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통문양에 나타난 음양태극과 상태극 연구

        안창호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4 한국디자인포럼 Vol.10 No.-

        There is an implicated ghilosophy to represent a country or a nation and a condensed form of conscicousness, unconsciousness and thought of the said group in the pattern. Taegeuk, one of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patterns in Korea, is the most crucial word indicating the principle of the foundation of oriental philosophy since the ancient times and it has become our national flag today. The Taegeuk pattern has been used since Silla Dynasty as a sign of mystery and solidarity as well as the national spirit of our nation and sovereignty. People have had an easy access to the Taegeuk pattern in their every day lives before Silla Dynasty to the present and the Taegeuk flag or Taegeuk line and Taegeuk mark have represented our country around the world : in this aspect, the Taegeuk pattern has functioned significantly as our national pattern. Yin-Yang Taegeuk based on Yin-Yang Theory and dichotomy has appeared mainly in China and Japen and it seems familiar with the scholasticism, whish is fundamental and aristocratic in western thought.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Yin-Yang Taegeuk has been mixed with various foreign thoughts and ideas so that ir would be hard for us to claim that it is purely our unique heritage. In contrast, <Sam Taegeuk> is the pattern symbolizing the thought of combination of three elements such as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and it has the been considered very sacred from old times. Unlike the Yin-Yang Taegeuk shown frequently in Japen, <Sam Taegeuk> pattern based on humanity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noticeable patterns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our as one of the cherished patterns from old times. Besides, it was the first concept of Taegeuk and he symbolic pattern appropriate to the sentiments of our nation. 문양은 그 국가나 민족을 대변 할 만큼 함축된 철학이 있으며 그 집단의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사상이 응축되어있다. 한국의 전통 문양중 가장 대표적인 태극은 우주의 존재 원리를 일컫는 가장 핵심적인 말로서 고대부터 동양의 국기인 태극기에서 그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태극문양은 신비, 신성의 부호로서 신라시대 이전부터 사용되어왔으며 우리 민족의 국민 정신과 주권을 대표함과 아울러 조화, 창조, 단결의 상징이었다. 태극문양은 신라시대 이전부터 현재까지 우리의 생활 주변에서 쉽게 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세계 각처에 태극기 혹은 태극선, 태극마크 등이 우리나라를 대표하고 있음을 볼 때 민족적 문양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것이다. 음양태극은 음양론과 이분법 구조를 중심으로 주로 중국이나 일본등에서 많이 나타나며 귀족적이며 서양의 기본사상인 신본주의를 많이 닮았다. 이런 음양태극의 철학적 배경은 순수히 우리민족의 고유의 것이라고 자부하기엔 너무나 이질성이 많다. 이에비해 삼태극은 천.지.인 3합사상을 상징하는 문양이며 삼태극에는 평등과 민주적 사상이 있으며 삼라만상을 창조하는 이차가 담겨있어 예로부터 신성히 여겨왔다. 중국과 일본에 많이 나타나는 음양태극과 달리 사람을 중시하는 인본주의 사상의 삼태극문양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가장 이어온 문양이라 할 수 있으며 옛날부터 가장 사랑받는 문양으로 활용되어 왔다. 또한 이 삼태극이 최초의 태극관념이며 우리민족의 정서에 맞는 상징적 문양이라 할 수 있다.

