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전소설 공간 답사를 위한 제언

        신희경(Shin, Heekyung) 돈암어문학회 2018 돈암어문학 Vol.33 No.-

        본 논문은 작품에 나타난 공간을 체험하여 고전소설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는 고전소설의 공간 답사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은 작가의 의식 체험이나 경험을 통해 다양하게 형상화되면서 구체화된 삶의 모습을 이미지화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간답사는 작품 형성에 영향을 미친 공간, 작가의 경험 공간이 어떻게 작품 속에 구현되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하고 공감대를 형성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고전 문학의 공간은 현재 훼손되거나 사라진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답사를 하기 위해서는 어려운 점이 많다. 더욱이 고전소설의 공간은 지형지리와 인문지리, 상상지리의 경계를 넘나드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공간 답사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아카이브의 개념을 사용하여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것을 제안하였다. 주제어에 따라 아카이브한 정보들을 토대로 하여 작품에 형상화된 의미를 파악하는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운영전〉,〈안빙몽유록〉,〈심생전〉을 들어 답사의 실제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운영전〉의 공간 답사는 수성동 계곡을 중심으로 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수성궁은 현재 존재하지 않지만 현재에도 확인이 가능한 작품의 배경을 답사함으로써 사실과 허구가 잘 교직된 〈운영〉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안빙몽유록〉의 공간 답사는 작품의 창작 공간인 기재의 현재 위치로 추정되는 이화장 부근으로 한다. 이는 혼란한 정치 현실과 거리를 두고 정원을 통해 자연과의 정신적 교감을 추구하고자 했던 신광한의 말년과 수신의 도구로서 화훼 취미가 〈안빙몽유록〉창작의 배경이 되었음을 이해하는 방법이 된다. 〈심생전〉의 공간 답사는 청계천부터 소공동 주변까지 설정한다. 이는 작품 곳곳에 잘 결합되어 녹아 있는 당대인들의 삶의 공간을 이해하고 〈심생전〉의 가치를 재발견하는 토대가 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이 답사라는 실증적이고 체험적인 방법을 통해 고전소설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깊이를 조금이나마 증폭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classical novel space exploration methods that help understanding classical novels by experiencing space of works. A space is shap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author "s conscious experience or experience, and images of the actualized life are imaged through the works. And a Space is the foundation on which we can infer the perception of the lives and historical events of humans who have lived at a certain time. In this respect, the space exploration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space of the author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work, how the author"s experience space was embodied in the work, and to form a consensus to understand the work. However, because the space of classical literature is often damaged or disappear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explore. Addition, since the space of classical novels is seen to cross the boundaries of geographical geography, human geography, and imaginary geography, research on spatial exploration has never been done.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exploring space in classical novel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f space in classical literature and my researches for exploring and understanding everyday life. In this paper, we propose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space using the concept of archives. Understand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archived according to the main text. Then,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space and literary works, I propos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narrative that grasps the meanings shaped in the works. Based on these method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practical possibility of exploring 〈Un-yeong-jeon〉, 〈An-bing–mong-yu-rok〉, and 〈Sim-saeng-jeon〉.The space exploration of 〈Un-yeong-jeon〉is centered on Suseongdong Valley. The space exploration of 〈An-bing–mong-yu-rok〉 is located near Ehwa-jang, which is estimated to be the present location of the creation space of the work. The space exploration of〈Sim-saeng-jeon〉 is set up from Cheonggyecheon to Sogong-dong. Since the concept or method of classical novel space explor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there are still a lot of problems to be solved in this paper because there are many missing points. However,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of the formation of classical novels. Therefore, I expect that the empirical and experiential method of exploration will be an opportunity to amplify the interest in classical novels.

      • KCI등재

        The Transition Effect of Korea’s Space Development

        Jong-bum Kim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6 No.2

        In the 1990s, South Korea recently launched Space Development and is pushing for a step toward Space. In the Space Launch Vehicle fiel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atellite type Launch Vehicle (Korea Space Launch Vehicle II) has progressed to the stage of proprietary development, and in the field of Satellite development, they also have a great deal of competitiveness. This study will be a shortcut to rediscovering our potential and looking for breakthroughs by reviewing and re-examining the effects of past Space development.

