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ᆞ일 수출경쟁력의 변화유형과 기술수준의 관계

        김용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East Asian Economic Review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empirically whether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 and Japan has changed since 1990s. Unlike existing literature, we tried to grasp changing patterns of export competitiveness by new methodology such as belonging quadrant and moving direction, rather than simply showing its trend or comparison classified by industry. And we categorized 48 sectors into some technological levels, then analyzed how the change of export competitiveness is distributed by each technological level. When seeing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and ‘trade specification index’, we found considerable changes in export competitiveness. Competitiveness of Korea has rapidly improved while that of Japan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ing. Especially the gap of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 and Japan has largely reduced around the midterm of 2000s. Shrinking of the gap in export competitiveness has begun from the latter half of 1990s and first half of 2000s. Change of export competitiveness shows different trend by technology level. Korea has gained more competitiveness than Japan in high and middle level of technology. Korea shows upward tendency of competitiveness in mid and high technology, while Japan in low technology. Competitiveness gap between Korea and Japan is rapidly decreasing since the late 1990s, and curtailment of the gap is mainly happening in the high level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 최근에 이르기까지 한국과 일본의 수출경쟁력을 분석하였다. 기존연구와 달리 단순히 수출경쟁력의 추이나 업종별 비교에 그치지 않고 소속분면과 이동방향의 새로운 방법론에 의해 변화유형을 입체적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48개의 부문들을 몇 개의 기술수준으로 나누고 각 기술수준별로 수출경쟁력의 변화가 어떠한 분포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현시비교우위와 무역특화지수의 지표에 있어서 수출경쟁력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수출경쟁력은 지속적으로 저하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경쟁력은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한ᆞ일 간 수출경쟁력의 격차는 2000년대 중반을 전후하여 크게 줄어든 상태를 보였는데, 수출경쟁력의 격차 축소는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전반에 변화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수출경쟁력의 변화는 기술수준별로 서로 다른 추이를 보이고 있다. 고기술이나 중기술분야에서 한국의 수출경쟁력이 더 많은 빈도로 상승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고기술과 중 기술의 경우 한국이, 저기술의 경우 일본이 수출경쟁력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 1990년대 후반 이후 한ᆞ일 간 수출경쟁력의 격차는 급속히 축소되고 있으며, 주로 기술수준이 높은 분야에서 격차 축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 KCI등재

        삼극특허 정보를 이용한 기술혁신 역량의 국제 경쟁력 분석 -원자력 기술 사례-

        이태준,권찬용,김익철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9 지식재산연구 Vol.14 No.3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 in the field of nuclear technology using triadic patent information. Triadic patents in the field of nuclear technology produced for 21 years from 1995 to 201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t the national level in terms of technical competitiveness, market competitiveness and integrated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We also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riadic patent performance and domestic demand size. The empirical results find that the integrated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of nuclear triadic patents,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s highly related to the market competitiveness measured by quantitative activity and has low relation to the technical competitiveness measured by patent citation. In addition, domestic demand size was highly related 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competitiveness. This result implicates that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case of nuclear technology,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of the triadic patent should be improved first as well as the citation of the triadic patent along with fostering domestic market. This paper notes this result comes mainly due to the large and complex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nuclear technology. 본 논문에서는 삼극특허 정보를 이용해서 원자력 기술 분야의 국가별 국제 경쟁력을 비교·분석하였다. 1995년부터 2015년까지 21년 동안 생산된원자력 기술 분야의 삼극특허를 국가 단위에서 조사·분석하여, 기술 경쟁력과 시장 경쟁력 그리고 통합적인 기술혁신 경쟁력을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삼극특허 성과와 수요 규모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원자력 삼극특허의 통합적인 기술혁신경쟁력이 양적인 활동도로 측정된 시장 경쟁력과는 높은 관련성을, 특허 피인용도로 측정된 기술 경쟁력과는 낮은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국내 수요규모가 삼극특허의 총체적인 기술혁신 경쟁력과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원자력 기술의 경우에 기술혁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삼극특허의 피인용도뿐만 아니라 양적인 성과를 우선적으로 높여야 하고 또한국내 시장도 육성되어야 함을 암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원자력 기술의 대규모적이고 복합적인 기술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특허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 - 주요 5개국을 중심으로 -

