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수원관리지역의 토지이용가치 손실 평가에 관한 연구: 한강수계 하남시 상수원보호구역을 중심으로

        김동현 ( Dong Hyun Kim ),정주철 ( Ju Chul Ju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地方行政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상수원관리지역의 환경규제정책이 실제 토지이용가치의 변동과 어떠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한 하남시는 상수원관리지역의 유형 중 가장 강력한 규제에 해당하는 상수원보호구역이 오래전부터 설정되어온 지역이다. 본 연구는 비동질적 통제집단모형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해당 지역에 중첩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토지이용규제를 통제한 상태에서 상수원관리지역의 설정여부가 토지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6가지의 가상적 실험상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998년에서 2003년 사이의 기간을 제외하고는 상수원보호구역의 설정이 토지가격변동에 크게 차이를 주는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지가상승을 제외한다면 지목별로 토지가격변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목과 규제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정한 결과 지목별로 토지가격변동에 차이가 있으나 1993년에서 2003년의 기간 중 상수원보호구역이라는 효과로 인하여 그 차이가 크게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1998년부터 2003년까지 규제로 인한 토지가격 상승률의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1998년에 시행된 팔당호수질관리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인하여 강화된 규제로 인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 또한 최근 5년간 비이상적인 부동산가격의 상승은 규제로 인한 차이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수원관리지역과 이용지역 간 존재하였던 규제의 효과에 관한 의견차이를 좁히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데 토대가 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s of land and environmental land use regulation. The region of this study is the city of Hanam. It belonged to the water protected zones that is the strongest environmental land use regulation. This study use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nd controlled the another factor related land use regulation. The six experimental situation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s that the water protected zones don`t affect the values of land. The classification of land is the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land value except latest 5 years. Also, the interaction effect of two factor shows that the water protected zones affect the land value between 1993 and 2003. From 1998 to 2003, the increases of land price was large gap for land use regulation. It was explained the Paldang water-purity control policy in 1998. and In the latest 5 years, the irrational and unusual raise rate of real estate decrease the gap. This study has some importance as a basic analysis for consensus in water system.

      • KCI등재

        「지하수법」상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박종준 한국환경법학회 2019 環境法 硏究 Vol.41 No.1

        수량과 수질의 통일적 관리와 지속가능한 물관리 체계의 구축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의 수자원 보전・이용 및 개발 기능이 환경부로 이관되어, 기존의 분산되었던 물관리 체계가 일정 부분 일원화됨에 따라, ‘지하수의 적절한 개발・이용’과 ‘지하수의 효율적인 보전・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하고 있는 「지하수법」은 이전과는 다른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다. 특히 이러한 차원에서 「지하수법」에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는 기존의 법적 문제를 해소하고 새로운 정책적 환경에 부응하기 위한 제도개선방향의 모색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하수법」 제16조부터 제16조의4까지의 조항에서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의 법적 근거로 적용되고 있는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는 첫째, 대상, 요건, 조치사항 등에 있어서 규율이 불명확하며, 둘째, 「지하수법」내의 관련 규정 간의 관계, 「지하수법」과 관련 하위법령 간의 관계 및 「토양환경보전법」과의 관계에 있어서 연계성이 부족하고, 마지막으로 행정주체 간 효율적인 역할 배분의 미흡,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주로 집중된 권한, 실질적 법적 수단의 미비 등으로 인한 규율의 실효성 부족 등을 주요한 문제점으로 꼽을 수 있다.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의 개선을 위해서는 첫째 우선적으로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를 중심으로 주요 관련 용어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여야 하며, 둘째 「지하수법」내에서 지하수 오염방지와 관련된 규율의 비중을 확대하되 지하수 수량 관리 체계와의 합리적인 관계설정을 위한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지하수와 토양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고려하여 「토양환경보전법」과의 법적 연계성을 강화하여야 하고, 마지막으로 지하수 오염방지라는 정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규제체계가 「지하수법」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연관 제도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뒷받침하는 법제개선이 필요하다. 물관리 일원화라는 큰 틀에서의 제도 변화를 계기로 하여 지하수 오염방지 제도도 중장기 차원에서의 법제개선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가야 한다. In order to build an integrated and 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for water quality and water quality, the authority on water resources of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as been transferred to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existing decentralized water management system has become unified. Accordingly, the “Groundwater Act”, which stipulates matters relating to the prope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groundwater and the effici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groundwater, requires a new paradigm shift. In particular,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which occupies a low portion in the “Groundwater Act”. need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existing legal problems and to respond to the new policy environment.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is based on Article 16 through Article 16-4 of the “Groundwater Act”. The first problem with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is that the regulations on the objects, requirements, and measures are unclear. Second, there is a lack of connectivity in relation to the regulation itself, the sub-regulations, and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The last problem is the lack of effectiveness of regulations, which is due to the inefficiency of role allocation among administrative agencies and the lack of practical legal means. In order to improve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clearly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key terms related to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portion of regulations related to the prevention of groundwater pollution within the “Groundwater Act”, and to make a reasonable adjustment to the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Third, consider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and soil, the legal connection with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should be strengthen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gal system to support the strategic regulatory system to effectively achieve the policy objective of preventing groundwater pollution. As a result of the unification of water management, the groundwater pollution prevention system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in the long term.

