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아트 도시의 정책에 대한 방향성 연구 - 린츠, 카를스루에, 광주를 중심으로 -

        김영순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1

        2014년 광주가 미디어아트로 유네스코 창의도시에 선정되었다. 한번의 재수 끝에 일궈낸 쾌거였다. 많은 도시가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에 선정되기를희망한다. 세계 각국의 도시들이 앞을 다퉈 UCCN(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에의 가입을희망하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글로벌 시대에 세계에 도시를 어필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기 때문이다. 특히 20세기 후반부터 도시 단위의 경쟁력이 치열해졌고 각 도시는 문화를 내세워 도시 브랜드확보에 나서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아트 도시 광주가 도시 이미지와 위상을 드높이고 지속가능한 창의도시로거듭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고찰하는데 있다. 대표적인 미디어아트 창의도시인 오스트리아 린츠, 독일의 카를스루에의 미디어아트 관련 정책과 사업을 분석했다. 그리고 광주는 그들 도시와어떤 점에서 같은 흐름으로 가고 어떤 점에서 다르게 가는지를 고찰했다. 세 도시는 모두 미디어아트로 선점효과를 누리고 있다. 린츠는 2014년 광주와 비슷한 시기에 선정되었으나 미디어아트와 관련해선 오랜 역사를 지녔다. 1979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을 개최한점을 고려하면 40년이 넘는 전통을 갖고 있다. 카를스루에는 2019년 다소 후발 주자로 미디어아트창의도시에 선정되었지만 미디어아트도시의 기반이 된 ZKM(Zentrum für Kunst und Medien)의 개관이1989년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꽤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광주는 아시아에선 두 번째, 세계적으론 네번째로 미디어아트 창의도시에 선정되며 미디어아트와 관련된 정책과 사업에 열정을 불태우고 있다. 본 연구자가 분석한 바에 따르면 세 도시는 같은 방향을 가면서도 부분적으로는 차별화된 정책과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세 도시의 공통점으로는 열정적 의지를 비롯해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플랫폼운영, 협업 추진 등을 들 수 있다. 그에 반해 도시의 배경에 따라 지향점이 다르고 추진방법이 다르다는점이 확연하게 나타났다. 광주는 2019년 AI((Artficial Intelligence)허브도시를 선포하고 제4차산업의전진기지임을 선포한 바 있다. AI(Artficial Intelligence)와 미디어아트의 접점을 이루며 도시의 미래혁신성장을 도모하려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광주의 미디어아트 추진 방향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살펴 도시가 안고 있는이슈를 미디어아트를 기반으로 하여 해결하는 토대를 삼고자 한다. 또 나아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비엔날레도시, AI(Artficial Intelligence)허브도시와 연계해 미디어아트가 광주의 실질적인 성장동력이되기를 기대한다. In 2014 Gwang-ju was selected as UNESCO-CREATIVE city. It was a great achievement after a single attempt. Many cities wants to be slected as UNESCO=CREATIVE city. Why do many cities of the world hope to join UNESCO? Because it is difficult to survive in Global era if Cities don’t appeal to the world. Especially, since the late 20th century, urban competitiveness has been grown up and each city is trying to secure its brand by promoting its culture. The purpose of this reasearch is to consider how a media art city Gwang ju should enhance its city image and status and reborn as sustainable creative city. For this purpose, we should analyze the policy and business of Austria Linz and Germany Karlsruhe related with Media art.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consider whether Gwang-ju is going with the same flow of other city or not and to find the way that Gwang ju should follow. Three cities all get the benefict of the preoccupation effect by Media art. Even if Linz was selected around the same time as Gwangju in 2014, it has long history related with Media art. Considering that Linz held Ars electronic festival, it has over 40 years tradition. Even though Karlsruhe was selected as Media art city in 2019 and it was not so early selection, it has long history because open of ZKM as known as infrastructure of media art city was 1989. Gwangju has been selected as the Second Asian and fourth media art creative city in the world, getting the benefit of the preoccup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searcher, common features of three cities are media art festivals, platform operations, and collaboration promotion. The difference is that style of collaboration, business and policy focus is various, because of the city’s background.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reasearch is to find out whether gwangju’s direction of media art is proceeding well and to make the foundation based on media art for sloving the city’s problems. Futhermore, it is hoped that medai art will become a practical growth motivation for Gwangju, Gwangju connecting with Asian cultural hub cities, biennale cities, and Ai hub cities.