        황명호,남은영,박세훈,Huang, Minghao,Nam, Eun Young,Park, Se Hoon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2022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Vol.18 No.1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to assumed to be one of next generation technology which determin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strategic advantage of a certain country. By using the patent data, this study aims to hav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evolving artificial intelligence at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among the five largest intellectual property offices in the world (IP5). For the analysis data, all AI technology patent data from 1956 to 2019 were utili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presented in the "WIPO 2019 Technology Trend: Artificial Intelligence" report published by the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in 2019. The results shows that China has already surpassed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owever, in the domains of the United States, Europe, Japan, and Korea, the technology competitiveness of the United States is far ahead of China. Interestingly, the rate of increase of Korea's technology competitiveness is also very fast, 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technology strength is ahead of China in non-Chinese domai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 process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significant countrie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was viewed as a macro-framework using the technology index (TS) the differences were compared.

      • KCI등재

        한국의 중소기업이 가진 기술혁신역량은 경쟁력향상에 유효한가?: 제품과 공정개발역량을 중심으로

        오세구 ( Oh Segu ),이상빈 ( Lee Sangbin ),황성권 ( Hwang Seonggwuen ) 한국비교경제학회 2022 비교경제연구 Vol.29 No.1

        기업에게 4차 산업혁명이 의미하는 바는 신제품이나 서비스 개발에 있어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미래의 신제품개발이 과거보다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기업은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혁신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기술혁신역량은 제품 및 공정분야의 혁신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때만 가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술혁신역량(R&D역량, 기술축적역량, 기술혁신체제)이 제품개발 및 공정개발역량을 통한 경쟁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R&D역량은 제품개발역량이나 공정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중소기업이 아직 자체 제품을 개발할 R&D역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기술축적역량의 경우 제품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OEM이나 원도급업체가 제안한 대로만 제품을 개발하고 있지만, 향후 기술축적이 진행되면 자체 제품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기술혁신체제는 제품개발역량과 공정개발역량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한국의 기술혁신 관리체제가 잘 구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품개발역량과 공정개발역량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정개발능력이 제품개발능력보다 유의하게 큰 계수를 보였다. 이는 신뢰할 수 있는 프로세스가 한국 중소기업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시켜주었다. W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eans for companies is that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in the future will be more difficult than in the past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in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or services. Therefore, companies need to possess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to actively cope with rapidly changing environmental changes. In addition, this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has value only when it can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through innovation in product and process area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ies (R&D capability, technology accumulation cap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possessed by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on their competitiveness improvement through product development and process development capabilitie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the R&D capability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did not affect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or process development capability. This may mean that Korean SMEs still lack R&D capabilities to develop their own products. However, in the case of technology accumulation capability, it appears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Currently, products are developed only as suggested by OEMs or original contractors, but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able to develop their own products if technology accumulation is advanced in the future. Finally,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syste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product development capacity and process development capacity, confirming that Korea has a well-established management system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In addition,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and process development capability were found to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strengthening of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In particular, process development capability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coefficient than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y. This confirms that reliable process is an important element of competitiveness for SMEs in Korea.

