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상골 골절 동반 여부에 따른 원위 요골 골절의 비교

        오진록,이동우,이준표 대한수부외과학회 2016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Distal radius fract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factures, but incidence of concomitant scaphoid fracture is rare. The rarity makes diagnosing the concomitant scaphoid fracture often delayed. Thus, in this study, the authors examined the frequency of concomitant scaphoid injury in distal radius fracture and the type of distal radius fracture that is more commonly associated with simultaneous scaphoid fracture. Methods: We examined a total of 212 patients who had received treatment for the fracture in our institutio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solated distal radius fracture group and distal radius fracture group with simultaneous scaphoid fracture, and their age, gender, body mass index and distal radius fracture type in accordance with AO classific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Concomitant scaphoid fractures were found in 12 (5%) patients, and among them 10 cases were associated with type C distal radius fracture. Statistical comparison between the group with isolated distal radius fracture and the group with both distal radius and scaphoid fractures was made, and only comparison of distal radius fracture type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It is imperative to make timely and appropriate diagnosis of accompanying scaphoid fracture, since delay in making the diagnosis usually lead to many complications. We conclude that further diagnostic imaging such as computed tomography is necessary to make the correct diagnosis of concomitant scaphoid fracture, especially in type C distal radius fractures. 목적: 원위 요골 골절은 매우 흔한 골절 중 하나이지만 주상골 골절이 동반된 경우는 흔하지 않아 종종 그 진단이 늦어져 어려움에 직면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위 요골골절에서 동반되는 주상골 골절의 발생빈도와 원위 요골골절의 양태와의 관련성 여부를 조사 및 평가하였다. 방법: 본원에서 원위 요골 골절로 치료를 받은 212명의 환자들을 단면조사연구를 통해 주상골 골절이 동반된 사례에 대해서 평가를 시행하였다. 주상골 골절이 동반된 군과 동반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원위 요골골절의 AO분류를 비교 분석하였다.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시행하였다. 결과: 주상골 골절이 동반된 수는 12명(5%)이었다. 12명의 주상골 골절 환자 중에서 10명에서 원위 요골골절의 AO분류 C type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원위 요골 골절과 동반된 주상골 골절은 치료가 적절히 시행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고, 그 결과 주상골골절에 따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주상골 동반 손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조기컴퓨터단층촬영이 필요하다.

      • 수근 주상골 골절의 임상적 고찰

        권칠수,안종국,서정국 인제대학교 1989 仁濟醫學 Vol.10 No.3

        수근 주상골 골절은 완관절에서 요골 원위부 골절 다음으로 흔히 발생하는데, 이는 진단의 실수를 범하기 쉬운 한편 불유합이 흔히 수반되는 골절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978년 6월부터 1986년 8월까지 8년간 33예의 수근 주상골 골절을 치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주상골 중간 1/3을 침범한 예가 28예로 가장 많았다. 2.비관혈적 치료 방법은 수상 후 4주 이내인 비전위 골절 18예에서 석고고정으로 시행한 바 평균 13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3.수상 후 4주 이내인 전위 골절 6예에서 수술 가료, 즉 관혈적 정복술 및 금속사 혹은 나사 내고정 및 전기 자극을 시행하여 12주 내지 16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4.수상 후 6주 이상인 골절 9예에서 관혈적 정복술 및 골이식, 금속나사, 전기자극을 시행하고 1예에서 전골간 동맥을 부착시킨 요골 원위부의 골을 주상골에 이식하였다. 이들은 모두 12주 내지 16주에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나 마지막 1예는 예외적으로 6주에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이상으로서 주상골 골절은 적절한 치료 방법을 택하면 골유합을 얻을 수 있다는데 전골간 동맥을 부착시킨 요골 원위부 골을 주상골의 불유합에 이식하면 조기에 골유합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Authors reviewed 33 scaphoid fractures treated from June 1978 to August 1986. The age distribution ranged from 19 to 56 with highest incidence in fourth decade (17 cases). The Most frequent cause of injury was a falling from a height in 24 cases. There was 14 undisplaced and 19 displaced fractures. There were 28 waist, two proximal 1/3 and three distal 1/3 fractures. Among the 28 waist fracture there were 16 transverse and 12 horizontal oblique fracture by Russe classification. The former had 11 displaced fracture and the tatter, 6. The 18 fresh undisplaced fractures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long arm thumb spica or short aim thumb spica. The 6 displaced fracture, less than weeks after the injury were treated with early surgical method, open reduction with Kirschner wire (3) and scaphoid screw (2) and electric strimulation (1). The 9 fractures, more than 6 weeks after the injury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with bone graft, Russe procedure (4), scaphoid screw (2), electric stimulation (2) and vascularized bone graft (1) from the volar distal radius with a branch of anterior interosseous artery. Average duration of follow up was 13 months (6 to 24 months). It took at least 12 weeks or more to achieve the radiographic bony union in all cases except one vascularized bone graft which took six week only. This result might suggest a vascularized bone graft could be a possible way to achieve an early bony union in scaphoid nonunion.

