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ntact 시대의 변화되는 트렌드를 위한 리조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박상진 ( Park¸ Sangjin ),이남규 ( Lee¸ Namgyu ),김용성 ( Kim¸ Yongse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 위기 속 우리 사회의 대처는 사회적, 도시적, 건축적으로 다양한 방면의 변화를 가져다주었으며, 또 다른 형태 New normal 등장의 시발점이 되었다. 본연구는 Untact 시대의 변화되는 군중의 건축적 공간구성 관심요소와 공간을 사용하는 데 있어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줄 수 있는 새로운 요소 고찰을 통해 리조트 공간구성 유형들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 틀을 구성한다. 연구 틀을 기반으로 리조트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리조트 공간구성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리조트의 공간구성 유형을 분류하였다. 건물의 규모, 건물의 배치, 시설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고층 일체형, 저층 일체형, 혼합형, 저층 결합형, 독채 독립형으로 총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리조트 공간구성 평가를 위한 평가요소 도출은 현시점에서 변화된 건축전 관심요소를 반영한 항목들로써 1) 물리적ᆞ심리적 접근성, 2) 공간의 개방성 3) 감염에 대한 안전성, 4) 건축물의 위급상황 시 안전성, 5)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시하여 리조트 공간구성 평가를 시행한다. (결과) Untact 시대에 변화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요소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공간 구성을 분석한 결과 독채 독립형 > 저층 결합형 > 혼합형 > 일체형 순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개방성, 심리적 접근성, 감염 안전성에서 높게 평가된 프라이빗한 독채 독립형 리조트를 중심으로 리조트 공간구성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또한 리조트의 객실 외 사용자들의 접촉밀도가 높은 로비, 부대시설 등의 공간들도 함께 제시한다. (결론) Untact 시대의 변화된 공간적 관심요소는 사용자 요구에 큰 영향을 끼치며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되었다. 리조트를 중심으로 변화될 공간구성 분석을 통해 앞으로 설계될 리조트 공간구성에 대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변화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리조트 공간구성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설계될 리조트 공간설계의 기초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Our society’s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led to various social, urban, and architectural changes, initiating the beginning of a “new normal.”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framework to assess the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To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new spatial components of the architecture of interest for the public in the “untact” era and new types of factors that can promote psychological comfort in using spaces. Based on the research framework,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and proposes their future directions. (Method) First,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building size, building arrangements, and facilities arrangements, the types were classified into high-rise integrated design, low-rise integrated design, composite design, low-rise combination design, and independent single house design. By considering the new architectural components of interest at present, the study also derived the following five items for asses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1)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cessibility; 2) openness of the space; 3)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4) safety of the building in case of emergencies; and 5) convenience of users. (Results) After identifying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factors that can meet the new needs of resort hotel users in the “untact” era, independent single house design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llowed by low-rise combination design, composite design, and integrated design, in that ord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guideline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focusing on independent single house design, which was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openness, psychological accessibility, and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Furthermore, spaces such as the lobby, and auxiliary facilities with high contact density of users outside the resort's rooms are also presented. (Conclusions) The new architectural components of interest for the public in the “untact” era greatly affected the users’ needs, resulting in some restrictions. Focusing on resort hotels, this study analyzed different spatial composition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ort hotel construction designs. It is hoped that the guideline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proposed in this study, which considers the new consumer demands in the post-COVID era,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비대면예배의 교회사적 이해