      • KCI등재

        우주 자원의 법적 지위와 사적 소유

        김영주 한국경영법률학회 2017 經營法律 Vol.27 No.4

        Space contains valuable natural resources. These provide a compelling reason for entrepreneurs, investors, and governments to pursue space exploration and settlement. The Outer Space Treaty of 1967 explicitly forbids any government from claiming a celestial resource such as the Moon or a planet. Article II of the Outer Space Treaty states that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is not subject to national appropriation by claim of sovereignty, by means of use or occupation, or by any other means.” The U.S. 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 of 2015 (CSLCA), however, makes significant advances in furthering U.S. commercial space industry, which explicitly allows US citizens to engage in the commercia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space resources' including water and minerals. Thus,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United States recognizing ownership of space resources is an act of sovereignty, and that the act violates the Outer Space Treat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unequivocal prohibition of appropriation of celestial bodies as such does not give rise to a prohibition of commercial exploitation because the baseline approach to outer space is a general freedom, which can only be limited by international consensus (such as ha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high seas and Antarctica, the two other areas of human activity with which outer space is most commonly compared), and there is no explicit prohibition of commercial exploitation to start with. Also,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right to resources harvested in outer space. A private ownership of extracted space resources needs to promote new space business and industry. As resources on Earth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and expensive to mine, it is clear that our laws and policies must encourage private appropriation of space resources. 우주 공간은 천연 자원의 보고로 미래 인류의 지속적인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라도 언젠가는 반드시 개척해야할 영역이다. 다만 이와 관련해서는 우주 자원에 대한 민간 차원의 배타적 재산권 행사가 과연 국제법적으로 인정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1967년 제정된 우주조약의 경우에는 우주에 대한 국가적 소유는 금지하고 있으나 사적 소유에 대하여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민간 기업과 같은 사적 주체에 의한 우주 자원의 재산적 권리가 가능한 것은 아닌가 하는 해석을 할 수 있다. 한편 지난 2015년 11월 25일 미국은 이와 관련한 ‘상업우주발사경쟁력법’(CSLCA)을 제정하면서, 민간 기업의 소행성 자원과 우주 자원의 점유, 소유, 이용, 수송, 처분 등에 관한 재산적 권리를 명시적으로 인정하였다. 룩셈부르크 역시 최근 2017년 7월 13일, 우주 자원의 사적 소유를 인정한 ‘우주자원법’이 의회를 통과하여 시행을 앞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SLCA와 우주자원법을 통해 제기된 우주 자원의 사적 소유에 대한 법적 문제를 살펴보았다. 먼저 우주조약, 달협정 및 미국의 CSLCA의 규정 체계를 통해 우주 자원의 법적 지위를 정리한 후, 우주 자원의 사적 소유에 관하여, UN해양법협약상 해저 자원의 법적 지위를 함께 비교하면서 살펴보았다. 나아가 남극조약을 중심으로 극지방 자원과 우주 자원의 지위도 함께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여 우주 자원의 사적 소유권 문제를 중심으로 한 개별적인 의견을 피력해 보았다.

      • KCI등재

        태양계 인터넷이 심우주 탐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구철회(Cheolhea Koo),김창균(Changkyun Kim),류동영(Dongyoung Rew),최기혁(Gihyuk Choi)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4 No.3

        근래 우주 과학 및 연구의 가장 뜨거운 뉴스 또는 성과는 2013년 NASA의 화성 로버인 Curiosity, 2013년 중국의 달 착륙선/로버인 Chang’e 3 호, 2014년 ESA의 67P/Churyumov-Gerasimenko 소행성 탐사선 Rosetta, 그리고 2015년 NASA의 명왕성 탐사선 New Horizons 일 것이다. 이와 같은 장거리 심우주 탐사가 현 기술로 가능하다는 것에 매우 고무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이런 놀라운 심우주 항행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심우주 데이터 통신기술 영역은 이렇다 할 변화가 없었다. 이 영역은 큰 변화를 현재까지 거부해 왔으나 최근 들어 지상의 우수한 통신 기술들을 심우주 탐사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관찰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중에 하나가 본 논문에서 다루려고 하는 태양계 인터넷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 심우주 탐사에 태양계 인터넷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발표하고자 한다. The hottest news and achievements of space science and research in recent years may be NASA Curiosity rover’s exploration (2013) of Mars, China Chang’e 3’s exploration (2013) of Moon, ESA Rosetta’s exploration (2014) of Comet 67P/Churyumov-Gerasimenko, and NASA New Horizons’ exploration (2015) of Pluto, which are very astonishing achievement since such a deep space journey was possible with current technology. In contrast the wonderful cruise and navigation technologies evolution of explorer in deep space, there are no remarkable changes in deep space data communication, it is still in conservative area, of which much changes are reluctantly accepted so far. But there are some movements of deep space exploration in order to allow ground brilliant technologies to deep space. One of those experiments is internet, whose main topic of this paper. In this paper, we will present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solar system internet to deep space exploration.