      • KCI등재

        다학제적 관점에서 조명한 유네스코 창의도시 특성화를 위한 뮤지엄 포트폴리오 연구 – 국내 김해, 부산, 진주, 통영을 중심으로

        김서영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5

        The motivation for this study came from the researcher's interest in the idea of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and academic research experiences on museums for city brands. The aim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s of museum portfolios for the characteristic development of the cities from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The paper underpinned levels of a literature review on the definition of a creative city,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UNESCO Creative Cities, and the role of museums in creative city development as a theoretical background. Methodologically, a case study using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nd Gimhae, Busan, Jinju and Tongyeong were selected to find possibl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In the analysis, three steps focused on the implications of meaning making.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museums based on the titles of the museums for each city were examined in order to explain the overall identities of the portfolios. Second, the exhibition contents, which are the essential role of the museums, were classified by major themes from step one in the analysis.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ll the stages, it was investigated whether it was clearly related to the selected fields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Network. The research goal of the final stage is to know whether there are museums that assists in representing the selected creative fields in the four cities. Future studies using such as expert interview methods will be used to gain an in-depth context about the research topic. 본 연구는 유네스코 창의도시들에 대한 연구자의지적 관심과 도시브랜드를 위한 뮤지엄 연구 경험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유네스코창의도시들이 선정된 의미를 인식하고 특성있는 개발을 위한 뮤지엄 자산을 포트폴리오디자인의 개념에한하여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으로 창의도시의 개념정의와 유네스코 창의도시에 대한 이해, 창의도시 발전을 위한 뮤지엄의 역할에 관한 선행연구를 이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의 주요 발견점에 근거하여 연구질문을 생성했고 그질문에 대한 해답을 도출하기 위하여 국내사례(김해, 부산, 진주, 통영)를 선정하여 체계적인 비교분석을시도하였다. 각 분석결과는 질적연구방법론의 핵심인의미만들기(meaning making)에 의한 시사점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엄의 전반적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는 유형분석을통하여 각 도시의 포트폴리오 구성도를 파악하였다. 부가적으로 국립, 시립의 유형 분포도를 조사하였다. 둘째, 뮤지엄의 본질인 전시콘텐츠를 주요 테마별로구분하여 각 도시가 추구하고 있는 유네스코 창의도시의 선명성에 부합되는지 준거를 생성하였다. 셋째, 이러한 단계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의 기준에 따른 선정분야와 연관성이 있는지조사하였다. 최종 단계의 연구목표는 4개의 도시들이선정된 분야를 상징하는 뮤지엄의 존재여부를 살펴보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도출된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면접방법 등을 활용한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부산, 유네스코 영화창조도시 지정의 의미와 과제

        주유신 ( Youshin Joo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5 아시아영화연구 Vol.8 No.1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영상위원회가 거둔성과들은 부산의 영화도시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이와 관련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함으로써, 부산이 영화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네트워크의 허브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이 되었으며,2005년 ``아시아영상중심도시``를 비전으로 내세운 부산의 도시발전 전략의 추진체 역할을 해왔다.그 결과 부산은 2014년 12월에 영국의 브래드포드와 호주의 시드니에 이어서 아시아 최초의 ``유네스코 영화강조도시``로 지정되었다. 이는 그 동안 부산이 ``시네포트 Cineport``에서 ``영화도시``로 그리고 ``아시아영상중심도시`` 로 일관되게 그리고 발전적으로 추진해온 영화문화 및 산업 육성 사업과 정책, 아시아 최고의 영화영상문화중심도시라는 지위, 그리고 무엇보다도 아시아권 차세대 장조인재 육성과 아시아영화의 발굴과 소개, 산업적 지원 노력 등이 국제 사회의 높은 평가와 지지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이제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따라서 본 논문은``영화도시``로시작된 부산의 도시 이미지와 정체성이 현재 ``아시아영화의 허브``라는 역할을 해나가는 데에 있어서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유네스코 영화장조도시``의 비전으로 나아가는 데에 있어서 어떤 과제를 안고 있는지를, 기존의 ``영화장조도시들``의 경험과 사례 그리고 부산이 갖고 있는 창조관광의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질문 등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The great result o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Busan Film Commission have improved Busan``s image of ``Cinema City``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 film infrastructure. Busan have become a hub of Asian film network, and had a propulsive force of a civic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vision of ``Heart of Asian Cinema`` since 2005. Busan was finally entitled as ``Creative City of Film`` by UNESCO for the first time in Asia in December, 2014, following Bradford in UK and Sydney in Australia. It means that global society appreciates and supports Busan``s constant effort to develop the Asian film culture and industry as from ``Cineport`` through ``Cinema City`` to ``Heart of Asian Cinema``, to raise young creative talent in Asia , to find and introduce innovative films from promising filmmakers in Asia , and to keep the status of the best film city in Asia. All these efforts have led to tangible results. This, thus, article aims to examine new tasks that Busan should carry out in order to play the role of ``Hub of Asian Film`` and to initiate the program of ``UNESCO Creative City of Film`` through a case study of the existing ``Creative Cities of Film`` and an inquiry on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creative tourism in Busan.

