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의 식물경관, 경관선호도 및 불안감 해소 관계에 관한 연구

        방미청,강재철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2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brings a lot of convenience to people's life and work, but it also leads to more and more serious mental problem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Urban parks are not only the most important natural landscapes in the cities, but also green spaces with high frequency of recreation and relaxation activities. Plants are not only the most important design elements in urban parks, but also the material carriers that reflect the naturalness of urban parks. The plant landscapes designed by plants are very beneficial to people's emotional stability and mental health.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landscape desig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lant landscapes' naturalness on landscape preference and anxiety relief through plants which are representative design elements in urban parks. Taking the plant landscapes of Busan Citizen Park as the research objec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313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Using SPSS23.0 software fo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naturalness of plant landscapes in urban park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coherence, complexity, mystery and legibility of landscape preference. (2) The naturalness of plant landscapes in urban park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nxiety relief. (3) The coherence, complexity, mystery and legibility of landscape preference in urban parks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on anxiety relief. 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the siz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showed that the complexity of landscape preference has the greatest impact on anxiety relief, followed by mystery, legibility and coher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on the design of the plant landscapes of urban parks, looking forward to improve the landscape quality and visual beauty of urban parks, and to create landscapes of urban parks with obvious effect on anxiety relief. This study can not on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of urban parks and their plant landscapes, but also provide theoretical references for people's anxiety relief and improve peopl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Especially in the background of today's COVID-19 epidemic, urban parks and their plant landscapes are of great research significance to the recovery of human physical and mental health. 현대 사회의 신속한 발전은 사람들의 생활과 업무에 많은 편리함을 주는 반면 불안감, 우울감 등 엄중한 정신적인 문제들을 유발하고 있다. 도시공원은 도시의 가장 주요한 자연경관으로써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고 편안한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활용빈도가 비교적 높은 녹색공간이다. 도시공원의 가장 중요한 디자인 요소인 식물은 도시공원의 자연도를 나타내는 물질적 체재이다. 식물디자인을 통해 형성된 식물경관은 사람들의 정서안정, 신체 및 심리적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 본 연구는 환경심리학과 경관디자인학에 입각하여 도시공원의 가장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인 식물을 둘러싸고 경관선호도 및 불안감 해소에 대한 식물경관의 자연도 영향관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산시민공원의 식물경관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313부의 유효설문지를 회수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회귀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시공원 식물경관의 자연도는 경관선호도의 응집성, 복잡성, 신비성, 가독성에 유의미한 정방향(+)의 영향을 미친다. (2) 도시공원 식물경관의 자연도는 불안감 해소에 유의미한 정방향(+)의 영향을 미친다. (3) 도시공원에서 경관선호도의 응집성, 복잡성, 신비성, 가독성은 불안감 해소에 유의미한 정방향(+)의 영향을 미친다. 이외에도 회귀계수 비교결과, 불안감 해소에 대해 경관선호도의 복잡성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신비성, 가독성, 응집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도시공원의 식물경관 디자인에 대해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시공원이 경관품질과 시각적 미감을 제고하고 불안감 해소에 현저한 효과를 이루는 도시공원 경관을 조성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 및 그 식물경관의 디자인 발전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불안감 해소, 신체 및 심리적 건강을 촉진하는데 이론적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현재 COVID-19의 영향 아래 도시공원 및 그 식물경관은 사람들의 신체 및 심리적 건강을 회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연구의의를 가진다.