      • KCI등재

        Evaporation Reduction from Open Water Tanks Using Palm-Frond Covers: Effects of Tank Shape and Coverage Pattern

        Ibrahim H. Elsebaie,Hesham Fouli,Mohab Amin 대한토목학회 2017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21 No.7

        The limited fresh water resources and increasing future demand for water necessitate the importance of optimum use of water; especially in arid/semi-arid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ducing evaporation losses from open water bodies using palm-frond sheets as cover material. Four open constant-depth water tanks with two different surface areas have been used in the study. The tanks had square and rectangular surface areas. The tanks were covered with two patterns of palm-frond sheets: a) staggered strips-no strips covering half of the surface area (strips-covered), and b) single sheet covering half of the surface area (½- covered). Data of cumulative evaporation depths were recorded daily continuously from the covered tanks, as well as from the uncovered tanks, to assess the relative efficiency of evaporation redu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rips-covered pattern outperformed the ½-covered; it reduced the evaporation depth by approximately 20% and 24% for the square and rectangular surface tanks;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the ½-covered pattern. Moreover, the strips-covered pattern resulted in approximately 76% less evaporation depth compared to the uncovered reference tanks. Additionally, water quality analyses showed that such palm-based cover materials have insignificant effect on the water quality.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evaporation can be reduced and controlled using environment friendly safe techniques.