      • KCI등재

        국제법상 우주자원의 법적 성격과 관리제도

        정영진(JUNG Yungjin) 대한국제법학회 2017 國際法學會論叢 Vol.62 No.4

        Deep Space Industries, Shackleton Energy, Moon Express 등의 우주 벤처기업들은 우주자원을 채굴하기 위한 인공위성을 개발 중이며, 조만간 인공위성이 발사될 계획이다. 이러한 우주자원 채굴을 촉진하기 위하여 미국은 2015년 11월 ‘상업우주발사 경쟁법’을, 그리고 룩셈부르크는 2017년 7월 ‘우주자원의 탐사와 이용법’을 각각 제정하였다. 우주발사 경쟁법 섹션 51302는 “미국 시민은 미국의 국제의무를 포함하여 적용법에 따른 습득된 소행성 자원 또는 우주자원을 소지, 보유, 운송, 이용 그리고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하여 우주자원에 대한 모든 권한을 가진다”라고 규정하며, 우주자원의 탐사와 이용법 제1조는 “우주자원은 국제법에 따라 전용될 수 있다”고 규정한다. 그러나 상기 규정이 국제우주법의 원칙 중의 하나인 우주의 비전용 원칙에 위반된다는 논란이 제기되었다. 이 논란은 우주자원의 개념 및 법적지위에 대한 국제법의 흠결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우주자원을 정의하고 우주자원의 법적 지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기존의 우주 관련 유엔 5개 조약을 토대로 하되 필요할 경우 미국과 룩셈부르크의 국내법도 검토의 대상이다. 우주자원의 정의 및 법적 지위가 어느 정도 정립되면, 우주자원의 관리제도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A number of private companies such as Deep Space Industries, Moon Express, and Shackleton are pursuing space mining business. Spacecrafts with prepatory missions could be launched as early as next year. In order to facilitate these initiatives, the United States legislated ‘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CSLCA) in November 2015. Luxemburg also enacted ‘Law on the Exploration and Use of Space Resources’(LEUSR) in July 2017. The section 51302 of CSLCA provides that “A United States citizen (...) shall be entitled to any asteroid resource or space resource obtained, including to posses, own, transport, use, and sell the asteroid resources or space resource obtained in accordance with applicable law, including the international obligations of the United States”. Likewise, The article 1 of LEUSR stipulates that “Space resources are capable of being appropriated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whether the above two legislations violate one of the principles of ‘non appropriation of outer space’ in international space law. This argument originates from the deficiencies of the international law on the definition and legal status of space resources. This article attempts to define the term ‘space resources’ and its legal status based on the analysis of UN’s five treaties related to the space activities and the two legislations introduced above. Only after the definition of space resources and its legal status are settled, a management regime for space resources could follow.

      • KCI등재

        우주 자원의 상업적 이용에 관한 법적 문제 - 미국의 2015년 `우주 자원의 탐사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의 구조와 쟁점 -

        김영주 ( Kim Young-ju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7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2 No.1

        우주 공간은 천연 자원의 보고로, 미래 인류의 지속적인 생존과 번영을 위해, 언젠가는 개척해야 할 영역이다. 문제는 우주에 존재하는 수많은 자원들의 수송, 이용, 처분과 같은 민간 차원의 배타적 소유권 행사가 국제법적으로 가능하냐는 것이다. 1967년 제정된 우주조약의 경우에는 우주에 대한 국가적 소유는 금지하고 있으나 사적 소유에 대하여는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따라서 민간 기업과 같은 사적 주체에 의한 우주 자원의 재산적 권리가 가능한 것은 아닌가 하는 해석을 할 수 있다. 지난 2015년 11월 25일 미국은, 이와 관련한 `상업우주발사경쟁력법`(CSLCA)을 제정하면서, 민간 기업의 소행성 자원과 우주 자원의 점유, 소유, 이용, 수송, 처분 등에 관한 재산적 권리를 명시적으로 인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주목하여, 2015년 CSLCA의 구조와 법적 쟁점들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우주 자원의 사적 소유권 쟁점을 중심으로, 국제우주법 체제의 제규정들과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CSLCA 제4편 SREU Act의 타당성 여부를 검증해 보았다. 결론은, 새로운 우주 시대를 위해 우주 자원의 `사적 소유권`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주 천체와 우주 자원을 구분하여 파악하되, ① 우주 천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비추출 우주 자원의 경우에는 사적 소유를 금지하며, ② 우주 천체로부터 분리되어 추출된 우주 자원의 경우에는 사적 소유를 인정하여야 한다고 본다. 나아가 1967년 우주조약은 현대적 입법 환경에 맞추어, 새로운 우주 산업 시대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In Space contains valuable natural resources. These provide a compelling reason for entrepreneurs, investors, and governments to pursue space exploration and settlement. The Outer Space Treaty of 1967 explicitly forbids any government from claiming a celestial resource such as the Moon or a planet. Article II of the Outer Space Treaty states that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is not subject to national appropriation by claim of sovereignty, by means of use or occupation, or by any other means.” The U.S. 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 of 2015 (CSLCA), however, makes significant advances in furthering U.S. commercial space industry, which explicitly allows U.S. citizens to engage in the commercial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space resources` including water and minerals. Thus, some scholars argue that the United States recognizing ownership of space resources is an act of sovereignty, and that the act violates the Outer Space Treaty. This pap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right to resources harvested in outer space. More specifically, a private ownership of extracted space resources needs to promote new space business and industry. As resources on Earth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and expensive to mine, it is clear that our laws and policies must encourage private appropriation of space resources. CSLCA which addresses all aspects of space resource extraction will be one way to encourage space commercial activity.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학교의 ‘우주탐사’ 주제를 중심으로