      • KCI등재

        기술대체 영향요인과 Lotka-Volterra 경쟁 모형을 이용한 차세대 기술 예측

        김혜인,정유진,윤병운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Recently, forecasting for next-generation technologies have influenced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However, in previous studies, only extract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technology have been investigated. Also, there are few researches on the importance of each decision factors or the competition between technologies. In this research, Lotka-Volterra model is used to confirm the technological competition in the new technology choice timing when the competition is intensified due to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For purpose of this study, estimate the LVC model based on the data of the past competition and then derived the factors affecting the technology of competition and substitution from the literature survey. After that, we confirmed the factor value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echnology compet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ctor values derived from the previous step is used to revise the model estimated from the past data base. At this stag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derive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use it as the weight. Through the correction model, the competitiveness is identified through 1:1 comparison with competition candidate technology and existing dominant design technology. In this research, we quantitatively propose the possibility that a specific technology can become a dominant design in the next generation, based on the difference in factor values and importance. This results will help the company’s R&D strategy and decision making. 최근 차세대 기술에 대한 사전적인 예측이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기술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규명만 이뤄지고 있으며, 결정 요인 별 중요도나 기술 간 경쟁 양상을 파악하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신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경쟁이 심화되는 기술 대체 시기에서 기술 경쟁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Lotka-Volterra 모형을 이용하며, 이를 통해 차세대 기술을 도출하고자 과거 경쟁이 끝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형을 추정하고, 기술 대체 및 경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선험적으로 도출하여 과거 경쟁기술과 현재 기술 경쟁 시 요인 값의 차이를 파악한다. 이후 요인과 계수 간 영향 관계를 바탕으로 도출된 각 요인 값의 차이를 반영하여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정된 모형을 보정하는데 이때 요인 별 중요도를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여 가중치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보정된 모형을 경쟁 후보 기술과 기존 지배적 디자인 기술에 적용하여 1:1 비교를 함으로써 경쟁 관계를 파악한다. 본 연구는 시간에 따른 요인 값의 변화량과 중요도를 기반으로 특정 기술이 차세대 시장에서 지배적 디자인이 될 가능성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기술 대체 시기에 기업의 전략 수립 및 의사결정 시 실증적 증거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중소제조업의 한·일 비교에 관한 연구-금형 부품산업을 중심으로

        박경열 대한경영학회 2002 大韓經營學會誌 Vol.15 No.4

        On this study, I've tri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technology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ie & mould industry. In order to do this, questionnaires had been made on 206 Japanese plastic die & mould industry and 70 Korean industries. The results summariz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st, Compared with Korean die & mould industries, Japanese industries have accomplished a high level of productive facilities. This has made that value added productivity in Japan is much higher than Korean 2nd, Japanese technicians have accumulated their experience at their own part for a long period. These accumulations of long-term experiences have brought a big powerful technology competitiveness to Japan. 3rd, Japanese industries have been using a large number outside order company over a long time. These long-term business have built up division of labor between them. 4th, Japanese die & mould industries has maintained business relations with the orderer for a long time, and they've had a power in proposing their ideas.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se long-term relationship have an influence on the negotiation, especially, it sometimes lead to much difficulties in decision of price or shortening of the date of delivery. 5th, Japan is relatively superior to Korea in production amount, die & mould pressure, expected life span of die & mould. In this situation, Japanese die & mould industries hold the competitive advantages over quality and proposing abilities. On the other hand, Korea has superior competitiveness on cost, and shortening of the date of delivery, we can say.On this study, I've tri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technology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ie & mould industry. In order to do this, questionnaires had been made on 206 Japanese plastic die & mould industry and 70 Korean industries. The results summariz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st, Compared with Korean die & mould industries, Japanese industries have accomplished a high level of productive facilities. This has made that value added productivity in Japan is much higher than Korean 2nd, Japanese technicians have accumulated their experience at their own part for a long period. These accumulations of long-term experiences have brought a big powerful technology competitiveness to Japan. 3rd, Japanese industries have been using a large number outside order company over a long time. These long-term business have built up division of labor between them. 4th, Japanese die & mould industries has maintained business relations with the orderer for a long time, and they've had a power in proposing their ideas.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se long-term relationship have an influence on the negotiation, especially, it sometimes lead to much difficulties in decision of price or shortening of the date of delivery. 5th, Japan is relatively superior to Korea in production amount, die & mould pressure, expected life span of die & mould. In this situation, Japanese die & mould industries hold the competitive advantages over quality and proposing abilities. On the other hand, Korea has superior competitiveness on cost, and shortening of the date of delivery, we can say. On this study, I've tri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in technology competitivenes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die & mould industry. In order to do this, questionnaires had been made on 206 Japanese plastic die & mould industry and 70 Korean industries. The results summariz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st, Compared with Korean die & mould industries, Japanese industries have accomplished a high level of productive facilities. This has made that value added productivity in Japan is much higher than Korean 2nd, Japanese technicians have accumulated their experience at their own part for a long period. These accumulations of long-term experiences have brought a big powerful technology competitiveness to Japan. 3rd, Japanese industries have been using a large number outside order company over a long time. These long-term business have built up division of labor between them. 4th, Japanese die & mould industries has maintained business relations with the orderer for a long time, and they've had a power in proposing their ideas.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se long-term relationship have an influence on the negotiation, especially, it sometimes lead to much difficulties in decision of price or shortening of the date of delivery. 5th, Japan is relatively superior to Korea in production amount, die & mould pressure, expected life span of die & mould. In this situation, Japanese die & mould industries hold the competitive advantages over quality and proposing abilities. On the other hand, Korea has superior competitiveness on cost, and shortening of the date of delivery, we can say.

