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 <방아타령>계 노래의 지속과 변모

        장유정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30 No.-

        This study considers the continuance and transfiguration of Bang-a taryeong(miller songs) in records and song book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miller songs were popular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Miller songs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ng-a taryeong, Gin Bang-a taryeong, and Jajin Bang-a taryeong. One can easily find Bang-a taryeong, Gin Bang-a taryeong, and Jajin Bang-a taryeong in song books all around, however in phonographs records, the only types of Bang-a taryeong are Bang-a taryeongs and Jajin Bang-a taryeongs without the Gin Bang-a taryeongs. However, in reality, one can hear the Gin Bang-a taryeong lyrics in the melody of Jajin Bang-a taryeong. Hence, it is not the loss of Gin Bang-a taryeong itself, but only the loss of Jajin Bang-a taryeong lyrics. What holds even today are Jajin Bang-a taryeong melody with common Gin Bang-a taryeongs lyrics, as Jajin Bang-a taryeong comes with vulgarity unacceptable for phonograph record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pop Bang-a taryeong lyrics, they have become more systematic and sentimental that unify to bring a stronger sense of lyricism and the modern meaning of Bang-a taryeong. 본고는 노래책과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방아타령>계 노래의 지속과 변모를 고찰하였다. <방아타령>계 노래가 <수심가>나 <난봉가>와 마찬가지로 인기가 있었던 곡목이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모습이 어떻게 같고 달라지는 지를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노래책 수록 <방아타령>계 노래는 <방아타령>, <긴방아타령>, <자진방아타령>이 골고루 나타나는 것과 달리, 유성기 음반에는 <방아타령>과 <자진방아타령>이라는 제목만 등장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노래책 수록 <긴방아타령>의 가사를 검토한 결과, 기존 <자진방아타령>의 사설은 사라지고, 유성기 음반에는 <자진방아타령>이라는 제목 아래 노래책에서 <긴방아타령>으로 불리던 가사가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렇다면 <자진방아타령>이라는 제목은 남고 기존 <자진방아타령>의 사설은 소멸했다고 볼 수 있다. 대신에 기존 <긴방아타령>의 가사만 남아서 유성기 음반에 <자진방아타령>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벌어진 것은 기존 <자진방아타령>의 가사가 상대적으로 비속하여서 음반에 싣기에 부적합하였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기존 <긴방아타령>의 가사는 분절체와 월령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음반에 수록하기에 용이하였다. 게다가 이전부터 <긴방아타령>과 <자진방아타령>이 후렴을 공유하였으므로 가사를 바꾸는 일이 어렵지 않았을 것이다. 그 때문에 <긴방아타령>의 가사가 유성기 음반에서는 <자진방아타령>이라는 제목 아래 들어가게 된 것이다. 한편, <난봉가>나 <수심가>와 마찬가지로 <방아타령>도 그것이 유성기 음반에 수록되거나 대중가요로 바뀔 때 상대적으로 사설이 체계화되고 정서가 일원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서 없이 분출하였던 감정의 소용돌이가 대중가요 <방아타령>에서는 정제되고 정화되어 나타났다. 즉 대중가요 <방아타령>은 기존 <방아타령>계 노래와 후렴을 공유하면서도 ‘서정성을 강화’시키는 차원에서 가사를 구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경기 지역 방아타령계 음악 形成攷

        손인애 한국국악학회 2004 한국음악연구 Vol.36 No.-

        Among the wide variety of folk music genres that are performed in the Kyonggi reg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musical formative process and background of Bang-a Taryong versions. The outcome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is musical genre originated from weeding and greve-stamping song, Bang-a Taryong of the northwest Kyonggi region, and that the melodic structure of this traditional folk song is a rare example of one that is both robust structure andn rhythmical style at the same time. Regard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of Bang-a Taryong, in depth, thorough-going studies by Kyonggi regional music specialists have revealed what the true characteristics of this musical genre are. That i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ason period, Kyonggi regional folk musicians made precessional and dance accompaniment music of such characterisitically suitable one as the Kkot Bang-a Taryong of winds and percussions genre in folk festivals such as the bridge-treading play(Tapkyo-non) and religious ceremonies, and around the beginning and middle of the 19th century, itinerant performers such as the sadang-pae re-created musical repetoires largely for entertainment purposes such as (slow)Bang-a Taryong song played, while after the mid-19th century, following that played, a new piece was created in which the tempo was more fast and the melody was more cheerful. This tradition was later transmitted by professional folk ballad singers called San Taryong-pae, and around end of 19th century, this songs were transformed into more refilled and nicely form, what is called a "popular folk song" genre style, which are slow Bang-a Taryong, fast Bang-a Taryong and Kyongbok Taryong of popular folk songs. With the advent of the modem theater at the outset of the 20th century, these newly-created forms were needed on stage by ones who were successor to the previously mentioned performing groups for going into theater successfully, These various genres found in the repetoire of the Kyonggi Bang-a Taryong musicians and the wide range of their creative activities are not only contributed to the progressive assimilation of these genre into traditional music society, but are also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y made the existence of kyonggi popular folk music possible today.

