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ISG에 대한 UNIDROIT Principles(2004)의 특징과 유용성

        오원석 ( Won Sok Oh ) 국제지역학회 2005 국제지역연구 Vol.9 No.2

        우리나라가 2005년 3월 1일부터 UN통일매매법(CISG)의 체약국이 됨에 따라 외국과의 무역계약에서 CISG의 적용을 받게 되었다. 그렇지만 CISG는 그 제정과정에서 법계간 조정이 어려운 쟁점에 대하여는 법규화를 포기함에 따라 많은 점에서 법적 공백이 불가피하고 제정된 조항에도 정교함이 결여된 점이 있다. 이를 보충하기 위하여 1994년 UNIDROIT에서 원칙(Principles)을 제정하였으며, 이것이 계약법인 CISG의 Restatement 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1994년 UNIDROIT원칙은 내용면에서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2004년판이 공표되었다. 본 논문은 UNIDROIT원칙이 CISG와 결합하여 국제계약법을 한 단계 격상시켰다는 전제하에, UNIDROIT원칙이 CISG와 관계에서 어떤 조항이 차이가 있으며, 적용범위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의 목적은 UNIDROIT원칙이 CISG의 보충법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함이다. 즉 UNIDROIT원칙이 CISG와 경쟁관계에 있는지, 보완관계에 있는지와 보완관계에 있다면 어떻게 CISG를 보충하는지를 검토하므로 실무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UNIDROIT원칙이 CISG를 보충할 때 소송의 경우보다 중재의 경우에 더 잘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new edition of the UNIDROIT Principles(2004) is not intended to revise the 1994 edition but to cover additional topics of interest to the international legal and business communities. Thus five new chapters were inserted, dealing with authority of agents, third party rights, set-off, assignment of rights, transfer of obligation and assignment of contracts, and limitation period. Likewise, Korea became the Contracting State from the 1st of March, 2005, the first of day of the month follwing the expiration of twelve months after the date of deposit of the instrument of ratification. In international sales contract, the above two texts are not necessarily incompatiable and can usefully support each other. When the international sales contract is governed by the CISG between the Contracting States, or by the CISG by the means of a reference in the contract, the UNIDROIT Principles may serve as a means of interpreting and supplementing CISG. Of there is no reference in the contract, the Principles may be evaluated as general principles of law or the lex mercatoria. And also in view of the more comprehensive nature of the UNIDROIT Principles the parties may apply them in addition to CISG in respect of matters not covered therein, by including a following clause in the contract. This contract shall be governed by CISG, and with respect to matters not covered by this Convention, by the UNIDROIT Principles(2004). Considering the special nature of the UNIDROIT Principles, the impact of such a reference is likely to vary according to whether the case is seized by a court or an arbitral tribunel. The Court will tend to consider the reference to the UNIDROIT Principles in Contract as mere agreement to incorporate them into the Contract, and to determine the governing law on the base of into own conflict-of-law rules. But the situation may be different if the parties agree to submit their disputes to arbitration. The arbitrators may apply the UNIDROIT Principles not merely as terms incorporated in the contract, but as rules of law governing the contract together with the CISG. Thus when the parties make contract, if their contries are not Contracting States of CISG, it is advisable to refer to the CISG and the UNIDROIT Principles in their contract. And also they should include Arbitration Clause as a means of settleing their disputes in their contract.

