playback, while keeping up with the existing drama format. The biggest structural feature of web platform drama is that the story is not limited to traditional narrative development forms. Events in web platform dramas show deviant development that is not constrained by causal bonds, and use "coincidence" as a technique for the active narrative drive. They also show no willingness to reach the resolution of the amplified conflict but develop in the "process" of enjoying the moment at hand. Accordingly, the dramatic conflict revealed in development process is mutilated, and the dramatic conflict is likely to lead to the comic ending expected by the audience. This structure of web platform drama is a narrative strategy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popular narrative style, which has inevitably made causality the basis of the narrative.

      • KCI등재

        웹 드라마를 통해 형성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에 대한 연구

        안성훈,허광복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2023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3

        Unlike in the past, when the demand for web content was increasing and the use behavior of watching short videos was changed, unlike the past when only TV dramas and differentiation were mentioned, web dramas are more firmly established through various attempts. A typical form change is commerce of web dramas. Recently, more and more cases have been produced in the form of product sales by securing real-time functioned, which are disadvantages of commerce, through web dramas. In this trend, web dramas are also increasing interest in product sales. This can be said to be a form developed from the concept of a company's PPL, and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use web dramas that predict continuous growth as strategic product promotion and marketing mean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consumer behavior to collect product information and purchase products using web dramas to companies that are using or considering web dramas, and through this, companies design and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using web dramas.

      • KCI등재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및 영상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

        전경란(Jeon Gyong ra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웹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양상과 그것이 갖는 함의를 탐구하기 위한 것으로, 웹드라마에서 드러나는 이야기 구조와 그 전개방식의 특징은 무엇이며, 웹드라마에서 드러나는 영상구성의 특징은 무엇인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6편의 웹드라마에 대한 서사분석을 통해 웹드라마가 소수의 인물과 핵심 플롯을 기반으로 한 단선적인 이야기로 구성되거나 짧은 에피소드에서 서사적 완결을 지향하되, 다양한 에피소드로 분화되는 계열체적 특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영화나 방송 드라마에 비해 복잡한 서사세계를 구축하지는 않지만, 웹드라마는 새로운 스토리 이용방식 혹은 향유 방식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양한 다른 미디어와의 스토리 연계가 중요해지는 멀티 플랫폼 콘텐츠 시대에 중요한 스토리 매체로도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상구성 방식에 있어서 웹드라마는 기존의 모바일 영화 등을 통해 시도된 바와 같이 클로즈업과 컴퓨터 그래픽의 활용을 통해 제한된 인터페이스의 한계를 극복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의 표현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구현하고 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orytelling and screen composition modes of web-drama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new genre by asking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tructure, the manner of developing the story and the composition of screen for the visual storytelling. Analysing on 6 web-dramas, the significant result was produced as follows. Firstly, the narrative structure of web-dramas is described as the emphasis on the paradigmatic axis diverged to varied episodes and the narrative completion based on the small numbers of characters, the unilinear plot, and the composition of short episodes for the story arc. Web-dramas, as the new genre, are trying to adopt the new storytelling methods and appropriating the established drama storytelling strategies developed for decades in TV industry. The new genre is adding the novel features on storytelling landscapes, and it is shaping the new form of storytelling in the multi-platform period. Secondly, the screen composition methods for visual storytelling of web-dramas are characterized as the utilization of close-up shots and extreme close-up shots tried in mobile movies and appropriation of computer graphics images, special effects, and motion graphics. Web-dramas are using the potentials of digital technology for image creation and overcoming the constraints of limited interfaces of mobile device.

      • KCI등재

        원작의 유무와 아이돌 출연이 웹드라마 흥행에 미치는 영향

        김선기(Sunky Kim),유건재(Gun Jea Yu)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는 웹드라마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관심이 증폭되는 시점에서 웹드라마 흥행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는 웹드라마의 현황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웹드라마의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웹드라마의 누적 조회수의 누적 랭킹을 제공하고 있는 사이트인 컨스TV를 통해 2016년 2월 1일부터 2016년 3월 1일까지의 기간에 상영된 누적순위 1위부터 100위를 대상으로 팬덤의 유무가 웹드라마 흥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팬덤은 웹드라마의 흥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는데, 원작(웹툰, 웹소설)이 있는 경우와 아이돌이 출연하는 경우 웹드라마 흥행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팬덤이 웹드마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웹드라마의 정기 구독자를 나타내는 채널구독자수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매개효과를 발견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ecedents of web-drama success as the interests on web-drama is increasing. We focused on the factors which help web-drama success because current studies on web-drama has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market. We examined the effect of fandom on the success of web-drama using the data of constv site which provided with the rank (1-100) of web-drama between February 1st and March 1st in 2016. We found that the fando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 of web drama. In addition, we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people registered in web-drama channe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ndom and the success of web-drama.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current literature by revealing the factors which enable the success of web-drama.