      • KCI등재

        해양공간계획법 제정 이후 온배수의 활용과 규제에 관한 법·정책 개선안

        박지현 한국환경법학회 2018 環境法 硏究 Vol.40 No.3

        In April 1st of 2018, 「Marine Space Plan and Management Law」 has implemented. From now on, inland waters, coastlines, territorial waters, EEZ, will be used under the management policy of ‘plan ahead use later’. 「Marine space plan and management law」 has the purpose of preserving the sustainable marine ecosystem. Before, marine space has been used mostly for development purpose. Power plants have been releasing thermal effluent since 1930 in Korea with the adoption of thermal power plan in 1930 and nuclear power plan in 1958. However, the regulatory framework in thermal energy lacks consistency greatly and does not provide a legal ground for mandatory management. For the specific guideline, maximum temperature(Tmax), 1-hour change(△Th), 24- hour change(△T24) of the temperature after releasing thermal effluent should be implemented. Second, a conflict between energy policy and the law has to be fixed. 「New energy an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use and supply promotion law」 does provide hydrothermal energy as the renewable energy source. However, 「An Act on the promotion of and support for the water reuse」 exempted nuclear plant thermal effluent. nuclear power plant thermal effluent account for 52.8%of whole thermal effluents in Korea. It can be used for the greenhouse heating in farm and it should not be banned completely without a valid reason. 「Act on promotion and support of water reuse」 already provides excellent ground to use all thermal effluent. Many laws are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of thermal effluent. Taking complementary measures will support the balance of thermal effluent and preservation of the marine ecosystem. Third, the committee for the approval and damage from the thermal effluent is needed. Fourth, already existing ‘marine eco-conservation system levy’ can be used for the licensee to more focus on the preservation of marine eco-system with the collaboration of local government. 2018년 4월 1일부터 「해양공간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어 내수, 영해, 배타적 경계수역, 해안선까지 해양공간에 ‘선 계획 후 이용’관리방식을 적용한다. 이는 해양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측정하여 해양사용을 배분하는 것으로, 과거 「연안관리법」으로 개발에 치중하는 것과는 다른 입법목적을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해양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보전’이다. 우리나라는 1930년 화력발전, 1958년 원자력발전 도입 후 이들 발전소와 대규모 산업시설에서 온배수를 배출하고 있다. 연간 1,000억 톤 이상 배출될 것이 예상되는 가운데 온배수를 별도로 관리하는 법이 없을뿐더러 온배수의 정의부터 확산구역배출허가 등의 허가, 배수에 대한 규제가 명확하지 않아 개선이 요구된다. 4가지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해수의 사용하고 온배수를 배출하는데 구체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배수 후 주변 해수의 1시간 동안 최대온도변화(△Th), 24시간 최대온도변화(△T24), 확산구역경계에서의 최대온도(Tmax), 취수구와 방류구간의 온도 등에 대한 세부기준을 명확히 함으로써 법적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현재는 ‘온배수 배출 및 확산구역 사용신청서’를 해양수산부 장관에게 제출하면서 지정 전문연구기관이 타당성 조사를 하고 별개로 환경영향평가, 부처협의, 주민 의견수렴 과정에서 규제와 관리를 하고 있다. 둘째, 온배수 재이용을 위한 정의조항수정이 필요하다. 유일한 정의조항인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 6의 2는 “"발전소 온배수"란 취수한 해수를 발전소(원자력발전소는 제외한다)의 발전과정에서 발생한 폐열을 흡수하는 냉각수로 사용하여 수온이 상승한 상태로 방출되는 배출수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52.8%를 차지하는 원자력발전의 온배수를 재처리수로 이용하지 못하도록 배제되어 있다. 에너지는 민법상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으로 「에너지법」에 의하면 연료, 열 및 전기가 에너지에 해당하는 것이었으나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를 확대·지정하고 개발을 장려하여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에 근거하여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의 범위를 확대하여 수열에너지 사용을 촉진하고, 해양소수력발전도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원자력 재처리수의 사용을 원천 배제한 것은 타당한 이유가 없는 한 수정되어 난방에너지 등으로 재이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온배수사용과 피해에 대해 객관적 조사위원회를 통해 과학적 검증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업자가 해양생태계보전에 초점을 둘 수 있도록 해양생태계보전협력금을 부과하면서 지자체에서 해당 부과금에 대한 협력적 사용을 장려하는 방식으로 해양공간사용의 정책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국과 EU의 청정 지하저수지 관련 법제의 현황과 법정책적 시사점