      • KCI등재

        가상자산 거래의 물권법적 측면에 관한 연구 - UNIDROIT의 디지털자산 프로젝트 논의를 중심으로 -

        천창민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대학교 法學 Vol.63 No.1

        In recent years, Discussions and legislative activities in each country regarding the regulatory area of virtual assets have been quite active. However, the discussion on the civil law aspects, among others proprietary law aspects of virtual assets is relatively insufficient. Recently, there has been some progress in the related discussion in Korea; however comprehensive review or discussion is still lacking. On the other hand, in foreign countries, the Digital Assets and Private Law Project of UNIDROIT (hereinafter, the “UNIDROIT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20, in order to provide a unified Principles with regard to the proprietary law aspects of virtual assets transactions. Currently, the degree of the discussion has considerably progressed, and the final draft Principles are expected to be adopted in May 2023 after the last working group meeting in May of this year. This Article elaborates on the draft Principles contemplated by the UNIDROIT Project on the definition and categories of virtual assets, the concept of control, acquisition and disposition of virtual assets, custody of virtual assets, security interests in virtual assets and conflict of laws, togeth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preliminary translation of the draft Principles and their key contents. The UNIDROIT Project is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legislative actions in the near future, given that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civil law aspects of virtual assets are in legal vacuum in most countries. In fact, since Korea has been neglecting the discussion of virtual assets itself, neither civil law nor regulatory legal aspects of virtual asset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Of course, since more than 12 legislative bills on virtual asset markets regulation have been submitted to the 21st National Assembly, it is expected that the related regulatory law will be enacted within this year. However, compared to the regulatory law on the virtual asset markets, it is difficult to find discussions on the civil law aspects, and there is no legislative activity thereon. This situation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negative view of the Korean government on virtual assets. Accordingly, I think that Korea could not participate in any of the UNIDROIT Project meetings at all, nor did the UNIDROIT Project attract the attention of Korean scholars. In the future, with reference to the UNIDROIT Project, I hope that discussions and research of civil law aspects of virtual assets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academia,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same way as the regulatory law aspects. 근래 가상자산의 규제법적 영역에 관한 각국의 논의와 입법 활동은 제법 왕성하다. 그러나 가상자산의 민사법적 측면 그중에서도 물권법적 측면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그나마 최근 국내에서도 이와 관련된 논의에 약간의 전진이 있으나, 여전히 종합적인 검토나 논의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반해 외국에서는 2020년부터 UNIDROIT를 중심으로 가상자산의 사법적 측면 그중에서도 물권법적 쟁점에 관한 통일된 원칙의 제시를 위한 디지털자산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 그 논의의 정도가 상당히 진척되어 있어 올해 5월에 마지막 워킹그룹 회의를 진행한 후 2023년 5월에 최종적인 원칙안이 채택될 예정이다. 이 글은 UNIDROIT가 진행하는 디지털자산 프로젝트에서 제시하는 원칙을 가상자산의 정의와 유형, 가상자산의 지배, 가상자산의 취득과 처분, 가상자산의 보관, 가상자산의 담보권 설정, 준거법에 대해 해당 원칙의 국문시역과 함께 주요 내용에 대한 해설을 소개하였다. 디지털자산 프로젝트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가상자산의 민사법적 측면이 법적 공백 내지 흠결 상태라는 현재 상황을 감안해 보면 향후 개별 국가의 입법에 상당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그간 우리나라에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논의 자체가 많지 않았던 까닭에 가상자산의 민사법적 측면은 물론이고 규제법적 측면의 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물론 21대 국회에 가상자산시장 규제에 관한 12개 이상의 의원입법안이 제출되어 있어 올해 안으로 관련 규제법(업법)이 제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가상자산시장규제법에 비해 가상자산의 물건성에 대한 논의를 제외하고 가상자산의 민사법적 측면의 논의는 매우 적고 입법 활동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은 그간 가상자산에 대한 우리 정부의 부정적 시각에 기인한 점이 크다고 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가 UNIDROIT의 디지털자산 프로젝트 논의에 전혀 참여하지 못하였고, 국내 학자들의 주목을 끌지도 못하였다. 향후 UNIDROIT 디지털자산 프로젝트를 참조로 하여 민사법적 측면에서도 규제법적 측면과 같이 학계와 정부 및 국회에서 활발한 논의와 연구가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 무역계약의 준거법으로서 국제상사계약에 관한 UNIDROIT 원칙의 적용가능성

        홍성규 국제무역학회 2004 국제무역연구 Vol.10 No.2

        국제비즈니스관계에서 세계 공통의 최대공약수적인 규범을 찾아 국제적인 법규법을 명문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는바, 국제상거래법위원회(UNCITRAL)가 만든 CISG는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CISG는 경성법적인 성격으로 인하여 당사자들이 준거법으로의 적용을 기피하게 되고, 법적흠결의 결과로 개별사건에 적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나타나자 국제사법위원회(UNIDROIT)는 국제적인 통일규칙으로 적용가능한 UNIDROIT원칙을 제정 ?공표하였다. UNIDROIT원칙의 가장 큰 특징은 CISG와 같은 협약(convention)이 아니기 때문에 각국에서 비준절차를 통하여 국내법화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즉 Lex Mercatoria로서 존재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UNIDROIT원칙은 단순한 계약서나 국제협약의 형식을 취하지 않으며, 일체의 구속력을 갖지 않고 오로지 설득력(persuasive value)에 의해서만 실무상 적용가능하게 된다. 우리나라도 CISG의 체약국임을 감안할 때, UNIDROIT원칙은 CISG를 해석·보충하는 역할을 하며 국제상사분쟁의 해결을 위한 무역계약의 준거법으로서 기능을 하게 되어 앞으로 활용가능성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There have been efforts to find rules with the greatest common ground in international business and to stipulate international laws, and a representative result of such efforts is CISG created by the United National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 Because CISG had a problem in harmonizing the Continental law with common law, however, the stipulation of legal rules was delayed concerning major issues over which countries' interests clash with one another. Because of the nature of CISG as hard law, resultantly, concerned parties were reluctant to apply it as ground law and the law could not be applied to individual cases because of its legal deficiencies. Thus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the Unification of Private Law (UNIDROIT) established UNIDROIT principles, which could be applicable as international unified rules. UNIDROIT principles came to function as applicable law in international disputes over business affairs and, as demonstrated by cases of application up to now, the applicability of the principles is expected to expand significantly in the future. In conclusion, UNIDROIT principles, along with CISG, are expected to play a great role as the applicable law of trade contracts and as standards for resolving trade disputes. Because the two are not in an exclusive relation but in a complementary relation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make concurrent jurisprudential researches on them.

