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너지 효율 증대를 위한 에너지 사용량 예측과 에너지 수요이전 모델 연구

        김재환,양세모,이강윤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4 No.2

        Currently, a new energy system is emerging that implements consumption reduction by improving energy efficiency. Accordingly, as smart grids spread, the rate system by timing is expanding. The rate system by timing is a rate system that applies different rates by season/hour to pay according to usage. In this study, extern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day/time/season are considered and the time series prediction model, LSTM, is used to predict energy power usage data. Based on this energy usage prediction model, energy usage charges are reduced by analyzing usage patterns for each device and transferring power energy from the maximum load time to the light load time. In order to analyze the usage pattern for each device, a clustering technique is used to learn and classify the usage pattern of the device by time. In summary, this study predicts usage and usage fees based on the user's power data usage, analyzes usage patterns by device, and provides customized demand transfer services based on analysis, resulting in cost reduction for users. 현재, 에너지 효율 향상으로 소비감축을 시행하는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스마트그리드가 확산되면서 계시별 요금제가 확대되고 있다. 계시별 요금제는 계절별 / 시간별로 요금을 다르게 적용해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내는 요금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전력 사용량 데이터를 예측하기 위해, 온도/요일/시간/계절 등 외부 요인을 고려하고 시계열 예측 모델인 LSTM을 활용한다. 이러한 에너지 사용량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기기별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전력 에너지를 최대부하시간대에서 경부하시간대로 수요이전 함으로써 에너지 사용요금을 절감한다. 기기별 사용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간대별로 기기의 사용량 패턴을 학습 및 분류하는 clustering 기법을 사용한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전력 데이터 사용량을 기반으로 사용량과 사용 요금을 예측 및 기기별 사용패턴을 분석하고 분석 기반의 맞춤형 수요이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요금 절감 효과를 가져다 준다.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부모의 관여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학년의 조절효과 검증

        양경선(Yang, Kyungsun),장해진(Jang, Haejin),Grace H. Chung 한국가족학회 2020 가족과 문화 Vol.32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martphone use time and parents restrictive mediation in smartphone use time and how this relationship differs according to parents smartphone usage time and adolescents’ grade. Wave 3(2016) data collected in 2016 from the Seoul Panel Study of Education, Health and Welfare(SPSEHW) was used. The data collected from 630 matched pairs of mother and their children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of Hayes (2013). The gender of adolescent and mother s working status were controlled in all analyses. Parent s smartphone use tim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involvement of smartphone usage time and the smartphone usage time of adolescents. This effect further varied by grade. For early adolescents (elementary 6), the greater the parents’ time limit, the lesser the adolescents’ smartphone usage time regardless of the parents’ smartphone use time. However, for middle adolescents (middle 3),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limit and adolescent smartphone use time was more pronounced only when parents spent less time on smartph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arents are the main actors who influence the smartphone usage time of adolescents. Findings suggest that parents have greater impact on the lives of adolescents when parenting is consistent with parents’ actual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at parents and adolescents set rules for smartphone use together, and the importance of modeling in everyday life by parents for their adolescent children.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부모 관여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가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청소년의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에 조사된 서울교육복지건강패널 3차년도 자료(초6, 중3)를 활용하였으며, 어머니와 자녀가 모두 응답한 총 630쌍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청소년 자녀의 성별과 어머니 근로여부를 통제변수로 투입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Hayes(2013)의 SPS ‘PROCES’ Macro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부모의 관여와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조절효과가 발견되었고, 이러한 효과는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청소년 초기(초6)는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상관없이 부모의 시간제한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낮았지만, 청소년 중기(중3)는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적은 경우에만 부모의 관여와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연관성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가 청소년기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주체라는 것과 함께 부모의 양육과 실제 행동이 일치할 때 청소년의 삶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부모와 청소년이 함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규칙을 설정하는 것과 부모가 자녀에게 일상생활에서 본이 된다는 것, 즉 모델링이 중요하게 강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Customer Choice of Usage Time in Service

        이형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3 로고스경영연구 Vol.11 No.3

        Since unlike products, service is not storable, excess demand or unused capacity in a given period has no value for service providers. Taking into account huge costs and inflexibility of capacity in service industries, service firms have great concern with when customers use service. Customer choice of time in service usage has been rarely studied in marketing. Customer choice of usage time is surely a critical issue. A precise forecasting demand in a specific time period would not only save service firms a great deal of investment in service facility, but would also provide an opportunity to improve service quality by preventing from the possibility of excess demand and overcrowding. The proposed model is applied to a service scenario of internet pc game for investigating why customers use the service in a specific time period. Need for affiliation i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hoice of time. People with high need for affiliation are more sociable and prefer to use service during peak period with larger crowd In service usage context, density-facilitated activities are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ime choice, even though the direction of effect is negative as expected. On the other hand, density-hindered activities a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 More crowded time is preferred for density-facilitated activities such while less crowded time is preferred for density-hindered activities. The model can also forecast demand shape over time so that the service managers can obtain implications on capacity decision and service quality strategies.

