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비스디자인 교육 동향에 관한 연구

        최영현,김남형,이순인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1 산업디자인학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학을 이해하고 국내 서비스디자인 교육의 발전적 모델을 제안하고자 연구하였다. 서비스디자인의 역사를 우선적으로 살펴보고, 서비스디자인 영역의 학계동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서비스디자인의 역사적 공헌자로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사람은 쇼스탁(G. Lynn Shostack)이다. 본래 서비스를 디자인 활동은 마케팅이나 경영 분야의 영역의 하나로 여겨졌었다. 하지만 쇼스탁은 1982년에 제품과 같은 물질적인 요소와 서비스와 같은 비물질적인 요소를 하나로 통합화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쇼스탁의 제안 이후에 서비스디자인에 많은 발전이 이뤄졌으며, 우리의 현실에 적합한 서비스디자자인 교육에 대한 고찰을 하여야 할 시기이다. 서비스디자인교육의 핵심은 현장 산업과 교육의 연계성을 가지고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이렇게 제시한 이유는 서비스디자인을 연구하기 위해서 실재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이해와 서비스 제공자, 이용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경험들을 개선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근본적인 이론적 지식과 더불어 현장실무의 다양한 학습과 경험이 서비스디자인 교육의 핵심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propose on the domestic education of service design which research its own specific purposes, and to apply them to the domestic education of service design and domestic service industrial of service design when designers deliver innovative service. For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chosen to context fields, and an genetic research of them was performed. After the analysis, the subjects of proposal were service design training model for deliver innovative service. They is proposed the Service Design Education in the field of industry and services combined. For this training should be done in parallel on domestic education of service design and service industrial fields. In this study, they can be used as fundamental curriculum to innovative service design and to better understand the service when we proposal curriculum for service industrial fields. This can be useful proposal curriculum enabling undergraduate to understand innovative service easily and to establish concepts for their innovative service designs.

      • 대전광역시 공공서비스디자인 정책을 위한 기초적 연구

        이수연(Lee, Su-Yeon),김호영(Kim, Ho-Young),이형복(Lee, Hyoug-Bok) 더나은도시디자인포럼 2021 도시디자인저널 Vol.- No.3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public service design polic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through consumer-centered public service innovation through public service design. Public service design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the needs of users and a series of methods to meet them. Moreover, service design is expected to be able to promote administrative reform by clearly showing problems and creating practical solutions. It proposes the basic direction of Daejeon Metropolitan Citys public service design polic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Daejeon citizens through consumer-centered public service innovation through public service design initiated by the private sector. In terms of public service design in Daejeon, it aims to find a sustainable public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rough the example of Tashu, a public bicycle, and Seonhwa-dong Good Street Regional Specialized Products, a regional-based public service design. The public service design that Daejeon City can aim for is to establish an integrated citizen-centered administrative service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goals, organizational goals, and work goals in order to create a happy Daejeon that communicates with citizens. It is appropriate to take a step-by-step approach for the promotion of public service design in Daejeon, and it is necessary to spread to practical performance creation based on success experience.

      • KCI등재

        비대면 서비스 개발을 위한 디자인 프레임워크

        윤종관(Yoon, Jong Kwan),김성우(Kim, Seong Woo)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4