        오현진(Hyeon-Jin Oh),손정주(Jungjoo Sohn)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EM education program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learning model for the subject of Space Exploration and to analyze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The study topic of ‘space exploration’ was selec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two kinds of activities, ‘space exploration history table production’ and ‘soft landing space exploration ship’ were design. Developed STEM program was composed with 6 lessons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eight experts content feasibility checks. The final STEM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n 120 middle school students in Pohang. Data analysis analyzed the effects of changing attitudes toward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before and after class by conducting a t-test before and after a same group. As a result, this STEM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and overall, it had a high effect on their abilities.

      • KCI등재

        Systematic design space exploration and rearrangement of the MDO problem by using probabilistic methodology

        Yong-Hee Jeon,Sangook Jun,Seungon Kang,이동호 대한기계학회 2012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6 No.9

        This study proposes a probabilistic approach for systematic design space exploration and rearrangement. The stochastic quantities and qualities of design space are explored using a reliability index, and the design space is rearranged to a higher feasible region by using Chebyshev inequality. Four test cases composed of algebraic function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Results show that the converged design space can include the feasible region outside the initial design space to the rearranged design space. Moreo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applicable to the aircraft wing design optimization problem, which considers collaborative optimization with three subsystems, namely, aerodynamics, structure, and performance. Wing design optimizations are also performed separately for the initial and converged design spa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ange obtained in the converged design space improved compared with that in the initial design space. In conclusion, the proposed design space rearrangement method was shown to have the capability to search for feasible regions that are excluded in the initial design phase.

