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지역 초정밀산업의 수출변동 분석

        박정환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3

        The shift-share analysis allows us to divide a change into regional (geographic, spatial), cross-sectional (structural) and global (domestic) factors in relation to one or more features. The traditional approaches to shift-share analysis take into consideration the geographic aspect of changes in the value of a studied variable. They do not, however, assimilate the idea of spatial relationships among regions; instead, they see them as economically and geographically unconnected objects. This paper introduces a spatial component to the traditional shift-share analysis, to take into account the spatial dependencies. The traditional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for HS8458 exports both regional shift effect and sectoral shift effect work in Gwangju, but sectoral shift effect plays a central role in Gyeongnam. The regional shift effects of both regions have the opposite signs. This study also finds that for in Daegu, Gyeonggi, Incheon and Busan regional shift effect is a principal component. The spatial shift-share analysis, furthermore, indicates that Gwangju has a competitive advantage over Daegu and Gyeonggi, and an indeterminate advantage over Incheon and Gyeongnam, but has a disadvantage over Busan. This paper shows that for HS8457 exports the regional shift effect works as an overwhelmingly powerful component in Gwangju, while sectoral shift effect is a principal component in Gyeongnam. The regional shift effect has opposite sign for both regions. We find that regional shift effect of five regions is greater than national share effect and sectoral shift effect, and that of Ulsan and Chungnam is by far greater than national share effect and sectoral shift effect. The spatial analysis indicates that for HS8457 exports Gwangju has a competitive advantage over five regions but experiences disadvantage over 2018-2019. 광주광역시의 수출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으며, 광주에서 중요한 산업인 초정밀 산업의 수출도 정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초정밀산업에 속하는 HS8458과 HS8457의 수출변동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전통적 변이할당 모형을 적용하여 초정밀산업의 수출에서 광주와 경남이 zero-sum game과 같은 양 상을 띄고 있으며, 광주에서는 지역경쟁력효과가 크게 작용하는데 비해, 경남에서 는 부문변이효과가 주요 변동요인임을 보인다. HS8458의 수출에서 대구, 경기, 부 산, 인천에서 지역변이효과가 수출변동의 주요 요인이나 경남, 경기, 대구에서는 지역변이효과가 수출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비해 인천, 부산, 광주에 서는 지역변이효과가 수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도 밝힌다. 공간 변이할당모형을 적용하여 광주가 대구와 경기에 대해서는 경쟁력 우위를, 부산에 대해서는 경쟁력 열위를, 인천과 경남에 대해서는 분명한 열위나 우위를 가지고 않는다는 것을 보인다. HS8457의 수출에서 광주와 경기의 지역경쟁력 약화가 울 산, 충남, 인천, 경남의 지역경쟁력 상승으로 연결된다는 것과 공간변이할당분석에 서 전반적으로 광주가 수출경쟁력에서 다른 지역들에 비해 경쟁력 우위에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광양항과 인천항의 수출구조 분석

        모수원 ( Soo Won Mo ),정홍영 ( Hong Young Chung ),이광배 ( Kwang Bae Lee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5 해운물류연구 Vol.31 No.3