        코로나19로 인해 확산된 비대면 서비스는 사용 경험의 편리성과 서비스 접근성의 강점으로 인해 서비스 산업의 주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면대면 서비스가 제공해 주었던 서비스의 가치를 만들어 내지 못함으로 인해,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체계적인 비대면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기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조사 및 검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와 서비스 운영관리 그리고 온라인 교육의 상호작용감 요인 모형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비대면 교육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프레임워크를 일반적인 비대면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에 특화된 개념과 용어들을 일반화 한 비대면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에서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비대면 의료 서비스 분석에 적용하여 프레임워크의 범용성을 검증하였다. 비대면 서비스 디자인 프레임워크는 서비스의 운영비용을 결정하는 고객 접촉 전략에 맞추어, 비대면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서비스 제공자의 존재감 요소, 서비스의 내용적 교류 및 변화 요소 그리고 이해 관계자들의 사회적 교류 및 변화의 요소를 고려하고, 각 요소의 고객 접촉 강도를 결정하는 비대면 서비스의 기능요소를 결정하면, 상호작용감이 개선된 비대면 서비스를 디자인할 수 있다.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서비스의 특성상 비대면 서비스에서의 상호작용감은 서비스 품질 개선에 주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상호작용감 개선을 위해 고객접촉의 강도를 높이면, 서비스 운영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 프레임워크는 서비스 운영 전략에 맞춘 상호작용감을 갖는 비대면 서비스를 디자인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Due to COVID-19, non-face-to-face service has become a new normal stream of a service industry. However, values of face-to-face service does not transfer directly to a non-face-to-face service. A design methodology of non-face-to-face service is required to obtain the quality of a service. This study used documentary research, case study methods and case validation methods. Firstly, a non-face-to-face education service design framework was suggested basesd on documentary research of service design frameworks, service managements and a learners perception model of interaction. Secondly, an education framework was generalized to make a common framework. Lastly, the framework was verified with a case validation study of worldwide telehealth services. According to the findings, a non-face-to-face service design framework would be a helpful design methodology using a service strategy. A service designer could design a non-face-to-face service with a strategical decision of choosing functional service components such as video calls, conference calls, images and text. These components are related to degree of customer contact, and a designer should decide component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 service provider, service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ramework using a learners perception model of interaction, it can be expected that service designers can design a good non-face-to-face service which is aligned to a customer contact strategy.

      • 디자인 정보 관점에서의 서비스 분류체계 연구

        최진영(Jinyoung Choi),이혜진(Hyejin Lee),조영호(Youngho Cho),오동우(Dongwoo Oh)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서비스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는 서비스를 통한 혁신이나 비지니스 효율 증진 등의 목적으로 서비스마케팅, 서비스사이언스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디자인 관점에서의 서비스 분류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환경을 구조적 측면과 개념적 측면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그 중 서비스 구조를 디자인 관점에서 4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디자인 정보 프레임워크(DIF)의 정보 개념을 바탕으로, 서비스의 개념적 측면에 해당하는 상호작용 및 사용자경험의 속성들을 활용하여 각 서비스 유형별 서비스 디자인 원칙과 속성들을 도출해 내기 위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유형별 디자인 원칙과 3가지 속성 - 모든 서비스에 포함되는 공통속성, 각 원칙을 구성하는 서비스 유형별 핵심속성 및 원칙에는 포함되지 못했지만 중요성을 가지는 부가속성 - 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1) 디자인 관점에서의 서비스 분류체계 연구에 관한 가시적 결과 도출 및 2) 서비스 컨셉 개발 또는 서비스 디자인 정보체계 개발의 학술적 기초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 Service typology has been explored in theoretical study such as service engineering and service marketing on a variety of perspectives aims to build effective service system and develop service innovation, ie. From a design research perspective, However, there is no well established service typology and its application relatively. In this paper, we define service nature with the aspects of structural and conceptual and classify the structural of service into four 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And based on the concept of Design Information Framework, By utilizing the interaction gestalt attributes and properties of user experience, we analysis to derive the properties and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for each service type. As a result we derive the service design principles and three properties-the common properties included all service type, the key properties and additional properties within service design principle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1) service typ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research deriving visualization results 2) to develop service concept and service design information framework.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의 구조적 개념 분석을 통한 평가 고려요소 도출