      • KCI우수등재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길지혜,박희성 한국조경학회 2020 韓國造景學會誌 Vol.48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s in the preservation of urban public parks with a focus on the international movement to acknowledge and preserve the heritage value of urban parks. First, the background in which the concept of "historic urban park" first appeared internationally,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were investigated. Then, the cases of the United Kingdom (UK), the United States (US), and Japan, all of which are already preserving and managing urban public parks, were analyzed. In the ICOMOS-IFLA Document on Historic Urban Public Parks, the 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ICOMOS), which is a group of specialists dedicated to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mentions tha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social, intangible, aesthetic, ecological, and civic values of historic urban public parks. In addition, according to ICOMOS, it is necessary to preserve elements of parks, such as space composition, topography, light, and environment. The UK, the USA, and Japan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for the background of preserving urban parks, the preservation system, the selection of parks to be preserved, and the elements to be preserved within the park. The UK has categorized parks into certain types from each period and has tried to preserve the common elements in each type. The US has selected the parks to preserve by determining the meaning of the parks itself considering multiple aspects, embracing not only the physical form of the parks, but also the culture, monumentality, and social values. Recently, Japan began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as a matter of policy and started to implement a preservation policy by investigating modern parks that are believed to be worth preserving. Specialists in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have argued that the method of preserv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must differ from that of other parks or gardens. Nonetheless, observing cases in these three countrie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ir administrative and legal systems regarding cultural heritage and urban public parks, their policies were still limited to preserving only the physical elements of parks. The direction and methodology for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urban parks must be developed further and elaborated upon in terms of the evolving concept and definition of heritage. Urban parks are where various historic values are accumulated, connoting historical meanings dealing with the memories of the parks and the urban dwellers. This study found that, worldwide, park management has been carried out in a way that the historic values of parks are respected and preserved. This global trend in preserving the historic values of urban public park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urban public parks in Korea that are being formed and renewed repeatedly.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도시공원의 유산 가치를 인정하고 보존하려는 움직임에 주목하여 국제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도시공원의 보존 동향을 살펴보고자 했다. 국제적으로 ‘역사적 도시공원’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추진상황을 확인하고, 도시공원의 보존과 관리를 이미 수행하는 영국, 미국, 일본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문화유산의 보전․관리를 중시하는 국제 전문가집단인 ICOMOS에서는 최근 ICOMOS-IFLA 문서를 통해, 역사적 도시공원의 사회적․무형적 가치, 심미적 가치, 생태적 가치, 시민 사회적 가치를 지속하고, 공간 구성, 지형, 빛, 환경과 같은 공원 요소를 보존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국과 미국, 일본은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동향이 나타나게 된 배경, 실제 보존 체계, 보존 대상으로 고려하는 도시공원, 공원 내 보존 요소에 저마다의 특성이 있다. 영국은 시기별로 나타나는 공원의 디자인을 존중하고, 각 시기를 대표하는 공원의 형태 요소를 보존하고자 한다. 미국은 공원의 의미를 물리적 형태뿐 아니라, 문화, 기념성, 사회적 가치 등 다양한 각도에서 파악하여 보존할 공원을 선정하고 관리한다. 일본은 보존 가치가 있는 근대공원을 조사해 선별하고, 공원의 보존 관리를 정책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했다. 전문가들은 역사적 도시공원의 보존은 기존 정원이나 공원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각국 사례를 보면 아직은 문화유산과 도시공원을 다루는 행정과 법제에 따라 물리적 요소를 보존하는데 다소 한정되어 있었다. 변화하는 유산의 개념과 정의의 맥락에서 도시공원의 보존 기준과 방법 또한 발전하고 정교해질 것이다. 도시공원은 역사적으로 여러 가치가 축적된 공간이며, 공원과 도시민의 기억에 많은 역사적 의미를 내재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이러한 공원의 역사적 가치를 존중하고 보존하는 방향으로 관리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시공원의 가치를 보존하고자 하는 국제 동향은 운영과 관리 문제에 직면한 우리의 도시공원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장기미집행 공원 문제 해결 방안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황지혜(Ji-Hye Hwang) 한국토지공법학회 2023 土地公法硏究 Vol.102 No.-

