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이춘식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Korean elementary students' attitude toward robo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90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The questionnaire is consisting of Likert-type scale to assess students' attitude toward robot according to Lee’s scale(2013). Principal analysis procedures included the calculation of descriptive and frequency statistics of the data by means of SPSSWin 14.0 Version.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der of th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subscales. Boy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girls in the categories of 'robot and interest', 'robot and consequences', 'robot and curriculum', and 'robot and career aspir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effect between 4th grade and 6th grade students. Third, those who have robot related toys had more positive attitudes in the categories of 'robot and interest', 'robot and consequences', 'robot and curriculum', and 'robot and career aspiration'. Fourth, those who have robot cleaner at home had more positive attitude in the category of 'robot and consequences'. Fifth, those who would choose a profession related to robot had more positive attitude in the category of 'robot and interest', 'robot and consequences', ‘robot and understanding’, 'robot and curriculum', and 'robot and career aspiration'.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별, 학년별, 로봇 장난감의 경험, 로봇 청소기 유무, 로봇 관련 직업 열망을 독립변인에 대한 영가설을 설정하였다. 로봇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기 조사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로봇에 대한 태도 척도(이춘식, 2013)를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의 영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로봇에 대한 태도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이었으며, 여학생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위한 로봇 활동이 필요하다. 요인별로는, ‘로봇의 흥미’, ‘로봇의 결과’, ‘로봇과 학습’, ‘로봇과 직업’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둘째, 4학년 학생들과 6학년 학생들 간의 로봇에 대한 태도에는 차이가 없으며, 보통의 태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위 요인들 간에도 로봇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가정에서 로봇 장난감을 가지고 놀은 경험이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가정에서 로봇 장난감을 가지고 놀은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점수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요인에서도 ‘로봇의 흥미’, ‘로봇의 결과’, ‘로봇과 학습’, ‘로봇과 직업’에서 로봇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넷째, 가정에 로봇 청소기가 있으면 학생들의 로봇에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가정에서 로봇 청소기가 있는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점수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하위 요인에서는 ‘로봇의 결과’ 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장차 로봇 관련 직업의 희망이 로봇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즉 장래에 로봇 관련 직업을 갖고 싶은 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점수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긍정적이었다. 로봇에 대한 태도의 모든 요인에서도 로봇 관련 직업을 희망한 학생들의 태도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 OpenGL에서 객체 선택과 실제 로봇의 제어 기능을 가지는 로봇 그래픽 시뮬레이터의 개발

        김태원(Tae-Won Kim),김현민(Hyun-Min Kim),김성욱(Sung-Uk Kim),박지관(Ji-Gwan Park),김원호(Won-Ho Kim),신진호(Jin-Ho Shin)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0 No.-

        본 연구에서는 로봇 경로의 초기 위치와 최종 위치가 GUI에서 마우스로 클릭되면, OpenGL의 객체 선택을 이용하여 3차원 직교 좌표점이 추출되며, 로봇의 끝점이 오프라인 그래픽 시뮬레이터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실제 로봇 실험에서 주어진 경로를 추종할 수 있도록 통합 로봇 시뮬레이터가 개발된다. 삼성 FARAMAN AS2 6축 수직 다관절 로봇에 대해 정기구학, 역기구학, 자코비언 및 경로 계획이 구현된다. 통합 로봇 시뮬레이터는 Windows XP 환경에서 MFC, OpenGL 라이브러리, 서보 드라이브와 범용 DSP 모션 제어 보드를 이용하여 개발된다. 개발된 통합 로봇 그래픽 시뮬레이터는 로봇의 오프라인 그래픽 시뮬레이션과 온라인 제어 실험에 대한 결과들을 같은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의 변경 없이 쉽게 비교하고 분석할 수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객체 선택에 의한 로봇 제어의 구현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In this work, if the initial position and final position of a robot path are clicked by a mouse in the GUI, then three-dimensional Cartesian coordinate positions are extracted using an object picking in OpenGL and an integrated robot simulator is developed so that the robot end-point can track the given path in real robot experiment on-line as well as an off-line graphic simulator. For Samsung FARAMAN AS2 6-axis vertical articulated robot. the forward kinematics. inverse kinematics, Jacobian and path planning are implemented. The integrated robot simulator is developed using MFC, OpenGL Library, servo drive and general-purpose DSP motion control board in a Windows XP environment. It is very effective that the developed integrated robot graphic simulator can easily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for the off-line simulation and on-line control experiment of the robot in a same computer without the change of the program. Also,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robot control by a object picking.