      • KCI등재

        영국과 UNIDROIT 협약의 금융리스법에 관한 비교 연구

        최두원 ( Doowon Choi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3

        금융리스의 국제적, 국내적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사법통일국제연구소(UNIDROIT)는 국제금융리스에 관한 UNIDROIT 협약(1988) 및 리스에 관한 UNIDROIT 기본법(2008)을 통하여 금융리스거래에 관한 국제규칙을 제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국제금융리스의 체계 및 법적해석의 통일을 위한 UNIDROIT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UNIDROIT 협약과 기본법의 법적체계와는 다른 방식으로 금융리스거래에 관한 법리를 발전시켜 왔다. 본 연구는 국제금융리스의 이론적인 분석과 함께 영국과 UNIDROIT 협약의 금융리스에 관한 차이점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영국의 금융리스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크게 3부분으로 나뉘었으며, 첫 번째 장에서는 금융리스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본질적인 특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둘째 장에서는 영국과 UNIDROIT 협약의 금융리스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법적 특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세 번째 장에서는 금융리스계약에서의 각 당사자들의 권리와 의무 및 계약위반의 구제에 대해서 논의하고 이에 대한 영국법과 UNIDROIT 협약의 법적해석 및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영국의 금융리스법에 관한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In order to encourage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utilization of financial leasing,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the Unification of Private Law (Unidroit) has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 rules dealing with financial leasing transactions through the Unidroit Convention on International Financial Leasing 1998 and the Unidroit Model Law on Leasing 2008. However, despite the efforts of the Unidroit to unify the system and the legal interpreta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leasing, the UK has developed financial leasing in a different way from the legal framework of the Unidroit.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a theoretical analysis of international financial leasing and discusses differences between financial leasing in the UK and the Unidroit Convention.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will look into some ways to reform the law of financial leasing in the UK. Accordingly, it is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The first part of the study introduce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fundamental features of financial Leasing. Then the second part focuses on differences between financial leasing in the UK and the Unidroit Convention and looks into legal characteristics of them. The third part mainly discusses rights and obligations of each party of financial leasing contract and the concepts of a triangular relationship in English law and the Unidroit Convention. Then, the conclusion suggests some ways to reform the law of financial leasing in the UK.

      • KCI등재

        UNIDROIT의 리스 통일법화 과정에서의 쟁점과 상법에 대한 시사점

        강정혜 한국상사법학회 2013 商事法硏究 Vol.32 No.3

        Leasing was recognized as being suited as a means of developing the industry in the developing countries. For providing modern legal framework on leasing law to them and making foreign investors feel sufficiently protected to invest lease finance in such a country, UNIDROIT embarked on the preparation of uniforming leasing law. As such a result, UNIDROIT adopted UNIDROIT Convention on International Financing Leasing in 1988and UNIDROIT Model Law on Leasing in 2008. With regard to the sphere of application and definition of lease, the Korean Commercial Law just governs the finance lease, in contrast to the UNIDROIT Model Law on Leasing which governs leasing as a whole. This would not reflect the industry practice whereby leasing operating leasing and finance leasing. Also, with regard to the direct claim of lessee to the supplier, UNIDROIT Convention on International Financing Leasing in 1988 and UNIDROIT Model Law on Leasing in 2008 clearly declared it as a right of the lessee against the supplier. The Korean Commercial Law entitles the lessee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supplier too, nevertheless, the doctrine of privity of contract.