      • KCI등재

        이만방의 <우리가 함께 부르는 노래> (2006) 연구

        최애경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1 音樂論壇 Vol.26 No.-

        The music of Man Bang Yi i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and pratical experiences of the n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closely related with his own era, culture, society and human life. He is interested in creating ‘Korean Modern Music’ that is different from western musical syntax and style. His critical mind, which is coherent in his creative works for ‘Korean Modern Music’, can be summarized as cultural identity and communication of Korean modern music and also spirit of the age. Song to Father with Love (2006), one of his late works, that is for the clarinet, violin, cello and piano, also represents that sort of his critical mind aiming to create ‘Korean Modern Music’ in practice. In this work, Yi tries a new mode of representation, that is, not ‘the song we preserve’ but ‘the song we sing together’ modelled after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vocal called “Gagok”, overcoming western songs, composition technic and esthetic criteria. Song itself or song-style which was started from the new millenium forms the essence of his late creative works. This paper examined, through analysis of Song to Father with Love, what the essenc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Man Bang Yi's late works are, how musical and esthetic properties of the traditional “Gagok” seeped into his works and hold on their vitality and what song or song-style means in his composition, as well as what meaning this work has. 작곡가 이만방(1945- )의 음악은 우리 고유의 전통음악에 대한 이론적 천착과 직접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자신이 살고 있는 시대, 문화, 사회, 그리고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만방의 창작적 관심은 서구음악의 어법과 양식으로부터 해방된 ‘우리음악’의 창작에 있다. 그의 ‘우리음악’ 창작 작업을 관통하고 있는 문제의식은 한국 현대음악의 문화적 정체성, 시대성과 현대성, 소통성의 문제로 요약될 수 있다. 이만방의 후기 작품의 하나인 클라리넷,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우리가 함께 부르는 노래>(2006) 역시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씌어진 ‘우리음악’의 실천적인 산물이다. 작곡가는 이 작품에서 예전 우리 선조들의 삶 속에 뿌리 내려 면면히 이어져 내려와 오늘날 ‘보존’되고 있는 전통 성악곡인 ‘가곡’을 작품의 모델로 삼아 우리사회에 팽배한 서구식 노래와 작곡기법, 서구의 미학적 사고를 극복하는, ‘보존되는 노래’가 아닌 우리가 ‘함께 부르는 노래’의 새로운 표현 양식을 시도하고 있다. 노래 또는 노래적 양식은 2000년대 들어서 시작된 이만방 후기 창작의 본질을 이룬다. 본 논문은 이만방이 시도하고 있는 후기 노래 양식의 본질과 음악적 특징은 무엇인지, 전통 가곡의 음악적 ․ 미적 특질이 어떻게 그의 작품 속에 용해되어 새로운 생명력을 이어가는지 <우리가 함께 부르는 노래>의 분석을 통해 고찰하고 있으며, 이만방의 창작에 있어서 노래와 노래양식의 의미와 함께 이 작품이 지니고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황해도 논매기소리의 음악적 특징 및 지역 간 상호 교섭 양상

