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Assessment of the Strength of Association between Stated and Revealed Risk-Preference Measures

        John E. Grable,So-Hyun Joo(주소현),Eun-Jin Kwak(곽은진) 한국FP학회 2020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3 No.3

        개인의 재무의사결정은 위험에 대한 선호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 일반적으로 위험에 대한 선호는 위험선호가 응답에 의해 드러나도록 측정하는 방식과 자신의 선호를 직접 지정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측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두 가지 방식의 상호 관련성을 평가한 연구는 많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위험선호가 드러나도록 측정하는 방식과 자신의 위험선호를 지정하는 방식이 서로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가에 대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들이 자신의 위험선호를 지정할 때 얼마나 과대 혹은 과소 평가 하는가와 평가에 의한 위험선호가 실제 위험추구 행동과는 어떠한 관련을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53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드러난 위험선호와 지정한 위험선호가 동일하게 나타난 사람들은 응답자의 약 36%였으며, 자신의 위험선호를 지정하는 경우 드러나는 경우보다 과대평가하는 사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의 위험선호를 드러나도록 측정하는 방식과 지정하여 측정하는 방식은 실제 위험추구행동과 관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두 가지 방식 중에서 어떠한 방식이 더 우위에 있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개인의 위험선호를 측정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투자의사결정에서 개인의 선택을 측정할 것인지 혹은 위험추구 행동에 참여하려는 의향을 측정할 것인지를 파악해야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dividual financial decision making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each decision maker’s risk preference. In general, risk preference has been measured either as a stated preference or as a revealed preference. While each assessment method has its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association between these two measurement techniq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regarding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stated and revealed risk-preference assessments. In addition, the extent to which people under- or over-state their preference for financial risk was evaluated by estimating how risk-preference assessment congruency is associated with risk-taking behavior. Using a survey with 534 adults,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while scores from stated and revealed financial risk-preference tests are not perfectly fungible, for over one third of individuals, there appears to be congruency between what is stated and what is revealed. For those who exhibit less preference congruency, differences do not appear to be related to risk-taking behavior. A financial decision maker’s revealed risk preference and the same person’s stated risk preference are related to financial risk-taking behavior.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choice of one measurement technique over another by researchers, policy makers, and investors should not necessarily be made with an assumption that one assessment procedure is better than the other. What may be more important is understanding what is needed in the context of the risky decision being faced by a decision maker, be it a measure of choice or a measure of willingness.

      • KCI등재

        사회적 네트워크는 금융소비자의 위험선호를 증가시키는가?: 자기해석이재무적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역할 검증

        하영원 ( Young-won Ha ),김영두 ( Young Doo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2