      • KCI등재후보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핵심성과지표로서 기술경쟁력의 영향

        서리빈 ( Ri Bin Seo ),윤현덕 ( Heon Deok Yoon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4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17 No.4

        혁신활동과 기업가정신의 활성화를 강조하는 창조경제의 시대에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성과창출이 갖는 경제적, 정책적 및 전략적 의미와 그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들 중소기업이 목표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선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사의 혁신활동을 조정·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정과 개선은 성과평가의 지속성과 정확성이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는 경쟁자의 모방이 어려운 기업특수자원의 개발·확보가 경쟁우위와 성과창출에 기여 한다는 자원 기반관점에 근거하여 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있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성과지표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는 특허를 포함한 지적재산권의 수, 혁신제품 매출비중,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과 같은 정량적 혁신성과지표와 함께, 매출액 성장률과 투자대비 수익률과 같은 재무적 기업성과지표를 주요지표로 채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위와 같은 정량적 지표가 자원의 한계성이 높고 혁신의 범위가 좁은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내재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는가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체계화된 경영관리능력과 연구개발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 특히 신생벤처기업의 경우에는 기술개발에 필요한 자원과 역량을 확보하고 일련의 혁신 프로세스를 통해 기업성과를 창출하기까지 시간적 격차, 즉 리드타임을 겪게 된다. 이들의 혁신 프로세스가 내포한 높은 복잡성과 불확실성에 견주어 볼 때, 측정 가능한 수치적 혁신지표가 가시화되기 어려운 상황 하에서 정량적 평가요소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오히려 지속적인 성과평가를 저해한다. 이는 시장 및 기술변화에 대응하고 신속히 자사의 혁신활동을 조정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소기업에게 보다 중요한 향후 혁신 잠재력에 대한 평가는 간과될 여지가 높다. 또한 자원기반관점에 기반한 다수의 선행연구가 투입-산출-결과의 혁신 프로세스(innovation process input-output-outcome)를 구조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주로 중소기업이 보유한 자원과 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만을 분석한다는 점에서도 학문적 보완이 시급하다. 이상으로 논의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이 기술혁신을 수행하는 가운데 활용 가능한 정성적 핵심성과지표로서 기술경쟁력(technological competitiveness)의 측정을 제안하고, 그 도입의 효과성과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문헌검토를 통해, 앞서 기술한 정량적지표가 갖는 문제점을 논의하고 정성적 성과지표 도입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기술보증기금이 운용 중인 기술가치평가시스템의 정성적 평가요인을 본 연구목적에 부합하도록 조작적 정의를 실시, 중소기업이 개발하는 기술요소에 대하여 우수성, 시장성, 사업성이라는 세 가지 기술경쟁력 측정항목을 산정하였다. 다음, 선행연구에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주요혁신자원으로 규명된 혁신역량(innovation capabilities)과 기업가적 지향성(entrepreneurial orientation)을 혁신 프로세스 투입으로, 기술경쟁력을 투입에 따른 산출로, 기업성과(business performance)를 투입과 산출의 결과로서 구조화시킨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벤처기업인증을 획득한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총 360개의 유효표본에 대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가설검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혁신역량(R&D역량, 생산역량, 마케팅역량, 전략계획역량, 조직관리역량, 학습역량, 자원배분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의 모든 하위요소는 기술경쟁력을 대변하는 개발기술요소의 우수성, 시장성, 사업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케팅역량을 제외한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의 하위요소는 기업성과의 증진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입-산출(혁신역량/기업가적 지향성→기술경쟁력)의 영향관계가 투입-결과(혁신역량/ 기업가적 지향성→기업성과)보다 높은 설명력과 적합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술경쟁력의 세 가지 하위요소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정(+)의 영향이 검증됨과 동시에, 기술경쟁력이 투입(혁신역량/기업가적 지향성)과 결과(기업성과)의 영향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술 경쟁력의 강화를 산출하고, 강화된 기술경쟁력이 기업성과라는 혁신 프로세스 결과를 이끄는 순차적이고 구조화된 관계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는 연구자가 제안한 기술경쟁력 개념과 측정항목이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정성적 핵심성과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혁신역량과 