        이성초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7 No.-

        Rice-paddy Weeding songs in Hwanghae-do Province are divided into four types:<songs of A-Yong>, <songs of Bang-A>, <songs of Dong-Gi>, and <songs of paddling>. Each type has different musical characteristics. <songs of A-Yong> and <songs of Dong-Gi> make the basis GyeongSeo-tory(mode of Gyeonggi-do and seodo). <songs of Bang-A> and <songs of paddling> make the basis menary-tory(mode of Dongbu province). But <songs of A-Yong> and <songs of Dong-Gi> mix up vibrate tone of susimga-tory(mode of seodo). Also <songs of Bang-A> mix up vibrate tone of susimga-tory(mode of seodo). Within a song, the mode changes. The change from Gyeong-tory to susimga-tory is the most common. It changes from BanGyeong-tory to a Menary-tory. When changing from Gyeong-tory to susimga-tory, mix up vibrate tone of susimga-tory and the melody flows naturally. When changing from BanGyeong-tory to a Menary-tory, change the tone and the melody flows naturally. 논매기소리는 모심기가 끝나고 논매기를 하면서 부르는 소리로, 농요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악곡이다. 논매기소리에 지역별 연구는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강원도, 경기도 등 다양한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데, 이는 남한지역에 편중되었고, 북한 지역의 논매기소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 중 황해도지역은 한반도의 서북지역으로, 6.25전쟁 때 남한으로 이주한 정착민들에 의해 경기도지역에서 황해도지역의 논매기소리의 일부가 불리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황해도지역의 논매기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경기도지역에서 불리는 황해도지역의 논매기소리인 <아용소리>와의 비교를 통해 상호 교섭 양상을 살펴보았다. 황해도 논매기소리는 받는소리의 유형에 따라 <아용소리>, <방아소리>, <덩기소리>, <노젓는소리>로 구분되는데, 이 중 <아용소리>와 <덩기소리>가 황해도 논매기소리에서만 나타나는 악곡이며, <아용소리>는 현재 남한의 강화도와 인천 지역에서 불리고 있다. <아용소리>는 받는소리의 선율진행 시 시작음에서 장 2도 아래로 하행 후 상행하여 음을 강하게 요성하는 특징이 있는데, 지역에 따라 진경토리의 음구조에 수심가토리의 시김새적 특징이 나타나는 유형과 전형적인 수심가토리로 구성되는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 남한 지역에 정착된 <아용소리>는 진경토리의 음구조에 수심가토리의 시김새적 특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황해도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음구조 유형이 유입되었다. 강화도 교동면에 유입되어 정착된 이후 서곶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do’음에서 요성하는 시김새가 없어지면서 수심가토리의 시김새적 특징이 옅어지게 되었다.