      • KCI등재

        브랜디드 콘텐츠에 있어서 웹 드라마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이승영(Lee, Seung Y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브랜드 웹 드라마의 소재에 따른 장르, 스토리텔링 구성, 스토리 구조를 분석하고 스토리텔링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새로운 브랜디드 콘텐츠로써 주목받고 있는 웹 드라마의 가능성을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최근 2년간 게시된 브랜드 웹 드라마 17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은 문헌적 자료를 국내 현황조사는 주로 인터넷을 통한 D/B 검색과 웹 드라마 조사대상 선정을 위하여 인터넷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참조하였다. 연구 결과, 브랜드 웹 드라마는 메시지와 갈등, 등장인물, 플롯의 스토리텔링 구성 측면에서 기존 드라마 관습을 차용하지만 영화나 방송 드라마에 비하여 복잡한 스토리텔링을 구축하지 않으며 소재, 장르 면에 젊은 남녀의 사랑을 주로 다루는 로맨틱 드라마에 집중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브랜드 웹 드라마의 특성 상 제품, 인물, 배경이 서로 결합하면서 스토리텔링에 영향을 미치며, 복합적인 광고효과를 발휘하는 간접광고(PPL)를 포함하는 스토리 구성과 브랜드에 대한 제품 또는 홍보가 드러나기 않게 기업이 추구하는 메시지를 내용 전체에 담아내는 형식으로 스토리텔링을 의도하는 두 가지 경우로 구분되었다. 동화모델을 활용하여 스토리를 분석한 결과, 방송 회수에 따라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5단계 또는 위기 또는 절정이 생략된 4단계의 일반적인 스토리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토리텔링 유형분석 결과, 브랜드 웹 드라마는 사랑, 연예를 소재로 제작된 에피소드 스토리텔링을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7회의 시리즈로 기존의 드라마 또는 웹 드라마와 광고 콘텐츠를 재매개하는 스토리텔링을 나타내며 평균 7분 내외의 짧은 분량의 속도감 있는 빠른 영상으로 압축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조사,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2년간의 브랜드 웹 드라마를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한 한계점이 있으나, 관련연구가 미비한 실정에서 브랜드 웹 드라마의 스토리텔링을 위한 기반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empirically into the possibility of web drama, which is being noted as the new branded content, focusing on storytelling, through analyzing the genre according to a material of brand web drama, the storytelling construction, and the story structure and through sub-dividing a storytelling type. A research scope was progressed a study focusing on 17 brand web dramas, which were posted for the recent 2 years. As for a research metho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seen documentary data. A survey on the present status in the country was searched D/B primarily through internet, and was referred to an internet-video sharing site for selecting the web-drama survey subjec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brand web drama was surveyed to borrow the existing drama customs in the aspect of a conflict with message, of an appearing character, and of the storytelling construction in a plot, but not to establish complex storytelling, and to concentrate on romantic drama, which mainly addresses the love of young man and woman in the aspect of material and genre.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in brand web drama, the product, character and background have influence upon storytelling with being mutually united. Storytelling was divided into two cases of being intended in the form of containing the message of being pursued by an enterprise in the whole contents in order not to be unveiled a product or publicity on brand, along with the story composition of including PPL(product placement), which displays a compositive advertising effect. In consequence of analyzing a story through applying assimilation model, it was indicated to have a story structure in 5 stages of exposition-rising action-crisisclimax- resolu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broadcasting, or in 4 stages with the omission of crisis or climax. As a result of analyzing a storytelling type, the brand web drama was surveyed to utilize episode storytelling the most that was made by having a material as love and entertainment. It was surveyed and analyzed to show the storytelling of re-mediating an existing drama, or a web drama and advertising contents, and to be made with compressing it into the speedy and fast video with a short volume for averagely 7 minutes or so.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developed a research with restricting the research subject to brand web dramas for the recent 2 years, but is expected to be possibly applied to fundamental research data for the storytelling of brand web drama in the real situation of being insufficient in a relevant research.

      • KCI등재

        중국 웹 드라마의 특징 및 발전양상 연구

        구경모 대한중국학회 2022 중국학 Vol.80 No.-

        In the modern era of rapid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the emergence of web dramas is well received by the younger generation.They are not just Internet users, but play a role in actively producing and delivering information. Young people share and deliver the contents of the drama in real time while watching web dramas, and present personal opinions. In the information age, the rapid spread of information can be said to be an excellent promotion effect above all else. Therefore, for the growth of Chinese web drama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needs of young people. In addition, I think that if Chinese webtoons are re-mediated rather than simply retransmitting existing TV dramas or overseas contents in web dramas, they will be able to increase both their ratings and satisfaction. Improving satisfaction with young people can also be of great help in promoting web dramas. If young people's satisfaction with web dramas increases, it will naturally promote web dramas to other classes, and eventually, the web drama market will be expanded further than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