      • KCI우수등재

        공조시스템 용량과 재가동 시작 시간 설정에 따른 실내 열환경 및 에너지 사용량 평가

        진산,이찬욱,도성록 대한설비공학회 2023 설비공학 논문집 Vol.35 No.3

        An office heating system is intermittently operated according to general occupancy patterns. When the heating system is not operated, the heating load accumulates in the indoor space, causing a decrease in the indoor air temperature. Because of this phenomenon, recovery times are required when the heating system is restarted and are affected by the heating system capacity and restart time. An excessive capacity causes an increase in the recovery time and an insufficient capacity causes an increase in the installation cost. Also, if the heating system restart time is set late, it may cause a worsening of the indoor thermal environment. Conversely, if the restart time is set early, it may cause unnecessary energy usage, therefore, determining the optimal capacity and restart time is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covery time and energy usage according to various heating system capacities and restart times. To achieve this, an energy simulation was implemented using EnergyPlus by varying the heating system capacity and restart time. As a result, the recovery time varied between 46-379 min and the daily energy consumption varied between 636.0-879.7 kWh with various heating system capacities. The recovery time varied between 53-118 min and the daily energy consumption varied between 675.4-869.8 kWh with various heating system restart times.

      • KCI등재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이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진욱 ( Kim Jinwook ),곽효정 ( Kwack Hyojung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1 학교사회복지 Vol.- No.5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이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과 청소년 인터넷게임 시간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모의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가 갖는 조절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 대한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로는 통계청의 『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부모 모두와 함께 거주하며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3~18세의 청소년이 있는 가구 응답 1,686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의 온라인미디어 사용시간은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아버지 모형에서 청소년의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에 있어 가구 총소득은 조절효과를 나타냈으며, 어머니 모형에서는 청소년의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에 있어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아버지 모형에서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 모형에서 가구 총소득은 조절효과가 없었다. 즉, 청소년의 인터넷게임 시간에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개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개인 요인은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임노동 여부 등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인터넷게임 중독 예방과 대책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on youth Internet game time,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 social-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 level, gross household income) in relation to parents’ online media usage time. The analysis used the Statistics Korea’s “2019 Life Time Survey” and surveyed 1,686 household responses with teenagers aged 13 to 18 living with both parents and attending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media usage time of each father and mot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net game time of teenagers. Second, in the father model, the total household income during the week was modulating effect, and in the mother model, the mother’s education level during the week was modulating effect. In other words, the Internet game time of adolescents showed that their mother’s personal factors had a greater impact than their father’s, such as her level of education and whether she worked or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policy measures for preventing and countermeasures against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teenag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 4-6학년 아동의 미디어 사용, 실행기능과 독서 시간 및 선호도와의 관계 탐색

        김아란,남민지,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4 No.4

        In light of an increase in the use of digital media devices, reading has been steadily declining, particularly beginning around K4 through K6. However, there is limited empirical evidence directly supporting this relationship.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usage of digital devices and reading, and how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EF) plays a role in this relationship. Overall, 304 parents whose children were in 4th to 6th grades reported on the average time their children spent using digital devices and partaking in various types of reading, together with their children’s attitude toward reading and EF. We also asked parents if they provided media education to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parents use and rely on digital devices, the more their children rely on them. The more time children spent on their smartphones, the less likely they were to spend time reading books. In addition, children with lower EF scores spent more time on digital devices and less time reading, and were also less likely to prefer spending time reading. In particular, the shifting component of EF uniquely predicted reading time and preference. However,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EF was observed between digital device usage and reading. Instead, EF predicted reading and digital device usage. When parents provided education about digital device usage, the child’s reading time and preference increased and the EF-related problem score was lower, suggesting that providing education for children about digital device usage can be useful and effective.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factors such as children’s EF development and parental education may play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igital device usage and reading habits.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고학년 자녀를 둔 부모들의 보고를 통해 이 시기 아동들의 미디어 사용 실태와 독서 시간 및 독서 태도의 관계를 검토하고, 미디어와 독서에 아동의 실행기능과 부모의 미디어 사용 정도와 자녀 대상 미디어 사용 교육 여부 등의 다른 요인이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탐색해 보았다. 부모 보고 자료의 분석 결과, 부모가 미디어를 많이 사용할수록 아동의 미디어 사용량도 많았다.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량이 많은 아동일수록 읽기를 덜 선호하였다. 또한, 실행기능이 낮은 아동일수록 미디어 사용량이 많고, 독서를 덜 선호하며 독서 시간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행기능의 전환능력은 독서 시간과 선호를 둘 다 설명하는 고유 요인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자녀에게 미디어 이용에 대해 교육하는 것은 독서 시간과 선호의 증가와 관련을 보였고, 실행기능 문제행동 보고 점수는 낮아져 미디어 이용 교육의 중요성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독서의 양과 태도에 미디어 사용이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실행기능의 발달 정도나 부모의 교육 제공 등의 요인이 추가적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독서 시간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이재선(Lee Jaesun),최선철(Choi Seon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독서 시간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표본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CYPS 2018)」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전국의 17개 시도별 171개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하는 학생 2,607명과 그 보호자 5,054명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5와 PROCESS macro v3.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독서 시간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그릿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은 독서 시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릿은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독서 시간 간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독서 시간을 늘리기 위해 그릿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 및 교육정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mediating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reading time. The sample of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1st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surveys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reading time using IBM SPSS Statistics 25 and PROCESS macro v3.4 program. Result showed that, first, smartphone usage time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grit. Second, the gr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ading time. Third, the gr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smartphone usage time and reading tim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plans and educational policies to promote grit in order to increase reading time for students using smartphones.

