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미 동맹과 한중 전략적 협력 관계:G2시대 한국의 전략적 선택을 중심으로

        차창훈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2 국가안보와 전략 Vol.12 No.3

        The critical key for the 21th century’s peace and prosperity i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a path-dependent way of Korea-US alliance and Korea-China relationship. Korea-US alliance was established at the beginning of cold war with combination of US security interest for containment policy toward Soviet Union and Korean security interest for North Korean threat. Korea- China relationship was developed with the initiative of China’s open-door policy and Korea’s northward policy. The relationship remarkably achieved economic and human exchanges but the region’s security structure of alliance system restrained development of security and military relationship. Not withstanding that growing economic interdependence surrounding Korean peninsula raised the indispensability of balance between economic and security structure, Korean’s embedded preference for the value of Korea-US alliance is highly deep. This fairly reflects that the institution of Korea-China relationship has been less developed than that of Korea-US relationship. With the being of North Korea as an independent variable Korea-China relationship will not be accepted as an substitute for Korea-US relationship by Korean people. There is a reality, at least in nominal term, that Korea-US defense treaty might clash with North Korea-China treaty of friendship, cooperation and mutual assistance. Therefore, to get over the dilemma of alliance system, whether entrapment or abandonment, there necessarily requires a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ve institution in Northeast Asia.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nuclear matter and change of North Korea’s policy will be a turning point for a start of imagining the institution. As for Korea, institutional design for the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ve organization should be searched for the sake of Korea to establish the perpetual peace system in Korean peninsula sharing interests and concerns of neighboring big powers. 21세기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에 핵심적인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은 바로 한미 동맹과 한중 관계의 발전 방향일 것이다. 한미 동맹은 2차 세계대전 후 냉전의 시작과 함께 설정된 미국의 대소 안보 전략적인 이해관계와 한국전쟁 이후 한국의 대북 위협에 따른 안보적 이해관계의 합치에 따라 성립되었다. 한중 관계는 개혁개방 정책으로 전환한 중국의 경제적 이해관계에 따라 한국과의 국교수립의 필요성과 한국의 북방정책이 조응하면서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양국의 급속한 경제적·인적 교류는 놀라운 발전을 이룩하였으나, 동맹중심의 한반도 안보구조는 한중 관계의 군사적·안보적인 발전을 제약하는 요인이 되었다. 한국과 중국, 미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과 중국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의 증대는 이 지역의 안보구조가 경제 구조와 조응하는 형태로 재편성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한국 내에서는 한미 동맹은 고정적인 관념으로서 뿌리 깊게 제도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미 동맹과 관련된 군사 안보적인 제도가 운영 및 유지되고 있고, 국민들의 한미 동맹에 대한 선호도가 강하다. 반면 한중 관계와 관련된 군사 안보적인 측면의 제도적인 측면은 미미하게 발전되어 왔다. 북한 변수가 존재하는 한 한미 동맹을 대체하는 한중 관계와 같은 다른 대체제는 용인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한미상호방위조약과 북중우호조약이 그 조약문의 내용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무력충돌이 여전히 존재함을 명목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현실에서 동맹의 딜레마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동북아시아의 다자간 안보협력기구의 제도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북핵문제의 해결과 북한의 대외정책 방향의 전환은 동북아 지역의 다자간 안보협력기구를 발전시키는 시발점이 될 것이고,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의 국익을 투사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 등에 대한 연구와 조사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결국, 동북아 지역에서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정립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변 강대국들의 이익과 관심을 공유시키기 위한 한국의 정책 방향 설정이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정권교체기 미중관계와 한미동맹