      • KCI등재

        통속민요의 지역권과 음악 인식의 문제-경서도의 몇몇 통속민요를 중심으로-

        김인숙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3 No.-

        This paper raised the questions about regional classification, music awareness, musical practice and cultural changes that popular folksongs reflected on. There are some repertories that the two Koreas each categorize as Seodo(northwestern)/ Gyeonggi(central region) popular folksongs. On the same popular folk songs, i.e. Gunbam-taryeong, Doraji-taryeong, Bang’a-tar yeong, Yangsando, Pungnyeon-ga, the two Koreas claim that they belong to their regions. They were originally closer to the West as Gyeongseodo(northwern and central region) folk songs, but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being recognized as Gyeonggi(central region) popular folksongs in South Korea after division, I could understand how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were divided by the ambiguous situation between academic viewpoint and the divided circumstances. Yangsando and Bang’a-taryeong, which had been sung by Sadangpae(traveling entertainment troupes), were sung together in two regions, as it is meaningless to distinguish them between the center and the northwest. Pungnyeon-ga, Gunbam-taryeong, and Doraji-taryeong were already popular sounds in the early 20th century, but they were arranged again as new folk songs of the 1930s, with the addition of Western musical elements. These songs seem to have become the sound of the central part, which is the cultural center in South Korea as they have become new folk songs. In the following academic discussions, the musical category of popular folk songs in Gyeonggi Province included Yangsando and Bang’a-taryeong etc. In North Korea, these songs seem to have long been sung in the northwestern region and considered to be their own follk songs especially in that they were sung by many singers from the northwestern region. However, the melodic characteristics of central region is also used in northwest, and it has been found to be more widely distributed in Pyeong’an area. As a result, the reason why these five popular folk songs are considered as their own music seems to be related to that such music is broadly used as folk songs in North Korea. Since today's popular folk songs came from various sources and are a product of historical change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rigins and changes of individual folk songs understanding their nature.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done on the changing aspects of the times that the folk song has undergone. 이 논문은 경서도의 통속민요 가운데 남북한이 각각 경기민요와 서도민요로 달리 분류하고 있는 몇몇 노래들을 대상으로 통속민요가 반영하고 있는 문화 변동과 연주 실제를 살펴보고, 민요의 지역권과 음악 인식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글이다. 같은 민요를 두고 북한에서는 서도민요로, 남한에서는 경기민요로 그 지역권을 주장하고 있는 노래로서 <양산도>, <군밤타령>, <풍년가>, <방아타령>, <도라지타령> 등을 살펴보았다. 이 노래들은 본디 경서도의 소리로서 그 근원은 서도에 더 가까웠으나 남한에서 경기민요로 인식되는 과정을 통해 학술적 시각과 분단적 상황 사이의 모호한 입장이 결국 인식의 경계를 갈라놓았음을 알 수 있었다. 사당패소리에서 비롯된 <양산도>와 <방아타령>은 사실상 경기와 서도로 구분하는 일이 무의미하다. <풍년가>, <군밤타령>, <도라지타령> 등은 20세기 초반에 이미 경서도 통속민요로 존재하다가 1930년대에 양악적 요소가 가미된 신민요로서 거듭 태어난 노래들이다. 이들 노래들은 신민요화 되면서 남한에서는 자연히 문화의 중심지인 서울 경기의 소리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 같다. 이어지는 학문적 논의에서<양산도>, <방아타령> 등은 경기민요의 음악적 범주에 포함되어 진행되어 왔다. 북한의 입장에서 이 노래들은 오래 전부터 서도지역에서 불렸을 뿐만 아니라 특히 서도명창들에 의해 유행한 측면이 있기 때문에 서도민요로 간주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의 민요 연구 성과에서 오늘날 경토리로 설명되는 선율적 특징이 황해도 및 평안도의 향토민요에서 널리 발견되고 있는 점이 드러났다. 결과적으로 이들 음악어법이 북한의 향토음악에 내재하고 있는 점에서 서도민요로 인식한 것으로 판단된다. 통속민요는 다양한 계통성을 지니며 시대적 변천을 겪은 결과이기 때문에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별 민요의 연원과 변모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통속민요의 원초적 형태에 대한 분석에서 나아가 통속민요가 담보하고 있는 시대적인 변화와 음악적 변모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조선 전기 문선집 『송파방(宋播芳)』, 『원파방(元播芳)』 소고(小考) -자료 소개를 중심으로-

        류화정 ( Hwa Jeong Ryu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본고는 조선 전기 산문 창작 경향을 텍스트 수용의 측면에서 파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그 당시 공식 실용문 학습에 활용된 문선집인 『宋朝(聖宋)名賢五百家播芳大全文粹』와 『聖元名賢播芳續集』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참고한 『송파방』은 四庫全書 110권 본이며, 『원파방』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는 日本內閣文庫 소장 복사본이다. 『송파방』과 『원파방』에는 송·원대 문인들의 다양한 산문들 중에서 주로 공식적인 성격을 띤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奏議類 산문이 60% 이상을 차지하며, 나머지 序跋·箴銘類 등의 산문들도 대체로 왕실이나 名賢·尊官 등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것들은 사대외교나 조정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서들이다. 또한 『송파방』과 『원파방』 안에 있는 表□文은 대구가 안 되는 글자들은 大字로 쓰고, 4·6·8·10字로 대구가 맞추어진 글자는 細字雙行으로 大字 한 칸의 간격을 두고 적혀 있다. 이러한 형태는 까다로운 형식과 화려한 수사를 동반해야 하는 騈儷文과 같은 산문을 학습하거나 작성할 때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조선 전기에 『송파방』은 세종·중종 연간에 간행되어서 大小 문신들에게 반포되었다. 이후에도 이 책은 전국 각지에 수집령이 내려지기도 하고, 구매 목록에 오르는 등 끊임없이 수요가 있었다. 특히 세종은 이 책을 표전문 학습서로 권장하기도 했다. 『원파방』은 고려 말에 인쇄되고, 이후 중종 때에 『송파방』과 함께 간행되었다. 『송파방』과『원파방』은 세종 연간부터 하나의 시리즈로 문신들의 공식 문서 작성에 참고서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과거시험에서 존중하는 표본이 되었다. 요컨대 『송파방』과 『원파방』은 조정의 문신들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하는 산문들을 뽑아 놓았고, 형식적인 부분도 학습이 용이하도록 구성해 놓았다. 그래서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반포되어 학습서로 권장되었다. 그런 점에서 조선 전기에 두 텍스트는 내용과 형식면에서 공식 문서를 작성하거나 각종 실용문을 학습하는데 좋은 참고서로 활용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examined prose collection of Song Pa Bang(宋播芳)ㆍWon Pa Bang(元播芳) used for learning or writing formal documen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It is part of study to analyze prose style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This article is referred to classical database in Siku Quanshu(四庫全書) and copies is in the Library of Japanese Cabinet Library(內閣文庫). The work to be formal is collected mostly in Song Pa Bang, Won Pa Bang. Especially, Jui-eui-ryu(奏議類) prose accounts for more than 60 percent of the books. The rest of proses are for the royal family and a high official. The part of PyoJeons(表箋) is made up of Chinese characters with small size-two lines(細字雙行). Most officials in the Joseon are required to master writing documents formally. In this regard, two books are useful to learn how to write the documents. They are printed and distributed in late Goryoe and early Joseon. They are treated not only as a reference book of Diplomatic documents (Pyojeons, 表箋) but also as a typical sample for passing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Gwageo(科擧) from King Sejong. In short, Song Pa BangㆍWon Pa Bang have a prose anthology. Moreover, the books are also considered as the documents that are needed to learn how to write formally. Therefore, two books might be used for learning or writing formal documen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 KCI등재

