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라기년』에 담긴 심재 김석익의 의식과 시각에 대하여

        김새미오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0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amlaginyun written by Shimje Kim Suk-Ik. It first identifies the three bibliographic items of Tamlaginyun and further examines their meanings. The items identified are: seeking for positivist truth, improvement of Confucius civilization and perceptions regarding floating. Tamlaginyun has currently both a transcript copy and a lead printed copy. The original transcript copy being located in Jeju National Museum, the lead printed copy was published in Yongjuseogwan in 1918, this further being widespreadly recognized. Tamlaginyun documents, in a chronological form, historical facts for the periods from Tamla to modern. Prior to getting into recording history of Jeju, Shimje put Tamla period under the separate heading of a foreign book. Even though Tamla is very critical to the identity of Jeju islanders, documented records are not impressive. Shimje aimed to put in order Tamla history under the heading of a foreign book drawing upon evidence-based documents. Shimje put himself significantly cautioned to interpreting as a history those unidentifiable through documents. In this reason, in writing Tamlaginyun, he prepared separate appendix headings(附, 按) in order to provide supplementary explanations. Through this, he corrected existing misguided perceptions and waited further verification by leaving the unidentifiable for future generations. In describing confucius culture, Shimje looked into a specific situation of Jeju. It is because Jeju is a place in which shamanism culture is very strong. He believed that the abolishment of shamanism temples by Byungwha Lee Hyung-Sang would bring Jeju into a place where confucius culture could prosper. Shimje’s emphasis upon confucius culture can be read as considering Joseon positively, which is also a literary battle through which confucius scholars kept their identities living the Japanese occupation years. It is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his perception of seawater. This is because the geographic perceptions of Jeju islanders got to broaden. The volume of materials that Shimje recorded concerning floating and drifting ashore are much greater than the previous ones. We can be hinted that Shimje made a great effort in documenting these subjects. Shimje’s Tamlaginyun transforms the way Jeju is perceived so far. While Jeju and its history having been documented by non-native scholars to Jeju, Tamlaginyun holds very important implication in that it is written by Jeju island born native himself. 본고는 심재 김석익(心齋 金錫翼)의 탐라기년(耽羅紀年) 에 대한 제반 사항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살펴본 글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탐라기년 의 서지사항을 정리하였고, 실증적 사실추구, 유교문명의 제고, 표류에 대한 재인식의 항목으로 나누어 그 내용과 시각을 정리하였다. 이어 저작이 차지하는 학술적 위치를 정리하였다. 탐라기년 은 필사본과 연활자본이 전해진다. 원본인 필사본은 제주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연활자본은 1918년 영주서관에서 간행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탐라기년 은 탐라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역사적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하였다. 심재는 본격적인 제주 역사기록에 앞서 「외서(外書)」라는 항목을 두어 탐라시대를 따로 구분하였다. 탐라는 제주사람들의 정체성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했지만, 문헌기록은 많다고 할 수 없다. 심재는 실증적인 작업을 통해 「외서」를 써 내려갔고, 이를 통해 탐라의 역사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심재는 문헌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것을 역사로 해석하려하지 않았다. 이에 탐라기년 을 서술하면서, 부족하거나 보충 서술이 필요한 부분은 ‘부(附)’ ‘안(按)’이라는 항목을 따로 설정하여 기술하였다. 이런 방식을 통해 심재는 잘못된 관점을 수정하고, 확인할 수 없는 것은 그대로 두어 후세의 검증을 기다렸다. 유교문화에 대한 심재의 기술은 제주도라는 특수상황 아래에서 살펴보았다. 제주는 무속 문화가 매우 강한 곳이기 때문이다. 심재는 병와 이형상의 신당철폐 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이로 인해 유교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곳으로 바뀌었다고 보았다. 이렇게 유교문화를 강조하는 것은 조선을 긍정적으로 생각했던 것이며, 이는 일제강점기 유교지식인의 문투(文鬪)로 평가할 수 있다. 바다에 관한 인식 역시 주목된다. 이는 제주 사람들의 지리적 인식이 확대된 것이기 때문이다. 심재가 기록한 표류와 표착에 관한 자료는 예전에 있던 다른 서적들 보다 그 양이 많다. 그만큼 심재가 심혈을 기울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심재의 탐라기년 은 지금까지 제주를 바라보던 시선을 바꾸었다. 기존에 있던 역사저술이 대부분 외부인이 제주를 기록하는 방식이었다면, 탐라기년 은 제주사람이 제주를 직접 기록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革菴 金瀅植의 삶과 시문학에 대한 일고