        박병철 한국통일전략학회 2015 통일전략 Vol.15 No.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changes in US-China relations and ways to secure autonomy of Korean-American Alliance in a transition period. As China emerges as a superpower, the uncertainty and liquidity in the Northeastern region is on the rise. China has taken the status of G2 since the year 2010 and carried out an offensive diplomatic policy with a view to strengthening her regional role to cause neighboring countries to be concerne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at has been engaged in the war against terrorism all these years now pursues 'the Foreign Policy of "Pivot to Asia"' to react to these steps of China. US-China relations has begun to change in the double pattern of cooperation and conflict in the past. The space of conflict is expanding as the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being intensified. This situation results from fundamental attributes of the US Foreign Policy of 'Pivot to Asia' and China's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The 'Pivot to Asia' policy basically tries to contain China while China's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shows her confidence in the role of a regional hegemonic power. This heralds a strategic competition to avoid the above-mentioned American containment and Chinese siege around the Northeastern region. In these changes of diplomatic circumstances, Korean-American Alliance is likely to be involved in US Asia-Pacific Strategy and China Strategy. The possibility of strategic changes in Korean-American Alliance is also on the increase. The US Foreign Policy of 'Pivot to Asia' may try to adopt an offshore balancing strategy for the purpose of containing China through a policy of strengthening the established alliance (into Korea-US-Japan trilateral alliance). On the other hand, the mutual economical cooperation with China is an inevitable factor for Korea. The Chinese role in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not to be made light of. Thus, ways to expand strategic autonomy of Korean-American Alliance should be actively investigated. The autonomy should be pursued in the course for Korean-American Alliance to develop into a comprehensive future alliance and then, it should be constructed in order for Korea to cope with the changes of 본 연구의 목적은 정권교체기 미중관계의 변화와 한미동맹의 자율성 확보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중국의 부상으로 동북아 지역의 불확실성과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다. 2010년 이후 G2로 성장한 중국은 지역적 역할 강화를 위한 공세적 외교로 인해 동아시아 국가들의 우려를 놓고 있다. 그 동안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던 미국은 이에 대한 반응으로 ‘아시아 중시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중관계는 과거 협력과 갈등이라는 이중적 패턴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미중관계는 경쟁이 강화됨으로써 갈등의 공간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정권교체기 등장한 미국의 ‘아시아 중시정책’과 중국의 ‘신형대국관계’가 지닌 본질적인 속성에 기인한다. ‘아시아 중시정책’의 속성이 중국에 대한 견제를 내포하고 있는 반면, ‘신형대국관계’는 지역 패권국으로써 중국의 역할에 대한 확신이다. 동아시아 지역을 둘러싼 미국의 견제와 중국의 피포위 상태를 벗어나기 위한 전략적 경쟁을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 속에서 한미동맹은 미국의 아·태전략과 대중전략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미동맹의 전략적 변화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아시아 중시정책’은 동맹 강화(한·미·일 삼각동맹으로 확대)정책을 통해 중국을 견제하는 역외균형을 도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부상하는 중국과의 경제적 상호협력은 한국의 경제성장에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북한 핵문제와 한반도 통일을 위해서도 중국의 역할은 경시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한미동맹의 전략적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한미동맹의 전략적 자율성은 먼저, 한미동맹이 포괄적 미래동맹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모색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미중관계의 상황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정부의 정체성에 대한 미국정부의 인식 변화와 대중국 정책 변화 분석