        도시공원은 도시지역의 주민들이 사회적․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정서적인 안정을 주는 등 중요한 기능을 하는 시설이다. 또한 도시지역에 녹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요즘과 같이 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은 때에 도시공원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도시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공원은 도시공원 부지만 확정하고 오랜 기간 동안 도시공원으로 조성하지 않은 장기미집행 공원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도시공원 부지가 사유지인 경우 토지소유자가 개발 행위 일체를 할 수 없어 재산권 침해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장기미집행 공원 구역에서의 재산권 침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2000년 7월에 도시공원 일몰제를 도입하였다. 도시공원 일몰제는 도시공원 부지가 20년간 도시공원으로 조성되지 않은 경우 도시공원결정이 실효되는 제도를 말한다. 이 제도는 사유지뿐만 아니라 국․공유지까지 실효 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도시공원 면적이 심각하게 감소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과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여, 민간이 도시공원 조성에 참여하는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과 도시자연공원구역 지정 제도를 도입하여 도시공원을 보존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장기미집행 공원인 부지 면적이 403.9㎢에 달하고 있어, 장기미집행 공원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장기미집행 공원을 도시공원으로 조성하기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민간의 자본으로 도시공원을 조성하고, 나아가 민간사업자가 조성된 도시공원을 관리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민간사업자가 도시공원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데 참여함으로써, 보다 활발하게 도시공원이 조성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기 위하여, 일본의 Park-PFI 제도(공모설치관리제도)를 비교 대상으로 한다. Park-PFI는 일본 도시공원법에서 정하고 있는 제도이다. 이 Park-PFI는 도시공원 내의 음식점, 매점 등 수익시설을 설치하고 관리할 민간사업자를 공개 모집하여, 선정된 민간사업자가 설치하는 수익시설로부터 얻은 수익으로 공원로 등 수익을 얻을 수 없는 시설까지 설치하고 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Park-PFI는 민간이 도시공원의 조성과 관리에 참여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담을 경감시키고, 장기미집행 공원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이 장기미집행 공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의 도시공원법제와 일본의 Park-PFI를 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장기미집행 공원 해결에 적합한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Urban parks are faciliti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such as providing space for residents in urban areas to engage in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and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In particular, since it provides green area in urban areas,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is further emphasized at a time when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s high like these days. Urban park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urban areas, have only confirmed the site of urban parks and have not been constructed as urban parks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if the urban park site is private land, the problem of infringement of property rights occurred because the landowner could not perform all development activities. Invalidation of Determination of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ies was introduced in July 2000 to solve the problem of property rights infringement in long-term unexecuted park areas. Invalidation of Determination of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ies means a system in which a Determination of Urban or Gun Planning Facilities becomes invalid if an urban park site has not been constructed as an urban park for 20 years. Since this legal system has been subject to effective not only private land but also national and public land, the area of urban parks is on the verge of seriously decreasing. To solve this problems, Act On Urban Parks and Green Area and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tilization Act were revised to preserve urban parks by introducing Special Cases concerning Developing Activities in Sites for Urban Parks in which the private sector participates in the construction of urban parks and Designation of Urban Natural Park Zones. Despite these efforts, the site area, which is a long-term unexecuted park, reaches 403.9㎢ nationwide, so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of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However, the finances of local governments are insufficient to turn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into urban par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legal system that allows private sector can construct and manage urban parks with private capital. In order to introduce a system in which private sector can construct and manage urban parks more actively, Park-PFI in Japan is compared. Park-PFI is a legal system prescribed by the Act on Urban Parks in Japan that openly recruits private sector to construct and manage profitable facilities such as restaurants and stores in urban parks and constructs and manages facilities that cannot be profitable. Park-PFI can effective in solving the problem of long-term unexecuted parks by reducing the financial burden of local governments by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urban parks. To solve problem about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the writter suggests to compare Korea's urban park legal system with Japan's Park-PFI, derive implications, and present measures suitable for solving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 KCI등재