        소비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자기해석(self-construal) 및 문화의 영향을 검증해 보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자기해석(예컨대 독립적/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국가, 국적 혹은 지역적 구분과 같이 문화권 간 집단 수준에서 문화를 해석할 때 뿐 아니라 구성주의 혹은 상황주의적 접근을 통해 동일 문화권 내 개인 수준에서의 문화를 해석할 때에도 문화의 대용지표로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집단 수준(예컨대 동양 대 서양) 혹은 개인 수준(예컨대 자기해석)의 문화가 위험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동양은 서양에 비해 위험회피 수준이 높거나 위험추구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무적 영역에서는 문화가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독립적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상호의존적 자기개념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 비해 위험선호가 높게 나타난 연구가 있는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을 가지고 있는 사람(혹은 동양)이 독립적 자기해석을 가지고 있는 사람(혹은 서양)에 비해 위험선호가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Hsee & Weber(1999)는 후자와 같은 현상을 완충(cushion)가설, 즉 사회적 네트워크가 실패에 대한 일종의 완충 역할을 수행하는데 실패했을 경우 사회적 네트워크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수가 동양이 서양에 비해 많으므로 동양이 서양에 비해 재무적 영역에서는 위험추구 현상을 보인다는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문화가 재무적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네트워크가 매개하고 있음을 보여준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자기해석이 재무적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네트워크가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보다는 상황(이익영역 혹은 손실영역)에 따라서 그리고/혹은 자기해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상이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음에 주목하여 이를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존 연구에서도 밝혀진 이익 보다는 손실영역에서 위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현상을 검증한 것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항이 발견되었다. 첫째, 재무적 영역(이익영역과 손실영역)과 사회적 네트워크 간에 이원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재무적 영역에 따라 사회적 네트워크가 위험선호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익영역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재무적 위험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위험 선호 증대)을 미치지만 손실영역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재무적 위험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무적 영역,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자기해석 간에 삼원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특히 손실영역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와 자기해석 간 상호작용이 발생하였으며, 독립적 자기해석이 강할수록 사회적 네트워크가 증가함에 따라 위험선호도는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발견사항들과 관련하여 마케팅 및 소비자학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self-construal, as a proxy for intra-cultural (e.g., European American vs. Asian American) and inter-cultural variations (e.g., Western vs. Easter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rketing, consumer behavior, and decision making. For example, it has been reported that motivation, consumer preference, attitudes toward brand extension, brand choices, new product adoption, persuasion, and negotiation were influenced by self-construal. A bulk of studies reported that Eastern people (e.g., Asian) tended to be less risk-seeking or more risk-averse than Western people (e.g., American, European) within the social domain. Within the financial domain, however, reports have shown mixed findings. Whereas some reports have shown that Asian people (e.g., Chinese individuals), or those who hav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ve higher risk preferences than Western people (American individuals), or those who have independent self-construal in both gain or loss domains when considering financial decision making (Hsee & weber 1999; Mandel 2003), other research findings have demonstrated the opposite (Hamilton & Biehal 2005) or no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background and risk preference (Li, Bi, & Zhang 2009). Some researchers have insisted that because Asian people, or those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end to have larger social network compared to Western people, or those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this can help the decision maker in the case of a failure (called the ‘cushion hypothesis’). They, therefore, had higher risk preferences when compared to Westerners. Social network size was found to support and mediate these preferences. In this study, however, the authors proposed that social network size strengthened risk preference in the gain domain, while lessening risk preference in the loss domain. And in the loss domain, social network interacted with self-construal. That is to say, the objective of the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tial role of social networ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 and financial risk preference. Prospect theory predicts that people are generally risk-averse in the gain domain, whereas risk-seeking in the loss domain. In the gain domain, however, because people preferred implicit social support and decision makers expected to receive im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even after a failure to decision making, risk preference was strengthened with increased social network size. In the loss domain, decision makers expected to receive both implicit and ex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While European Americans were willing to receive ex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they experienced stress when facing implicit social support. Stress led self-construal to reach lower level, and when low construal level was boosted, people thoroughly investigated and dwelled on the negative aspects. Therefore, independent self-construal lessened their risk preference in the loss domain as social network increased. Whereas Korean Americans were unwilling to receive explicit social support from their social networks, they experienced low levels of stress when facing implicit social support. This means that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compared to independent self-construal, strengthened their risk preferences in the loss domain as social network size increased. Therefore, the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and/or self-construal interact in relation to social network.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llowing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was found to differentially influence financial risk preference. Financial risk preference was higher in the loss domain than the gain domain. Second, social network interacted with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This means that social network was found to moderate the impact of financial domain (gain vs. loss) on financial risk preference. More specifically, social network size positively influences financial risk preference in the gain domain but not the loss domain. Third, a three-way interaction was found among three variables (financial domain, social network size, and self-construal). More specifically, social network size interacted with self- construal in the loss domain. Independent self-construal relatively decreased financial risk preferences in the loss domain as social network size increa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marketing and consumer studies.

      • KCI등재

        기업수익성과 경영자의 경영위험 선택

        김동철(Dong C. Kim) 한국관리회계학회 2007 관리회계연구 Vol.7 No.2

        기업경영자는 일반적으로 동종 산업에 속한 다른 기업들의 실적과 비교하여 자신의 경영성과를 판단하게 된다. 프로스펙트이론(Kahneman and Tversky 1979)에서도 기업의 경영성과는 경쟁상대 기업들의 경영성과와 비교하여 판단하는 상대적 성과평가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스펙트이론의 판단기준점을 중심으로 손실영역에서는 위험추구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이익영역에서는 위험회피경향을 나타내는 반전현상(reflection effect)을 이론적 배경으로 기업수익성과 경영자의 위험부담선택의 상관관계에 대한 실증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 자기자본이익률로 측정된 기업수익성과 자기자본이익률의 변동성으로 측정된 기업위험의 관계는 판단기준점인 각 산업평균자기자본이익률수준을 중심으로 구역별로 차별화되는 구역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각 산업의 평균자기자본이익률을 기준으로 평균에 미달하는 기업들은 기업수익성과 기업위험이 음(-)의 관계를 나타내는 반면 평균이상의 기업들은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경영자가 자신이 경영하는 기업의 수익성이 기대수준인 산업평균에 미달하는 경우 손실영역으로 인식하여 높은 위험을 부담하는 위험추구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산업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은 이익영역으로 인식하여 더 이상의 위험부담을 회피하는 위험회피경향에 기인하고 있다. 이러한 경영자의 위험부담경향은 손실회피현상과 결합하여 이익영역에 비하여 손실영역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prospect theoretic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and return for firms. Kahneman and Tversky(1979) proposed prospect theory as an alternative theory of decision-making behavior under risk. They suggests that risk preferences are domain-specific; that is, latent risk preferences translate into differing manifest risk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context, namely gains or lo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such an asymmetric attitude toward risk also applies to managerial decision making processes in Korea and to extend the existing literature by providing theoretic explanation of differential degrees of association depending on firm's return status around target level. Previous studies in the risk return relationship have documented negative association below target and positive association above. The latent literature attributes the compartmentalization of the risk and return relationship to the reflection effect, but it neglects to explain the differential degrees of association. The reflection effect refers to the tendency to reverse risk preferences around a reference point, which is, risk seeking for losses and risk aversion for gains. Loss aversion based on the prospect theory's asymmetric value fun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s of the theory. Loss aversion posits that managers have the tendency to seek risk when faced with possible losses, and to avoid risk when a certain gain is possible. Such an asymmetric value function around a reference point induces weaker associations above target return than below target retur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ntains accounting measures of returns of 1,027 individual firms in 18 different industries. Our result confirms that the validity of prospect theoretic explanation of the explored phenomenon. Our result also suggests loss aversion is more pronounced in below average groups than in above average group. Loss aversion can explain the differential association depending on firm's return status in regard to target return.