      • 대순사상의 태극에 관한 연구 : 주자의 태극과 비교를 중심으로

        최치봉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4 대순사상논총 Vol.23 No.-

        This thesis strives to identify the peculiarities of Taegeuk (the yin-yang) and the relationships of Ri (reason/cause), Ki (Energy) and Do (duty). The Taegeuk is related with the Sangjekwan (highest ruling entity), Rikiron (noble theory) and the Boncheron (ontology) of the Daesoon Sasang (Daesoon Thoughts) which therefore is a priority research topic. Although said, due to the lack of original materials and the difficulty to understand the topic, the research is insignificant. Within chapter Ⅱ of this thesis, the concept of the Taegeuk, the Rigi and Do from the perspective of Juja is observed. In chapter Ⅲ, the relationship of Moogeuk and the Taegeuk which is mentioned in the foundation origin of the Daesoonjinrihoe. In addition, the Taegeuk and Eumyang’s noble perspectives are observed through the comparison of Juja and Daesoon Sasang. In chapter Ⅳ, the aspects of Taegeuk’s supervision is observed through the noumenality of the Taegeuk which is shown in the Daesoon Sasang along with the concept of mythology. Within the overall context, the Daesoon Sasang’s ontology has similar structures with Juja’s Taegeuk. This can be stated that Jojeongsan who had found the system of doctrine had not acknowledged Juja’s theories but have rather interpreted Kangjeungsan’s ontology in a Neo-Confucianism to better let the people understand. This can be observed as expediential teachings. The metaphysical Ri and the physical Ki’s separ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matters and functions of the Taegeuk and Do can be stated to be similar within an overall outline in the aspect of the Rikiron. The Taegeuk becomes the primary figure whilst explaining Daesoon Sasang’s Ri/Ki/Do and also becomes the Soiyeon (such reasons). Extreme Do is drawn from the Taegeuk and as Do resembles the trend of the Taegeuk, it is referred as the origin of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However, Juja vigorously tried to witness God’s notions in a principled, atheistic way. However, the main principle is regarded as divine in the aspect of the universe’s functions and effects in the Daesoon Sasang. The personal Sangjekwan which embodies these profound and mysterious Taegeuk, is Daesoon Sasang’s peculiarity which cannot be found in Neo-Confucianism. Therefore, in the Daesoon Sasang, both the order and character are being regarded in the ontology through personal divine.

      • KCI등재

        대순사상에서의 무극(無極)과 태극(太極) 그리고 대순(大巡)의 의미 고찰

        박재현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4 대순사상논총 Vol.22 No.-

        Identifying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ultimate reality" is highly important in a specific religion or thought because it is believed to contain the logic that explain the wholistic phenomenon in the entire universe. The "ultimate reality" is called "Lee(理)", "Dao(道)", "Taegeuk; the Great Ultimate(太極)", "Mugeuk; Non- Ultimate(無極)", "Gong(空)", "Haven", "SangJe(上帝)", "God" in many different religions or thoughts. Taegeuk(太極), Mugeuk(無極) and Daesoon(大巡) are believed to contain the logic that explain the wholistic phenomenon in the entire universe in Daesoon Thoughts which we can see in the GooCheon SangJe(九天上帝)'s saying that "Even if the logic is so high, it comes from the surface of Taegeuk and Mugeuk and cannot be separated from every phenomenon in our life(理雖高 出於太極无極之表 不離乎日用事物之間)" and Doju(道主) Cho, Jeong San's saying that "The reasion that Dao is called Dao is that it is settled to be Mugeuk and moved to be Taegeuk(道之謂道也者 定而无極 動而太極)" and Dojeon(都典) Park Wu-dang's saying that "Daesoon(大巡) is circle(圓), circle is Mugeuk(無極), Mugeuk is Taegeuk(太極)". Mugeuk contains the logic of transcendence and Taegeuk contains the logic of immanance. And Nae-confucianism admit the Ultimate Reality or logic have both characteries of Mugeuk and Taegeuk and don't admit that Taegeuk comes from Mugeuk. Therefore, Mugeuk and Taegeuk are in complementary relations. These Nae-confucianism's idea about Mugeuk and Taegeuk corresponds with Deasoon Thought. Daesoon Thoughts also admit that Ultimate Reality, GooCheon SangJe can be understood with both Mugeuk and Taegeuk. That is, GooCheon SangJe, the Suprime God is transcendent from this world(Mugeuk) and also manage the whole universe using the logic of Taegeuk(太極). Daesoon(大巡) unite Mugeuk and Taegeuk using the concept of circulation. The logic of Mugeuk and Taegeuk is both two as well as one, and one as well as two. It is not dualism nor monism. It is non-dualism and super-dualism. These logic of coexistence is the core of Mugeuk and Taegeuk. And this logic is reflexed in Daesoon Thoughts' core proposition that "Daesoon(大巡) is circle(圓), circle is Mugeuk(無極), Mugeuk is Taegeuk(太極)".