        도시공원 야간경관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양정순 ( Yang Jung S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최근 국내에서는 도시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녹지공간 가치에 대한 인식변화로 도시공원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야간 도시공원은 다양한 역할 확대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야간 도시공원의 양적 확보와 동시에 질적 향상이 요구되어 다양한 디자인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으나 그 내용이 미흡하여 다양한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객관화된 조명계획 방향과 논리적 디자인 접근방법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도시공원 야간경관을 조성하고 집행하는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현재 국내 도시공원 야간 실태와 직면한 문제점을 다양한 시각으로 파악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전문가 인식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도시공원 야간경관 제고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방안은 첫째, 도시공원 빛환경의 중요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 변화의 필요성이다. 둘째 도시공원 경관조명 계획에 있어 디자이너나 집행자의 관점이 아닌 그 곳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 계획의 중요성이다. 셋째, 도시공원 야간경관에 관한 디자인 납품·시공·관리·운영의 총체적 집행방식과 진행 절차에 대한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준 및 제도의 혁신적 보완 또는 선진화된 모델 구축의 필요성에 대한 내용이다. 이와 같은 도시공원 경관조명 인식조사 연구과정을 통해 다양한 관점에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으며, 현재 국내에서 추진되는 도시공원 야간경관의 실태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그 발전 방향에 대해 다각적으로 파악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음을 밝힌다. In recent years, demand for urban park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qualitative level of urban residents and the change in value recognition of green space.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nighttime urban parks is increasingly emphasized by the expansion of various roles. For these reasons, various design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ecure the quantity of night urban parks and quality improvement at the same time, but there have been various problems due to insufficient cont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bjectively lighting plan direction and logical design approach. For this purpose, the awareness of experts in each field for creating and enforcing cityscape night view is investigated. The current nighttime urban parks in various perspectives understand the faced problems and the effort to find solutions was made. The following measures for night scenery of urban parks were derived through the survey of experts` awareness. 1)Change of social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light environment of urban parks. 2)The importance of the plan centered on the user, not the viewpoint of the designer or the executive in the urban park landscape lighting plan. 3)The necessity to improve the overall execution method and procedure of design delivery, constru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ight scenery of urban parks is raised . 4) The need for innovative complementation of standards and systems or the need to build advanced models. Through this process of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landscape lighting in urban parks, the practical and concrete plans in various perspectives can be founded, and it can be helpful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actual situation of urban park night scenery currently being promoted in Korea. At that point, the study has importance in understanding various aspects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 KCI등재

        도시공원 및 주변환경의 특성이 도시공간의 온도저감에 미치는 영향

        서정은,오규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20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3 No.5

        In order to improve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green areas in cities that include park construction, planting, and green roofing. Among these efforts, urban parks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improving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but also in terms of eco- system services (serving as resting places for citizens, providing cleaner air quality, reducing noise, et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ning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urban parks that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thermal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urban surface temper- ature reduction performance of urban parks. To do this, first, land surface temperature was calculated by using Landsat 8 images. Second, the PCI (Park Cool Island) index was calculated to identify the temperature reduction performance of urban park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parks (area, shape, veg- etation) and the surrounding spatial characteristics (land cover, building-related variables, etc.) were identifie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CI indices (PCI scale, PCI effect, PCI intens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ks and their surrounding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ks consisting of a larger area, simple shape, and higher tree coverage ratio had increased PCI per- formance, and were advantageous for improving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Meanwhile, PCI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decreased in areas with a higher impermeable area ratio and building cov- erage ratio. Th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dentify priority areas for planning and manage- ment of urban parks and can also be utilized as planning and management guidelines for improving urban thermal environment.

      • KCI등재

        파리 도시공원의 생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계기석(Kye, Ki Seok)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4