        김명한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3 복음과 실천신학 Vol.66 No.-

        The epidemic has made gatherings of people dangerous. Coronavirus outbreak in 2019 is an epidemic. As the coronavirus spread around the world, many people were infected. So the government banned people’s gatherings. A church is a place where people gather to worship. Church services are held at the church on Sunday. This was a Christian tradition. This tradition has continued since the birth of the church. However, the government restricted church services out of concern about the spread of the contagious disease. In the end, the church could not adhere to the tradition of worship that had been passed on for thousands of years. Untact-Worship has become an alternative in the face of the pandemic. Untact-Worship is worship without gathering. Church worship is transmitted online, and members participate in worship using media in their own space. It is Untact-Worship because they cannot meet each other. Untact-Worship has eliminated the risk of infection. However, the church has questions about whether Untact-Worship is true worship. Although the theological work on Untact-Worship was not completed, there was no choice but to give Untact-Worship. This paper examines Untact-Worship. Their faith, which adhered to traditional worship during the time of the Black Death in the 14th century, will help. Also, we will find out how the church members of this era perceive Untact-Worship. 전염병은 사람들의 모임을 위험하게 만들었다. 2019년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는 전염병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세계로 퍼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었다. 그래서 정부는 사람들의 모임을 금지시켰다. 교회는 사람들이 모여 예배를 드리는 장소이다. 교회의 예배는 일요일에 교회에 모여 드려진다. 이것이 기독교의 전통이었다. 이 전통은교회가 생겨난 이래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 그러나 정부는 전염병의 확산을 우려해서 교회의 예배를 제한했다. 결국 교회는 수천년동안 이어져 온 예배의 전통을 고수할 수 없게 되었다. 전염병의 상황에서 대안으로 자리잡은 것이 비대면예배이다. 비대면예배는 모이지 않고 드리는 예배다. 교회의 예배를 온라인으로송출하고, 성도는 자신들의 공간에서 매체를 이용해서 예배에 참여하는것이다. 서로 만나지 못한다고 해서 비대면예배인 것이다. 비대면예배는 감염의 위험을 감소시켰다고 할 수 있겠지만, 교회는 비대면예배가진정한 예배인가에 대한 의문을 갖고 있다. 비대면예배에 대한 신학적작업이완성되지않은상태였지만, 비대면예배를드릴수밖에없었다. 본 논문은 비대면예배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14세기의 흑사병시대에 전통적인 예배를 고수했던 그들의 신앙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교인들이 가지고 있는 비대면예배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 KCI등재

        언택트 대응 서비스스케이프 공간시나리오의 사인시스템 사례연구

        이민아,백진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Background and Purpose) Till date, research on emergency design has focused on presenting countermeasures for evacu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practical solutions such as spatial scenarios (SS) for the untact-response of servicescapes to cope with emergencies faced due to COVID-19. This study recognized design issues through servicescape case analysis, focusing on signage for untact-responses to establish a service environment in which daily life can be maintained and services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even in an emergency. (Metho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SS in dealing with COVID-19, an analysis tool was presented by theoretically reviewing the SS of servicescapes and signage as physical evidence. An IKEA store was selected as an example of realizing an SS by controlling circulation suitable for untact situations, and the SS for untact-response implemented with signage was analyzed sequentially through space experience. The analysis included the following steps: (1) classification of the sign systems, (2) SS for untact-response by type, and (3) evaluation of spatial service design factors for unexpected situations. (Results) Subsequent to the analysis, the signage was categorized into seven types. In terms of functional composition they were divided into simple composition and complex type, and in terms of design composition, they were divided to express identity-based visual perceptual continuation through color,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for spatial relationships, and visual accessibility according to arrangement and expression method. The signage enabled users to intuitively perceive spac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circulation by completely dividing the role of providing space experience by sign color, with increased efficiency through selective individual circulation within a single circulation category with shortcut sign sets, and with a regular arrangement of sign sets to inform a new space. It also confirmed that signage is safe, convenient, sustainable, and flexible in dealing with various situations by the repeated arrangement of signs composed of simple images such as logo light. (Conclusions) Among the service systems implemented to meet the needs of modern societies, there were cases of SS that could respond to unpredictable situations because they could be variably applied in emergency situations occurring in daily life. Continuous research from various viewpoints is necessary in these cases. The signage that considers convenience, efficiency, sustainability, and flexibility based on safety realizes an SS for untact-response in a physical space. If its design composition and expression method is realized as a main measure suitable for unpredictable situation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onstruct a servicescape that can flexibly respond to any situation to maintain safety for both service providers and consumers.