      • KCI등재

        이태극 초기시조 연구

        권성훈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6

        In this article, It examined that the sijo of Lee Taegeuk (1913-2003) was essentially an existential consciousness between nationalist historical views, classical sense of community, and traditional awareness of reality in his early poetry collection. Lee Taegeuk is a leading Korean literature scholar of the 1950s and, as an ancestral poet, the person who opened the second sijo reconstruction of "stability of the modern sijo form". In the 1910s, during the fetal movement of the modern sijo and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After the pioneering era of the modern sijo, Lee Taegeuk pursued the goals of ethnic education and traditional obviousness as an unprecedented sijo literature. He also defended the sijo as the only language of the nation and revived the modern sijo through classical aesthetics and formalism. The poetry world that Lee Taegeuk emphasized independently is defined as a culmination of rough "ethnicity," "classical," and "tradition." In this way, Lee Taegeuk can be regarded as the "intelligent design" of the modern sijo in that it tried to restore the historical community and advance to the century with an existing subjectivity. It can be said that nature's longing and nature-friendly thinking were in charge of the axis from the sijo consciousness of Lee Taegeuk. This is a phenomenon that appears prominently in his early sijo, discovering the essence of humans and the world from nature, life and the world, and trying to realize their existence. Here, the essence is to formalize something with the subjective uniqueness that makes it. In this way, through formal aesthetics, I tried to reveal the existential existence that is largely different from possessions in Eastern thought. It is the existential interest of the people, classics and traditions he has pursued, which seems to have been inspired by his sijo. Along with this, the early sijo of Lee taegeuk can be embodied in historicism,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ality awareness along with the literary forms that make up the form and content. In this way, searching for the early ancestors of Lee Taegeuk, who established the ancestral formal aesthetics, is of historical significance to the sijo. The early sijo of Lee Taegeuk can be seen as the sijo included in "Women with Flowers", this collection of poems is dominated by the sijo created in the 1950s and 1960s. Investigating his poetry world and character, centered on his early poems, is differ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mid and late eras. It can be said that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becomes a starting point for examining the principles and movements of poetry consciousness. This paper attempted to discover the poetic world he was trying to reach by examining the consciousness of the sijo, such as history, community, and reality awareness, which appeared in the early sijo of Lee Taegeuk, in an ontological way in the same way as a research method. The poetry consciousness of his early sijo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historicism and nature, seco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life, and third reality awareness and world. He also considered his early specimens using "Being and Time" by Martin Heidegger (1889-1976). In this way, Forming his sijo, Heidegger's advocacy of the histor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existence, the co-organization of the present existence, the composition of the unification of the words of the present existence, etc, was able to grasp the essence of the form and aesthetic consciousness content of Lee Taegeuk’s early sijo as existential subjective consciousness. 본고는 월하 이태극(1913~2003)의 시조가 본질적으로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고전적 공동체의식 그리고 전통적 현실인식 사이에서 시의식이 발단된다는 것을 그의 초기시집으로 살폈다. 이태극은 1950년대를 대표하는 국문학자이자, 시조시인으로서 ‘현대시조 형식의 안정기’ 제2의 시조부흥을 열었던 인물이다. 1910년대 현대시조의 태동기와 해방 전후 현대시조의 개척시대를 거치며 이태극은 이전에는 없었던 시조문학으로서 민족 교육 목표와 전통적 자명성을 추구했다. 또한 민족 유일한 언어로서 시조를 옹호하며 고전적 미의식과 형식미학을 통해 현대시조를 부흥시켰다. 이태극이 주체적으로 강조했던 시세계를 집대성하자면 ‘민족’ ‘고전’ ‘전통’으로 규정된다. 이것을 통해 이태극은 고유한 주체의식으로 역사공동체를 회복하고 세기로 나아가려고 했다는 점에서 현대시조의 ‘지성적인 설계자 ’라고 할 수 있다. 살펴본 이태극의 시 의식에서 한 축을 담당했던 것이 자연에 대한 동경심과 자연 친화적 사고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그의 초기시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현상이며 인간과 세계의 본질을 자연과 생명 그리고 세계로부터 발견하고 존재성을 구현하고자 했다. 여기서 본질은 어떤 것을 다른 것이 아니라 바로 그것으로 있게 해주는 주체적 고유성으로 형식화하는데 있다. 이로써 동양사상에서 말하는 고유한 주체의식을 형식미학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그것이 그가 추구해온 민족, 고전, 전통에 관한 존재적 관심이며 이것이 시조로 촉발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이태극의 초기시조는 형식과 내용을 구성하는 문학양식에 따라서 역사주의 · 공동체의식 · 현실인식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이같이 시조 형식 미학을 정립한 이태극의 초기시조를 살피는 것이야 말로 시조사적 의의가 있다. 이태극의 초기시조는『꽃과 여인』에 수록되어 있는 시조로 살펴 볼 수 있는데, 이 시집에는 1950년대부터 1960년대 창작한 시조가 주를 이룬다. 이러한 그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그의 시세계와 성격을 규명하는 것은 탐구의 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태극 초기시조에 나타난 역사, 공동체, 현실인식 등 시조 의식을 연구방법과 같이 고찰하면서 그가 도달하고자 했던 시세계를 발견하고자 했다. 그의 초기시조에 관한 시 의식을 세 가지로 본다면 첫째 역사주의와 자연성, 둘째 공동체의식과 생명성, 셋째 현실인식과 세계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KCI등재