        박종원 ( Jong Won Papk ) 한국법정책학회 2016 법과 정책연구 Vol.16 No.1

        최근 국내에서 청정 지하저수지 기술이 연구ㆍ개발 단계에 있는바, 향후 이 기술이 상용화되고 실제 사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관련 법제의 정비가 요구된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보다 앞서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미국과 EU의 관련 법제를 비교ㆍ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에서 청정 지하저수지 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법제를 정비함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법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청정지하저수지 개발사업은 그 긍정적 효과도 적지 않지만, 그로 인한 지하수 오염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러한 가능성은 인공 주입관정의 설치, 원수의 관정 주입 및 저장, 원수의 재사용, 폐쇄 등의 각 단계에 있어서 상존하게 된다. 결국 이들 각 단계에서의 지하수 오염 우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업의 입지선정 단계에서부터 폐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있어서 지하수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사업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의 허가제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국이나 EU와 마찬가지로 대수층으로 주입되는 원수의 수질을 철저히 관리하여야 할 것이며, 지하수보전구역과 같은 민감지역에서는 지하저수지 개발사업을 금지하거나 그 허가요건을 보다 강화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하저수지 개발사업은 여러 단계에서 오염 가능성을 안고 있는바, 그로 인한 악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의무화할 필요가 있으며,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에 대해서는 환경영향평가의 대상으로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나아가 청정지하저수지의 개발ㆍ운영이 적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청정지하저수지의 조성ㆍ개발ㆍ이용ㆍ사후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별도의 단일법을 제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청정지하저수지로 사용되는 대수층을 자연공물에 준하는 것으로 보고 공물법상의 법리에 착안하여 제도를 설계하는 방안을 입법론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Aquifer Storage and Recovery (ASR) or Managed Aquifer Recharge (MAR) technology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several years. Under current legal systems, we have many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projects applying the technology and managing risks resulting from them. This study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legal systems concerning ASR or MAR in United States and European Union (including its Member States), which has developed or developing the legal systems on ASR or MAR, in order to get some lessons and show ways to improve the current legal systems. The advantages of ASR or MAR projects as a water resource management tool are compelling. However, there are threats to pose unacceptable risks to environment at every cycle, such as installation of injection well, injection and storage of the source water, recovery and reuse of the stored water, and so on. Therefore, a permit system, to test whether a project meets some criteria related to impacts on groundwater, drinking water supplies and other natural resources, is necessary to prevent or minimize the threats. Specifically, the quality of water that can be injected into an aquifer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projects should be prohibited or permitted under strict conditions. Monitoring should be an essential part of every ASR or MAR project. And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for a proposed major project. Futhermore, a new act, which covers all aspects of ASR or MAR project, should be enacted to provide legal basis to carry out the project, and prevent or mitigate environmental harms caused by the project. The Law of the Res Publica may provide important clues to make a new ac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탐진강 하구역의 생물다양성과 생태적 특성 분석 연구

        임정철,김태성 한국습지학회 2018 한국습지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탐진강 하구역 생물군집의 군집 동태 및 분포 조건을 통해 기수지역 생태계 관리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각 분류군별 전문가들이 정밀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식생을 포함한 총 11개 생물 분류군에 대한 생물종의 다양성, 풍부성, 상관관계 및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식생은 하천의 물리적 환경과 염도 등 서식처 환경조건에 따라 7개 상관형에 18개 단위식생의 분포가 확인 되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야생생물 9분류군을 포함해 총 1,125개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각 분류군별 종조성과 분포 특성은 넓은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자연성 높은 기수역의 하구역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특히, 하천을 중심으로 유속과 염도, 토성 등 기반환경 차이에 따른 종다양성과 그 분포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일부구간에 분포하는 물막이보, 인공제방과 같은 인위적 교란요소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환경조건 하에서 생물종의 다양성과 그 분포는 전반적으로 자연성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물막이보, 간척, 주기적인 제방관리, 경작지 확장 등에 의한 야생생물의 서식처 소실과 축소, 생태계 연결성 단절 등은 지역 생태계의 다양성과 건강성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었다. 탐진강 하구역의 생물 분포 현황과 그 특성을 규명하는 최초의 정밀조사로서 탐진강을 비롯한 하구역에 대한 각종 개발압력 및 훼손 위기에 대응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ynamics and distributional condition of biological community and to support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stuarine ecosystem management by using the intensively surveyed results by each taxon experts around Tamjin river. We analyzed the biological diversity, abundance, correlation among speci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bout 11 taxa groups including vegetation, fish, birds, mammals, etc. in the Tamjin river estuarine ecosystem. We classified vegetation types into 7 physiognomic types and 18 communities according to habitat conditions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s and salinity. In total, 1125 species including 9 species of endangered species were identified in research area.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taxon were corresponded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estuarine ecosystem. Especially, the species diversity and distribution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rive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low rate, salinity, and soil. Despite the disturbance factors such as barrage and levees, the biodiversity and its distribution were evaluated to be high level under the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However, loss or reduction of wildlife habitat due to reclamation, embankment, barrage installation and expansion of farmland has been identified as a major threat to the diversity and health of the local eco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cope with various development pressure and damage crisis of the whole estuaries including Tamjin r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