      • KCI등재후보

        도시의 문화자산으로서 공예와 공예도시 연구-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를 중심으로

        정수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8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4

        Recently, many cities are referring themselves as to be “Craft City” and putting up “craft” as the city brand. Many cities that claim to be the craft city put up the relevant cultural heritage, production related to the craft, and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s a consumer. However, it can be a totally different matter in which the cities are living as the craft cities of modern definition. One can start to have the fundamental question which “what the craft city really is.” Naturally, concerns regarding why many cities claim to be the craft city, and what the craft city really is and what the craft means as the component which forms the craft city start to generate. As the significance of the city’s cultural resource is emphasized, cities now endeavor to become the culture city on their own. This is because the value of the “cultural asset” is becoming more precious as the center of the creative industry of the city and as the symbolism and potential of the culture, while the value which measur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city is shifting from the growth-orientation by formal development. As the paradigm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shift towards the Glocalization, interest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s the factor which composes the locality, what is at the core of Glocalization, is rising. In such flow, the cities are attempting various approaches to develop their own characteristics into the city brand with names such as “xx City.” In this context, the craft is the major component which forms the Creative City, and it is often mentioned as the core component of the Creative Industry. Additionally, the most distinct cultural asset of the city is often proposed to be the standard of the various culture policies connected to the city, and it is also categorized as one of the fields among Creative Cities Network defined by UNESCO.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n attempt to search the significance of the craft in the city along with the true nature of the “craft city” that recognizes the craft as the cultural asset of the city and accessing it to utilize it actively. However, as it was pointed out earlier, the clear definition and concerns about the craft city itself are insufficient, and the research seeks to access to the craft city paradoxically through the real-life examples of the verified craft cities. The example which the research has chosen was the city of Ganazawa in Japan (selected in 2009); the city has joined as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in the field of “craft and folk art.”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is the international solidarity operation by UNESCO to raise the cultural industry based on the city’s cultural assets and creativity and to promote developmen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ities. This research will find out about the identity of craft as the cultural asset of Ganazawa, the creative city, and it seeks to take a look at cultural environment which helped the city of Ganazawa to set itself as the creative city and the connection of the city’s cultural policies that back the cultural environment. Additionally,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seeks to think over about the defin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aft cities including Ganazawa, and the directional nature for the sustainability. 최근 많은 도시들이 ‘공예도시(Craft City)’를 자칭하며, ‘공예’를 도시브랜드로내세우고 있다. 공예도시를 주장하는 도시들의 많은 경우는 관련 문화유산, 공예와관련된 생산, 소비지로서의 역사·문화적 환경을 내세우며 공예도시로서의 정당성을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 도시들이 과연 현대적 의미에서의 공예도시로 살아가고있는가는 사실 전혀 다른 문제일 수 있다. 여기서 ‘공예도시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의문을 갖게 된다. 왜 많은 도시들이 지금 공예도시를 주장하고 있는 것인가, 또한 그들이 말하는 공예도시는 과연 무엇이며, 공예도시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공예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등에 대한 고민이 생기게 된다. 도시가 가진 문화자원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도시들은 저마다 문화도시가 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는 도시의 경졍력을 결정짓는 요인이 과거의 외형적 성장중심 이 아닌 도시의 문화적 역량중심으로 옮겨가고 있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패러다임이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으로 전환되어 가며, 그 핵심에 놓인 지역성(locality)을 구성하는 요인으로서 지역이 가진 역사· 문화자산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도시들은 저마다의 특색을 ‘○○도시’라는명칭의 도시브랜드로 발전시키기 위하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예는 창조도시(Creative City)를 이루는 주요한 요소이자, 창조산업(Creative Industry)의 핵심 요소로 언급된다. 또한, 한 도시의 고유성 및 역사성을대표하는 가장 명확한 문화자원으로 도시와 연계된 다양한 문화정책의 기준으로제시되기도 하며, 유네스코의 창의도시네트워크 중 한 분야로 분류되는 등 도시의 구성요소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공예를 도시의 문화자산으로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접근하고 있는 ‘공예도시’의 실체에 대한 고민과 함께 도시에서 공예가 갖는 의미를 모색해보려는 시도로 진행됐다. 그러나 전술하여 지적한 바와 같이 공예도시에대한 명확한 개념과 고민들이 미흡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자는 검증된 공예도시의실제 사례를 통해 역설적으로 공예도시에 대해 접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택한 사례는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와 그중 ‘공예와 민속예술’ 분야 도시로 가입된 일본 가나자와시(2009년선정)이다.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는 유네스코(UNESCO)는 도시의 문화적자산과 창의력에 기초한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도시들 간의 협력을 통한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추진 중인 국제연대사업으로 가나자와는 ‘공예와 민속예술(Craft&Folk Art)’를 대표하는 도시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창조도시 가나자와의문화자산으로서 공예가 갖는 정체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연계하여 가나자와를창조도시로서 자리 잡게 한 문화 환경, 이를 뒷받침해 주는 도시의 문화정책들은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가나자와를 비롯한 공예도시들의 개념과 속성, 지속가능을 위한 방향성 등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했다.