      • Development of 5 D.O.F Robot Hand for an Android robot

        Dongwoon Che,HyunSub Park,Dong-Wook Lee,Jun-Young Jung,Ho-Gil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9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8

        In this paper, we propose 5 D.O.F robot hand for an android robot. A robot hand is the most complicated part in robot and it required many functions like grasping, detailed motion and so on. An android robot is one of humanoid robot but it required more similar appearance than one of humanoid robot thus, a hand of an android robot is required human like shape more than a hand of humanoid robot. The hand of android needs human like shape and complica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hand of an android robot. In this research, we develop a hand of an android robot which has 5 D.O.F fingers, human like shape and skin. Each finger has link structure driven by DC motor and worm gear. The finger is designed independent module structure so, hand is only combination of finger modules. This module structure gives small size, easy modification and convenience of maintenance. The skin is made of silicon complex material and it designed based on real human hand. The size of this hand based on standard size of Korean woman.

      • KCI등재

        로봇연극에 나타난 언캐니 연구 -히라타 오리자의 <일하는 나>, <사요나라>, <세 자매>를 중심으로

        김영학 한국드라마학회 2018 드라마연구 Vol.0 No.54

        This study analysed "uncanniness" shown in <I am Working>, <Sayonara> and <Three Sisters>, robot dramas by Hirata Orija. <I am Working> is a play where a humanoid robot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Japan. The humanoid robot in the <I am Working>was a strangely uncanny subject who refused human orders and were trying to understand human languages. Therefore, the audience had opportunities to meditate life while having relationships with the robot. The author described a robot in the level of aesthetics to deliver the status of robot as a social being to the audience. <Sayonara> is characterized by a lonely stage only with a chair, black stage art, and cold communication between a girl who was going to die and an android robot. In particular, the plot that the android robot recited a poem for the girl before death made the drama more lonely, and such lonely elements were combined to make uncanny atmosphere. The world where humans coexist with robots is covered by shadow of death and robots