        물동량과 무역규모에서 인천항에 대한 광양항의 비교우위는 빠르게 약해지고, 광양항의 교역조건이 악화되는 추세여서 물동량 증가와 수익성 악화가 함께 이루어지는 빈곤화성장 가능성마저도 우려되고 있다. 이에 변이할당분석(shift-share analysis)을 통해 광양항과 인천항의 수출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천항의 주요 수출인 평판디스플레이는 지역할당효과로 수출증가에 상당한 기여를 한다는 것과, 수출비중이 높은 플라스틱제품, 건설광산기계, 자동차부품, 건전지 등은 산업구조효과와 지역할당효과가 모두 양(+)으로 인천항의 성장 전망이 밝게 나타났다. 광양항의 변이할당분석에서 산업구조효과는 합성고무, 기타석유화학제품, 정밀화학원료, 자동차부품에서 양의 값을 가지나, 정밀화학원료와 자동차부품 2개 품목에서만 지역할당효과가 양의 부호라는 것과, 종이제품과 고무제품은 두 효과가 모두 음이어서 사양산업임을 보인다. Shift-share analysis is a traditional tool for the measurement,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interregional and sectoral performance. Its widespread use is explained by its simplicity and modest data requirements; it does not require primary data collection and its results are also relatively easy to assess and interpret. Since exports are a vital factor in the overall development of a port, some means of quantitatively assessing export changes must be developed. If shifts in exports can be isolated, they can be used to explain partially structural transformations in ports and to provide insight into possible future direction for port development. This study, therefore, uses a shift-share technique to isolate the various factors associated with export changes. The traditional shift-share model partitions the change of exports in a port into three effects: the national growth effect, the industrial mix effect and the regional share effect. The national growth effect attempts measure the change in exports in a port that would have occurred if its exports had grown at precisely the same rate as the national average. Hence, if a port grows at the same rate as the national average, it does not possess any comparative advantage in terms of resource endowments or human capital. The industrial mix effect associates the differential growth rate in exports between the region in question and the nation as a whole with the overall strengths or weaknesses of the relevant export sectors. Ideally, it is expected that a large proportion of a port’s exports should be concentrated in faster-growing industries. The regional share effect accounts for the differential change between a port and the nation. The regional share effect portrays the competitive position of a port in relation to the rest of the port. For instance, an export component that is growing faster in a port than its counterparts in the nation as a whole will add to the port’s overall growth relative to that of the nation, while a slower-growing component will bring forth an opposite effect. The export data used in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and consist of exports by two ports of 20 individual products. The particular product categories studied are at three-digit MTI (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level of disaggregation. The national growth effect for synthetic resin and steel plate-rolled products accounted for about 96 percent and 102 percent respectively of the increase in exports of Gwangyang Port or 3,685 and 4,226 million dollars respectively during the period under analysis. The fact that the industrial mix effects of the two products were negative-at 486 and 1,191 million dollars, respectively-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Gwangyang Port’s main export products were growing slowly rather than rapidly. The regional share effects of the two products did not explain a large proportion of the change-at about 16 percent and 27 percent, respectively. The greatest regional share impact was in the steel plate-rolled product sector. The national growth effect of the automobile industry accounted for about 99 percent of the increase in export of Incheon Port or 3,378 million dollars, while that for the flat panel display only explained 1 percent or 100 million dollars. The regional share effect of flat panel display, however, explained a very large percentage of the change-88 percent or 12,238 million dollars-compared with automobiles, at 46 percent or 1,585 million dollars. The industrial mix effect of the two products was negative or explained only a small portion of the change.