      • KCI등재

        글로벌 발전의제와 로컬 문화정책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위한 유네스코창의도시네트워크(UCCN)의 도전

        이철호(Lee, Chul Ho),박소윤(Park, So Y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4

        유엔이 2030년을 향한 지구촌 발전의제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채택하면서 주목한 영역은 도시화와 문화이다. 도시가 지속가능발전의 공간 주체라면 문화는 그 핵심 요건의 하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최근 초대형 초국가 도시협의체로 성장한 유네스코창의도시네트워크(UCCN)를 통해 한편으로 글로벌 발전의제와 도시 문화정책의 상관관계에 관한 국제사회의 논의와 의제의 변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한편으로 SDGs를 추동할 핵심 조직으로서 UCCN의 역할과 도전을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유엔이 안배한 도시와 문화 영역의 두 의제, 즉 유엔해비타트의 「새로운 도시의제」와 유네스코의 문화의제인 「문화정책의 재구성」을 탐구하고 도시문화정책에 주는 함의를 도출한다. 다음으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의 견인차로서 UCCN의 활동 현황과 도전 과제를 SDGs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점차 심화되어 가는 글로벌 발전의제와 로컬 문화정책의 상호작용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모하고, 유네스코창의도시의 매개역량 강화를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Urbanization and culture constitute the major concern of the UN in the formation of the 2030 Development Agenda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While city represents the spatial ag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culture is the newly rising element of the principal stainable developmental means. In this context, this study surveys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UCCN) which has recently become a mammoth transnational city-network, to understand holistically the discourses of international societ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lobal developmental agenda and urban cultural policy and the resulting political changes, on the one hand, and to show the roles and challenges of UCCN as a major organization to drive the SDGs. For this, this paper deals firstly with the two agendas in the field of city and culture, that is, the ‘New Urban Agenda’ of UN-HABITAT and the ‘Reshaping Cultural Policies’ of UNESCO and secondly, with the activities and tasks of UCCN as a driver of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is paper contributes to understand the growing interaction between the global developmental agenda and local cultural policies and to find the method to reinforce the UNESCO creative cities’ capacity of mediation.