        장정진 ( Jung Jin Jhang ),반영환 ( Young Hwan P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디자인의 패러다임이 제품의 외형적인 스타일링으로부터 사용자 환경을 조정하여 효율이나 사용성 및 감성적인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다가, 최근에는 사용자의 경험을 보다 새롭게 하면서 그것을 통해 의미 있는 가치를 부여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확대,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현재 디자인 분야뿐 아니라 서비스, 마케팅 등의 관련 분야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하여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끈 사례를 중심으로 서비스 디자인을 경쟁력 있는 서비스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디자인 분야가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문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정립화된 평가 기준을 통해 일반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서비스 디자인 평가 방법 개발을 위한 기반 연구로써 첫째 서비스 디자인의 구조적 개념 분석하여 접근 방안을 모색하고, 둘째 기존에 소개된 디자인 분야의 평가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서비스 디자인의 평가 시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를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서비스 디자인 연구 영역 사례에 적용해 제안된 기준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타 평가 방법과 비교하여 향후 연구의 기반으로 삼는다. 이 연구를 통해 서비스 디자인을 실행 도구로써 사례 중심 연구뿐 아니라 그 특징을 바탕으로 제안된 평가 기준을 통해 사례를 검증해 봄으로써 학문적으로 일반화 연구에도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평가를 위한 규격화된 프레임워크 개발과 평가 테스트 및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Design paradigm shifts from designing packages or styling shape of product to controlling efficiency, usability and satisfaction through better user interface. Now designers` goals are become expended and developed to make user experience something new and giving them valuable meaning. So, design field has a keen interest in the new paradigm as well as the other filed and industries related with service. In Korea, service design get attention as a solution for developing successful business cases. But formulated evaluation standards by basic disciplinary researches will be needed to develop service design field and universalize its methods. We study this research as our basic study for further researches about service design evaluation method. In this paper, first we analysis structural concept model of service design and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service design by comparing its design tool and define evaluation elements of service design based on others evaluation study in design field. Lastly, compare the results of applying service design cases with existing methods. This paper has a meaning to suggest that service design study is not only focused on as a practical tool for case study but also need to be studied for academical generalization study by evaluating actual cases with concrete framework. We are planning to develop evaluation framework and validation after tests for representative service design cases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 결과물의 범주와 인식 분석 연구

        이연준 ( Younjoo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4 No.-

        서비스디자인은 년 경 국내에 본격적으로 유입된 후, 학계와 현장에 빠르게 확산되었지만 신생 학문으로서 구체적 합의를 이룬 개념은 아직 확립하지 못하고 있다. 이제까지 서비스디자인은 포괄적인 개념을 알리고 확산하는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이해관계에 따라, 참여자와 연구자의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졌다. 일반적으로 서비스디자인은 실무 결과물(유형화)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지고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 디자인(그래픽디자인, 제품디자인 등)의 형태와 구분 또는 기여할 수 있는 특징, 혜택과 장점을 위한 소통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결과물의 특징과 범주에 관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서비스디자인 실무 결과물이 어떻게 인식되는지 분석하고, 분석된 자료와 문헌연구에서 도출된 프레임워크를 종합하여 서비스디자인 실무의 형태를 구분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디자인이 결과물에 대한 소통방법을 제안하며, 서비스디자인 개념 확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After services design was introduced in Korea around 2010, it spread fast in academia and in the field. However, service design has problems that all new studies are faced with. Comprehensive concepts of service design exist but materialization of consensus concept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In addition, until now, since the focus was on spreading `services design` term and concept, service design concepts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by the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In service design, communication is frequently done through tangible outputs. Thus, there is a need to identify the outcome traits of service design which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design (e.g., graphic design, industrial design, etc.), and communication ways to deliver benefits and competencies of service design. This research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comes of service design, and generated a framework on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outcomes from the stage. Recognition of domestic service design outcom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By using the framework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nalysis, forms of service design outcomes are categorized. This paper suggests ways to consider when communicating service design outcomes, and also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design concept.

      • KCI등재

        The Practice of Service Design in Korea : Its Determinants and Performance in Enterprises

        Sung, Yeolyong,Ro, Young-Jin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9 산업혁신연구 Vol.35 No.4