        ‘어린이날 노래’의 양상과 역사

        장유정 사단법인 방정환연구소 2024 방정환연구 Vol.6 No.1

        이 글은 광복 이전부터 1950년대까지 발표된 어린이날 노래의 면면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광복 이전 <조지아행진곡>의 곡조를 빌려 발표한 <어린이날 노래>를 시작으로 광복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 여러 어린이날 노래가 있었다. 보통 어린이날 노래라고 하면 윤석중 작사, 윤극영 작곡의 <어린이날 노래>만을 떠올리나 더 많은 어린이날노래가 나와 어린이날을 기념하고 어린이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었다. 1946년, 광복 이후 첫 번째 어린이날을 맞이하여 두 곡의 <어린이날 노래>가 나왔다. 하나는 김태오가 작사하고 나운영이 작곡한 <어린이날 노래>이고, 다른 하나는 어린이날 전국준비위원회에서 발표한 <어린이날 노래>다. 윤석중이 작사한 <어린이날 노래> 는 안기영이 작곡한 것(1947년)과 윤극영이 작곡한 것(1949년)이 모두 존재하는데, 이 글에서는 그 두 곡의 음악적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그 외에도 현재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여러 어린이날 노래를 소개하였다. 총 8개의 어린이날 노래의 선율과 노랫말을 살펴보았으며, 그를 통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어린이날을 기념하여 어린이를 축복하려 했던 당대 어른들의 마음을 엿볼 수 있었다. 광복하고 얼마 안 되어 발표한 어린이날 노래는 주로 광복의 기쁨을 표현하면서 어린이날을 기념하였다. 이어서 점차 5월의 푸르름을 어린이의 꿈과 희망과 연결하는 내용의 어린이날 노래가 다수 등장하였다. 윤석중이 작사한 <어린이날 노래>와 <어린이날>, 그리고 강소천이 작사한 <우리들의 날>에서 이를 확인하였다. 음악적으로는 8곡 중 4분의 2박자가 4곡으로 가장 많고 그 외 4분의 4박자 2곡, 4분의 3박자 1곡으로 나타났는데, 대체로 행진곡풍이다. 어린이날을 경쾌하고 명랑하게 기념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5음 음계를 사용한 노래들은 주로 기존 민요의 조흥구 등을 활용하였다. 이는 전통 음악의 요소를 활용하려 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어린이날 노래를 통해 광복 이후 좌우 이념의 대립 속에서도 그날을 기념하려 했던 정황을 볼 수 있다. 이 글의 성과는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어린이날 노래를 발굴해서 소개하고, 1950년대까지 발표된 어린이날 노래 전반을 고찰한 것에 있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facets of Children’s Day songs released from the pre-liberation period to the 1950s. Starting with the pre-liberation <March of Georgia>, a Children’s Day song using the melody of this arch, various Children’s Day songs were released from the post-liberation period to the 1950s. When people think of Children’s Day songs, they often recall <Children’s Day Song>(어린이날 노래), with lyrics by Yoon Seok-jung and composition by Yoon Geuk-young. However, numerous other Children’s Day songs were produced, commemorating Children’s Day and instilling dreams and hopes in children. To celebrate the first Children’s Day after liberation, two songs were released. One was <Children’s Day Song>, with lyrics by Kim Tae-o and composition by Na Un-young, and the other was <Children’s Day Song>, announced by the Nationwide Preparation Committee for Children’s Day. Yoon Seok-jung wrote the lyrics for <Children’s Day Song>, and both An Gi-young and Yoon Geuk-young composed versions of the song. This paper present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both versions. Additionally, it introduces Children’s Day songs released until the 1950s. I have examined the melodies and lyrics of a total of eight Children’s Day songs, providing insight into the sentiments of the adults of that era who sought to commemorate Children’s Day and bless children even in challenging circumstances. Shortly after liberation, Children’s Day songs were primarily focused on expressing the joy of liberation while commemorating Children’s Day. Subsequently, a significant number of Children’s Day songs emerged, connecting the blue of May with the dreams and hopes of children. This was evident in Yoon Seok-jung’s lyrics for <Children’s Day Song> and <Children’s Day>(어린이날), as well as Kang So-cheon’s lyrics for <Our Day>(우리들의날). Musically, the predominant time signature was 4/2, found in four songs, with two songs in 4/4 and one in 4/3. Generally, the songs were composed in a march-like style. Many songs used the pentatonic scale, incorporating elements from traditional folk songs. Amidst the ideological divide after liberation, I examined the efforts to commemorate Children’s Day through Children’s Day song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lies in the discovery and presentation of Children’s Day songs that were not previously known, as well a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Children’s Day songs released until the 1950s.