      • KCI등재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교육의 필요성 및 발전방안

        이경환(Lee, Gyeong-Hwan),김하영(Kim, Ha-Young) 한국무예학회 2021 무예연구 Vol.15 No.4

        이 연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맞춤형 교육과 수련자들이 선호하는 다양성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의 표집방법인 ‘유목적 표집법’을 사용하였고,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귀납적 범주분석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교육의 필요성은 사회 전반적으로 비대면 문화가 태권도 교육까지 확산되면서 언택트 시대에 익숙해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비대면 태권도 교육은 당연히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교육의 문제점은 ‘환경’, ‘교육방안’, ‘흥미유발’, ‘상호간의 소통문제’가 주로 나타났다. 대면 교육과는 다르게 실시간으로 수련자의 정확한 자세교정이 어렵고, 서로의 표정을 볼 수 없어 실시간 이해도가 떨어진다. 그리고 태권도라는 무예의 특성상 일부 기술은 장소의 제한이 있어 일부 수련자에게는 문제로 나타났다. 셋째, 비대면 온라인 성인태권도 교육의 발전방안은 ‘학습관리시스템(LMS)’을 이용해 1:N 수업이 보편화 되도록 지도자는 도장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수련생들에게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콘텐츠와 온라인으로 쉽게 참여 가능한 수업환경을 만들 필요가 있다.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태권도 관련기관에서 비대면 온라인 태권도 교육 프로그램과 다양한 콘텐츠 및 플랫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mprove untact-online customized Taekwondo class for adults and increase diversity preferred by trainees as COVID-19 has spread out. As to research methods, ‘The Purposeful Sampling’ for qualitative study was adopted. To come up with research findings as shown below,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was used. First, When it comes to necessity of untact-online adult Taekwondo class, the untact Taekwondo class must be developed to adjust to untact-friendly environment as the untact culture has expanded across society, even Taekwondo education as well. Second, Untact online adult Taekwondo class has problems including environment, education plan, arousing interest, and mutual communications. Unlike face-to-face education, it’s hard to correct posture of trainees accurately in real time. Also, it’s impossible to see each other’s face, which results in lower understanding in real time. Third, The trainers are required to re-organize Taekwondo studio program using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to generalize 1:N classes, and also create contents to keep trainees focused on the class and class environment where the trainees easily participate in online in order to develop the untact-online adult Taekwondo class.