        현행 정부기(政府旗)의 태극(太極) 디자인에 대한 비판적 고찰

        우실하(Woo, Silha) 비교민속학회 2021 비교민속학 Vol.- No.73

        ‘정부기’는 입법부, 행정부, 사법부 등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는 또 다른 국기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근본적인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현행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의 바탕은 ‘음양태극도’인지 ‘삼일태극도’인지가 불분명하다. 왜냐하면, (1)‘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 3가지 색을 사용하고 있어서 언뜻 보기에는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 같지만 면 분할이 3등분 되어 있지 않고, (2) ‘진한 파랑’과 ‘선명한 빨강’을 하나로 묶어서 ‘흰색’과 비교해보아도 음양태극도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면 분할이 비대칭적이다. 둘째, 역사적으로 발견되는 모든 태극 관련 도상들은 모두 음양 흑은 천지인 삼재(三才) 사이에 균일한 면 분할을 하고 있다. 이것은 음-양, 혹은 천-지-인 가운데 어느 하나가 우위에 있거나 한 것이 아니라 이 둘 혹은 셋의 기(氣) 사이의 어울림과 조화를 상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행 정부기가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하였든, 삼일태극도클 바탕으로 하였든 균등한 면 분할이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정부기의 태극 디자인은, (1) 태극도처럼 보이지만 근본적으로 태극도라고 볼 수 없으며, (2)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셋째, 현행의 정부기 디자인이 ‘음양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면적의 분할로 볼 때 ‘진한 파랑’, ‘횐색’만으로 표현되었어야 하며, (2) ‘진한 파랑’과 ‘흰색’이 음양을 상징하는 것이라면 분할된 면적은 당연히 같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3) 중간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라는 철학적 의미와 연결된 아무런 의미도 없다. 넷째, 현행 정부기 디자인이 ‘삼일태극도’를 바탕으로 한 것이라면, (1) ‘진한 파랑’, ‘선명한 빨강’, ‘흰색’의 면 분할이 3등분으로 균등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2) ‘진한 파랑’의 꽁무니에 띠처럼 들어가 있는 ‘선명한 빨강’은 태극도의 한 중앙에서 보면 독자적으로 배당된 면적도 없이 ‘진한 파랑’ 부분에 결들여져 있어서, (3) 삼일태극도로 볼 수도 없다. 다섯째, 결론적으로 현행 정부기는 그간 태극, 음양태극, 삼일태극 등에 대한 여러 학문 분야 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전혀 참고조차 하지 않고 디자인된 그야말로 “어느 한순간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에 불과하다. 정부 차원에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국가나 정부를 대표하는 상징들이 더이상 이런 식으로 디자인되어서는 안 된다. ‘The government flag’ is another flag used by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legislature, the administration, and the judiciary.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currently in use has many fundamental problems. First, it is unclear whether the basis of the Taegeuk design of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 or the ‘Samil Taegeukdo(三一太極圖)’. This is because (1) the three colors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are used, so it seems to be based on the Samil Taegukdo at first glance, but the face is not equally divided into three parts and (2) the face is asymmetrical beyond the Yinyang Taegeukdo. Second, all historically discovered Taegeuk-related drawings are divided evenly between Yinyang or chcon-ji-in(天地人) Samjae(三才). This is because either the yin-yang, or the Samjae, is not superior, but symbolizes the harmony between these two or three. Whether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based on the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or the ‘Samil Tacgeukdo(三一太極圖)’, there is no equal division of the plane. Thus, the Taegeuk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not (1) fundamentally Taegeuk, but (2) it is only artificially made. Third,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yinyang taegeukdo(陰陽太極圖)’, (1) it should have been expressed as ‘dark blue’ or ‘white’ in terms of area division, (2) if ‘dark blue’ and ‘white’ symbolize yinyang, then (3) ‘clear red’ in the middle means nothing. Fourth, if the current design of the government flag is based on ‘Samil Taegukdo(三一太極圖)’, (1) the face division of ‘dark blue’, ‘clear red’ and ‘white’ should be evenly divided into three equal parts, or (2) ‘dark red’ is independently allocated from the center of Taegeukdo, (3) so It may not be considered to be the extreme of ‘Samil Taegukdo’. Fifth, in conclusion, the current government flag is only an artificially designed design that is designed without reference to the achievements of scholars in various fields of study on Taegeuk, Yinyang Taegeuk, and Samil Taegeuk. The current government flag should be reviewed at the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symbols representing the state or government should no longer be designed this way.