      • KCI등재

        변이할당분석과 불변시장점유율분석을 이용한 전남의 해조류 수출변동의 분석

        김병주,이광배,모수원,박홍균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3

        During the period 2014–2019, Jeonnam’s export growth in seaweed has remained below that of the whole nation. It can be seen that Jeonnam’s growth of seaweed exports has decreased at a greater rate or has increased at a smaller rate compared to the growth rate of the whole nation’s export of seaweed products. Constant Market Share (CMS) analysis is a very useful tool for understanding and assessing the changes in the exports of a country. A change in demand for imports is evaluated through the comparison of a constant market share and a changing market share. Standard shift-share analysis relies on three components, which are the national-growth component, the industry-mix component, and the competitive or differential-shift component. The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both the sectoral effect and competitiveness effect are favorable to seaweed export to Japan, while the competitive effect registers unfavorable conditions for export growth for China, Taiwan, Thailand, Singapore, and Vietnam. Both the sectoral effect and the comp effect are negative for Thailand and Singapore.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bespeaks that for Japan, negative commodity composition effect has a larger influence on Jeonnam seaweed exports than other effects. Jeonnam’s competitiveness which is measured in terms of market share has the most powerful influence on Jeonnam’s export performance to China but Jeonnam then loses its advantage over Taiwan, Singapore, and Vietnam. 이 연구는 전국 해조류 수출에서 1위를 점하고 있으나 최근 수출증가율이 경쟁 지역에 밀리고 있는 전남의 수출구조를 분해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2019년 기준으로 완도군, 목포시, 고흥군, 여수시, 장흥군, 무안군, 진도군, 신안군, 해남군, 강진군에서 주로 수출되는 전남의 해조류 수출이 국내 시장에서의 위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변이할당분석이, 그리고 전남의 세계 시장에서의 위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불변시장점유율분석이 투입된다. 김, 미역, 톳, 한천을 이르는 해조류(SITC29297)의 수출은 2014-2019년 연평균 15.2%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여 연평균 1.1% 감소율을 보인 우리나라 총수출과 극명한 대조를 보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해조류에 대한 수요국도 크게 증가하여 일본 시장의 독점적 비중도 크게 축소되는 추세이다. 수출증가와 더불어 일본 이외의 국가로 점차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전남은 해조류 수출은 연평균성장률에서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북, 경기, 충남에 대해 크게 뒤처져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이러한 변동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전남의 대일본, 대중국, 대타이완, 대태국, 대싱가포르, 대베트남 해조류 수출은 두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2014년부터 2019년까지의 기간에 대해 분석한다. 변이할당분석을 적용하여 전남의 일본에 대한 해조류 수출에서는 부문효과가 대일 수출변동에 가장 큰 정적 효과를 가짐으로써 대일 해조류 수출이 다른 품목의 대일 수출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다는 것과 전남이 경쟁 지역에 대해 경쟁력에서 우위가 있다는 것을 밝힌다. 불변시장점유율분석은 일본의 수입수요 증가가 약하고 전남의 경쟁력효과가 미약하며, 전남의 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일본의 상품공급구조가 수출에 불리하게 전개된다는 것을 보인다. 전남의 대중국 해조류 수출은 부문효과가 수출변동을 전적으로 설명하며, 경쟁력효과는 국내 다른 지역에 대해 경쟁력을 잃고 있으며, 전남의 대중국 해조류 수출증감은 거의 전적으로 경쟁력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경쟁력이 우위라는 것을 밝힌다. 전남의 대대만 해조류 수출은 부문효과가 가장 큰 증가요인이나 경쟁력효과는 열위로 작용하며, 전남의 해조류 대타이완 수출변동은 타이완의 수입구조 악화와 전남의 경쟁력 약화가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인다. 전남의 대태국 해조류 수출에서 전남의 경쟁력이 국내 경쟁지역에 뒤처진다는 것과 상품구성이 증가로 작용한 것에 큰 영향을 받으나 경쟁력요인은 감소로 작용하며, 대싱가포르 해조류 수출에서 전남의 경쟁력이 국내 경쟁지역에 대해 열위이며, 상품구성요인은 증가효과를 보이나, 수입규모요인과 경쟁력요인은 부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힌다.

      • KCI등재

        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한 가정용전자제품 수출변동의 요인별 분해

        모수원,박정환,이광배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2

        This paper aims to decompose the export changes of the household electronics into three components using the shift-share analysis over the period 2010 to 2017. Shift-share analysis is basically to disaggregate the growth (or change) in an indicator of interest (say employment, or exports) from one period to the other into three main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referred to as the national growth component, the industrial mix component, and the competitive share component. The household electronics sector consists of four subsectors, which are video apparatus, audio apparatus, refrigerator and lighting apparatus. We analyse the video apparatus exports of Gyungbuk and Gyunggi, whose share is 45% and 37% of total video apparatus exports, respectively. We also select Gyunggi and Seoul for the audio apparatus export, Gwangju and Gyungnam for the refrigerator export and Gyunggi and Seoul for the lighting apparatus export. The authors analyze the competition among the two regions for a share in this household electronics sector over a 7-year period from 2010 to 2017. A shift-share analysis i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winners and the losers in the market during the study period. The fact that for the household electronics sector, the share of Gyunggi decreased to 26% in 2017 from 35% in 2013 while the share of Gyungnam increased to 24% in 2017 from 19% in 2012 indicates that one region’s gains is connected with the other region’s loss of exports. The result of shift-share analysis indicates that much of the export change is attributed to the regional competitive effect for the video apparatus in Gyungbuk and Gyunggi, the lighting apparatus in Gyunggi and Seoul, the refrigerator in Gwangju and Gyungnam. Especially for the Gyungnam’s refrigerator and the Seoul’s lighting apparatus, the regional competitive effect is by far more powerful than the industrial mix effect and the national effect. The paper also shows that the for the video and audio apparatus, one region’s competitive gains mean the other region’s loss, while a contradictory relationship does not exist between two regions for the refrigerator and the lighting apparatus. 우리나라의 가정용전자제품 수출은 지역에 따라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에서는 수출이 감소하는추세이나 경남에서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서울, 경북, 경남에서는 빠른 상승과 빠른 하락이 반복되고 있다. 또한 가정용전자제품을 구성하는 냉장고, 영상기기, 조명기기, 음향기기의 수출 역시 지역에 따라 다른 행태를나타내고 있다. 경기도는 음향기기, 영상기기, 조명기기에 수출이 특화되어 있고, 서울은 음향기기와 조명기기에 특화되어 있으며, 광주와 경남은 냉장고에, 경북은 영상기기에 치우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출특화패턴은특정품목의 구조와 지역의 경쟁력이 지역의 수출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하여 4개 품목의 지역별 수출변동의 요인을 식별한다. 수출변동에 대해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여 변동방향과 변동차이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경북과 경기도의 영상기기, 경기도와 서울의 조명기기, 광주와 경남의냉장고 수출에서 경쟁력효과가 산업구조효과와 국가효과보다 우위에 있다는 것과, 특히 경남의 냉장고와서울의 조명기기 수출변동에는 경쟁력효과가 압도적 변동요인이라는 것을 밝힌다. 이에 비해 경기도와 서울의 음향기기 수출에서는 산업구조효과가 경쟁력효과가 우수한 설명력을 갖는 변동요인이라는 것을 보인다. 경북의 영상기기 수출 증가(감소)가 경기의 영상기기 수출 감소(증가)로, 서울의 음향기기 경쟁력 상승(하락) 이 경기의 음향기기 경쟁력 하락(상승)으로 나타나나, 조명기기는 경기와 서울 두 지역의 조명기기 경쟁력효과 부호가 일치하여 경기의 수출증가가 서울의 수출 감소로 연결되지 않음을 보인다. 또한 수출변동요인이국가효과나 산업구조효과보다 지역의 경쟁력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도 밝힌다.