      • KCI등재

        언택트(Untact) 시대 VR을 활용한 디자인매니지먼트 필요성 분석

        한동균(Han Dong K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전 세계로 확산되자 세계보건기구에서 팬데믹을 선포하였다. 팬데믹의 공식화와 코로나 19 확진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자 전 세계의 사람들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불안과 공포감이 증폭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의 장기화는 정치, 교육,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예전과는 다른 비접촉, 비대면 이라는 라이프 스타일(life style)과 소비 형태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코로나 19뿐 아니라 이후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언택트 방식으로 많은 기업들이 경영을 할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디자인 분야 역시 시대의 흐름에 맞게 디자인 트렌드를 예측하여 가치를 창출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택트 시대에 맞추어 VR을 활용한 디자인 매니지먼트가 새로운 가치 창출로서의 기대효과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 VR을 활용한 경영 전략은 VR의 몰입감, 상호작용성, 상상성의 특징으로 인해 시·공간을 초월하여 실재와 같은 생생한 효과가 있어 디자인 매니지먼트 폭이 광범위 해질 것이다. 둘째, 언택트 시대에 VR을 활용한 디자인 매니지먼트 콘텐츠는 현실적이고 유용한 영역에서 평가될 것이다. 셋째, VR을 활용한 디자인 매니지먼트는 기업 경영의 능력을 최대화하며 퀼리티 높은 디자인을 창출할 것이다. In December 2019,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ed a pandemic as the COVID-19 outbreak in Wuhan, China, spread worldwide. When the pandemic was officially acknowledged, and the number of confirmed COVID-19 cases hit an all-time high, the reaction of people worldwide amplified the anxiety and fear induced by the virus infection. Prolongation of the situation brought a change in the form of a non-contact, non-face-to-face lifestyle and consumption patterns across various spheres, including politics, education, and business. This change is not only for the duration of the COVID-19 pandemic, as it will induce many companies to operate in an untact manner well in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e design field must also create value by predicting design trends based on the trend of the times. Consequently, in this study, we attempt to determine the possible outcomes of design management using virtual reality (VR) as a new value creation tool in line with the untact era. First, design management strategy using VR will transcend time and space due to the VR features of immersion, interactivity, and imagination, with a real-life-like effect that will expand the breadth of design management. Second, design management content delivered via VR in the untact era will be evaluated on the parameters of realism and utility. Third, design management using VR will maximize corporat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create high-quality design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조은순 ( Eunsoon Cho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지난 20여 년 동안 교육정보화 정책을 통해 학교환경의 디지털화, 교사와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 학교 급별 다양한 콘텐츠 개발, 사교육감소를 위한 학습자 튜터링 지원 등 많은 정책적 지원과 노력이 있어 왔다. 현재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을 지속, 확산하는데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기존의 개념으로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관련 자료와 분석에서도 코로나 이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습결손 및 학력격차, 계층격차 확대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으며, 공간과 기계설비중심의 교육환경 인프라 개선에 앞서 현재 교실 집합위주 교육과정의 근본적인 수업설계에 대한 개선 전략과 수업과정의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비대면 수업’에서 중요한 교수와 학습과정의 핵심요소들을 재점검해보고, 앞으로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하이브리드형 교육환경 속에서 (학교)교육기관의 기능, 교수자 및 학습자의 역할, 교수 학습과정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과 협력적 동반성장 전략을 위한 미래 지향적인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향후 전 세계 교육기관들이 학습자의 안전과 질 높은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전의 집합식 대면 교수 학습과정과는 차원이 다른 전략과 협력이 필요할 것이며, 이와 관련된 교육정책도 훨씬 통합적으로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유아부터 고등교육에 이르기까지 정규학교 교육과정에 비대면 수업 비중이 획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교육공학이 주변 학문 및 관련 테크놀로지와 융합적 협력 과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교육공학분야 전문가들의 사고력 융합을 통해 발전적인 미래교육체제 구축에 교육공학 분야가 무엇을 기여 할지 논의해보고자 한다. Throughout the past 20 years, the implementation of informatization policies in education has improved the digitalization of school environment, digital literacy of students & teachers, development of diverse contents in each educational stages, student tutoring investment(to decrease private education) and so on. However, even with all these policy supports and efforts, there are many people who say the digital educational infrastructure is still lacking and incapable of fully support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online classes during the pandemic. Various survey analysis has shown concerns of learning deficits and gaps in educational background caused by post covid-19 untact. Prior to the improvement of hardware-based education infrastructure, there is a strong need for a fundamental quality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ogress and a revolutionary change in curriculum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examines the key elem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untact’. In addition, throughout the forthcoming hybrid type education of mixed online and offline classes, the paper analyzes the functions of educational institutions(school), the role of teacher and student, applications of technology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environment, synergistic strategies and future-oriented tasks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order to provide safe and high-quality education in the future, educational institutions around the world will have to go through unprecedented types of collaborations and strategy forming.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 challenges given to the education technology which are the requirement of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related digital technologies, cooperation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will eventually lead to an establishment of qualitatively improv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tribute to future education system.

      • KCI등재후보

        포스트 COVID-19 시대의 선교전략 - 한국 재림교회를 중심으로-

        한송식(Han, Song Sik)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 학문 Vol.29 No.-