      • KCI등재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의 의제분석과 도시의 문화정책방향

        남기범(Nahm, Keebom)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1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1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는 2004년 결성되어 현재 70개국 이상의 246개 도시가 가입되어있으며, 우리나라는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이천, 전주, 통영, 부천, 원주, 진주 등 10개 도시가 회원도시로 활동하고 있다. 이 논문은 UCCN의 지향점에 대한 논의와 최근 연례회의에서 제시된 어젠다 분석을 통해서 창의도시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도시의 문화정책이 가지는 문제점과 변회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UCCN은 창립 초기의 지향점인 문화산업 진흥, 투자와 고용의 기회창출, 문화관광의 확충 등의 산업적인 측면을 강조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회의와 어젠다수립을 통해 시민의 문화예술역량 강화와 문화경제의 활성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발전,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공간의 참여증대 등의 포용적 의제를 강조한다. 이 논문에서는 SDG 11을 중심으로 도시의 지속가능성 의미와 함께 소위 창조도시 담론이 도시 문화정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비판하고, 약한 사회적 연계를 지향하는 문화정책,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포용도시정책, 인간개발, 배태성, 시민성, 자유와 자율에 기반한 창의도시의 정책과 프로그램의 기획과 구성을 제안한다. 주민의 역량강화가 교육이 아닌 학습으로, 개인에서 공동체로, 주민이 대상에서 주체로 변화하여야 하며, 로마헌장과 시대정신을 반영하여 문화자산과 지역문화를 공유재로 인식하여야 한다.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UCCN) was established in 2004 and now 246 cities in 70 countries worldwide joined the network. Several Korean cities, such as Seoul, Busan, Daegu, Gwangju, Icheon, Jeonju, Tongyoung, Bucheon, Wonju, Jinju are members of the network. This paper aims to suggest urban cultural policy directions through analyzing the missions of the UCCN and new agenda raised at the UCCN annual meetings, steering groups, and coordination committee. At the outset the main aims of the UCCN were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local employment growth, and tourism development, which were mainly focused on aggregated industrial growth. Gradually, UNESCO has changed its goals and missions and proposed new agenda as follows: sustainable human and urban society according to SDG 11, arts for socio-spatial disadvantaged, and human empowerment. The paper discussed the importance of weak tie in urban cultural policies, inclusive strategies based on collaborative governance, building creative cities not by neo-liberal competitive policies but by civility, inclusivity, and enbeddedness. All in all, it suggested collective learning (not education), community development (not indivisual competition), residents as subject (not policy object), and finally the importance of recognition of cultural resources and contemporary cultural interactions as local commons.

      • KCI등재

        미디어아트 창의도시와 지역축제의 연관성 연구

        정혜영(Jeong, Hye Young),김경수(Kim, Kyoung S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4 No.-

        본 논문은 유네스코 지정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8개 도시 중 모범적인 3개 창의도시와 주요축제를 각각 미디어아트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창의도시 관점에서는 그 도시만이 가지고 있는 역사, 자연환경, 인적자산 등 장점의 극대화를 바탕으로, 도시의 비전과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로서 일치화가 필요하며, 창의도시 컨트롤타워의 일관성 및 지속화로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모색해야 한다. 지역축제 관점에서는 미디어아트 관련 축제를 차별화하여 세계적인 축제로 집중육성하고 비관련 축제들을 미디어아트와 융합을 유도하고, 미디어아트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대중화, 그리고 온·오프라인 축제와 아날로그·디지털 축제의 융합으로 청년들의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 결국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구축을 위해서는 도시 고유의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미디어아트의 일치화를 통해 미디어아트 창의도시로서 이미지를 제고하고, 다양한 축제들을 미디어아트 기술의 융복합화 및 차별화로 세계적인 축제를 만들 수 있는 창의도시와 지역축제의 융·복합과 협치가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re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property and the major festivals with media art of exemplary 3 cities among 8 Unesco Media Art Creative Cities. As a result, it is drawn a conclusion that the below strategies are necessary to achieve success for Unesco Media Art Creative City. First, from the Creative City’s point of view, on the basis of the maximization of various merits such as history, natural surroundings, and human resources of the city, it is necessary to reconcile a vision of the city and an identity of Media Art Creative City, and to seek for continuous growth of the city by consistency and durability of control tower within the local government. Second, from the local festival’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fferentiated service in the existing media art festivals, to attract the fusion of media art and festivals, and the diversification and the popularization of media art programs. And, it needs to lead to involvement of young people with the fusion of on-line and off-line festivals, the fusion of analogue and digital festivals. In the conclusion, for the successful constructing of Media Art Creative City,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merits of the city’s own, to enhance the image for Media Art Creative City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rits and media art, and to differentiate the city’s own various festivals, ant the same time, to converge them with media art technology. With these strategies, the local festival can make a new leap for global festival when it constitutes a whole with Media Art Creative City.