        주용식 중국지역학회 2021 중국지역연구 Vol.8 No.1

        How has US-China relationship been constructed? Is their clash for obtaining regional or global hegemony inevitable or destined? The two nations’ relations have undergone gradual but drastic changes from a strategic partnership in the 1970s to a kind of coopetition in the 1990s. In the 2000s, cooperation has tended to be dramatically reduced but competition further deepened. As a result, US-China relationship now seems to be heading toward a hegemonic confrontation.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is paper analyzes the evolution of US-China relationship by examining changes in the US government perception of the Chinese state identity and their impacts on US China policies. It concludes that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auses of the change in the US-China relationship has been the reconstruction of Washington’s perception of the Chinese state identity. It also shows that the reconstruction of US perception has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changes in relative power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the latter’s assertive and expansionary policies, and hawkish strategic thinkings in US, such as offensive realism, democracy peace theory, clash of civilization, return to an empire. 미중관계는 어떻게 구성되어왔는가? 미중패권경쟁은 불가피한 것인가? 본 논문은 미중관계의 변화를 중국정부에 대한 미국정부의 인식 변화와 그에 따른 대응전략을 분석해보고 향후 미중패권경쟁에 관하여 예측해보고자 한다. 미중관계는 1970년 전략적 파트너십 관계에서 1990년대 협력경쟁관계로 변화하였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협력의 공간이 좁아지고 경쟁관계가 심화되었다. 그 결과 현재 미중패권경쟁이라는 극한 대립관계로 악화되어 가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구성주의 관점에서 중국정부의 정체성에 대한 미국정부의 인식변화와 대중국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미중관계의 변천과정을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미중관계의 변화를 가져 온 가장 중요한 요인들 중 하나는 중국정부의 정체성에 대한 미국정부의 인식의 변화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변화는 중국 경제의 부상으로 인한 미중 간 역학관계의 변화, 중국의 대외패창정책, 그리고 공세적 현실주의, 민주평화론, 문명의 충돌론, 제국회귀론과 같은 미국 내 강경전략담론에 기인한 바가 크다.

      • 미중 패권 갈등이 한반도 평화에 미치는 영향

        고영은(Young-Eun Ko) 영남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 목회 Vol.54 No.-

        The rise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emerged as a force to break down the phenomenon that threatens the existing order in terms of the balance of power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the emergence of China threatens peace through the power of the United States to envision the existing order and hegemony strategy in Northeast Asia. It appeared as an enemy. The realization of the “China Dream” proclaimed by China will inevitably lead to conflict with the US strategy for supremacy in Northeast Asia. The conflict for supremacy between the US and China in Northeast Asia appears in two main directions, and the first is the economic conflict. The US has been build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China so far, but has been pursuing a strategy of “decoupling” since 2019 to break away from economic closeness with China and promote economic separation. The US is now China’s high-tech industry. In addition to sanctions on Huawei, it is economically imposing sanctions on China by imposing sanctions on SMIC, a foundry company that is fostering as a key national industry in China. It is struggling with China over time. In particular, the Taiwan issue is related to the core interests of China. After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ere established, the United States has played a role in the mediator of the conflict from China against Taiwan in this region through the Taiwan Relations Act. Accordingly, tensions surrounding Taiwan are increasing by strengthening relations with Taiwan and projecting military power into the region. As a situation in Korea, the conflict for supremacy between the US and China in Northeast Asia is a burdensome situation in that it is divided into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if a long-term strategy is not devised for the reunification issue as well as the inter-Korean issue, in the issue of the US-China hegemony conflict, a major change can come in the peace and st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issue of hegemony conflic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the drive for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can be a factor of rapid geopolitical changes in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n the end, the journey for peace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diplomatic environment, and problem-solving process for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re inevitably great challenges for u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Korea"s strategy is to form diverse networks based on the ROK-US alliance and maintain a flexible balanced relationship.

      • 남북통일 과정에서 중국의 예상 태도

        문대근 ( Moon Dae Keun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17 접경지역통일연구 Vol.1 No.1