      • KCI등재

        소아 손목 관절 주위 골절

        김기훈 ( Gihun Kim ),박건보 ( Kun-bo Park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2

        소아 손목 관절 주변의 골절은 소아의 골절 중 3번째로 흔하며 그 중 요골 원위부 골절은 소아의 골절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골절이다. 발생률을 고려할 때 소아 및 청소년의 손목 관절 주변 골절에 대한 이해는 성장기 골절 중 가장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분야이다. 소아의 골절은 흔히 재형성이 되어 쉽게 치료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모든 골절이 그런 것은 아니며 성장기 소아에서 치료가 잘못 이루어질 경우 성장장애, 불유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에 골절의 형태 및 부위에 따라 치료 방침이 다름을 알아야 한다. 본 종설에서는 소아 및 청소년의 원위 요골 골절, Galeazzi-equivalent 골절, 주상골 골절 및 기타 수근골 골절의 특징 및 치료에 대하여 최근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정확한 진단 및 적절한 비수술적, 수술적 치료를 한다면 환아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합병증 없이 성공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다. Fractures around the wrist are the third most common fracture among all pediatric fractures. Furthermore, distal radius fractures, a type of wrist fracture, are the most common fractures in children. Understanding pediatric fractures around the wrist is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eir prevalence. There is a specific belief that pediatric fractures can heal easily because of remodeling, but not all fractures can heal without proper treatment. Complications such as growth problems, nonunion can occur if the fracture is not treated properly. This paper reviewed recent articles about distal radius fractures, Galeazzi-equivalent fractures, and carpal bone fractures, including scaphoid fractur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uccessful treatment can be achieved without complications when an accurate diagnosis and proper non-surgical or surgical treatment are performed based on this article.

      • KCI등재

        주관절 후내측 탈구를 동반한 동측 원위 요골 및 주상골 골절 -증례 보고-

        김진완 ( Jin Wan Kim ),고영철 ( Young Chul Ko ),정철용 ( Chul Young Jung ),은일수 ( Il Soo Eun ),김영준 ( Young Jun Kim ),김창규 ( Chang Kyu Kim ) 대한골절학회 2012 대한골절학회지 Vol.25 No.2

        낙상이나 교통사고와 같은 고에너지에 의한 상지의 수상은 수근관절과 주관절의 손상을 동시에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손상으로는 몬테지아 (Monteggia) 골절, 갈레아찌 (Galeazzi) 골절, 에섹스-로프레스티 (Essex-Lopresti) 골절 탈구 등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주상골 골절과 동반된 원위 요골 골절에서 발생한 주관절 탈구는 보고된 증례가 없으며 그 예후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42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주상골 골절과 원위 요골 골절의 동반손상에서 동측 주관절의 후내측 탈구가 발생한 사례에 대한치료 및 결과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rm injuries occurring from high energy injuries such as falls or traffic accidents can be accompanied by wrist and elbow injuries. Monteggia fracture, Galeazzi fracture, and Essex-Lopresti fracture-dislocation are known some examples of such injuries. However, there are no reports on the dislocation of the elbow occurring from a distal radius fracture accompanied by scaphoid fracture, and there is nothing published about its prognosis. The authors report on the treatment and outcomes of a case of a 42-year-old male who had a distal radius and scaphoid fracture associated with posteromedial dislocation of the elbow on the same side of his arm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비전위성 주상골 골절의 비수술적 치료

        이상욱(Sang-Uk Lee),송석환(Seok-Whan Song),이승구(Seung-Koo Rhee),강수환(Su-Hwan Kang),박용수(Yong-Soo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6