      • KCI등재

        성리학의 理氣 개념의 원자론적 재구성 - 주자학의 형성과정에서 다른 방향으로 -

        정강길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6 No.-

        This article attempts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Li-Ki(理氣) of Neo- Confucianism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Zhuzi's thought(朱子學). Zhuzi's thought has been controversial due to some deficiencies and ambiguity. The article suggests that aggregation and dissociation of Ki(氣) in Zhuzi's thought is newly understood as the becoming and perishing of Ki. The perishing of Ki is given as objective Li(理) in the world, not as absolute nothing. Ki is subjective actuality and Li is objective potentiality. Ki determines which Li are chosen to realize in the process of becoming. Zhuzi's Taegeuk is Li, but it has some subjective determination. It is non-temporal and intangible Ki, and in that respect, I view it as Taegeuk-vitality(太極元氣). Taegeuk-vitality’s Li is with the beginning of becoming of all Ki. And then in the beginning of Ki's becoming, there are Li left behind by the past world and Li given by the Taegeuk-vitality. Thus Li of Taegeuk-vitality is ‘the human nature of originality’(本然之性). Also, the human nature of originality is the ‘physical nature’(氣質之性) of Taegeuk-vitality. As a result, there is only physical nature as a hierarchy of physical nature. In the temporal world, there are always Li of Taegeuk-vitality (=the human nature of originality) on the beginning of Ki's becoming. The final purpose is to match the human nature of originality derived from Taegeuk-vitality and the selection by self-determination. This is a state of unity between heaven and human. For example, I think this can be seen at a high level stage as Confucius said, “at seventy, I could follow the wishes of my heart without doing wrong.” 이 글은 주자학의 형성과정에서 조금 다른 방향으로 성리학의 理氣 개념에 대한 재구성을 시도한 글이다. 성리학의 집대성으로서의 주자학은 이후로도 몇 가지 미비점과 불분명함으로 인한 논란도 없잖아 있었다. 이 글에선 주희가 말한 聚散으로 인한 氣의 生死를 각각 氣의 生成과 消滅로 볼 것임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氣의 消滅에 있어선 절대 無[없음]가 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無形化된 理가 되어 이후의 시간적 세계 안에선 과거 세계가 남겨놓은 理로 주어진다는 점을 또한 제안한다. 氣는 그 생성과정에서 어떤 理를 실현으로 선택할 지를 확정짓는 주체로서의 결정자며, 理는 주체가 아닌 대상적으로 주어지는 객체로서 설정된다. 또한 주희의 太極도 어떤 주체적 작용을 한다는 점에서 모든 理에 대한 총체적 조화로서 결단한 ‘無形의 氣’로 보며, 이 글에선 太極元氣로 설정하고 있다. 이 太極元氣는 비(非)시간적인 무형의 氣라는 점에서 모든 氣의 생성과정의 시작국면에 함께 한다. 따라서 氣의 생성과정에는 太極元氣로부터 부여받은 理가 있는가 하면 과거세계로부터 물려받은 理도 함께 관여되고 있다. 