        한반도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중국은 자고이래로 한반도 문제의 가장 큰 이해상관자로서 역할을 해왔다. 전통시대뿐만 아니라 근·현대 시기 일제의 식민지배와 남북분단, 한국전쟁에도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었다. 중국이 G2로 부상한 이후에는 사실상 한반도 문제의 조정자에서 결정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유엔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가 중국의 태도에 따라 그 내용과 수준이 결정되는 상황에서 한반도 통일의 핵심변수는 중국일 수밖에 없다. 서울에서 평양을 가려면 북경을 거쳐 가는 것이 불가피한바, 한국이 중국을 우회하여 경제발전과 통일을 이루기 어렵다. 한반도 통일에 대해 중국은 한중수교 이후 일관되게 한반도가 장래 한민족에 의해 평화적으로 통일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과정과 결과는 두고 봐야 한다는 것인바, 통일은 남북한이 자주 평화적인 방법에 의해 추진되어야 하고, 통일한국은 자국에 우호적이거나 최소한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다분히 조건부적이고 유동적인 중국의 입장은 곧 한국이 하기 나름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한반도에서 경쟁 강대국(미국)의 영향력 확대를 가장 경계하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지금과 같이 역내에서 미국보다 열세인 상황에서는 통일보다 현상을 유지하는 것이 전략적인 것이다. 그러나 향후 미국보다 힘이 우월해진다면 한국이 하기에 따라, 즉 한국이 한미동맹이 아닌 남북대화와 협력 및 한중협력을 통해 통일을 추진할 경우 지원하고 협력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국 중국에게 한반도 통일은 한미동맹과 직결되어 있다.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줄타기 하며 통일을 이뤄야 하는 한국으로서는 쉽지 않은 일인바, 한국이 중국의 이해와 협력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중국을 바로 알고, 중국과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남북통일과 관련한 중국의 인식과 정책·태도를 분석, 예측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통일관과 한중 통일협력의 과제·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As the biggest stakeholder of Korean Peninsula, China has been related directly and indirectly not only with traditional era but with modern era`s: as follews: (1)Japanese colonial era, the division of North, and(2) South Korea, and the Korean War. China now acts as a decision-maker in the issues of the Korean Peninsula for 70 years after the Korean War as wells as after the China`s rise of G2. The level and content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s sanctions on North Korea is dependent on the China`s stance. Therefore, the stance of China is the key variable that affects Korean unification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fact that Beijing could enable the route from Seoul to Pyongyang, Korea will never go around China, and achieve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unification. China`s consistent attitude towards Korean unification is that it supports peaceful unification by the Korean people. However, China says that the process and result should be watched,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independent and peacefully executed. China also thinks unified Korea should be at least neutral and friendly towards them. China`s conditional and floating attitude shows that Korea is to be dependent on them. China will prefer standstill than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unless current inferior strategic situation in East Asia with the US changes. Also, China will decide on acceptance of the unified Korea Peninsula depending on the Korea`s actions. It will be difficult for Korea to walk a fine line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achieve Korean unification. Korea must understand China very well, and find a way to cooperate with China in order to overcome China`s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This article analyzes and predicts China`s awareness, policy and attitude toward Korean unification, and proposes the realistic, desirable view of unifi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unification cooperation.

      •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한반도다자안보체제 구축 가능성 고찰

        정재흥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15 중국지식네트워크 Vol.5 No.-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of 21st century is the rise of China. Driving the growth for the next 10 years will be the new regime of Xi Jinping. The beginning of full scale power game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ith Korean Peninsula in its center, happening after Xi Jinping regime seized power,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in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As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ggravates into conflict and competition, Korean Peninsula will have to face grave security d ilemma a nd challenges. Therefore t he emergence o f Xi Jinping r egime and the following change of continuation of China's North Korean policy some key variables in deciding vector of security order of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secure peace and stability of Korean Peninsula and ameliorate North-South Korean relationship, substantial cooperation with China must be provided. Nevertheless there are a number of security factors that pose a difficult dilemma to address, which include difference of stance regarding the six-party talks along with resolving of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different perceptions toward ROK-US allianc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ninsula are contributing to some cold war aspects linger in the region. To address these fundamental issues the current cold war instability of Korean Peninsula need to be sought to converse into reliable state of peace, not to mention establishing Multilateral security order and institutionalizing peace order are crucially required. 21세기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 중에 하나는 아마 중국의 급격한 부상이라 할 수있겠다. 특히 시진핑 지도부 등장 이후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미간 세력전이가 본격화 되면서한중관계, 북중관계, 남북관계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향후 중미관계가 심각한 대결과 경쟁관계를 형성 할 경우 한반도는 매우 심각한 안보적 딜레마와 위기를겪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시진핑 지도부 등장과 이에 따른 대북정책 변화 혹은지속은 향후 한반도 안보질서의 변화방향을 결정하는 핵심적 변수라고 할 수 있겠다. 특히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남북한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국과의실질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한중간에는 6자회담과 북핵문제 해결에 대한입장차이, 한미동맹을 바라보는 인식차이 등 매우 어려운 딜레마적 안보요소도 존재하고있다. 이러한 근본적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반도의 불안정한 냉전적상태를 안정적인 평화체제로의 전환 모색이 필요하며 이와 동시에 한반도 다자안보체제구축의 제도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 KCI등재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와 한반도 다자안보체제 구축 가능성 고찰