        김새미오 우리한문학회 2019 漢文學報 Vol.41 No.-

        This paper studied the life and poetry literature of Hyukahm Kim Hyung-Sik. Hyukahm Kim Hyung-Sik is an intellectual from Jeju Island who lived the years of Japanese Occupation. His family is a meritorious one and they had lived in Chocheon through many generations. His father is Kim Mun-Ju who served the highest post of Cheongeui-hyun region (currently south east part of Jeju Island); and his brother is Kim Myung-Sik who was very well known as a journalist fighting against the Japanese rule. He studied in Meiji University and he held erudite knowledge for several languages. Moreover, he perceived keenly the complex political situations under way at that time. Even though he perceived the reality sharply, he chose a life to observe the ongoing situations of society with one step back rather than changing the reality through an active involvement. This made a great contrast with his brother Kim Myung-Sik who strived to change the reality by participating in the reality with an active engagement. Kim Seok-Ik, a colleague of Kim Hyung-Sik, evaluated that the literature of Kim Hyung-Sik presented the consistent unity between his deeds and words. Kim Hyung-Sik can be categorized a figure that belongs to the School of Nosa. While the School of Nosa resisted against the Japanese rule using armed forces in the beginning of the rule, it later made an effort to change society through education. The double edged tendencies made by the School of Nosa were confirmed in his poems. One is to reflect the wills to change actively the reality; and the other is to behave by escaping difficulties. This is clearly confirmed in his two pen names: hyuckahm and piae. Through the poems of Kim Hyung-Sik, it is identified that hyuckahm reflects his imagination for the reality whereas piae mirrors his behaving considering the reality. The pen name of hyuckahm indicates that Kim Hyung-Sik wished to change whatever things. It is a bow and a knife that he thought of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in order to change the dark situation. This shows following the character of armed resistance by Nosa School. Moreover, he was fully aspired to change certain things starting from the Movement of March First. Nevertheless, the reality was so harsh that intellectuals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were not able to find enough locations to be situated in such a harsh situation. Kim Hyung-Sik also had to face that situation. His frustration in shadow was deeply reflected in his poems with the metaphors of an alcohol, tears, and friends. This can be read as the frustration and despair among young intellectuals under the Japanese rule being all surfaced, those who had to learn first to escape from difficult situations rather than to fight the reality. Furthermore, this is what should be remembered as an intellectual fight through literature against the Japanese rule. 본고는 혁암 김형식의 삶과 시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혁암 김형식은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제주의 지식인이었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조천에 세거하던 제주의 벌열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정의현감을 지낸 김문주였고, 그의 동생은 일제강점기 항일 언론인으로 이름을 떨쳤던 김명식이었다. 그는 明治大學에 수학했고, 여러 언어에 능통하였다. 뿐만 아니라 당시에 일어나고 있었던 복잡한 시국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의 삶과 처신의 관점은 『반도시론』의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현실을 정확하게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행동으로 현실을 바꾸는 것 보다는 한 걸음 물러서서 시류를 읽는 방향의 삶을 선택하였다. 이는 동생 김명식이 적극적으로 현실에 참여하여 바꾸려는 행동을 했던 것과는 분명히 대비된다. 김형식의 문학에 대해서 동료 김석익은 실질적이면서도 말과 행동이 정확하게 일치한다고 평가하였다. 김형식은 노사학맥의 인물로 분류할 수 있다. 노사학맥은 일제강점기 초기 무력으로 저항하기도 했지만, 후에는 교육을 통한 변화를 모색하였다. 노사학맥의 이런 양면적인 경향은 그의 시에서 그대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는 시대를 적극적으로 바꾸려는 의지를 표현한 작품이고, 또 하나는 어려움을 피하면서 처신하는 것이었다. 이는 ‘革菴’과 ‘避碍’라는 김형식의 호에서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다. 김형식의 시를 통해 볼 때, 그의 현실적 상상은 ‘革菴’이었지만, 현실적 처신은 ‘避碍’였다. 혁암이라는 호에서 보듯, 김형식은 무엇인가를 바꾸고 싶었다. 일제강점기 상황에서 바꾸기 위해 그가 생각했던 것은 활과 칼이었다. 이는 노사학맥의 무력항쟁의 성격을 잇는 면이 있다. 그리고 3.1운동을 기점으로 무엇인가를 바꾸어 보자는 생각도 팽배했었다. 하지만 현실은 매우 냉혹하였다. 일제강점기 지식인들은 발을 붙일 곳이 많지 않았다. 김형식 역시 그러하였다. 그의 좌절의 그림자는 술, 눈물, 친구를 통해 짙게 표현되었다. 이는 현실을 바꾸려는 것보다는 피하는 것을 먼저 배워야했던 젊은 지식인층의 울분이 드러난 것이었다. 그리고 이는 일제를 향한 하나의 文鬪로 기억해야할 부분일 것이다.