        이 논문의 목적은 파리 도시공원의 역사적 생성 과정을 통하여 그 생성 동기와 특징을 살펴보는 한편 도시공원의 지속적 조성을 위한 도시공원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파리에 현존하는 461개의 도시공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에서 도시공원 역사상 중요한 의미를 갖거나 면적이 큰 51개의 도시공원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조성 양식, 공원성격, 종전 토지이용, 생성 동기 등을 조사하였다. 공원조성 역사는 1564-1851, 1852-1913, 1914-1975, 1976-1990 및 1991-2012 등 5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1564년 튈르리 정원이 조성된 이래, 1770년대, 1850-1860년대, 1900년대, 1930년대, 1970-1990년대에 상대적으로 많은 도시공원들이 조성되었다. 도시공원 생성의 주요 동기는 시민혁명에 의한 왕가 정원의 개방, 오스만의 파리 대개조사업, 만국박람회 개최, 현대적 도시계획제도 운영에 의한 소공원 확충, 대규모 도시시설 이전부지의 공원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1840년대까지는 왕가 정원이 도시공원으로 전환되었지만 당초부터 시민들을 위한 도시공원을 조성하게 된 것은 1850-60년대 오스만과 알팡에 의한 파리 대개조사업부터 본격화되었다. 파리 도심지역은 물리적 한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많은 도시공원들을 조성하여왔음에도 불구하고 구 간의 도시공원 보급 격차는 여전히 크다. 도시공원의 성격은 당초 휴양과 산책 위주의 소극적 성향을 가졌으나 시민들이 도시공원을 통하여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가 다양화되면서보다 복합적이거나 전문적 성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공원기능의 복합화는 휴양과 산책 기능 외에 다양한 문화 활동과 생물 서식이 이루어지는 장으로 변모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공원 기능의 전문화는 일부의 도시공원이 특정한 주제를 표방하면서 보다 특화된 공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시공원의 규모는 앙시앙 레짐에서는 대규모이었으나 19세기 중반 이후 소공원(square)의 확충으로 평균 규모가 지속적으로 축소되었다. 그러나 20세기말에는 대규모 도심부적격 시설의 공원화에 영향을 받아 다시 대형 공원들이 나타났다. 도시공원 조성양식은 통치자의 취향이나 사회적 풍조의 변화에 크게 영향 받았다. 도시 내 입지하던 일부 기능들이 폐지되고 도시공원으로 전용됨으로써 지역적 도시재생의 단초가 되었으며 나아가 파리 전체의 공간구조를 새로이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는 기존 도시공원의 활용성 증진, 협의에 의한 도시개발사업과 연계된 도시공원의 신규 조성, 그리고 비오톱 면적지수 등의 활용을 통한 녹지 조성 등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otive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on in urban parks through the historical process of creating the urban parks in Paris, and to provide directions of urban park policy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tinuous creation of urban green space. The existing 461 parks, public gardens and squares in Paris were adopted for this study. 51 parks were selected as sample to analyse design style, features, previous land use, and motives of creation among them. The history of creating urban parks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1564-1851, 1852-1913, 1914-1975, 1976-1990 and 1991-2012. Since the creation of Tuileries Gardens in 1564, the urban park"s creation was a relatively high frequency in the periods of the 1770s, 1850-1860s, 1900s, 1930s, 1970-1990s. The main motives of creating a urban park can be summarized as the opening of royal gardens by citizen’s revolution, Paris remodeling projects by G. E. Haussmann,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Universal Exposition and Olympic Games, the expansion of vest-pocket park(square) by the operation of modern city planning system, and the conversion of previous urban facility sites into large urban park.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the existing city parks, to establish new city parks in conjunction with "concertation" including the various interests, and to create the green spaces by using the biotope area index.

      •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으로 본 중국 도시공원의 적용성 평가 및 이용자 만족도 연구