      • 방정환 문학 유산의 발굴과 계승의 과제 -방정환 동요의 사례: 전집 수록 과정의 분석-

        장정희 ( Jang Jeung-hee ) 한국독서아카고라학회 2020 독서아카고라연구 Vol.2 No.-

        이 논문은 방정환의 문학 유산 가운데 ‘동요’ 작품을 중심으로 전집 수록 과정을 분석하고, 방정환 동요의 원전 확정성 및 향후 계승 과제를 검토했다. 방정환의 동요는 과거 19편이 전집에 수록되기도 하였으나, 필명 오류로 10여 편이 제외되어 9편이 되었다가, 후속 자료 발굴에 힘입어 현재 14편여 정도 전집에 수록되기에 이르렀다. 먼저 본고는 「형제별」은 현재 원전 미확인 상태이지만 현단계에서는 ‘번안 동요’로 볼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본고는 사이죠 야소의 「여름비」가 일본 아동지 『소년구락부』 1920년 8월호에 처음 발표되었고, 『사이죠 야소 동요전집(西條八十童謠全集)』(新潮社, 1924)에도 실린 작품임을 밝히고 그 원문을 수록했다. 방정환의 「가을밤」은 노구찌 우조의 「秋の夜」(『令女界』, 1922.11.)과 비교해 볼 때 바느질하는 어머니와 실잣는 귀뚜라미의 형상에서 유사성을 포착했다. 한편 「가을밤」 곡보와 관련해서는 노구찌 우조의 동요 가운데 모토오리 나가요(本居長世, 1885∼1945)가 작곡한 「닭(鶏さん)」와 비슷한 악상으로 추정해 보았다. 그러나 저본의 확정 및 곡보의 음악학적 비교분석은 결론을 유보했다. 또한 본고는 기존에 누락된 『어린이』 수록 동요, 또는 새로 추가 발굴한 방정환의 동요 5편을 논의했다. 발굴 방정환 동요 「종소리」, 「허재비」의 발견 경위를 밝혔으며, 「나뭇잎 배」는 ‘무기명’으로 발표되어 논의가 더 필요한 동요라고 보았다. 그리고 「어린이날 노래」는 작사가가 명기되지 않은 채로 보급되었으나 색동회 정인섭은 방정환작사의 곡으로 회고하기도 했다. 그러나 김기전 작사라는 견해도 있는 만큼 방정환 작사를 뒷받침할 근거 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process of his ‘Children’s Song’ work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Bang Jung-hwan. Bang Jung-hwan’s agitation is known to be 19 different kinds. But 10 of them turned out to be someone else. Five new works have since been added. Now the Bang Jung-hwan Children’s Song has reached 14. The paper discussed Bang Jung-hwan’s children’s songs, “Brothers Star (형제별)”, “Summer Rain(여름비)”, and “Autumn Night(가을밤)”, which are presumed to be “translations”. In particular, “Summer Rain” released its original work. This paper discussed the agitation of five newly discovered pieces. Among them, the discovery of the excavated children’s songs “Song of Bell(종소리)” and “scarecrow(허수아비)” was revealed. And this study suggested that “Children’s Day Song” could be a collaboration created with Kim Ki-jeon.