      • KCI등재

        浮海 安秉宅과 제주 蘆沙學派에 대한 小考

        김새미오 ( Kim Saemio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9

        본고는 부해 안병택을 중심으로 제주 노사학파의 형성과 그 성격을 고찰하였다. 조선말기에서 일제강점기의 기간 동안, 제주도에는 노사학파ㆍ화서학파ㆍ간재학파의 인물과 문집이 확인된다. 그 흔적은 신촌에 있는 매계 이한우 유허비에서부터 시작된다. 매계의 문하에는 노사학파를 배웠던 소백 안달삼ㆍ이락당 이계징, 화서학파를 배웠던 해은 김희정이 보인다. 김희정은 제주유배를 왔던 최익현을 통해 화서학파와 연결되었다. 안달삼과 이계징은 본토에 있던 노사 기정진을 찾아가 배움을 청하였다. 노사학파와 화서학파의 교유가 제주에서 시작되었는데, 이는 조선후기 학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장면 중 하나이다. 안달삼과 이계징에서 시작된 노사학파는 부해 안병택에 이르러 크게 확대되었다. 부해 안병택은 제주에서 본토로 이주하였고, 전라도 지역에서 활발한 교학활동을 했기 때문이다. 부해의 제자는 크게 본토의 제자와 제주도의 제자로 나눌 수 있다. 부해의 제자가 많았다고 하지만 『노사연원록』에는 40여 명밖에 확인할 수 없었다. 제주도 인물은 아무도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부해문집』을 통해 부해의 본토 제자와 제주 제자를 다시 정리하였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노사 기정진-송사 기우만-부해 안병택’을 계승한 인물이었다. 부해의 제주 제자들은 대부분 다시 제주로 돌아왔다. 이들 그룹에서 가장 먼저 확인되는 것은 항일의지였다. 처음에는 무력투쟁을 벌였지만, 실패로 끝나고 만다. 이후 일제의 억압으로 文鬪로 전환하게 된다. 이들은 역사서 등의 책을 저술하면서 훌륭했던 문화를 후배에 전달하고자 하였다. 조천만세운동은 제주 노사학파와 화서학파의 연장선에서 해석할 수 있었다. 제주 항일운동의 과정에서 제주유림들의 역할을 확인한 점도 의미가 있었다. 본토에서는 간재학파와의 사상적 갈등이 있었지만, 제주도에서는 이런 모습은 없다. 오히려 서로 가까이 지냈다. 이들은 제주사회의 리더로서 사회에 대해 자신들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4.3사건에 대한 이들의 시각은 지금도 주목된다. 이렇게 서로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었던 중심에 부해 안병택이 있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formation and the characters of Jeju Nosa School. There have been found in Jeju Island the figures of Nosa School, Hwaseo School, Khanjae School and their works during the periods from the last years of Chosun Dynasty to the years of Japanese Occupation. Their heritages are traced to the memorial stone of Maegye Lee Han-Woo. Pupils of Maegye seem to be Sobaek Ahn Dal-Sam, Yirakdang Lee Gye-Jing who studied Nosh School and Haeun Kim Hee-Jung who studied Hwaseo School. Kim Hee-Jung was connected to Hwaseo School though Choi Yik-Hyun who was then on exile in Jeju. Ahn Dal-Sam sought for learning by visiting Nosa Ki Chung-Jin in the mainland. The academic exchanges between Nosa School and Hwaseo School began in Jeju, which is a meaningful event in academic history of the last years of Chosun Dynasty. Nosa School whose beginning was made by Ahn Dal-Sam and Lee Gye-Jing developed significantly under the leadership of Boohae Ahn Byung-Taek. Boohae Ahn Byung-Taek moved to the mainland and did an extensive activity of teaching and learning. Boohae had his pupils both in the mainland and Jeju Island. Even though it was said that Boohae had a number of pupils, only 40 members were identified in 『Nosayeounwonrok』 in which no single person was identified to come from Jeju. In this reason, I reorganized Boohae’s pupils from the mainland and those from Jeju Island drawing upon the collection of Boohae’s works. These pupils are those who succeed the lines of Nosa Ki Chung-Jin, Songsa Ki Woo-Man and Boohae Ahn Byung-Taek. Most of Boohae’s pupils returned to Jeju. The very frist common character that comes through them is a strongly willed mind against Japanese Occupation. At first, they undertook a physically violent fight, which ended in a failure. Afterwards, they turned to fight through writing literary works due to the pressure of Japanese rule. They sought to transfer Korea’s wonderful culture to their academic descendents by writing historical books. Chocheon uprising movement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heritages of Nosa School and Hwaseo School in Jeju. I consider that my work is important in that it identifies the roles of confucian scholars in Jeju in the process of Jeju movement against Japan’s Occupation. It was observed that Nosa and Hwaseo Schools had an ideological struggle with Khanjae school in the mainland. However it did not happen in Jeju; rather, they got along well. As a leader of Jeju society, they expressed their own ideas about society. Their perspective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are still worthwhile to pay attention. We should remember that the leadership of Boohae Ahn Byung-Taek played a significant role to maintain the harmonious relationships among the members of the three Schools in Je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