        본 연구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과 ‘언택트’(Untact)가 가속화 되고 일상화 되는 포스트 COVID-19 시대의 선교전략과 방향에 대해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상황화(contextualization)는 선교전략의 핵심 요소이 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면 교회는 그 상황에 적합한 선교 방식을 찾아야 한다. 새로운 기술의 발전 역시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인공지능(AI),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Big Data) 등의 기술로 특징지어지는 4차 산업혁명은 COVID-19로 인해 급격해지고 실체화되었다. 영원한 복음은 각 시대와 상황에 따라 적절한 매체를 사용해 왔다. 따라서 이 시대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기술과 매체들을 즐겨 사용 하기 때문에 COVID-19로 인해 가속회 되고 일상화된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과 언택트 상황에서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인터넷, SNS, 유투브, 줌(Zoom) 등 새로운 기술과 매체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포스트 COVID-19시대의 선교는 전도 대상자에 대한 깊은 애정과 이해, 4차 산업혁명이 만들어 내는 신기술의 적극적 활용, 교회 차원의 플랫폼 구축, 성도 개개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가 한데 어우러질 때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ra of post COVID-19 and the mission strategy and plan for post COVID-19 era that characterized by digital transformation and untact. Contextualization is a key element of mission strategy and includes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must also b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God’s plans and providence. So when a new era opens, the church must find a mission strategy and plan that fits the situati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rapidly approached by COVID-19, dominant in the development of AI, IoT, Big Data, is the crystal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is proceeding at an amazing pace. Everlasting gospel has used the right media for each age and situation. Today, most people enjoy new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use new technology - Internet, SNS, Youtube, Zoom, etc - for share the gospel in connection with ‘Digital Transformation’ and ‘Untact’ situation by COVID-19. As a conclusion, the mission of the post COVID-19 era will be effective when combined a deep compassion and understanding of the people to be evangelized, practical use of the new tren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igital platform establishment of church, and the strengthening of individual digital capabilities.

      • KCI등재

        전문대학에서 지적장애학생과 그 학부모의 대학생활과 수업경험 분석: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김영석 ( Kim¸ Young-seo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통합교육과 고등직업교육으로 특화된 A전문대학에서 지적장애학생과 그 학부모가 겪은 대학생활과 수업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전문대학의 지적장애학생 4명과 그 학부모 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초점집단면담의 내용을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여 2개 범주, 4개 주제, 14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범주에서 “대학선택의 이유”와 “대학생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대학선택의 이유”의 하위주제는 “현실적인 문제, 취업”, “지적장애학생, 당사자의 희망”, “학령기와는 다른 새로운 세상의 경험”, “통합교육을 통한 관찰학습의 기회 제공”이 도출되었고, “대학생활”의 하위주제는 “어려운 수업, 그러나 열의를 가지고 참여”, “달라지는 모습, 능동적 대학생”, “대학의 또 다른 즐거움 친구들”, “대학 적응에 중요한 사람, 친절한 교수”, “대학 적응에 숨은 조력자, 학부모”가 도출되었다. 둘째, 수업범주에서 “비대면수업”과 “수업에서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비대면수업”의 하위주제는 “비대면수업에 대한 만족과 그 이유”, “예체능계열의 학부모 등은 대면수업 희망”이 도출되었고, “수업에서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의 하위주제는 “학사관리와 학습의 어려움으로 학습코칭 요구”, “학점 이수를 위한 학사제도 요구”, “수업 중 도전적 행동에 대한 지원 요구”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지적장애학생 및 그 학부모는 지적장애학생의 취업 및 경험, 당사자의 희망 등의 이유로 전문대학을 선택하고, 지적장애학생은 전문대학의 인적 자원의 지원을 받아서 전문대학에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적장애학생은 학사관리, 수업 및 학점 이수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코칭, 학점이수를 위한 부가적인 학사제도, 인적 자원 등의 추가적인 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at the college established to provide inclusion and higher vocational education to the disabled by conducting a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hemes of “reasons for college admission" and “college life" were derived from the college category. The sub-themes of “reasons for college admission” were “employment”, “hop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ew experiences at the college”, and “observational learning through inclusion". And the sub-themes of “college life” were “difficulty and enthusiastic participation at learning”, “change to active college students”, “another pleasure, friends”, “the kind professors”, and “hidden helpers, parents”. Second, the themes of “untact-lectures” and “difficulties and needs in lectures” were derived from the lecture category. The sub-themes of “untact-lectures” were “satisfaction with untact-lectures and the reasons” and “another parents' hope, tact-lectures”. The sub-themes of “difficulties and needs in the lectures” were “the needs of learning coaching about academic schedules and learning", “the needs of additional academic systems for getting credit", and “behavior support for challenging behaviors in the lectures". Therefore,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choose the college for reasons such as employment, bu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difficulty managing the academic schedule and taking credits.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dditional support such as learning coaching, academic systems for getting credit, and additional human resources.