        정재흥 ( Jae Hung Chung ) 국민대학교 중국지식네트워크 2015 중국지식네트워크 Vol.5 No.-

        21세기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 중에 하나는 아마 중국의 급격한 부상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 시진핑 지도부 등장 이후 한반도를 중심으로 중미간 세력전이가 본격화 되면서 한중관계, 북중관계, 남북관계도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향후 중미관계가 심각한 대결과 경쟁관계를 형성 할 경우 한반도는 매우 심각한 안보적 딜레마와 위기를 겪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시진핑 지도부 등장과 이에 따른 대북정책 변화 혹은 지속은 향후 한반도 안보질서의 변화방향을 결정하는 핵심적 변수라고 할 수 있겠다. 특히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남북한관계 개선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국과의 실질적인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한중간에는 6자회담과 북핵문제 해결에 대한 입장차이, 한미동맹을 바라보는 인식차이 등 매우 어려운 딜레마적 안보요소도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근본적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반도의 불안정한 냉전적 상태를 안정적인 평화체제로의 전환 모색이 필요하며 이와 동시에 한반도 다자안보체제구축의 제도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of 21st century is the rise of China. Driving the growth for the next 10 years will be the new regime of Xi Jinping. The beginning of full scale power game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ith Korean Peninsula in its center, happening after Xi Jinping regime seized power,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in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China. As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ggravates into conflict and competition, Korean Peninsula will have to face grave security d ilemma a nd challenges. Therefore t he emergence o f Xi Jinping r egime and the following change of continuation of China`s North Korean policy some key variables in deciding vector of security order of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secure peace and stability of Korean Peninsula and ameliorate North-South Korean relationship, substantial cooperation with China must be provided. Nevertheless there are a number of security factors that pose a difficult dilemma to address, which include difference of stance regarding the six-party talks along with resolving of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different perceptions toward ROK-US alliance.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ninsula are contributing to some cold war aspects linger in the region. To address these fundamental issues the current cold war instability of Korean Peninsula need to be sought to converse into reliable state of peace, not to mention establishing Multilateral security order and institutionalizing peace order are crucially required.

      • 스트롱 맨 시대의 미중관계와 한반도

        박병광 ( Park Byung Kwang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17 접경지역통일연구 Vol.1 No.2

        이 글은 오늘날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 열강의 대부분 지도자들이 ‘스트롱맨(strongman)’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한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등장과 시진핑 집권 2기의 출범을 계기로 미중관계의 향배를 전망하고 한반도에 미치는 파급영향을 파악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향후 미중관계는 이전보다 더 복잡하고 도전적일 것으로 전망되며, G2로 묘사되는 세계 1, 2위 국가의 관계는 과거에 비해 더욱 불확실해질 것이고, 두 나라 스트롱맨의 결심에 따라서 전쟁과 평화가 갈리고, 세계 평화와 발전이 결정될 것이다. 특히 트럼프와 시진핑으로 대표되는 스트롱맨 시대의 한반도 관련 핵심 이슈는 첫째, 북한 핵문제 둘째, 동맹분담금 문제 셋째, 한중관계 개선의 문제이다. 미중관계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당면한 외교ㆍ안보의 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당당하고 원칙 있는 외교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둘째,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싱크탱크와 의회외교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넷째, 청와대 국가안보실에 중국전문가가 보강되어야 하고 가능하다면 ‘미중관계 검토위원회’의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This article begins with the perception that most of the surrounding power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are composed of ‘strongma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at launch of the Trump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launch of the second term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are expected to see the influence of the US-China relations and to understand the ripple effect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is expected to be more complex and challenging than befor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s first and second strong countries, described as G2, will become more uncertain than in the past, World peace and development will be determined. In particular, the key issu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Strongman era, represented by Trump and Xi Jinping, are: First,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Second, the alliance contribution issue Third, a matter of improving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Despite the uncertainties stemming from changes in the US-China relationship, the follow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respond to the diplomatic and security challenges facing Korea. First, we must maintain our dignified and principled diplomatic stance. Secon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eek a preemptive response to the Trump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Third, the think tank and parliamentary diplomacy should be more actively utilized. Fourth, Chinese experts should be reinforced in the Cheong Wa Dae National Security Office and, if possible,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establishment of a "US-China Relations Review Committee."