      • KCI등재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시간, 교사애착, 학업열의간 종단적 관계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활용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자료 분석

        배진희,한승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 of change over time and causality among smartphone usage time, teacher attachment, and academic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were analyzed. In order to ver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n autoregressive cross-lag model was employed. Result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smartphone usage time, teacher attachment, and academic engagement were stable over time. Second, smartphone usage time predicted teacher attachment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following year. Third, teacher attachment predicted smartphone usage time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following year. Fourth, academic engagement predicted smartphone usage time and teacher attachment in the following year. Fifth, each variable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commendations for controlling smartphone use, improving of teacher attachment and academic engagement were suggested.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교사애착, 학업열의의 시간에 따른 변화 경향과 세 변인간의 인과적 추론과 역동적상호영향력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자료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중학생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1차 년도(2018년) 중학교 1학년부터 2차 년도(2019년) 중학교 2학년, 3차 년도(2020년) 중학교 3학년까지 모든 조사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중학생이 스마트폰 사용시간, 교사애착, 학업열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교사애착과 학업열의를 예측하였다. 셋째, 교사애착은 차기년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학업열의를 예측하였다. 넷째 학업열의는 차기년도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교사애착을 예측하였다. 다섯째 각 변인은 나머지 두 변인 사이에서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사용 조절, 교사애착, 학업열의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여가 시간활용의 관계에서 일 경험의 매개효과 :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김동화 ( Donghwa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하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일 경험을 매개로 여가 시간활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뒤, 그 효과에 있어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KEEP)Ⅰ 12차(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총 40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및 대학 설립유형의 다중집단분석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첫째, 대학교 재학생이 지각하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여가 시간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일 경험이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대학 설립유형에 따라 대학교 재학생의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여가 시간활용의 관계에서 일 경험의 매개효과는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국·공립 집단에서 학자금대출 상환부담과 여가 시간활용의 관계를 일 경험이 매개하지 못하지만, 사립 집단에서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과 여가 시간활용의 관계를 일 경험이 부분매개하였다. 한편, 대학 설립유형에 따른 구조모형 경로의 차이는 학자금대출 상환 부담이 일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여가 시간활용 증진을 위한 교육학적 개입을 모색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perceived by students on Leisure time usage through Work experience,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For this purpose, the 12th data from KEEPⅠ were used; the number of study subject was 401. First, Work experienc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Burden on student loan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Leisure time usag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experience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and Leisure time usag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in National and provincial groups, Work experience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and Leisure time usage, while in private group, Work experi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and Leisure time usage.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path according to the typ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the effect of Burden on student loan repayment on Work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educational intervention to promote Leisure time usage by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금속 CMP 공정시 경질 다공성 패드의 적용

        김상용,김남훈,김인표,장의구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16 No.5

        There are four main components of the CMP process: polishing pad, slurry, elastic supporter, and pad conditioner. The polishing pad is an essential component to the reproducibility of polishing uniformity in CMP process. However, the polishing pad in recently using metal CMP raised the several points of high cost caused by the increase of cycle time and the many usage of slurr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novel polishing pad which would lead the cost reduction by the higher pad life-cycle, minimized cycle time and lower slurry usage. The characteristics of polishing pad were studied on the effects of different sets of the Polishing pad, which can be applied to metal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for global planarization of multilevel interconnection structure. The main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cost reduction by the increase of pad life-time, the decrease of cycle time and the lower usage of slurry through the specific hard porous structured pad design. It is confirmed that the novel polishing pad made the slurry usage decrease to 60% as well as the pad life-time increase twice with the 25% improvement of removal rate. The polishing time could be decreased and it also helped the cycle time to diminish. It can be expected that this results will help both the process throughput and the device yield to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