      • 애니메이션〈이웃집 토토로〉에 나타난 공간에 대한 융합과정

        우진옥(Woo, jin-ok)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2 영화와문학치료 Vol.7 No.-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 <이웃집 토토로>에 나타난 공간의 이동과 그 공간과의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주인공들이 공간에 대해 객관적 거리에서 동화되고 융합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줄거리를 제시하였고 주인공과 공간의 관계를 통하여 주인공들이 공간을 어떻게 고찰하고 모색, 탐색하는지 숲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공간을 트럭과 이사 온 집, 집을 둘러싸고 있는 숲, 이렇게 세 개의 공간으로 보았다. 그 공간들은 아이들이 일정한 단계들이 서로 동화되고 융합되면서 대상에 대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엄마가 안 계신 가족이 낯선 곳으로 이사하면서 멀게만 느껴졌던 숲에서 잠시 탔던 트럭과 이사 온 집, 그 과정을 통해 더욱 확대된 숲이라는 공간이동의 과정을 통해 고찰하고 모색, 탐색하면서 주인공들이 성장하는 과정에 주목해 보았다. 특히, 사츠키와 메이라는 두 주인공을 통해서 작품의 공간이 주는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2장에서는 두 주인공이 멀게만 느껴지고 동경의 대상이었던 숲과 점점 친숙해지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처음 숲에 대해 가졌던 두려움과 거리감을 극복하고 동화되어 숲에 있는 토토로와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까지 나아가는 것을 보여 주었다. 결국, 작품의 공간이동 과정은 주인공들과 관객들에게 일치감을 형성하게 해주며 흥미를 갖게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숲은 처음에 두 주인공에게 객관적인 관계로 보이다가 점층적으로 좁혀지고 서로 융합의 공간으로서 나타난다. 어릴 적 추억을 지니고 사는 어른이나 어린이들에게 이 영화가 주는 시사점은 주인공과 일치감을 주어 함께 자연과 숲을 탐색하면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해준다. 주인공과 공간은 중요한 관계를 형성해주고 고찰과 모색, 탐색하면서 이것들은 서로 융합하면서 성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Through the movement of space and the series of process with space, the assimilation and the fusion process was studied with an objectivity in the animation <Theneighbor Totoro> .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movie a plot was proposed, and the method to contemplate, seek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of the main character and space was proposed pivoting the forest. First, in chapter one, the space was categorizedinto three: truck, new house, and the forest surrounding the house. With the three spaces it can be known that the conversion of the object is taking place through the children’s assimilation and fusion in regular phases. The truck that the main character was in for a short while to arrive at the unfamiliar new house which was seemingly far where the mother was absent, through this process the change in the role of the main character and the maturation process was paid attention to through contemplating, seeking, and exploring the forest which was stretch further wide in terms of movement of space. In particular, the roles of the two characters Saskiand Meithat the space, in this work, gives were investigated. In chapter two, the two charactersportrayed their increase of intimacy with the forest which at first seemed far and was a subject of yearning. The characters in the beginning showed the process of overcoming and assimilating the fear and the distance towards the forest, and moreover, shows the characters solving problems by collaborating with Totoro. Finally the process of space movement of this work stirs the characters and the audience to gives them consentience and arouses interest. At first the forest the forest seems to be depicted with an objective relationship with the two main characters but, then gradually the relationship deepens and the characters show the fusion of of space. The implication that this work gives, to whoever has a memory of childhood, whether young or old, lets the audience feel catharsis through consentience with the main character and by exploring the nature and forest. The main character and space forms an important relationship and by the fusion of the contemplation, seeking, and exploration, we can see the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열대 자연사(自然史) 탐험에서 근대 공간의 발명으로 -‘훔볼트과학’과 풍경화를 중심으로-

        이종찬 ( Lee Jong-chan )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4

        알렉산더 훔볼트는 열대 자연사 탐험을 통해 근대적 공간을 발명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본 논문은 세 가지 연관된 주제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그는 어떤 동기로 아메리카의 열대 자연사 탐험을 간절히 소망했는지를 규명한다. 둘째, 그가 탐험을 하는데 사용했던 방법인 ‘훔볼트과학’을 해명한다. 셋째, 열대 자연사에 대한 그의 낭만주의적 인식은 훔볼트과학과 어떻게 어우러지면서 근대적 공간의 발명으로 이어졌는지를 탐구한다. 훔볼트는 정밀한 측정, 지도제작, 낭만주의적 풍경화의 세 가지 방법을 통해 열대 자연사를 균질적인 근대 공간으로 발명했다. 훔볼트가 탐험하기 이전의 숲, 강, 암석, 초원으로 이루어진 아메리카 자연사와, 그가 근대적 측정 기구를 통해 지도를 제작하고 낭만주의 풍경화를 동판으로 만든 후의 그것은 다른 공간이다. 현대인들은 서구가 이렇게 발명했던 근대적 공간을 ‘열대적 실재’로 인식한다. 역사학자들의 임무는 이런 열대적 실재가 어떻게 역사적으로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그 동안 이렇게 첨예하고 중요한 문제에 대해 침묵해왔다. 인류사와 자연사가 어떻게 공명하는지를 한평생의 과업으로 삼았던 훔볼트가 환생한다면, 인류사 중심의 현대 역사학이 이런 침묵을 정당화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혼신의 힘을 다해 대응할 것이다. Few historians investigated ‘tropical natural history exploration’ since the establishment of modern history. The objective of my paper is to analyze three interrelated questions with regards to Alexander von Humboldt that was devoted with Aime Bonpland to the exploration of American natural history for about five years (1799-1804): (i) why he desired to travel to the tropics; (ii) what he measured and which maps he made during and after the exploration, and (iii) how his Romantic perception of tropical natural history was linked with ‘Humboldtian science’ to be transformed into the invention of modern space. Measurement, map-making and Romantic landscape painting were three methods that Humboldt deliberately adopted for transforming tropical natural history into modern space. American natural history that had consisted of forests, rivers and rocks before his exploration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modern space invented through the consilience between Humboldtian science and Romantic landscape painting. Contemporary people have perceived the invented modern space as the real tropics. Despite that the task of historians is to investigate how the tropical reality has been formed, they have kept silent about the tremendously signifiant issue. Humboldt who was always conscious of communicating human and natural history would never imagine that historians have neglected his expl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