      • KCI등재

        관광산업의 지역특화 및 성장 특성 비교분석 연구

        이상민(Sang Min Lee),김동한(Dong Han Kim),김학준(Hak Jun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14 관광연구저널 Vol.2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s research data that will be helpful to the local tourism industry policies of 16 metropolitan municipalities using Locational Quotient Analysis and Shift and Share Analysis. The range of tourism industry was classified by the tourism industry specified in Tourism Promotion Act, and the number of employee and revenues were used as variables. As for the time range, the data from 2009 till 2012 was analyzed. The findings from an analysis of industrial structure effects in Locational Quotient Analysis showed that tourism business, tourist accommodation business,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business in all metropolitan municipalities showed (+) values in terms of the number of employees; tourism business, international conference business and tourism facility business in all metropolitan municipalities showed (+) values in terms of revenues. The findings from an analysis of industrial structure effects in Shift and Share Analysis showed that tourist facility business, international conference business, casino business and amusement facility business in Seoul showed (+) values in terms of the number of employe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data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Locational Quotient Analysis and Shift and Share Analysis whose studies have seldom been conducted. Thus there is a need of future studies to supplement this study by using an additional analytical methods that supplements Shift and Share Analysis and extending the time range to 10 years.

      • KCI등재

        공간전염모형과 수출기반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의 결합을 통한 우리나라 수출변동의 요인별 분해