        수취안파,권영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construction of urban parks in China is increasing due to rapid economic development, most of the existing urban parks are intended for use by the general public and do not consider all individual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for vulnerable people to obtain equal-use rights for urban park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Chinese urban parks and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applicability and satisfaction analyses, targeting Chinese urban parks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Method) First, five elements of universal design were derived by referring to the literature and related guidelines. Second, the spatial components of Chinese urban parks were derived by referring to legal norms and standards and divided into nine areas. In combination with the excellent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rom various countries, an evaluation table was derived for the applicability of universal design to Chinese urban parks. A user-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evaluation table. Third, based on the applicability evaluation table, on-site surveys were conducted at four urban parks, and satisfac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Result) The applicability of the universal design of the four urban parks was found to be average (3.69/5.00), and user satisfaction was generally good (3.51/5.00). In nine areas, toilets, parking lots, park facilities, and information facilities were evaluated poorly. When looking at the universal design elements, the evaluation of items related to inclusivity and safety was the lowest, followed by those related to comfort and accessibility. However, the evaluation of items related to convenience was relatively high.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parks based on a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to ensure their equal use. The existing space elements are satisfactory, but a focus on the construction of park facilities is necessary. Inclusion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barrier-free ramps; widening the roads; improving the shape of tables, chairs, and sink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feeding rooms.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safety of the flat floors, shape of the display panels, and benches. The density of the benches can be increased by securing a buffer space and improving comfort by adding a rest space in the shade. There should be no obstacles on the road, and sufficient access space should be secured. An open park should be constructed, sufficient rest areas and activity spaces should be provided, and sufficient facilities should be added so that users can easily use the park. (연구 배경 및 목적)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중국의 도시공원 건설이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 도시공원은 대부분 일반인이 이용하는 기준을 따랐기 때문에 모든 사람을 고려하지 않았다. 특히 취약계층의 이용을 고려하지 않아 취약계층은 도시공원에 대한 평등한 이용권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에서 중국 도시공원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적용성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해 중국 도시공원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첫째,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문헌 및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5가지 요소를 도출한다. 둘째, 법적 규범과 기준을 참조하여 중국 도시공원의 공간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9개 영역으로 구분한다. 여러 국가의 우수한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가이드라인과 결합하여 중국 도시공원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성 평가표를 도출한다. 그리고 평가표의 내용에 따라 이용자 만족 설문지를 도출한다. 셋째, 적용성 평가표에 따라 4개 도시공원에 대한 현장 실측을 실시하고 만족도 설문지를 배부한다. (결과) 실측 평가 결과에 따르면 4개 도시공원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은 보통(3.69/5.00)이었으며, 이용자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양호(3.51/5.00)한 것으로 나타났다. 9개 영역에서는 화장실, 주차장, 공원시설, 안내시설이 낮은 평가를 받았다. 유니버설 디자인 요소를 보면 포용성과 안전성 관련 항목의 평가가 가장 낮았고, 쾌적성과 접근성 관련 항목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편리성 관련 항목의 평가가 비교적 높았다. (결론) 도시공원의 평등한 이용을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을 기반으로 공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공간 요소는 기본적으로 충족되며 공원시설 건설에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베리어 프리 경사로를 늘리고, 도로를 넓히고, 탁자와 의자 및 세면대의 모양을 개선하고, 수유실을 늘리는 등을 통해 포용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보도 포장 평탄, 표시판과 벤치의 모양은 모두 안전성을 고려해야 한다. 