        목적: 전위가 심하지 않은 급성 주상골 골절에 대한 비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5월부터 2008년 1월까지 비전위성 급성 주상골 골절 후 비수술적 치료를 받은 24예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장상지 및 단상지 석고 고정으로 치료하였고, 단상지 석고 고정 시에는 주관절의 굴곡, 신전 운동은 허용하였으나 전완부의 회내전 및 회외전 운동은 제한하였다. 석고 제거 후 즉시 능동 및 수동적 관절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Maudsley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24예의 Mayo 분류의 안정성 비전이형 주상골 골절을 대상으로 하였고 Herbert 분류로는 A1이 10예, A2가 3예, 그리고 불안정성 골절인 B2가 11예이었다. 평균 석고 고정 기간은 7.16주였고, Maudsley의 평가 기준에 의하면 19예가 우수, 4예가 양호의 결과로 24예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1예에서 주상-월상골 해리가 있었다. 결론: 전위가 심하지 않은 급성 주상골 골절은 비수술적 방법으로도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비수술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추천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nonoperative treatment for acute, undisplaced, stable scaphoid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4 cases of acute undisplaced scaphoid fracture that were treated at our department from May 1998 to January 2008. The immobilization method was a long or short arm cast. Flexion-extension exercise was permitted during the period of the short arm cast, but pronation-supination motion was prohibited. After the removal of the cast, active and passive range of motion exercise was started immediately. The result was assessed by the Maudsley scale. Results: The twenty four cases were undisplaced or minimally displaced fracture (10 cases of Herbert type A1, 3 cases of A2 and 11 cases of B2) according to the Mayo classification. The average duration of immobilization was 7.16 weeks. According to the Maudsley scale, 19 cases had an excellent result and 4 cases had a good result. One case had a complication of scapho-lunate dissociation. Conclusion: We recommend conservative treatment with cast immobilization as the first treatment of choice for acute undisplaced scaphoid fracture.

      • KCI등재후보

        주상골 골절과 불유합: 최근 치료 동향

        박종웅 대한수부외과학회 201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6 No.2

        주상골 골절은 흔한 수근골 골절로 진단을 정확히 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대부분 쉽게골유합을 얻을 수 있다. 비전위성 골절은 보존적 치료로도 유합을 얻을 수 있으나 젊고 활동적인 환자는 보존적 치료보다 경피적 나사못 고정을 통한 견고한 고정으로 조기에 유합을 얻고 정상적인 생활에 복귀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 주상골 골절의 불유합은 대부분 고식적인 골이식과 견고한 나사못 고정술로 유합을 얻을 수 있다. 고식적 골이식이 실패한 경우나 근위부 골편의 무혈성 괴사가 동반되어 유합이 어려울때는 유경 혈관화 골이식이 유용하다. 불유합부에 과도한 곱사등 변형이나 단축 변형등이 근위부 골편의 무혈성 괴사와 동반되어 있는 경우는 대퇴골 내과를 공여부로 하는 유리 혈관화 골이식이 마지막 대안이 될 수 있다. Scaphoid fracture is a common carpal bone fracture. Through the accurate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the union can be easily achieved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 Although the non-operative treatment is successful to get union in the limited cases of undisplaced or occult fracture, the percutaneous screw fixation is better treatment option for the young and active patient. Rigid percutaneous screw fixation heals the fracture faster and the patient can return to their usual life earlier. In the nonunion cases of scaphoid fractur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nd conventional bone graft generally heals the nonunion. In the case of failed bone graft or avascular necrosis of the proximal fragment, a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 is a good strategy for the union. If severe humpback deformity or shortening is combined with the avascular necrosis of proximal fragment, a free vascularized medial femoral condyle bone graft is indicated as a last treatment option for successful union.

      • KCI등재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mparing Surgical versus Conservative Treatments for Acute Undisplaced or Minimally-Displaced Scaphoid Fractures

        Turki A. Al-Ajmi,Khalid H. Al-Faryan,Naif F. Al-Kanaan,Abdulmalik A. Al-Khodair,Thamer H. Al-Faryan,Maher I. Al-Oraini,Abdulelah F Bassas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Vol.10 No.1

        Background: Surgical and conservative methods have been reported by various studies for high rates of fracture union and subsequent regain of function among patients with undisplaced or minimally-displaced scaphoid fractures. He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est available evidence to comprehend the relative benefits and risks of these therapeutic options. Method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different databases and search engines was performed with strict eligibility criteria to obtain the highest quality of evidence. All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delineating the outcomes of surgical versus conservative treatments for acute undisplaced or minimally-displaced scaphoid fractures were included and then evaluated using scoring tools: Cochrane risk of bias tool and PEDro scale. Data were pooled using random-effects models with standard mean differences for continuous outcomes and risk ratios for dichotomous variables. Results: The search yielded 339 potentially related articles, further trimmed down to eight studies based on the eligibility criteria. The meta-analysis revealed that surgical treatment resulted in significantly better functional outcomes than conservative treatment. Furthermore, surgery resulted in the prevention of delayed union of fractures and reduction of time needed to return to work. Conclusions: While four studies reported advantages of surgical treatment, evidence was insufficient to provide a definitive conclusion that surgery is a better option. Due to the significant limitations with respect to certain variables, the superiority of one method to the other could not be established.