        박정환(Park, Jeong-Whan)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6

        본 연구는 한국의 품목별 수출변동은 불변시장점유율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국내 특정 지역의 수출변동은 (공간)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불변시장점유율분석을 통해 증가추세를 보이는 HS85(전기기기와 부분품) 수출에 있어서 대중국 수출과 대베트남 수출은 한국의 경쟁력보다 중국과 베트남의 시장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받으나 대홍콩 수출은 홍콩의 수입시장 변동보다 한국의 경쟁력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인다. HS84(원자로+보일러+기계류 및 부분품) 수출에 대한 불변시장점유율분석에서 세계효과와 경쟁력효과는 대중국 수출에 증가요인으로 작용하는데, 수입시장보다 경쟁력효과가 수출변동의 주요인이나 대미 수출은 세계효과가 수출변동의 주요 요인이어서 한국의 경쟁력보다 미국 시장의 변동이 대미 수출의 관건이라는 것을 밝힌다. 변이할당분석에서 광주의 대중국 HS85수출은 국가효과, 산업구조효과, 경쟁력효과가 모두 증가로 작용하는 가운데 경쟁력이 수출변동의 주요인이나, 대홍콩 수출과 대베트남 수출에서는 국가효과와 산업구조효과는 증가요인이나 경쟁력효과가 감소요인이며, 경쟁력이 수출변동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인다. HS84의 대중국 수출과 대미국 수출은 감소하며, 국가효과와 산업구조효과가 증가로 작용하나 수출변동의 가장 큰 요인인 경쟁력효과가 감소로 작동한다는 것을 보인다. 공간변이할당분석에서 광주의 HS85와 HS84 수출은 시간이 지날수록 국내 다른 지역에 대에 경쟁력을 잃고 있으며, 특히 HS84 수출은 경쟁지역인 9개 지역 모두에 대해 경쟁력 열위에 있다는 것을 밝힌다. This paper utilizes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and the standard shift-share analysis with a spatial component added in order to consider the regional dependencies. According to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HS 85 exports to China and Vietnam are more affected by fluctuations in the Chinese and Vietnamese markets, while Korea’s competitiveness has a greater impact on exports to Hong Kong rather than changes in the Hong Kong market. The constant market share analysis also shows that for HS 84 exports the world growth effect and the competitive effect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exports to China, but the competitiveness effect is a principal factor in the export fluctuations compared to the import marke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that for HS 84 exports to the U.S., the world growth effect is the principal component. The shift-share analysis shows that the increase in Gwangju’s HS85 exports to China is due to the national growth effect, industrial mixed effect, and competitiveness effect. HS85 exports to Hong Kong and Vietnam increase due to national growth effect and industrial mixed effect, but decrease due to competitiveness effect, which is the strongest among the three effects. The shift-share analysis reveals that HS84 exports to China and to the United States decline, the national effect and industrial mixed effect increase, but the competitiveness effect, the biggest one in export fluctuations, is the declining factor. In the spatial shift-share analysis, it is also shown that Gwangju’s HS85 exports have weakened its competitive advantage over other regions as time passes.

      • KCI등재

        日本の地域観光産業成長要因の比較分析: シフト⋅シェア分析をベースに

        양광수,김도훈 한일경상학회 2021 韓日經商論集 Vol.93 N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growth factors between the regions with the highest growth rate and the regions with the lowest growth rate on the tourism industry by shift-share analysis in Japa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index of the industrial sectors used the “Tourist Entry Statistics” based on the Japan Tourism Agency’s “Common Standards for Tourist Entry Statistics”. The analysis period is from 2014 to 2017 considering the lack of time series data. The selection of region is based on the growth rate of tourists during the analysis period, Ibaraki and Shiga Prefecture which are the highest growth rate, and Shimane and Tottori Prefecture which are negative growth rate in Japan.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s and factors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external economy on the tourism industry by regional effect (RSE). Second, it was found that although the effects of each region were different in terms of industrial mix effect (IME), they did not have enough to influence the overall growth effect of the regional tourism industry. Third, the magnitude of the total change effect (TCE) in the regional tourism industry revealed that the economies of scale exist in a comprehensive sense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tourism policy and tourism strategy. Implication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used a traditional shift-share analysis model to compare and analyze four regions in Japan to present regional growth factors and competitive advantag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hift-share analysis model in the causes of regional competitive factors was supplemented by specifically analy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변이할당분석과 성장률시차분석을 이용한 광역지자체 관광산업 성장 특성 분석