이 太極元氣의 理가 곧 天理인 本然之性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러한 理氣 도식에서 보면 本然之性은 곧 太極元氣의 氣質之性을 일컫는 것이 되며, 결과적으로는 ‘氣質之性의 위계’만이 있는 것이다. 한편에선 시간적 세계에서의 氣質之性도 매순간마다 현재를 형성함에 있어 그때까지의 과거적 여건으로서 상속받지만, 또 한편에선 매순간마다 太極元氣의 氣質之性 곧 本然之性 역시 모든 氣 생성과정의 시작국면에 저마다 부여받는다. 결국 비시간적인 태극원기의 天理를 시간적 세계의 氣가 그 생성과정의 시작국면마다 本然之性으로서 부여받고 있기에 天命은 그침이 없고 性은 날마다 생겨나며, 이러한 氣의 생멸들과 함께 삶을 형성해간다. 그리고 그 최종 목적은 우리 안의 시작국면에서 부여받은 本然之性과 자신의 주체적인 선택결정을 통한 氣質之性을 궁극적으로는 합일 곧 일치시키는 데에 있는 것이다.

      • 영향태권도철학과 성리학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최영렬(Choi, Young-Ryel),정근표(Jung, Kun-Pyo) 경희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원 2010 태권도과학 Vol.3 No.1

        This paper pursues to research the relation of neo-confucianism and Taekwondo philosophy. Comparison of Taegeuk-do and Samjae-Kangyu-do is selected as the beginning point for this research. Taegeuk-do can be regarded as an essence of Toegye philosophy and Samjae-Kangyu-do is an aspect of Taekwondo philosophy.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from the discussion. Firstly, both of Taekwondo and neo-confucianism can be understood well by way of Li-ki conception that is main part of Toegye philosophy, and this is the shared feature of both. Particularly, the content of Li(理) can be explained clearly in both. They are the context of "Mugeuk-Taegeuk-yinyang-various phenomena". Secondly, the structures of Li in Samjae-Kangyu-do and Taegeuk-do are different in some part. In the former, Taegeuk is divided into yin and yang, which combine to be Palgwe and then various phenomena, while in the latter Taegeuk makes yin and yang, which generate 5 elements and then everything. Thirdly, the explanation of Samjae-Kangyu-do is limited within techniques, while that of Taegeuk-do includes personality and the principles of morality. 이 논문에서 연구자가 고찰하고자 하는 내용은 성리학과 태권도 철학의 연관성이다. 이 연관성에 대한 탐구의 출발점으로 연구자는 태극도와 삼재강유도를 선정하고 이를 비교 고찰하였다. 태극도는 퇴계 철학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성학십도》의 핵심 도식이고 삼재강유도는 태권도 철학의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와 성리학적 세계관은 리(理)와 기(氣)로 세상을 이해하는 리기론적 입장으로 잘 해석될 수 있다는 공통점을 보여준다. 특히 그 리(理)의 내용이 무엇인지가 분명하게 해명될 수 있다. 둘다 "무극-태극-음양-다양한 현상들"의 설명 맥락을 따르고 있다. 둘째, 삼재강유도와 태극도에서의 리(理)의 구조는 다소 차이가 있다. 삼재강유도에서는 태극이 음양으로 나뉜 후에 음양이 결합하여 팔괘를 형성하고 이것이 곧 만가지 기법이 된다. 하지만 태극도에서는 음양이 수화목금토의 오행을 생성하고 오행이 춘하추동의 사계절을 운행한다. 셋째, 삼재강유도는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끝나는 것 같고, 태극도는 세계관에서 사람의 성품 및 도덕원리의 출발점까지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프로젝션매핑에서 나타난 태극 표현의 입장과 배경 - <태극: 우주의 조화> 공연 영상을 중심으로 -