완충공간을 확보하여 벤치의 밀도를 높이고 햇빛을 가릴 수 있는 휴게공간을 추가하여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로에 장애물이 없도록 하고 충분한 접근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개방된 공원을 건설하고 충분한 휴게공간 및 활동공간을 마련하고 충분한 시설을 추가하여 이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뉴노멀시대 도시공원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권성은 ( Kwon Sungeun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뉴노멀은 기존의 가치에 대치되는 새로운 기준을 뜻하는 용어로, 제4차 산업혁명, 인구구조변화, 저성장, 기후변화 등을 주요 요인으로 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파생되는 사회변화와 문제에 대하여 종합적이고 유연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도시공간 또한 전환된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재조정이 요구된다. 도시공원은 라이프스타일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공간으로, 변화에 따른 다양하고 복합적인 활용이 가능하여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뉴노멀시대 새로운 공공가치의 반영을 위한 도시공원 계획특성을 연구하여 변화에 대응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먼저 문헌 및 인터넷을 통해 뉴노멀 시대를 이끄는 4가지 주요요인을 추출하고 심층 분석하여 연관 관계를 파악, 뉴노멀 시대의 특성과 대응방향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시대변화에 따른 도시공간의 변화 및 공원의 기능에 대해 이론적 고찰하고 도시공간의 변화가 기존 공원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여 계획특성(안)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계획특성의 적합성 여부와 뉴노멀시대 대응 방향과의 연관성을 검증하고 분석모형으로 구체화하였다.(결과)분석모형의 실효성 검증을 위하여 최근에 조성된 지역권 근린공원 2개소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공원 모두 충분한 부지와 계획적인 조성, 관리체계가 구축되어 뉴노멀시대 공원 계획 특성의 전반적인 척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상호지원성 중 첨단성, 유연성은 공통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탄력성과 관계된 보건성, 대응성, 환경성은 방재, 식생 등이 부족한 도심 선형공원이, 도시포용성과 관련된 접근성, 지역성은 도시외곽 공원이 낮게 분석되어 지형적 입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결론)도시공원은 사회구성원을 수용하는 생활의 연장공간으로, 뉴노멀의 시대 변화된 가치관을 수용하는 공간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반적인 시대변화 요인을 기반으로 접근하여 도시공원의 계획특성을 제시한 연구로, 상호지원성, 회복탄력성, 도시포용성 확보 측면에서 뉴노멀시대 도시공원의 조성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의 활용 시 기존 공원의 시대 변화의 수용여부 및 보완이 필요한 미흡한 특성을 미리 파악할 수 있어, 공원 재정비 설계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New normal is a term that refers to a new standard that contrasts with existing values, and the main factors of it includ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mographic change, low growth, and climate change. Accordingly, a comprehensive and flexible response to social changes and problems is required.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is emerging as they can be used in various and complex ways depending on the lifesty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pe with the ongoing changes by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to reflect the new public values of the New Normal Era. (Method) First, in this study, four main factors that lead the New Normal Era were extracted from the literature and the Internet, and th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y in-depth analys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Normal Era and countermeasures. Next, the change in urban space due to the change of times was theoretically considered for the function of the park and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plan) were derived by analyzing whether the change in urban space could meet the existing park functions. An expert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association with the New Normal Era response direction and to materialize them into an analysis model. (Results) Two recently created neighborhood park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nalysis model. As a result, both parks had sufficient land, planne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systems, resulting in high overall measurements of the park's planning characteristics in the New Normal Era. Both parks lacked high-tech and flexibility among their mutual supportability. Urban linear parks lacked disaster prevention and vegetation, resulting in low levels of health, responsivenes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resilience, while urban outer parks had low accessibility and locality related to urban i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errain and location of the park. (Conclusions) Urban parks shall be created as spaces to accommodate the changed values of the New Normal Era. Based on the overall factors of time change, the study presented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which derived the direction of urban parks in the New Normal era in terms of mutual support, resilience, and urban inclusion. The analysi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useful for park maintenance design as it can identify the acceptance and complement of existing parks in advance. The analysi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useful for park maintenance design as it can identify the acceptance and complement of existing parks in advance.