      • UNIDROIT원칙(2004)과 국제상사중재

        홍성규(Hong Sung-kyu)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05 지역개발연구 Vol.10 No.2

        There have been efforts to find rules with the greatest common ground in international business and to stipulate international laws, and a representative result of such efforts is CISG created by the United National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 Because CISG had a problem in harmonizing the Continental law with common law, however, the stipulation of legal rules was delayed concerning major issues over which countries' interests clash with one another. Because of the nature of CISG as hard law, resultantly, concerned parties were reluctant to apply it as ground law and the law could not be applied to individual cases because of its legal deficiencies. Thus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the Unification of Private Law (UNIDROIT) established UNIDROIT principles, which could be applicable as international unified rules. The usefulness of the UNIDROIT Principles, which acknowledge the intervention of judges (arbitrators) to the principle of contract freedom and aim at economic rationality and the realization of legal justice, is spreading everyday, In the situation that there is no internationally unified judicatu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rational dispute resolution and legal stability through arbitration by adopting the UNIDROIT Principles of lex mercatoria as a governing law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Thus, there will be increasing efforts to understand correctly and research CISG as well as the UNIDROIT Principles, which complement CISG. In conclusion. UNIDROIT principles. along with CISG, are expected to play a great role as the applicable law of trade contracts and as standards for resolving trade disputes. Because the two are not in an exclusive relation but in a complementary relation with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make concurrent jurisprudential researches on them.

      • KCI등재

        국제상사중재에서 UNIDROIT원칙 (2004)의 적용과 전망

        홍성규 韓國仲裁學會 2006 중재연구 Vol.16 No.2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the Unification of Private Law(UNIDROIT) established UNIDROIT principles, which could be applicable as international unified rules. The UNIDROIT Principles plays the role of interpreting and complementing CISG and functions as a law applicable to international commercial disputes. As shown by cases of practical application so far, the principles are expected to be applied frequently to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 the future. In the situation that there is no internationally unified judicatu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rational dispute resolution and legal stability through arbitration by adopting the UNIDROIT Principles of Lex Mercatoria as a governing law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In conclusion, UNIDROIT principles, along with CISG, are expected to play a great role as the applicable law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and as standards for resolving international commercial disputes.

      • KCI등재

        國際物品賣買契約에 관한 UN協約과 UNIDROIT原則 2004의 比較硏究

        오석웅(O Seog-Ung) 한국법학회 2007 법학연구 Vol.25 No.-

        국제물품매매에 관한 UN협약은 대륙법계와 영미법계간의 타협의 산물로서 기존 법체계들의 조정에 초점을 두고 있어 상거래관행의 반영이 미약하고, 법계간의 이해관계로 제외되거나 적용이 배제된 논제들이 많다는 점에서 이를 보충할 법규가 필요하다. 반면 국제상사계약에 관한 UNIDROIT원칙은 그 자체가 구속력 있는 협약(convention)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국제거래관계에서의 적용을 통해 국내법규의 상이함에서 오는 문제 예컨대, 법적용의 불확실성, 법적불안정성 등의 해결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하여 비엔나협약과 UNIDTOIT원칙의 법리를 비교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물품계약의 성립과 관련하여 비엔나협약과 UNIDTOIT원칙상의 규정들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비엔나협약에 대한 UNIDTOIT원칙의 보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국제물품매매계약도 매매계약이므로 청약과 승낙이라는 의사표시의 합치로 이루어지며, 또한 국제거래계약이므로 다른 상사계약과 다른 원리로 계약이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대해서는 비엔나협약과 UNIDTOIT원칙도 같은 취지의 규정을 두고 있다. 즉 계약의 성립에 관한 양 규정의 내용은 대체로 일치한다. 다만 비엔나협약이 국제물품매매계약에 한정되어 있는 반해, 국제상사계약의 전반에 관한 규정한 UNIDTOIT원칙은 비엔나협약보다 더 포괄적이며 유연하게 그 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동 원칙은 계약의 성립과 관련하여 비엔나협약의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국제거래에서 보다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동 원칙상의 계약 성립 관련 규정에서는 변화하는 상관습과 상행위 환경의 변화에 부응학 위해 비엔나협약에는 없는 새로운 규정들도 포함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ison between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 for International Sales of Goods(CISG)” and “UNIDROIT 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relating to formation of contract for the international sales of goods. CISG is the outcom of negotiation between common law and civil law. while UNIDROIT principles is the result of thorough comparative studies between both law carried out by lawers comimg from totally different cultural and legal background. Although CISG is making general rules on the international sales goods and more practical than established international instruments and domestic laws, the expression or approach method would not pass the limit. But UNIDROIT principles as the whole, divided the contractual obligations into express or implied. and regulated various provisions in directly or indirectly relation to them. Therefore provisions of UNIDROIT principles are more simple and sysmetic. practical than CISG. The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e fact that in the chapter of UNIDROIT Principles on formation provisions are included on the manner in which requirements that an offer and an acceptance must meet are more comprehensive. and in result a contract may be concluded more easily.