      • KCI등재

        주상골 골절 및 불유합의 치료

        최완선 대한골절학회 2022 대한골절학회지 Vol.35 No.4

        A scaphoid fract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wrist fractures, and if treatment is delaye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nonunion due to anatomical factors such as limited blood supply to the injured bon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uspect a scaphoid fracture based on the mechanism of wrist injury and physical examination of the patient. A computed tomography scan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n also aid early diagnosis of the fracture. Stable acute fractures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but unstable fractures require surgical treatment, and percutaneous screw fixation is usually performed. Nonunions require bone grafts and are treated with non-vascularized bone grafts and screw fixation. However, if the nonunion is located at the proximal pole, a vascularized bone graft may be considered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of avascular necrosis. Pedicled vascularized and free vascularized medial femoral condyle bone grafts are mainly used in such cases. The treatment of a proximal pole nonunion with impaired blood flow remains controversial. There are conflicting opinions on whether a nonvascularized bone graft is sufficient or whether a vascularized bone graft is necessary. 주상골 골절은 흔한 손목 골절 중의 하나이며, 제한된 혈류 공급 등의 해부학적 특징으로 인해 치료가 늦어지면 불유합이 잘 발생한다. 따라서 손목 손상 환자의 손상 기전과 병력 청취, 이학적 검사를 통해서 주상골 골절을 의심할 수 있어야 하고, CT나 MRI를 통해 초기에 정확히 진단해야 한다. 안정성 급성 골절은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지만 불안정성 급성 골절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주로 경피적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다. 불유합의 경우는 골이식이 필요하며 주로 비혈관화 골이식과 나사못 고정술로 치료한다. 그러나 불유합의 위치가 근위극에 있을 경우 무혈성 괴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관화 골이식이 고려되기도 한다. 혈관화 골이식으로는유경 혈관화 골이식과 대퇴골 내과 유리 골편 이식술 등이 주로 쓰인다. 혈류 장해가 동반된 근위극 불유합에 대한 치료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는데 비혈관화 골이식으로 충분하다는 의견과 혈관화 골이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 KCI등재후보

        급성 주상골 골절에 대한 수술적 치료 후 불유합 위험 인자

        이상명,이승구,박상원,박범용,송석환,이윤민 대한수부외과학회 201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isk factors of nonunion after surgical treatment of acute scaphoid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Predictable risk factors wer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in 70 patients with an acute scaphoid fracture. The risk factors involved sex, age, profession, smoking, fracture location, fracture gap distance,type of lunate, ulnar variance, fixation method, and surgical approach. At twelve months after surger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for prognosis toward bone healing or failure. Results: Sixty-four patients (91%) demonstrated radiological union after a mean time of 2.8 months. The average scapholunate angle was 52˚at the final follow up. Professional heavy work, smoking, fracture of proximal pole were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decreased likelihood of healing. Conclusion: The patients who have the risk factors of nonunion such as heave work, smoking and fracture of proximal pole should be treated carefully. 목적: 급성 주상골 골절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 후 불유합이 발생하는데 기여하는 위험 인자를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성별, 나이, 노동직 종사 유무, 흡연 유무, 골절선의 위치, 골절편 간의 거리, 월상골 형태, 척골 변위, 고정 기구의 종류, 그리고수술적 접근 방법을 조사하였다. 수술 12개월 후 시행한 영상 검사에서 골유합 유무를 판정하였다. 각 인자와 불유합과의 관련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64예(91%)에서 유합 되었으며 유합 기간은 2.8개월이었고, 술 후 1년에 측정한주상-월상 각은 52˚이었다. 노동직, 흡연자 그리고 근위부 골절인 경우 불유합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노동직, 흡연자 그리고 근위부 골절이 있는 환자는 불유합 위험이 높으므로 자세한 설명 및 주의 깊은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 KCI등재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with Fractured Carpal Bones in a Child

        Jong-Hun Ji(지종훈),Mohamed Shafi,Weon-Yoo Kim(김원유),Jin-Young Kim(김진영),Nong Kyoum Ahn(안농겸)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5

        소아에서 수근골 경유 골절 및 탈구는 문현상에서 드문 보고를 보이고 있다. 이 증례 보고는 주상골 경유 월상골 주위 탈구 및 두상골과 삼각골의 골절을 동반한 10세 남자 환자의 예이다. 탈구의 도수정복과 골절에 대한 후방도달 이후 관혈적 정복과 내고정을 하였다. 골절의 유합과 탈구의 정복이 잘 유지되었으며, 수근관절의 기능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흔하지 않은 유형의 손상에 대한 증례 보고로 향후 더 나은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ranscarpal fractures and dislocations in children are rarely reported in the orthopedics literature. This is a case report of a 10-year-old boy who sustained a trans-scaphoid perilunate dislocation with fractures across the carpal structure: these included injuries to the capitate and triquetrum bones. Treatment consists of a closed reduction for the dislocation and using the dorsal approach, an open reduction with internal fixation of the fractures. The injury healed well with a full return of good wrist function. This unusual pattern of injury is described so that it may be more readily appreciat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