      • KCI등재후보

        ‘영화도시’에서 ‘유네스코 영화창조도시’로 : 부산의 여정과 과제

        주유신 영상예술학회 2015 영상예술연구 Vol.26 No.-

        21세기 이후 부산은 기존의 성장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도시 발전의 새로운 희망을 찾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도시자원들을 활용하고 창의적인 인재들이 모여들도록 하는 창조도시 전략을 도시발전의 핵심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부산의 창조적인 도시발전의 원동력이 바로 영화이다. 우선 부산이 ‘영화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된 데에는 물론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영상위원회가 거둔 놀라운 성공이 직접적인 출발점이 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부산과 영화 간의 긴밀하고도 깊은 역사가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산은 아시아 지역의 영화문화와 영상산업의 발전과 교류에서 수행해온 구심적 역할을 토대로 부산은 2014년 12월에 유네스코에 의해 ‘영화창조도시’로 지정되었다. 이제 부산은 문화와 영상산업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 연대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가는 동시에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첨단기지의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현재 ‘영화도시’로서의 부산의 위상은 국내외적으로, 산업적․정치적 맥락에서 여러 가지 위기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영화도시’로 시작된 부산의 도시 이미지와 정체성이 현재 ‘아시아영화의 허브’라는 역할을 해나가는 데에 있어서,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유네스코 영화창조도시’의 비전으로 나아가는 데에 있어서 어떤 가능성과 과제를 안고 있는지에 대하여 모색해보고자 한다. Since the beginning of 21th century, the concept of ‘Creative City’ has provided Busan with the driving strategy to exploit its existing resources and to build an infra-structure for its development. Film has been the main gear at the center of all the actions toward ‘Creative City’. The enormous success o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elped the city to gain the public recognition as a film city domestically as well as internationally. In addition, other film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Busan Film Commission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Busan. However, one should not fail to acknowledge the fact that the history of the close ties between Busan and film also attributed to the glorious status of Busan as a film city. Busan was entitled as ‘Creative City of Film’ by UNESCO in December, 2014. The entitlement was based on the significant role that Busan has played for the development of Asian film industries and the interchange of film culture among Asian countries. Now it is time that Busan should lead Asian countries to unite and form a strong bonding for the international network of film. However, the status of Busan as ‘city of film’ is now faced with several crises and challenges due to the political and industrial circumstances. This article is to figure out possibilities and tasks that Busan holds in order to play the role of ‘Hub of Asian Film’ and to proceed with the vision of ‘UNESCO Creative City of Film.’

      • KCI등재후보

        ‘영화도시’에서 ‘유네스코 영화창조도시’로: 부산의 여정과 과제

        주유신 영상예술학회 2015 영상예술연구 Vol.0 No.26

        21세기 이후 부산은 기존의 성장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도시 발전의 새로운 희망을 찾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도시자원들을 활용하고 창의적인 인재들이 모여들도록 하는 창조도시 전략을 도시발전의 핵심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부산의 창조적인 도시발전의 원동력이 바로 영화이다. 우선 부산이 ‘영화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된 데에는 물론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영상위원회가 거둔 놀라운 성공이 직접적인 출발점이 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부산과 영화 간의 긴밀하고도 깊은 역사가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산은 아시아 지역의 영화문화와 영상산업의 발전과 교류에서 수행해온 구심적 역할을 토대로 부산은 2014년 12월에 유네스코에 의해 ‘영화창조도시’로 지정되었다. 이제 부산은 문화와 영상산업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 연대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가는 동시에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첨단기지의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현재 ‘영화도시’로서의 부산의 위상은 국내외적으로, 산업적․정치적 맥락에서 여러 가지 위기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영화도시’로 시작된 부산의 도시 이미지와 정체성이 현재 ‘아시아영화의 허브’라는 역할을 해나가는 데에 있어서,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유네스코 영화창조도시’의 비전으로 나아가는 데에 있어서 어떤 가능성과 과제를 안고 있는지에 대하여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도시 지정사업 지원정책에서 음악산업 활용의 중요성 재인식

        조충제 ( Cho Chungje ) 세계음악학회 2021 음악과 문화 Vol.- No.44

        This article aims to study the direction the music industry will pursue through the cultural city selection project, which has become a hot topic of cultural policy and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since ‘the Cultural City Designation and Support (Chapter 4)’ was enacted in 2014 by regional culture promotion act and the first legal cultural city was selected in 2019. The bottom-up cultural policy project, which forms the basis for the cultural city selection project, will consider the scope and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music industry in the future, while breaking away from the top-down business that used to be the main design method of the music industry and should consider ways to integrate with urban regeneration and tourism industries that apply guidelines for promoting cultural cities in 2020. This study suggest ways to utilize music lovers in order to reserve the most important civic network in the bottom-up-type project, which forms the basis for the selection of cultural c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