keep our land which grows desolate due to explosion of nuclear power plants. The dystopian image of the world that robots will dominate humans soon even in mental area was configured through uncanny aesthetics. Such uncanny aesthetics has a unique aura to describe the strange and uncomfortable world. In <Three Sisters>, a robot intervenes human life more closely than the other two dramas. It depicted a girl who lived a Hikikomori life and a robot that lived as her substitution. The girl named Ikumi hid herself by transferring her life to the android robot and chose the second life. That is, she died in terms of society to protect herself. As it was the worst choice that people could make, it made the audience to look into their beings. The doppelganger motif made the drama uncanny. The relationship between a robot and a girl intensified the infringement of human existence and led the audience to meditate what a human is. Orija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obot drama through uncanny aesthetics. 본고에서는 히라타 오리자의 로봇연극 <일하는 나> <사요나라> <세 자매>에 나타난 언캐니를 분석했다. <일하는 나>는 일본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이 등장하는 연극이다. <일하는 나>에 등장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의 지시를 따르지 않거나 인간의 언어를 습득하려고 노력 하면서 언캐니한 주체로 거듭난다. 한편 관객은 로봇의 이런 일탈로 섬뜩함을 느끼며 인류의 미래를 두려운 마음으로 성찰할 기회를 갖는다. 작가는 볼거리 수준을 넘어 심미적인 차원에서 로봇을 그리면서 사회적 존재로서의 로봇 위상을 관객에게 전한 것이다. <사요나라>는 의자만 덩그러니 놓인 썰렁한 무대, 검은 빛깔 일색의 무대 미술, 죽음을 앞둔 소녀와 안드로이드 로봇의 냉랭한 소통 등이 암울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작품이다. 특히 죽음에 임박한 소녀를 위해 안드로이드 로봇이 시 낭송한다는 설정은 작품을 적막하게 이끌었는데 이런 암울하고 적막한 요소들이 융합해 언캐니를 발현한다. 인간과 로봇이 공생하는 세계는 죽음의 그림자로 덮여 있고, 원자력 발전소의 폭발로 황무지가 된 땅은 로봇이 인간을 대체해 지킨다. 로봇이 육체적인 면 뿐 아니라 정신의 영역에서도 곧 인간을 압도할 것이라는 디스토피아적 세계상을 언캐니 미학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이런 언캐니 미학은 익숙하면서 편안한 것보다는 낯설면서 불편한 착종된 세계상을 그리기에 독특한 아우라를 발산한다. <세 자매>는 앞의 두 작품보다 로봇의 인간 삶에 대한 개입이 큰 작품이다. 히키코모리 삶을 사는 여성이 안드로이드 로봇을 내세워 자신의 삶을 대리함으로써 빚어지는 사건을 다룬다. 인간 이쿠미는 자신의 삶을 안드로이드에게 이양함으로써 자신을 죽이고 제 2의 인생을 선택한 것이다. 즉 사회적으로 죽음으로써 자아를 보호하기 위한 이러한 선택은 인간이 취할 수 있는 가장 극단적인 것이기에 관객에게 인간 존재의 심연을 들여다보게 한다. 로봇이 인간의 도플갱어라는 관계 설정의 결과가 빚은 인간 실존의 침해를 부각하면서 역설적으로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성찰하도록 이끈 것이다. 오리자는 언캐니 미학으로 로봇연극의 가능성을 우리에게 확인시켰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Human-Robot Cooperative Control Based on pHRI (Physical Human-Robot Interaction) of Exoskeleton Robot for a Human Upper Extremity