      • KCI등재

        문화재반환사건에 있어서 민법 및 국제사법상 몇 가지 쟁점

        송호영(Ho-Young Song) 한국국제사법학회 2009 國際私法硏究 Vol.- No.15

        문화재는 한 국가나 민족의 역사적 정체성을 담은 상징물일 뿐만 아니라, 인류공동의 유산이라는 점에서 다른 물건과는 달리 특별한 보호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각국은 문화재를 다른 일반물건과는 분리하여 이른바 不融通物(res extra commercium)로서 특별히 보호하고 있으며, 우리 문화재보호법도 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각국의 문화재보호법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는 문화재의 밀반출이 성행하고 있다. 문화재가 불법반출되어 유통되는 실정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공조가 필요한데, 그러한 결실의 하나가 바로 1995년 UNIDROIT 문화재환수협약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UNIDROIT협약 제2장 도난문화재의 회수와 제3장 불법반출 문화재의 반환 에 관한 규정들은 도난문화재의 선의취득을 부정하고 체약국에 속한 불법반출문화재의 점유자로 하여금 반환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이 조항은 민사실체법상 규범이다. 따라서 UNIDROIT협약이 체약국으로 하여금 문화재반환에 관한 통일된 민사법상 규범을 강제함으로써, 국제적인 문화재의 불법적인 반출?유통을 제어하는 효과적인 역할을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UNIDROIT협약은 협약의 발효 전에 발생한 불법반출문화재의 반환에는 소급적용될 수 없고(협약 제10조 제1항 참조), 협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국가에서 발생한 문화재의 밀거래에 대해서는 협약의 효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그러한 점에서는 국제적인 문화재반환사건의 경우에 각국의 민사법과 문화재보호법령 및 국제사법이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고는 현재까지 협약에 가입하지 아니한 우리나라의 법률상황을 고려하여 문화재반환과 관련하여 제기될 수 있는 민법상 법률문제와 국제사법상 쟁점들을 살펴봄 으로써, UNIDROIT협약과 민법, 문화재보호법 및 국제사법 등 국내법 상호간의 관계와 역할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민법상 문제되는 제도와 관련해서 본고는 선의취득과 취득시효 및 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와 관련한 문제점을 UNIDROIT협약과의 관계 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국제사법상 문제와 관련해서는 문화재반환소송의 재판관할의 문제와 준거법지정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결론에서는 UNIDROIT협약에도 불구하고 민법 및 문화재보호법 그리고 국제사법의 제 규정과 제도들의 운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UNIDROIT협약 가입의 의의와 실익에 대해서도 간단히 언급하였다.

      • KCI등재

        국제물품매매계약의 이행에 관한 연구

        오석웅(O Seog-Ung)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31 No.-

        국제물품매매계약이 유표하게 성립되면 계약의 당사자들은 계약의 내용에 따른 이행의무를 부담한다.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은 계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매도인의 의무로서 물품인도의무, 소유권이전의무, 서류인도의무, 계약적합의무를, 매수인의 의무로서 대금지급의무, 물품수령의무, 물품의 검사 및 하자통지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협약은 매매계약에 대한 영미법계와 대륙법계의 타협의 산물로서, 현실의 상 관행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 하였고, 또한 법 계간에 첨예하게 대립된 부분은 제외함으로써 해당부분에 관해 바람직한 법 이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국제상사계약에 관한 UNIDROIT원칙은 계약의 이행에 관하여 협약의 취지를 수용함과 동시에 협약보다 더 포괄적이며 유연하게 그 원칙을 규정하고 있으며, 현재의 상관행 현실을 더욱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동 원칙은 비엔나협약이 제정과정상의 한계로 규정하지 못한 공적허가, 장애, 자금의 전가, 통화종류의 결정 등의 사항에 대해서도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UN협약상 당사자의 의무이행규정을 분석함과 동시에 UNIDROIT원칙상의 규정들과 비교하여 그 보완가능성을 검토하였다.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 for Interantional Sales of Goods (CISG) is making general rules on the international sales goods and more practical than established international instruments and domestic laws, the expression or approach method would not pass the limit. But CISG is the outcom of negotiation between common law and civil law. while UNIDROIT 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2004) principles is the result of thorough comparative studies between both law carried out by lawers coming from totally different cultural and legal background. UNIDROIT principles as the whole, divided the contractual obligations into express or implied, and regulated various provisions in directly or indirectly relation to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ed the obligation of the seller and buyer under CISG and comparison to UNIDROIT principle 2004. The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e fact that provisions of UNIDROIT principles are more simple and sysmetic, practical than CISG relating to Performance of contr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