        심원섭,최승묵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5

        The tourism industry in many provinces seems to be a major component of the service-driven economy. So many tourism industry policies are promoted by the local government. Prior to formulation a tourism industry policy, local government have to analyze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regional tourism industry. Because of understanding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tourism industry is importance for tourism policy makers. Shift-share analysis and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have been confirmed a useful approach in the study of regional economics, but few have hitherto been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tourism research. Based on the number of tourism establishments employees and sales of tourism establishments in the 16 regions from 2008 to 2011,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regional growth characteristic of tourism industry using shift-share analysis and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The data used for this analysis are obtained from「The Census on Basic Characteristic of Tourism Establishments」. The results help to well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the competitive situation of regional tourism industry.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관광산업을 지역 경제발전을 선도할 중심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정된 예산과 인력 등을 이용하여 관광산업 육성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각 지방자치단체 관광산업의 경제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동안 지역 관광산업의 경제적 특성을 분석한 국내연구들은 주로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특정 시점의 관광산업 특성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관광산업의 구조 변화 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시간의 변화를 고려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정 기간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변화를 동태적으로 분석하는 변이할당분석 및 성장률시차분석을 활용하여 16개 광역지자체 관광산업의 성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16개 광역지자체 관광산업의 종사자 수 및 매출액 자료를 이용한 변이할당분석과 성장률시차분석을 실시한 후 순수하게 지역의 산업구조 및 경쟁력에 의한 성장 효과를 중심으로 결과를 살펴보았다. 우선 분석대상 시점(2008년, 2011년) 관광산업 종사자 수에 대한 변이할당분석 및 성장률시차분석 결과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강원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는 순상대효과 및 총시차가 양(+)의 값이나,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제주특별자치도의 순상대효과 및 총시차 값은 음(-)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분석대상 시점 관광산업 매출액에 대한 분석 결과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울산광역시, 강원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의 순상대효과 및 총시차는 양(+)의 값이나,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의 순상대효과 및 총시차 값은 음(-)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관광산업 종사자 수 및 매출액 성장 관련 광역지자체들의 경쟁력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지역균형발전 측면의 충청남도 GRDP 성장요인과 성장주도산업의 공간적 입지특성

        여창환,김동춘,표기준 충남연구원 2009 충남연구 Vol.2 No.2

        최근 들어 국토균형개발, 지역균형성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충청남도는 2002년 이후 GRDP 성장률이 전국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최근 사회적으로 관심을 모우고 있는 세종시개발의 중심이 되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GRDP 성장률의 원인이 산업구조적 측면에서 어떤 산업의 성장 때문인지를 살펴보고 또 이들 산업이 충청남도 자체성장요인인지 아니면 국가전체 산업성장이나 산업구조적 이점 때문인지를 변이할당분석기법을 통해 규명한다. 여기서 도출된 성장주도산업의 공간적 입지특성을 입지계수분석기법을 통해 도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출된 각종 분석결과는 지리정보시스템에 통합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충청남도의 성장은 2002년 이후 급격하게 성장한 제조업의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충청남도 GRDP 중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현격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이들 제조업은 충청남도에 포함되어 있는 읍면동 중에 수도권과 접근이 양호한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비추어볼 때, 충청남도의 GRDP 성장은 수도권규제, 특히 공장총량제와 같은 제조업규제로 인한 반사이익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수도권규제완화라는 정책방향의 전환에 따라 쉽게 성장률의 약화로 전환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충청남도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세종시와 같은 복합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성장거점지역을 중심으로 현재의 수도권 인접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성장거점과 병행하여 낙후지역의 차별화된 지역개발계획 및 개발컨텐츠의 발굴을 통해 국가적 차원 및 지역적 차원의 균형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find the factors of GRDP growth and spatial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leading industries in Chungcheongnam-Do, and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this paper, the method of practical analysis utilizes shift share analysis, location quotient(LQ), and GIS spatial analysis. Shift share analysis is used to analyze the factor of GRDP growth in, growth-leading industries. Location quotient is used to present spatial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rowth-leading industries. The results of descriptive analysis are integrated into a GIS database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ading industries of the regional GRDP growth are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transportation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hift share analysis, the growth of these industries is due more to the regional shift(RS) than the national share(NS) or industry mix(IM). The spatial location of these industries is near the Capital Region. To be more exact,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 locational specialization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caused by a spillover effect of the regulation policies in the Capital Region(Especially, the total industrial site volume control system). Thus, to maintain continuous growth of Chungcheongnam-Do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ic growth area such as Sejong City, near the Capital Region. Simultaneously, policy support for the depressed areas in the region is needed.

      • KCI등재

        A Note on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이상학 한국제도∙경제학회 2022 제도와 경제 Vol.16 No.1

        Economic growth of a region is typically measured by quantitative growth in employment and output of the region. Shift-share analysis and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have been utilized extensively in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growth in employment and output mainly due to their simplicity and low burden of data work. The purpose of this note is to extend the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by suggesting new formulae for the analysis. Briefly discussing pros and cons of the shift-share analysis and the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this note reviews selectively the two methods and the literature utilizing them. This note then suggests alternative formulae for the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The original and the alternative formulae a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employment change in Capital area of Korea to illu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formula and the alternative formulae of the growth rate differential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