      • KCI등재

        Output relationships of China and India with the USA: How do the Asian giants respond to America?

        BIRU PAKSHA PAUL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2 Global economic review Vol.41 No.1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China and India, the two emerging giants of the world, are being integrated with the US, the leading economy, more than ever before. Hence, examining output relationships among them becomes necessary. This work finds a long run cointegrating relationship in output among these countries. The US economy remains exogenous in the short run error correction mechanism, but China and India correct any deviations from this equilibrium relationship. While theory expects a positive response of China and India to an output shock in America, India, and China respond in a significantly negative fashion to the US economy, as found in impulse responses. The US explains a major share of output variance in these Asian economies, but the reverse is not true. These findings have policy implications not only for India and China, but also for other developing nations that are growing fast through globalization and embracing further integration with the US economy.

      • KCI등재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안보질서:변화와 전망

        박병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2 평화학연구 Vol.13 No.1

        Recently, real competition has begun i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order. And in the epicenter of the competitio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ace each other. By consolidating bilateral ties with Korea and Japan, the United States has revealed its intention to check China that is rising lately. China has also strengthened its regional position as it has normalized it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and Russia again. The security rivalry between America and China in the Northeastern Asia forms a new cold war confrontation. On the other hand, mutual links in economy in the region increase more and more. Therefore, a dual pattern of conflict and cooperation develops in the Northeastern Asian order. An armament race among regional countries is the cause of the recent conflict i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order. Especially, China’s policy of military power buildup stirs it. The security confrontation of a new cold war, however, can change anytime depending on the US-China relationship. China considers the mutual economic rel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s important and vice versa. The economic reciprocity princip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tied States and China hints the possibility of security cooperation in the Northeastern Asia region. The security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is also under the influence of the US-China relationship. Korean national strategies are meant to cope with the security concerns on the peninsula by strengthening the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But, for the practical national interest on the Korean Peninsula, pragmatic foreign relations should be formed. As Chinese political and military influence grows, Korean national strategies should be focused on using pragmatically the conflict and cooperation with China in various sectors. 최근 동북아 안보질서는 본격적인 경쟁의 시대가 시작되고 있다. 이러한 경쟁의 핵심에는 미국과 중국이 위치하고 있다. 미국은 한국과 일본과 더불어 양자동맹을 강화함으로써 최근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하고 있다. 중국 역시 러시아와 북한과의 관계를 재정상화하며 지역차원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동북아 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의 안보경쟁은 신냉전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반면 경제적으로 동북아지역은 상호연계성 더욱 증가하고 있다. 최근 동북아 질서는 이중적 패턴의 갈등과 협력 관계가 전개되고 있다. 동북아 안보질서와 관련 최근 갈등은 지역 국가들 간의 군비경쟁을 들 수 있다. 특히 중국의 군사력 증강 정책이 동북아 지역 국가들 간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 그렇지만, 신냉전의 안보구조는 언제든지 미중관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은 미국과의 경제적 상호관계를 중시하며, 미국 역시 이를 중시한다. 미중관계에 있어 경제적 상호주의는 동북아의 협력안보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반도의 안보환경도 미중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우리의 국가전략은 미국과의 동맹관계를 강화하면서 현재 한반도 안보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 현실적 국가이익을 위해서는 실용주의적 대외관계를 조성해야 한다. 중국의 정치· 경제적 영향력이 증대하는 상황에서, 우리 국가 전략은 다양한 영역에서의 중국과의 갈등과 협력을 실용적으로 이용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