      • KCI등재

        충북 논매기소리 중 방아소리의음악적 특징

        이성초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8 No.-

        <Bang-a-sori> is distributed all over Korea. It’s a representative Rice-paddy Weeding songs found in all parts of Chungbuk. And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ocusing on <Bang-a-sori> distributed in the Chungbuk region. <Bang-a-sori>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northwestern regions of Chungbuk, such as Goesan, Jecheon, and Chungju. There are three types. The shortest of these is the most common. The singing style is mainly composed of catfish and receiving, and only the long type of Bang-a-sori are called solo. The short and slow type of Bang-a-sori, it are mainly composed of farming related lyrics, and other folk songs are borrowed. The long type of Bang-a-sori is composed of meaningless biting spirits and birdsong. short type consist of beats of 3 small beats as 4 basic beats, Slow type consist of irregular beats of 3 small beats and 10 to 16 beats. Menaritori is a typical sound organization. but unique melody appears in Chungju, Jecheon, and Eumseong, Menaritori and Yukjabaekitori are mixed. This is a part of the previous study that the Rice-paddy Weeding songs in Chungbuk area is different from that of a typical menoritory and a few usayongtori. <방아소리>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분포되어있으며, 충북의 모든 지역에서 발견되는 대표적인 논매기소리이다. 이에 충북지역에 분포하는 <방아소리>를 중심으로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방아소리>는 충북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며, 특히 괴산, 제천, 충주 등 충북 서북부지역에 중점적으로 분포한다. 짧은방아, 느린방아, 긴방아의 세 가지 유형이 나타나는데, 이 중 짧은방아가 가장 보편적으로 분포한다. 짧은방아만 단독으로 불리는 지역이 다수이고, 괴산, 충주, 제천 지역에 한해서 긴방아-짧은방아, 느린방아-짧은방아의 긴․자진형식으로 불린다. 가창형식은 메기고 받는형식이 주를 이루며, 긴방아만이 독창으로 불린다. 짧은방아와 느린방아는 농사와 관련된 가사가 주를 이루고 이 외 통속민요의 가사를 차용하기도 하며, 긴방아는 의미없는 입타령과 새소리로 구성된다. 기본박은 3소박으로 1박자로, 짧은방아는 3소박 4박자의 규칙적인 장단이 주를 이루고, 느린방아는 3소박 10~16박의 불규칙적인 장단으로 구성되며, 긴방아는 1음절이 3소박 1~6박자로 노래한다. 짧은방아, 느린방아, 긴방아 순으로 한배가 느려진다. 음조직은 메나리토리가 대표적이나, 충주, 제천, 음성지역에서는 선율진행, 종지패턴에 있어 변형선율이 나타나고, 육자백이토리와의 혼용을 보이는 악곡도 보인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충북지역의 논매기소리가 전형적인 메나리토리와 약간의 어사용토리가 발견된다는 내용과는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 KCI등재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내용과 교육적 의의