        산업의 서비스화와 수요자의 시장권력 증대로 인하여 혁신의 관점이 기술, 공급자 중심에서 사람,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혁신도 수요 측의 행동을 파악하여 수요자가 요구하는 바에 기초하는 새로운 관점이 필요하게 되면서 혁신을 위한 대안으로 서비스디자인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설정한 후, 다음의 두 가지 연구 주제에 관하여 살펴본다. 첫째, 국내 기업들이 서비스디자인을 기업경영에 적용하기로 결정할 때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기업들이 서비스디자인을 경영에 적용하였을 때 어떠한 경제적 성과가 유발되는가? 499개의 국내기업에 대한 설문자료에 기초하여 이 두 주제 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선 기업이 독립적인 디자인 조직 보유 여부, 소비자의 니 즈를 파악하고 반영하려는 노력의 정도, 그리고 사내 디자인 인력수와 인프라 구축 정도 등이 기업의 서비스디자인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서비스디자인을 활용 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디자인투자가 기업의 매출액, 고용, 생산성 등에 미치는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국내기업들의 혁신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 활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tendency of servicification is shifting the foundation of industry from technology and suppliers to humans and consumers. As a result, innovation requires new perspectives based on demand side by grasping the behaviors of customers, and service desig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for innovation. This study analyzes what factors prompt an enterprise to use service design and how service design affects firm performance, using survey data in Korea. It is shown that a firm is more likely to use service design if it has an independent design center, employs more designers, reflects customer needs better, and has sufficient design personnel and design infrastructure. This result implies that rather than other innovation factors, direct spending on design is likely to lead firms to implement service design. Design investment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formance. Furthermore, the effects of design investment on sales, employment, and productivity are greater in firms using service design than in firms that do not. Since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service design has a positive effect on firm’s performance and innovation, government’s policy should focus on encouraging firm’s to apply service design in its management by establishing the infrastructure.

      • KCI등재

        현대 디자인의 서비스화 경향과 디자이너의 역할 확대에 관한 연구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현 시대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서비스, 지식 기반 경제로 전환되었다. 디자인에서도 디자이너의 역할은 물질적 결과물을 디자인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이를 생산해 내는 프로세스 및 사용자의 행태와 상호작용을 디자인하는 것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물질적 제품뿐만 아니라 비물질적인 프로그램과 서비스도 디자인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는 현대 디자인의 서비스화 경향에 대해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디자이너의 역할이 어떤 방식으로 확장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방법)본고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사례분석은 정성분석으로 진행되었지만 상세화된 분석틀을 제시하고 디자이너 역할에 대한 분석결과를 레이더 차트(Radar Chart) 다이아그램으로 제시함으로써 분석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결과)본고는 서비스화된 디자인의 핵심 개념으로 `과정으로서의 소비`를 제시하였고 이런 디자인의 서비스화는 `제품의 서비스화`와 `무형인 서비스의 유형화`라는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현재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선진국 경제가 서비스 기반 경제로 전환된 것을 사회 · 경제적 발달배경으로 제시하였고, 포스트모던 이후 조형예술에서 비물질화, 경계의 해체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과 서비스디자인의 등장을 조형 · 문화적 배경으로 제시하였다. 본고는 또한 서비스화된 디자인과 기존 디자인이 사용자 관련, 디자인 관련, 디자인 프로세스 관련 특성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현대 디자이너들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역할을 융합적 촉진자, 행태·심리 디자이너, 시공간 예술가, 프로세스 매니저, 커뮤니케이션 프로듀서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 분석내용의 적절성 및 실제 디자인에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제품의 서비스화`사례로 LEGO IDEA와 OCAD대학 UI를,`무형인 서비스의 유형화`사례로 Philips Healthcare의 Ambient Experience와 현대카드 에어라운지를 분석하였다. (결론)본고는 현대 디자인의 서비스화 경향 및 디자이너 역할의 새로운 확장에 대한 연구를 통해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전문지식의 범위가 확대되었고 융합 및 다학제적 협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특히 사용자 행태, 인지, 지각 등 심리학적 지식과 제너럴리스트로서의 능력 함양이 필요함을 논증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Modern societies are in an era that stands on a service, knowledge-based economy, especially so in developed countries. This socio-economic change from the industrial age has influenced design practices and the designer`s role. Modern designers are not limited to the creation of the physical aspects of design. The role extends to planning and influencing consumer behaviors and interactions so that companies can offer the service of self-design programs as a product itself. Thus, the distinction between designer and consumer is gradually becoming vagu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mporary paradigm of “servicizing” in design and the expanded range of the designer`s role in this new era. (Methods)This research relied on document and literature study, and performed qualitative analyses to present case studies. Detailed analysis structures and radar chart diagrams are provided to ensure that qualitative analyses of design cases can be conducted objectively. (Results)The core concept for servicizing in design is “consumption of a design as an experience of a service process.” The two principal directions for this trend are “adding service process to an existing product” and “adding tangible touch points to an existing intangible service.” Transformations into the service and knowledge-based economy in developed countries are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is design phenomenon. Meanwhile, the “immaterialization” of art,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art forms, and advent of service design, all of which started after the post-modern era, are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ervicized design, which differ from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designs.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eatures of design itself, features related to design, and features associated with users. Based on these analyses on the distinctive attributes of servicized design, five new roles of the designer were designated: inter-disciplinary facilitator, behavioral designer, creator of time-space art form, process manager, and communication producer. This research also provided detailed analyses and descriptions of four servicized design cases: LEGO IDEA, UI of OCAD University in Canada, Ambient Experience of Philips Healthcare, and Air Lounge of HyundaiCard. (Conclusions)This research addressed the necessity for cultivating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of designers in the era of the servicized design paradigm. It especially emphasized knowledge on consumer psychology and competence as a generalist to lead inter-disciplinary design.