기업가적 지향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약한 유의적 영향관계를 통해서 추론할 수 있는 리드타임 동안에는 기술경쟁력이 전략적 성과관리목표로서 인식되어야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투입-산출- 결과의 관점으로 구조화된 혁신 프로세스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해당 모형을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혁신 잠재력을 반영하는 기술경쟁력 평가의 적용가능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은 결론에서 상세히 기술하였다. To achieve high performance standards depends on effectively measuring and monitoring company``s performance by reflecting continuously whether a firm reacts and adapts to external changes. A growing number of empirical works support key assertions of the resource-based view (RBV) literature that a firm``s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originated from its unique firm-specific resources and inimitable capabilities. Most based on the literature have examined the immediate impact of resources which a firm possesses on performance, and many of them have emphasized on quantitative indicators to measure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high-tec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suffering from lack of resources and managerial expertise usually requires a longer lead time from obtaining resources to achieving anticipated outcomes than expected due to high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thei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During the lead time, the SMEs with insufficient ability to keep evaluating current performance measurement continuously can face a challenge to identify directions for innovation in coping with external changes. In line with RBV,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of innovation process that enables high-tech SMEs to identify the main weaknesses and take corrective measures during R&D periods. Starting from a review of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provided in the literature regard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management in SMEs, we propose that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C) may be a more accurate, key performance indicator of high-tech SMEs than widely accepted indicator, such as innovative product rates, patent numbers, and R&D spending. The concept of TC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orean Technology Guarantee Fund``s technology rating system that measures technological superiority, marketability and feasibility of a developing technology. In the samples of 360 Korean high-tech SMEs with the Venture Business Certificate issued by Korean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integrated research model structured with innovation capabilities (IC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TC, and business performance was tested through multi-regression model. The results confirms that TC affected positively by ICs and EO should be considered a significant innovation process output that reinforces business performance of high-tech SMEs. Both of ICs-R&D, manufacturing, marketing strategic planning, organizational management, learning, and resource allocation capability- and EO-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have more positively effect on TC than business performance. Lastly, TC fully mediates the weaker relationships of ICs and EO with business performance. This framework of high-tech SMEs, the ICs/EO-TC-business performance relationship, contributes to forming the input-output-outcome mechanism of their innovation process as well as deeper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adapting TC into a performance evaluation measuremen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 KCI등재후보