      • KCI등재후보

        에밀 브룬너(E. Brunner)의 “만남으로서의 진리”가 지닌 교회론적 함의

        박영범 ( Young Bum Par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그리스도교적 핵심가치인 ‘만남’을 주제로 삼는다. 오늘날 세계가 당면한 코비드-19(COVID-19)의 사태는 사회와 교회에 심각한 도전이다. 더욱이 집합금지 명령의 여파는 대면예배의 제한을 가져왔다. 비대면 문화의 확산은 오늘의 상황에서 피할 수 없는 미래이다. 그러나 동시에 기독교적 전통인 대면적 만남의 중요성이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왜냐하면 비대면적인 만남을 통해서는 만남이 지닌 본질적 의미가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교회는 하나님의 만남을 통한 사랑의 사귐, 그리고 이를 타존재와의 만남에서 실현했다. 그러나 비대면적 만남이 오히려 일상이 된 오늘날에는 만남이 지닌 전통적 의미가 퇴색했으며, 일상적 만남은 오히려 비현실적 용어처럼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교회는 다시금 만남에 대한 가치의 재발견과 이에 대한 현재적 적용을 과제로 갖는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다시금 브룬너(E. Brunner, 1889-1966)의 주장을 통해서 재확인하고, 또한 그 의미와 교회를 위한 하나의 방향 설정을 신학적으로 모색해보고자 한다. 특히 브룬너(E. Brunner, 1889-1966)의 저서 가운데 『만남으로서의 진리』을 분석함으로써 만남의 신학적 의미와 교회론적 적용을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이에 대한 간략한 평가와 함께 교회론적 전망을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encounter’, which is a core value of Christianity. The COVID-19 situation the world is facing today is a serious challenge for society and the Church. But the spread of an untact-culture in today’s situation seems unavoidabl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encounter with Christian tradition will also gain in importance in the future. The essential meaning of an encounter is not revealed through an untact-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Church realized the friendship of love through the encounter with God and the encounter with other beings. Today, however, the traditional meaning of encounters has faded and everyday encounters have become unrealistic terms. In this situation, too, the Church has the task of rediscovering the value of the encounter and its present application. This paper studies the theological meaning of encounter through the argument of E. Brunner (1889-1966). And it will be presented as a future direction for the church to develop. In particular, while analyzing 『Truth as Encounter』, it will be applied to the theological meaning and ecclesiological practice of encounter. Finally, this paper will present the valu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cclesiology of compassion.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다원예술 현황 및 발전 과제

        안현정 ( Hyun-jeong Ahn ),노엘라킴벌리정 ( Noella K. Chung ) 중앙대학교 예술문화연구원 2020 예술문화융합연구 Vol.12 No.-

        This study explores two main subjects: the first concern is current trends of interdisciplinary art after Millenials, the second is a link between using the untact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disciplinary art, these issues are based on the question that “what is the directivity of art in this Post COVID-19 Era.” Interdisciplinary art continues to expand the idea of contemporary art which used to be strongly bound up with our daily life through as it transformed alternative art movement or surrounding cultures that left open new forms of creation and art for public. Also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helped dematerialization of art to change all process of art including media, genre, and communication into producing convergence art and project. The strength of untact/online communication because of COVID-19 changed art ecosystem from conventional time-space concept, it is promoting the diversity of communication mode and type of fusion art. The possibility of interactive communion combination of creation, exhibition and performance is because of the unlimited expansion using all the social media(smartphone, podcast, YouTube, and etc.). Thus, art in the Post COVID-19 Era must be discussed with interdisciplinary art contemporary art ecosystem will rephrase through diverse range of ideas and strategies fo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