        이희돈,한창수,이병규,김완수,길명수,한정수 한국정밀공학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Vol.13 No.6

        This paper proposes a human-robot cooperative control of exoskeleton robot assisting muscle strength of a human upper extremity when lifting or transporting heavy objects. When a human wears a robot, the motions of the human and robot generate interaction, which is called HRI (Human-Robot Interaction). To generate reference motion from the interaction force, a pHRI model was developed using virtual mechanical impedance, and an experimental method to determine the impedance parameters of the pHRI model was proposed. The controller was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he desired motion will be controlled using dynamic model-based compensation. To verify the proposed control method, it was applied to an exoskeleton robot with 6-DOF for both arms. Motion-following-performance experiment and muscle-strengthassisting-effect experiment were conducted using this robot. Experimental results, the wearer of the exoskeleton robot can handle a small force was the heavy object.

      • KCI등재

        장소 맥락에 따른 로봇 얼굴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인식 차이 ‑ 공공장소와 사적장소를 중심으로

        윤지선(Yoon, Jisun),류한영(Ryoo, Han Young),최지원(Choi, Jiwon),정승은(Chung, Seunge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1

        연구배경 오늘날 로봇들은 인간의 감성적인 부분까지도 보살필 수 있는 존재로 주목받으며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로봇들의 외형을 살펴보면 대부분 인간형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얼굴이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로봇에게 있어 얼굴이 중요한 이유는 사용자들이 이들과 상호작용할 때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며, 로봇에 대한 첫인상을 결정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의 대면 상호작용에 있어 공공장소와 사적장소로 분류되는 장소 맥락은 상호작용의 결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의 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사실로 판단된다. 연구방법 다양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는 인간형 로봇의 얼굴 디자인을 얼마나 인간적으로 느껴지는 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그 분류를 활용하여 공공장소와 사적장소에서 수준별 로봇의 얼굴들이 호감도와 지각된 유용성에 대해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는지와 특정 수준의 로봇 얼굴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맥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수준별 분류 조사 결과 로봇의 얼굴 디자인을 인간적인 정도에 따라 5개의 수준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해 가장 추상적인 디자인부터 가장 인간적인 디자인까지를 수준1에서 수준5로 정의하였다. 장소 맥락에 따라 수준별 로봇의 얼굴에 대한 호감도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공장소에서는 수준2, 수준4가 호감도가 높은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사적장소에서는 수준1, 수준2, 수준4가 호감도가 높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수준1의 경우 장소 맥락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장소 맥락에 따라 수준별 로봇의 얼굴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공장소에서는 수준2, 수준4가 지각된 유용성이 높은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수준3과 수준4는 지각된 유용성이 중간인 그룹에도 포함되었다. 사적장소에서는 수준1, 수준2, 수준3, 수준4는 지각된 유용성이 높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로봇의 장소 맥락에 따른 지각된 유용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용자들은 로봇 얼굴의 인간적인 정도를 판단하는 데에 얼굴형보다 얼굴요소 개수에 영향을 받지만, 공공장소와 사적장소에서의 호감도나 지각된 유용성의 경우 얼굴 요소개수와 상관없이 인상을 좌우하는 얼굴형이나 얼굴 요소 간의 비례 등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적장소에서는 공공장소에서와 달리 추상적인 로봇 얼굴 디자인이 거부감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호감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각된 유용성의 경우 장소 맥락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로봇 얼굴을 디자인할 때 사용자가 로봇을 대면하게 되는 장소와 로봇 얼굴 인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Today’s robot has been recognized as a being to care human emotion, and applied to various service fields. Most service robots have human-like design and a human face in common. Designing a face for a robot is important in human-robot interaction because user faces its face at first, and it has the greatest effect on determining the first impression. Furthermore, the context of a place which can be classified as public and private is a major factor for the outcome of the human’s face-to-face interaction, and this seems to be equally applicable to the process of human-robot interaction. Methods This research categorized human-type robot face designs into various levels of similarity with human face, and explored how robot faces are perceived differently for like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in public place and private place and differences of users’ perception about different levels of robot face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places using levels of robot fac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categorizing research. Result In classification research, designs of robot faces were categorized into 5 different levels. The least human-like face design was defined as level-1, and the most human-like face design was defined as level-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keability of the robot fac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lace, level-2 and level-4 were classified as high group in public places, and level-1, level-2, and level-4 were classified as high group in private places, In the case of Level 1, the difference in likeability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la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ption of the robot fac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lace, level-2 and level-4 were classified into groups with high perceived usefulness in public places, and level-3 and level-4 were also included in middle group. In private places, level-1, level-2, level-3, and level-4 were classified as high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in perceived usefulnes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lace of the robot fa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users a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facial elements rather than the face shape in determining the humanity of the robot"s face. But in the case of like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in public and private places, they are more influenced by the proportionality between facial elements. In addition, we find that in private places, unlike in public places, abstract robot face design serves as a factor in reducing repulsion.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lace where the user faces a robot when designing the robot face in the future.