        The Emerging Trend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and Tasks for Science Parks

        Byung-Joo Kang,Deog-Seong Oh 세계과학도시연합 2012 World Technopolis Review Vol.1 No.1

        Many scientists today say that converged technologies, not specifically dedicated technologies, will be in the vanguard in the 21st century. Technological Convergence is the merging of different areas of technology to perform similar tasks. Since we are living in the era of Technological Convergence, it is time for us to think about how to cope with the daily demands we are facing in science parks. Technological Convergence is a mega trend in commercial areas today but, so far, no science parks seem to have tried to reshape their management policies or programs in order to utilize this trend.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parks we suggest some tasks such as: identify potentials for Technological Convergence, establish a convergent ecosystem by building connections across stove-piped systems, effect a technological convergence platform, and conduct further research for strengthening plans for converging technologies.

      • KCI등재

        혁신형 중소기업의 기술역량이 디폴트리스크와 재무건전 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분석 –기술경쟁력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윤정용,김선임,손세도,이헌상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20 아태경상저널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innovative SMEs show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echnological business as technological achievements, and eventually lead to economic performance, leading to business stabilization or insolvency. As a key element of the technology business environment, how the CEO's technical capabilities, professional roles and cooperation of key executives, and the feasibility of a technology business investment plan affect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furthermore, the company's financial soundness or potential for insolvenc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 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higher the level of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CEO through efficient teamwork through specialization and proper role-sharing of key executives among technical competency, and the establishment of a reasonable investment plan such as R&D and equipment investment in accordance with the technology business pla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etter the funding and repayment ability, the better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to transform into a technology-intensive company and improve overall 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such as profitability, growth, and activity to stabilize the busines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strengthen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rough steady R&D investment i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ccumulation of know-how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business success that must be supported in terms of long-term and gradual growth as a going-concern. 본 연구는 혁신형 중소기업이 기술사업 활동 과정중에 제반 기술사업 환경요소들이 어떻게 기술적 성과로 나타나고, 종국적으로는 경제적 성과로 이어져 사업안정화를 이루거나 또는 부실화에 이르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기술사업 환경의 핵심요소로서 CEO의 기술 역량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의 전문적 역할과 협력도, 기술사업 투자계획의 타당성 등이 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기업의 재무 건전성 내지 부실화 가능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실 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술역량중 핵심 경영진의 직무별 전문화와 적정한 상호 역할분담을 통한 효율 적인 팀웍등으로 CEO와의 협력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기술사업 계획에 부합하는 연구개발과 설비투자등의 합리적인 투자 계획 수립과 자금조달 및 상환능력등이 양호할수록 기업의 기술경쟁력 을 향상시켜 기술집약적 기업으로 변모해 나아가고 수익성, 성장성, 활동성 등 전반적인 재무적 경영 성과를 향상시켜 사업안정화를 이루어 나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기술혁신에 대한 꾸준한 연구 개발 투자 및 노하우 축적 등을 통한 기술경쟁력 강화는 계속기업(Going-concern)으로서의 장기적· 점진적인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할 사업성공의 필요조건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에서의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 프로그램 개발

        김다라니,이상봉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ition program in order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junior high schoolers to solve problems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by deploying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to foster their cooperative and challenging spirits by tackling the given problems in group. Relevant literature and competition programs were analyzed to develop a junior high school competition program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three stages: preparing, developing and applying.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content structure of technology and the fields of corresponding hands-on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nd creativity theories were analyzed. Besides, domestic and foreign creativity-related competition programs were checked. In the development stage, an overview of the nature, object, question making and evaluation of a competition program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was presented, and a program was developed, which consisted of three stages: planning, operating and evaluating. In the application stage, every student in a selected junior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competi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ntended to offer a chance for every junior high schooler to solve problems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to display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Second,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nclude planning, operating and evaluation stages, after the nature and object of the competition program and in which way question making and evaluation should be fulfilled were determined. Third, the competition program dealt with five areas according to the content structure of technology: manufacturing technology, constr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And questions for each area and student worksheets were developed. Fourth, the program was utilized in a junior high school to give an example.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발휘하여 기술적인 체험활동에 터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팀 활동을 통하여 주어진 문제를 장시간 고민하고 해결함으로서 협동심과 도전정신을 기를 수 있는 수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관련 대회 프로그램 탐색을 토대로 하여 중학교에서의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 대회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준비단계 : 기술의 내용구조와 내용구조에 따른 체험활동의 영역 등을 살피고, 창의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외 창의성 관련 경진대회 프로그램을 탐색하였다. 2. 개발단계 :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의 성격, 목표, 출제 및 평가의 전반적인 총론을 제시하고 대회의 ‘기획-운영-평가’에 걸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 적용단계 : 개발된 프로그램을 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중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기술적인 체험활동에 터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경진대회 프로그램이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의 성격과 목표와 출제 및 평가 방향을 제사한 뒤 이를 기초로 하여 개발된 ‘대회 기획 단계, 대회 운영 단계, 대회 평가 단계’의 절차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대회 문제는 기술의 내용구조에 따라 제조기술, 건설기술, 수송기술, 통신기술, 생물기술의 5개의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각 영역별 문제의 게시자료와 학생용 활동지를 각각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 중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