        이정아 ( Lee¸ Jung Ah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3

        본 논문은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교육내용과 특성이 무엇이고 그 교육적 의의가 어떤 것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정환은 어린이교육운동의 교육내용으로 어린이들의 정서를 함양할 수 있는 아동예술 교육을 중요하게 여겼다. 그는 일본에서 가장 민주주의가 꽃피던 다이쇼 데모크라시(大正デモクラシー, 1912-1926)에 일본으로 개벽사 동경특파원으로 갔고, 그곳에서 일본으로 유학 온 천도교청년들과 함께 소통하고 민족의 자주독립의 주체로 어린이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1920년대 초 천도교 개벽사 동경특파원으로 일본 유학을 간 일은 그에게 어린이를 위한 예술문화운동을 실천할 수 있는 좋은 경험을 안겨주었다. 실제 정식 학생으로 학과에 입학하진 못했지만 동경 도요대학 문화학과 청강생으로 수업을 들었다. 방정환은 이 시기 일본에서 유행하던 다이쇼시기 신교육 그리고 그 영향으로 인한 예술자유운동을 경험하였다. 일본체류 시기에 조선과 일본을 오가며 어린이문제연구회인 색동회를 창립하였고, 실천적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아동예술교육을 위한 활동을 활발히 하였다. 잡지 『어린이』와 비교가 되는 대표적인 일본의 아동문예잡지인 『아카이토리』나, 『긴노후네』, 야마모토 가나에의 자유화 운동 등이 그가 경험한 일본의 근대적 아동예술장르였다. 그는 1920년을 전후한 시기부터 비교적 생경하였던 ‘어린이’에 주목하여 동화와 동요, 그림을 보급하고, 1923년 3월에는 최초의 본격적인 어린이 잡지인 『어린이』창간을 주도하였다. 이러한 잡지 『어린이』발간과 1920년대 조선의 동요황금시대를 이끌어 냈고, 1928년 세계아동예술전람회가 조선에서 열리게 되었다. 그는 고래동화, 창작동화, 번안동화집 「사랑의 선물」등을 통해 힘없고 약한 조선의 어린이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주었다. 창가가 아닌 우리말 동요는 조선에 맞게 각색된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예로서 예술성은 추구하되 식민지기 감상성을 넘어서는 데에 교육목적을 두었다. 한편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특성은 형식적으로는 일본의 다이쇼신교육과 자유예술운동에 영향을 받았지만, 내용적으로는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찾는 데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정환의 아동예술교육의 특성은 첫째, 조선인의 원기를 회복하는 의미, 둘째, 조선 어린이로서 주체성을 확립하는 의미라는 교육적 의의를 함의하고 있었다고 본다. This paper is an article on a study on Bang JungHwan’s Children's Art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Children's Art Education demanded the liberation of children and pursued the free and natural expression of emotion.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ovement for modernization in culture as well as in literature. For example, he played an active role as a correspondent of Gyaebyeok_(개벽) to Tokyo from 1920 to 1923. This was an important literary magazine of Cheondogyo. Historically, new education (in Europe) or progressive education (in the US) became a trend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Japan, new ideas on education and the “child” were introduced beginning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by reformers. From 1921 to 1922, Bang audited classes at Toyo Univesity(東洋大學) in Tokyo(東京). Toyo University had just opened the department of cultural studies. At that time, Taisho liberal education was popular in Japan. Taisho liberal education emphasized art for art’s sake. So, the artistic tastes of children were important. Thus, Bang felt that he could learn children’s psychology and children’s literature by studying in the department of cultural studies. During the two years, he was at Toyo University(1921-1922) and he met a few Korean students who studied in Tokyo. As these Korean students gathered, he was able to organize SaekDongHoi(색동회)_(1923), which was the first group to study children. New ideas were introduced and practiced by members of ‘Saekdonghoi’ in Colonial Korea(1910-1045). This organization was the basis for the publishing of EORINI(어린이)_(1923). By publishing the children’s magazine EORINI_(어린이), Bang could contribute to children’s literature and songs, arts, and story-telling. This is what essentially completed the comprehensive style of artistic movement magazine of the Taisho Period which is centered on Douwa(童話), Douyo(童謠), writing, children’s poems, and “Free Drawing” Movement of Yamamoto Kanae. Bang studied the art magazines of the Taisho Period and utilized his knowledge of them to good effect. When he edited and managed EORINI_(어린이), he made the cross-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EORINI_(어린이) and Kinnohune. Bang acquired artistic compositions for his free drawing section by actively promoting the Children's Art Education through EORINI_(어린이). Bang’s A Gift of Love (Salanguiseonmul) was a work that introduced foreign fairy tales tailored to Korean tastes through translation and adaptation. Recruitment for “Free Drawing(자 유화)” was conducted through the magazine itself. Bang’s thoughts on children emphasized not only an intellectual education but also a well-rounded character education. The Korean songs’ movement for children was good for the recovery of our original energy(元氣). Furthermore, Bang’s Children's Art Education emphasized on an independent life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