      • Design Factors for Service Interfaces and Usability based on Service Flow and Human Service

        Ha-Na Lee,Wonil Hwang,Taezoon Park 대한인간공학회 2013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10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sign factors for service interface and usability based on service flow and human service. Background: Competitive of service organization is determined by service delivery system as management of service processes and motivation of employees. In the other sides, service delivery system as management include interface factor about service flow and human servic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regarding the design factors of service interface design. Proper service interface could be designed through investigating the design factor for service interfaces and usability. Method: Entire services industry were divide four type of service industry. Four represent services were selected in the four service industry sector. Service process was divided into three steps. The association between service design factor and usability based on service flow and human service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200 participants of four industries by three steps of service process. Results: In terms of service flow factor, customer-oriented services were preferred for improving satisfaction. In terms of human service factor, the human service that is near by the customer and customer-oriented was preferred. Conclusion: Service delivery system need to be design reflecting the interface between customer and service process by design factors based on service flow and human service. Specifically, design factors are a difference by characteristics of industry sector and service process step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sign factors for service interface design by service sector and service process steps. Based on these results, the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service interface design have been provided.

      • KCI등재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안전물류 패키지 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김장수(Kim, Jang Soo),김태중(Kim, Tae Jung),이동명(Lee, Dong Myoung),신해웅(Shin, Hae W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3