      • KCI등재

        도시공원의 사회적 가치와 지역사회 아동복지 연계 효과: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신수민,김경원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12

        연구목적 환경복지가 강조되고 있는 시대에서는 조경의 의미가 단순히 도심 내 경관(landscape)을만드는 개념에서 나아가, 심미적 아름다움, 쾌적한 환경이 제공하는 건강과 안전, 복지증진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도시공원과 지역사회 복지의 관계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 볼 사항은 도시공원을 통해지역주민 그 중에서도 미래 세대인 아동들의 복지향상에 실제로 긍정적인 영향이 끼치냐는 것이다. 도시 내 쾌적하고 아름다운 공원 조성이 갖는 공공성의 의미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동의하지만 이를학술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생활하는 서울이라는 도심 속에서 도시공원이 갖는 가치와 생태적으로 경관을 조성했을 때에 갖게 되는 아동발달적지역복지적 의미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연구방법 도시공원과 아동돌봄 시설 중 어린이집이 맞닿아있는 국내 사례를 심층적으로 사례조사함으로써 향후 개발될 도시공원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과 생태환경적 함의를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세평적 사례 선택을 통해 추천된 기관의 종사자들로부터 개별심층 인터뷰 및 질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사된 녹취록과 취합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한 설문 결과는 텍스트 데이터 마이닝 분석을 통해 워드 클라우드의 형태로 가시화되어 주요 토픽 및 키워드를 통한 의미를 파악하였다. 결과 어린이집 교사들은 도시공원의 환경 조성에 있어 영유아 및 아동들의 신체정신적 건강 뿐 아니라 언어적, 사회적, 수리적 발달을 위해 생태교육과 자연물 체험이 가능하게끔 도시공원이 조성될 것을 강조하였다. 결론 도시공원에 대한 빅데이터나 정부에서 수집된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남지만, 도시공원의 사회적 가치가 지역사회복지 중에서도 아동복지의 질적 향상을 위해 어떻게 상호 간 연계 효과를 지니면 좋을지 방향성을 제안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Purpose In an era where environmental welfare is being emphasized, the meaning of urban park landscaping has expanded beyond the concept of creating a landscape within an urban center to include aesthetic beauty and the promotion of health, safety, and well-being provided by a pleasant environment.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parks and community well-being is whether they actuall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well-being of local residents, especially the future generation of children. While there is some agreement on the public nature of creating pleasant and beautiful parks in cities, there are still very few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is issue academically.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value of urban parks and the child developmental and community welfare implications of ecologically designed landscapes in the urban center of Seoul. Methods Through an in-depth investigation of domestic cases where urban parks and children's centers intersect, we aimed to derive the direction of future urban parks and their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qual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practitioners of the recommended organizations through qualitative case selectio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urvey, collected through transcribed transcripts and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visualized in the form of a word cloud through text data mining analysis, and the meaning to be emphasized was identified through major topics and keywords. Result The daycare educators emphasized that the planning of urban parks should prioritize the provision of eco-educational and natural opportunities for promoting infants' and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well-being, as well as their linguistic, social, and mathematical development. Conclusion This study is limited by the lack of utilization of big data on urban parks and quantitative data collected by the government. Nevertheless, it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insights and policy implications on how urban parks' social value can be linked to improving child welfare in the community.

      • KCI등재

        도시공원의 양적·질적 평가를 통한 공원서비스 수준 분석- 제주특별자치도 동지역을 중심으로 -

        홍경아,임현우,박수국 한국지리정보학회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6 No.1

        Urban parks create the natural landscape of the city and offer a space for city residents to stay healthy and take a rest. They are also urban facilities designed to improve city dwellers’ emotional aspects. Currently, urban parks need qualitative management as well as quantitative supply due to changes in the national land and urban policy paradigm, and a shift in perspective to consumer-centeredness is needed. In this study, the service levels of urban parks for citizen were evaluated: (1) quantitative supply adequacy was analyzed based on the urban population, and (2)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ark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evaluati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arrangement of urban parks is judg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service levels of urban parks, the highest serviced urban parks were found in urban housing development sites and recently established park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ecently created parks improved the qualities of the parks by installing various facilities. I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urban park service supply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applied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it will be a more effective park and green space plan. 도시공원은 도시 자연경관을 형성하고 도시민의 건강과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도시민의 정서생활 향상을 도모하는 도시계획 시설이다. 현재 도시공원은 국토 및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로 양적확보뿐만 아니라 질적 관리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수요자 중심으로의 시각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이 공원으로부터 받는 서비스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인구 수요에 맞게 양적 공급적정성을 분석하고, 조성된 공원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평가를 바탕으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판단하였다. 도시공원의 양적 공급서비스 수준과 질적 평가 결과, 도시택지개발로 공원의 부지가 확보되고 최근에 공원이 조성된 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최근에 조성된 공원일수록 다양한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공원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방법을 통해 도시공원 서비스 공급 시 양적·질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적용한다면, 더 효과적인 공원녹지계획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