        목진요 ( Mok Jin-y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4 No.-

        이 연구는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의 <태극: 우주의 조화>공연의 프로젝션매핑 영상이 취하고 있는 개념적인 입장과 이론적 배경에 집중한다. 태극 표현에 대한 개념적 입장으로, 태극기에 사용된 태극과 사괘의 중국 유래에 대한 상반된 주장들을 살펴보고, 역사를 통해 전래되고 전이되는 문화의 본질을 인정하는 입장을 밝힌다. 태극 표현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동양철학에 국한되었을 것으로 예상했던 태극과 사괘의 우주에 대한 원리가 동서고금을 망라하여 다양한 학문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론을 도출해내는 우연들에 주목한다. 동서양 간 동일성을 보이는 존재의 궁극적 근거에 대한 철학적, 수학적, 과학적 배경에 대해 연구하여 태극의 보편타당성에 대해 논한다. 이러한 입장과 배경을 통해 <태극: 우주의 조화>공연의 프로젝션매핑 영상의 전체적인 전개방식과 재해석의 면면을 살펴본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ceptual stance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ojection mapping image of the < Taegeuk: Harmony of the Cosmos > performance of the opening ceremony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e conceptual stance of Taegeuk expresses the contradictory claims about Taegeuk and Trigram's origins from China used in Korea national flag, Taegeukgi, and reveals the position of accepting the essence of culture that is transferred and transited through history. Focusing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aegeuk Expression, the principles of Taegeuk and Trigrams, which were expected to be confined to oriental philosophy, envision the same or similar conclusions as diverse disciplines covering East and West. Through this stance and background, we will examine the whole development method and reinterpretation of the projection mapping image of the < Taegeuk: Harmony of the Cosmos > performance.

      • KCI등재

        처용무의 사방작대의 구조적 매커니즘에 대한 소고: 태극 본체론에 대한 상관적 사유를 중심으로

        이경진 ( Lee Kyong-jin ) 대한무용학회 2017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5 No.5

        Cheoyong-dance from start to finish goes into Taegeuk → Yin-Yang → Five Elements → Yin-Yang → Taegeuk. In this process, Sabang-Jakdae is considered to be the critical point where the Yin-Yang carrying the Taegeuk is embodied as all things. The Sabang-Jakdae representing the creation of Five elements is triple structure reflecting the meaning of production and destruction. The pro-duction cycle leads to the Obang-Jakdae Dance. The reason of the destruction among Five Elements is specified in Loushu. The Loushu formation not being in the current Cheoyong-Dance can use the Nine-sector Diagram of Loushu. The terms "Taegeuk", "Yin-Yang", and "Five Elements" are related to cosmology and humanism by means of ontological and correlative way of thinking, and this suggests the Human way being right to the Heavenly way.