        국토교통부가 2015년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현재 글로벌 물류시장의 규모는 3조 3,000억 달러에 달하고 향후 5년간 5조억 달러가 더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국내 물류시장 또한 현재 연 매출액은 92조 5,000억 원으로 결코 작은 규모가 아니며 연간 6.3%의 성장률을 보이며 "블루오션"으로 불리고 있다. 최근 온라인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로 운송화물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물류환경도 변화하고 있다. 택배배송의 물품 파손사례가 증가하면서 유통화물의 안전성확보를 위한 안전운송 시스템의 개발은 물류 업계의 당면 과제이다. 이러한 안전운송시스템 개발에 있어 기존 포장디자인 방법이 아닌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모두가 만족하는 새로운 시스템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안전물류분야 서비스는 미국과 유럽의 대형 물류기업(DHL, Fedex 등)이나 우리나라의 대기업(삼성, LG, CJ등)에서 상품이나 제품의 신뢰성 확보 및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사업화 하고 있으나 아직 중소기업과 소기업 등은 안전물류 서비스 개념조차 생소한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는 빠르게 인터넷 상거래 시장이 활성화되어 온라인거래가 활성화 되었고 쿠팡배송과 같이 빠른 물류 서비스도 되고 있는 시장상황에서 물류의 효율화와 배송시스템의 고도화만으로는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디자인방법론을 활용하여 안전물류 서비스 개발을 진행하였다. 서비스디자인의 다양한 방법론 중에 이해관계자 맵을 사용하여 물류 서비스 시스템 상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분석을 통해 서비스 디자인의 필요 요소들을 도출하고, 안전 물류 전문가 인터뷰, 물류 환경의 현장 조사를 통하여 고객여정맵을 작성하여, 조사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블루프린트 개발 하였다. 안전물류 신규 서비스개발을 위해 현장조사로는 수도권 물류를 공급하는 물류센터 3곳과 표고버섯 농장 2곳과 공판장 등을 방문 하였고, 전문가 인터뷰를 위해 지식서비스 분야 물류 전문가 30명을 추천받아 이메일 설문조사와 현장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또한 실제 도로상의 물류 환경측정을 위해 국내 5개 경로 및 한국과 중국 물류 경로에서 데이터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서비스의 전문성을 확보 하고자 하였다. 서비스 디자인 결과물에 대한 웹서비스적용을 위해 실제 개발 전문 업체와의 협업도 진행 하였다.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서 신규 비즈니스를 개발하고자 안전 물류 데이터의 환경 분석을 통해 물류 서비스 이용자들에게 안전하고 최적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안전물류 패키징 컨설팅 서비스 솔루션을 개발 하였다. 서비스 개발에 따르는 안전물류서비스 디자인의 결과물로서 물류 안전신호등, 파손방지 패키지 툴(Tool), 물류 안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서비스의 개발을 진행하였다. 안전물류패키지에 대한 용어는 아직 디자인분야에서도 생소한 분야이지만 디자인의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서는 도전해 보아야 하는 산업분야이며. 안전물류분야 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통해 향후 물류 소비자의 신뢰도와 고객의 클레임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안전물류 서비스가 필요하며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에 생소한 안전물류 분야에 서비스디자인의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안전물류 신규 비즈니스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많은 한계점과 물류환경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부족하나마 향후 이 분야를 연구하는 디자인 종사자들과 물류 연구자들에게 활용할 수 있는 도움을 주고자 한다. According to data released by the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 by 2015, market size of global logistics facilities up to $ 3.3 trillion, and will grow by another 5 trillion dollars over the next five years expected. Local logistics markets also currently 92 trillion won in annual sales for anything but a small as recent online e-commerce in accordance with the rise of freight by being active, logistics environment is changing. Safety in cargo delivery and distribution damage incidents were increasing shipping goods for transport safety in the system of logistics industry needed development challenges. Blue Ocean means that the annualized growth rate of 6.3 percent. On the old developing these transport safety system design methods, not to determine the needs of various users. Everyone"s satisfaction with an analysis of the new system stakeholders design methodology applied to see solutions to development services. I"m such as logistics (DHL, Fedex etc) logistics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and large European companies from big (such as Samsung, LG, CJ) in the advanced logistics businesses or our country of goods or products reliable and commercial application and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but safety, including small businesses and small businesses is still so unfamiliar concept of the reality is that logistics services. Our country is rapidly activated the market of internet commerce online deals are activated in logistics service. with quick delivery and Kupang market doesn"t solve what is to the advancement of the efficiency of logistics and delivery system. Logistical service to service design methodology of the safety study to design, development of logistics services. Service logistics services, a variety of design methodology with users during the map the needs of various still customers analysis in the system design services elements to be derived through field survey map of the environment, logistics, expert interviews and analysis services based on the Blueprint, and develop. In this study, safety logistics of new services field for supply logistics for the metropolitan area, and visited two mushroom fields and joint market, with three logistics centers. An expert knowledge service for the interview, and logistics expert conducted an interview with email, recommended 30 experts. Path with the local environment in five logistics of the actual road and expertise in logistics servic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data from the path South Korea and China to allow. These safety logistics service for business development services through design and logistics rear body not logistics services, logistics environment, analysis of data users packaging logistics services with security consulting services optimized solution was trying to development. Tool on safety logistics service logistics with the result of design safety lights, damage prevention package tool to applications such as development service safety and logistics. Safety terms is still in a logistics package design to create a new market for designing a new area, but in the field, it is an industry viewed challenge. In this study, logistics service package design services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safety logistics interests of safety by developing the process maps, focus group interviews and services blueprint. Safety logistics to develop new business design many limitations and logistics for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 but a future employing research design workers and logistics, researchers can utilize to try to hel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