      • KCI등재

        로봇윤리 vs. 로봇법학: 따로 또 같이

        김건우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2

        The questions surrounding “intelligent robots”, or “robot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AI)” gain more and more significance today as these robots give rise to a huge and fundamental impact on society. The questions are commonly addressed by the newly arising fields of study, “robot ethics” and “robot law.” How are then these two inquiries related to each other? Does either of the two require or help the other? Or do they go simply apart? I argue that the relationship at issue is ‘dual’ and ‘complex’ in the sense that follows. On the one hand, given certain issues with regard to intelligent robots, the legal gadgets such as standards, doctrines, theories and framework can often replace the moral ones when the former is relatively definite or agreed but the latter not. This means that morality might team up with law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 On the other hand, without clear legal gadgets, moral ones can often help instead, justifying and thereby filtering out certain legal solutions. Moreover, moral considerations and legal ones can somehow go apart, each pursuing to be a self-contained solution to the issue. In short, law and morality go apart and together−case by case−in the sense that one can often help solving the problems of the other. This line of argument, I argue, is well exemplified by discussion of ethics and law of autonomous vehicles. 오늘날 인공지능과 로봇의 세상이 다가오면서 규범학적 관심에서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두 분야가 바로 로봇윤리와 로봇법학이다. 본고는 다음 질문들을 다룬다. 이 두 분야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가령, 로봇윤리는 로봇법학을 수행하는 데에 필수불가결하게 요청되는 전제인가? 즉 로봇윤리를 논하고 거기에서 일정한 결론을 내려야만 로봇법학을 수행할 수 있는가? 아니면 로봇법학을 논하는 데에 로봇윤리는 불필요하고, 심지어 로봇법학으로 로봇윤리를 대체할 수 있는가? 그리고 그 역(逆)은 어떠한가? 이 질문들에 대해 필자가 제시하는 답은 “따로 또 같이”다. 로봇윤리와 로봇법학의 관계는 “따로 또 같이”라는, 이중적이고도 복합적인 양상으로 나타난다. 우선 법과 도덕이 ‘같이’ 갈 수 있다는 전망, 즉 둘 간의 협업(協業)의 전망은 로봇윤리와 로봇법학 간 협업의 전망으로 재현된다. 지능형 로봇의 활용과 관련하여 윤리적 난제에 당면했을 때 법적 장치를 활용하여 그 문제를 우회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법적 난제에 당면했을 때에 윤리적 고찰을 통해 그 긴장과 교착의 상태를 완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능형 로봇을 둘러싸고 로봇윤리와 로봇법학은 흥미로운 복합적 상관(相關) 하에 놓여 있음이 확인된다. 반면 법과 도덕이 반드시 ‘같이’ 가야만 하는 것은 아니듯이, 로봇윤리와 로봇법학도 그러하다. 지능형 로봇의 사용과 관련해서, 위와 같은 식의 협업, 즉 법이 도덕을 차용하거나 도덕이 법을 차용하는 일이 모든 경우에, 혹은 필수적으로, 요청되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즉 둘은 서로의 관점을 반영하거나 서로의 결론을 활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또한 그러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필자는 지능형 로봇 중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윤리와 법, 특히 그 사고시의 윤리적 책임과 법적 책임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이상과 같은 논지를 예증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래세대를 위한 로봇세 도입에 대한 고찰