      • KCI등재

        風水 同氣感應論의 易學的 接近

        박일용(Park, Ill-Yo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8 No.-

        본 연구는 풍수의 출발점이자 대전제가 되고 있는 同氣感應論의 역학적 해석을 토대로 동기감응론의 哲學的 地盤을 새롭게 정초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풍수 동기감응론의 철학적 배경을 고찰하는 것은 풍수의 본원을 살피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한국 풍수에 대한 오해와 비판, 선입견과 고정관념을 불식시키고 풍수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관건이 될 것이다. 풍수에는 실재(reality)에 대한 선험성과 경험성이 상호 의존하고 있으며, 풍수의 이론체계는 철학적인 부분과 경험과학적인 부분이 혼재되어 있다. 그런데 동기감응론은 풍수의 철학적 부분이며 또한 선험성과 관련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太極의 존재론적 범주 측면에서 출발하여 동기감응론의 철학적 지반 확립에 초점을 맞추었다. 태극은 우주만물을 化生하는 生成의 지 위에서 제일 근원이다. 우주만물이 태극에서 生한다고 해도 결코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주만물의 생성과정을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생성순서라는 입장에서 보면 전체적인 명칭인 태극과 비교하여 제한적인 명칭이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乾元과 坤元이다. 건도 변화에서 品物, 時間, 空間, 性命이 생긴다. 곤도 변화는 건도 변화를 계승한다. 곤도 변화는 건도 변화를 통하여 창조된 性命을 함양하고 형체를 형성한다. 결국 乾과 坤의 관계 속에서 만사만물이 생성되는 것이다. 만물의 性命은 그 근원을 같이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을 포함한 만사 만물은 형상적으로 다양한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명이라는 동일한 기반 위에 서 있기 때문에 感應할 수 있는 것이다. 역학적 사유에서 말하는 감응과 풍수에서 언급하고 있는 감응은 본질과 내용면에서 다를 바 없다. 인간과 사물에 내재해 있는 보편적 본성, 즉 性命 혹은 性에 근거하는 감응은 풍수 동기감응론의 철학적 지반인 것이다. 이와 같이 풍수 동기감응론의 철학적 지반을 주역에서 정립할 때 동기감응론에 대한 논란과 비판은 사라질 것이며, 또한 풍수의 학문적 위상은 제고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ympathized Relation, which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premise of Pungsu theory, by applying mechanical approach on Sympathized Relation. Examining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Sympathized Relation in Pungsu us highly significant to delve into the origin of Pungsu. Moreover, it is the key to dispel the misunderstanding, criticism, bias and stereotypes towards Pungsu and help better understanding of Pungsu. In Pungsu, the apriority and experientiality of reality are mutually dependent on each other and the theoretical structures of Pungsu include both philosophical aspect and experiential and scientific aspect. In this sense, the Sympathized Relation is related to the philosophical aspect of Pungsu, and concerned with the apriority. The present research is initiated from the ontological perspective of Taegeuk and focuses on establishing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ympathized Relation. Taegeuk is the origi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n terms of their transformation and creation. It is not impossible to say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born from Taegeuk.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sequence of creation among all things, the creation process by Taegeuk should be analyzed thus rather limited naming is required instead of Taegeuk, which covers the overall range. It is Geonwon and Gonwon. Materials, time, space, nature and destiny are created through Geondo transformation. Gondo transformation succeeds Geondo transformation. Gondo transformation builds up the nature and destiny created through Geondo transformation and creates the form. Eventually, all things are created in the relation between Geon and Gon. The nature and destiny of all things are derived from the identical origin. Therefore, even though all things including human beings have diverse forms, they can sympathize with one another since they share the common foundation of the nature and destiny. The concept of sympathy mentioned by Changeology is not different from the sympathy mentioned by Pungsu in terms of its foundation and contents. The sympathy based on the inherent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ings,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Sympathized Relation in Pungsu. As such, the controversy and criticism concerning Sympathized Relation would be dispelled by establishing philosophical foundation of Pungsu Sympathized Relation based on I-Ching, and the academic status of Pungsu would be improved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