        나형종 한국국제회계학회 2022 국제회계연구 Vol.- No.105

        [Purpose]This paper studied the introduction of a robot tax, which is judged to be a tax necessary for future generations. Currently, we do not feel much about the impact of robots on us, but in the near future, we are expected to feel the impact of robots on us as robots replace many of our human roles (Zhang, 2019).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should be viewed from a broader perspective, not simply from a tax perspective. In other words,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should be viewed in terms of social welfare, symbiosis, and sustainability. Therefore,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of introducing a robot tax will be explained, and a specific taxation system will be discussed. [Methodology]Previous overseas studies on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were investigated and presen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at the public thought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Based on thi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were derived. [Findings]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conduc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many objections to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The biggest reasons for opposing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were the ambiguity of the standard target and the increase in the tax burden. The biggest reasons in favor of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were that it i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hat it is used as funds necessary for reemployment of unemployed people due to robots.The suggestions for the taxation system for the introduction of the robot tax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robots replace human jobs, the tax base of robot tax is judged to have the most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purpose of introduction. In this study, when an intelligen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replaces a human job, the intelligen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sets a ‘virtual cost’ that treats like a human, not a tangible asset, and proposes corporate tax and robot tax calculations on the premise. Second, there may be an opinion that the robot tax rate should be set similarly to the tax rate according to the earned income tax base by applying the “virtual cost”, but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the robot tax is to re-education and living subsidies for unemployed, the tax rate is sufficient.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apply a progressive tax rate such as earned income tax,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 single tax rate is possible. Third, the robot tax should be used as a purpose tax for a specific purpose as a tax to be used as a resource for re-education and living assistance for those who lost their jobs after being replaced by robots. It is judged that it is desirable to stipulate it as an independent single law like the law. Fourth, in order to determine the person liable for robot tax, it is necessary to ultimately decide whether to grant a legal personality to the robot. This is because robots can become taxpayers only when their ability to own property is recogni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where there is income, there is tax.” Therefore, it is considered right to view the person liable for robot tax as an intelligent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nd to view a corporation that uses a robot more than a certain size as a taxpayer. [Implications]In order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this study summarized the opinions on the robot tax discussed so far, and investigated the opinions of the people on the robot tax and present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establishing a robot tax system in the future. [연구목적]본 논문은 미래세대에 필요한 조세로 판단되는 로봇세 도입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현재는 로봇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별다른 체감을 느끼지 못하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우리 인간의 많은 역할을 로봇이 대체함에 따라 로봇이 우리에게 미치는 충격을 절실하게 체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Zhang, 2019). 로봇세의 도입은 단순히 조세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것이 아니라 보다 넓은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즉, 로봇세의 도입은 우리 사회복지와 공생 그리고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이에 로봇세 도입의 필요성 및 당위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구체적인 과세체계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로봇세 도입에 대한 해외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로봇세 도입에 대하여 국민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로봇세 도입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본 연구에서 진행한 로봇세 도입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로봇세 도입에는 전반적으로 반대 의견이 많았다. 로봇세 도입에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기준 대상의 모호성과 세금부담 증가가 가장 큰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로봇세 도입에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다는 점과 로봇을 인한 실업자들의 재취업에 필요한 자금으로 사용된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로봇세 도입을 위한 과세체계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세의 과세표준은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경우에 그 로봇을 활용하는 사람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방법이 그 도입 취지와 가장 인과관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인공지능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대체하는 경우 그 지능형 인공지능 로봇은 유형자산이 아닌, 사람처럼 취급하는 ‘가상(假象)의 비용’을 설정하고 이를 전제로 한 법인세 계산 및 로봇세 계산을 제안한다. 둘째, 로봇세의 세율은 ‘가상의 비용’에 얼마의 세율을 적용하여 로봇세를 부과할 것인지는 근로소득세 과세표준에 따른 세율과 유사하게 설정하자는 견해도 있을 수 있으나, 로봇세의 도입 취지가 실직자를 위한 재교육 및 생활보조자금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통상의 근로자가 재교육을 받기 위해서 필요한 자금 및 최저생계비 정도의 금액을 마련할 수 있는 세율이면 족하다. 따라서 반드시 근로소득세와 같은 누진세율을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며, 단일세율도 가능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로봇세는 로봇으로 대체되어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의 재교육 및 생활보조 등의 재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세금으로 특정한 목적을 위한 목적세로 하여야 한다. 법처럼 독립된 단일법률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넷째, 로봇세의 납세의무자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로봇에게 법인격을 부여할 지에 대해서 결정해야 한다.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는 원칙에 따라 로봇 스스로 재산을 소유하는 능력이 인정되어야 로봇이 납세의무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봇세의 납세의무자를 지능형 인공지능 로봇으로 볼 수는 없으며, 로봇을 활용하는 일정규모 이상의 법인을 납세의무자로 보는 것이 옳다고 사료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급변하 ...

      • KCI등재

        우리나라 로봇세제 도입 방안

        유호림 한국조세연구포럼 2022 조세연구 Vol.22 No.3

        [Purpose]Based on the legal, social, and financial demands of the ‘robot tax’, this study focused on deriving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robot tax’ for each tax item and establishing a tax source management system in detail.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excess income of robots is based on data provided free of charge by the people, it was intended to propose a plan to use the tax revenue of ‘robot tax’ as a source of social distribution. [Methodology]In this study, to propose a specific introduction plan and tax source management system of ‘robot tax’.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major regulations recommended by the EU’s “European Civil Law Rules on Robotics” and related provisions of Korea’s tax and civil law, and research on related literature such as robot papers and books was also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robots. [Findings]In order to implement the ‘Robot Tax’ in Korea, the ‘Robot Registra tion Act’ was enacted in addition to the regulations on goods of the ‘Civil Act’ to present the legal nature of robots and their management methods in detail, and then the ‘Robot Tax Management System’ was proposed for each tax item. [Implications]The concept of ‘electronic goods’ was proposed as a revision of the ‘robot tax’ related ‘civil law’ proposed in Chapter Ⅲ of this study, and specific taxation methods were proposed for each tax item rather than for ‘robot tax’, so the conclusions and proposal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great in the future. [연구목적]본 연구는 ‘로봇세’의 법률적․사회적․재정적 수요에 기초하여 ‘로봇세’의 시행방법을 각 세목별로 도출하고 세원관리시스템을 구체적으로 구축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밖에 특히 로봇의 초과수익은 국민들이 무상으로 제공한 데이터에 기반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로봇세’의 세수입을 사회적 분배의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로봇세’의 구체적인 도입방안과 세원관리시스템을 제안하기 위하여 EU의 「European Civil Law Rules on Robotics」에서 권고하고 있는 주요 규정과 우리나라의 관련 세법 및 민법 관련 조문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로봇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로봇 관련 논문과 서적 등 관련 문헌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로봇세’를 시행하기 위하여는 「민법」의 물건에 관한 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으며, 로봇에 대한 법적 성격에 기초하여 각 세목별로 구체적인 ‘로봇세’의 과세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로봇세의 징수관리를 위하여는 「로봇등기법(로봇등록법)」을 제정한 후, 그 등기(등록) 정보에 따라 세원을 관리하도록 하는 ‘로봇세세원관리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에서는 ‘로봇세’ 관련 「민법」의 개정방안으로써 ‘전자물건’의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로봇세’에 관한 찬반론이 아닌 각 세목별로 구체적인 과세방법과 징수관리를 위한 ‘로봇세세원관리시스템’을 최초로 제안하는 등 향후 ‘로봇세’의 시행에 필요한 구체적인 법률 개정 방안과 징수관리시스템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사용자의 감성에 동조화된 로봇의 감정 표현 디자인 및 구현

        조흥목(Jo Heungmok),김태완 (Kim Taiwan),박태근(Park Taekeu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지난 일정 기간 동안 로봇이 다양한 응용을 위하여 개발되면서 로봇의 기능과 외관이 지속적으로 바뀌고 있다. 로봇은 크게 산업용 로봇 전문적 서비스 로봇 개인적 서비스 로봇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개인적 서비스 로봇 중에서 감정 표현이 가능한 콘텐츠 로봇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되는 로봇은 사용자의 감성에 반응하기 위하여 사람들의 터치로부터 사용자의 감성을 파악하고 행복 슬픔 화남 긴장 평상 감정 중에서 적절한 감정 표현을 표현하도록 구현된다. 콘텐츠 로봇의 다양한 수준의 감정 표현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상에서 언급한 5가지 감정을 56가지의 세부 감정으로 분류한 뒤 각각의 세부 감정에 대한 눈과 입의 모양과 팔 다리 귀의 움직임을 디자인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되는 콘텐츠 로봇은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개인적 서비스 로봇분야에서 사용자의 감성에 반응하는 콘텐츠 로봇의 디자인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obots have been developed for many different applications and their design are changing. Basically robots may be categorized into industrial robots professional service robots and personal service robots. In this paper we develop a content robot which can express emotion and is one of the personal service robots. In order to understand user's affection the content robot has five touch sensors an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the robot chooses and expresses the proper emotion among happiness sadness anger frustration and neutral state. We additionally divide the five emotions into 56 detailed emotions so that the content robot can express more detailed emotion and then we design not only the shape of its eyes and nose but also the movement of its arms feet and long ears. Our content robot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design of a personal service robot that can affiliate to the user's af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