      • KCI등재

        Risk Aversion and Labor Decision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France

        정세은 한국EU학회 2016 EU학연구 Vol.21 No.1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ttitudes towards risk could explain how individuals behave in the labor market, and specifically whether gender differentials in the market could be explained by adding risk aversion as a factor in individual heterogeneity. I exploit data from the Korea Labor Income Panel Study (KLIPS) and PSE Attitudes, comportements des Francais vis-a-vis de l’espargne en 2009. To measure of risk aversion, I construct variables using several questions assessing attitudes towards risk. I investigate three questions: the impact of risk aversion on educational decisions, the impact of risk aversion on wages, and the impact of risk aversion on job sorting. The evidence indicates that individuals with high risk aversion tend to (1) pursue fewer years of schooling, (2) have lower wages in a Mincer regression, and (3) be sorted more into the public sectors that have higher levels of job security but also lower wages. This pattern is found in both the South Korean and French labor markets. Also, gender differences in the labor market seem to be partly explained by risk aversion. Women in general are more risk averse which may let them choose lower level of education and public sector jobs. However, risk aversion could not explain significantly why female wage is a lot lower than male’s. While risk aversion in French data can predict well the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al choices, in Korea where the social preference towards higher education and women’s working in the public sector is large, risk aversion is not strong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ir choices. This present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erms of labor conditions and social norms between Korea and France.

      • KCI등재

        Risk Aversion and Labor Decision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France

        ( Seeun Jung ) 한국EU학회 2016 EU학연구 Vol.21 No.1

        이 논문은 노동시장에서 개인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특히 남녀격차가 왜 발생하는지 개인의 위험회피도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한국노동패널 (Korea Labor Income Panel Study)과 프랑스의 PSE Attitudes, comportements des Francais vis-a-vis de l`espargen 서베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인의 위험회피도를 측정하였다. 노동시장에서의 중요한 화두인 세가지 문제들을 (1. 교육수준, 2. 임금수준, 3. 직업군 선택) 개인의 위험회피도가 얼마나 설명 가능한지 분석하였다. 결과는 한국과 프랑스 양국에서 위험회피성이 높을수록 낮은 교육을 선택하고, 저임금을 받고, 안전하지만 저임금군인 직종에 머무르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노동시장에서의 남녀차이 역시 위험회피성으로 어느 정도 설명 가능 한 것으로 보인다. 통상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욱 위험회피적인 성향을 가지는데, 이는 여성의 교육수준, 저임금군선택을 함에 있어 어느 정도 기여를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남성에 비해 저임금을 받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에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프랑스의 개인이 교육이나 직업선택에 있어서 위험회피성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한국의 개인은 고등교육과 여성의 공공기관 직업에 대한 사회적 선호가 뚜렷하므로 위험회피성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과 프랑스의 노동시장과 사회적 함의의 차이점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attitudes towards risk could explain how individuals behave in the labor market, and specifically whether gender differentials in the market could be explained by adding risk aversion as a factor in individual heterogeneity. I exploit data from the Korea Labor Income Panel Study (KLIPS) and PSE Attitudes, comportements des Francais vis-a-vis de l`espargne en 2009. To measure of risk aversion, I construct variables using several questions assessing attitudes towards risk. I investigate three questions: the impact of risk aversion on educational decisions, the impact of risk aversion on wages, and the impact of risk aversion on job sorting. The evidence indicates that individuals with high risk aversion tend to (1) pursue fewer years of schooling, (2) have lower wages in a Mincer regression, and (3) be sorted more into the public sectors that have higher levels of job security but also lower wages. This pattern is found in both the South Korean and French labor markets. Also, gender differences in the labor market seem to be partly explained by risk aversion. Women in general are more risk averse which may let them choose lower level of education and public sector jobs. However, risk aversion could not explain significantly why female wage is a lot lower than male`s. While risk aversion in French data can predict well the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al choices, in Korea where the social preference towards higher education and women`s working in the public sector is large, risk aversion is not strong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ir choices. This present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erms of labor conditions and social norms between Korea and France.

      • Risk Attitudes of Investment Bankers : Are they risk-lovers? Experiment and Survey on Investment Bankers

        JUNG SEOK WOO,HYOUNG-GOO KANG 한국재무학회 2016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05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isk attitudes of investment bankers with experiment and survey. The experiment measures risk preferences through multiple risky lottery choices,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explores the willingness to take instrumental and stimulating risks. We consider both tradition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dimension. The investment bankers in our sample are more willing to take instrumental risks than other groups. Within the investment banker group, traders and analysts, who put financial theory into actual practice, show markedly higher levels of risk preference converging near risk-neutralit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nature and nurturing environment of investment bankers matters as well as compensation schemes and organization structure.

      • KCI등재

        우량체보험 가입조건에 대한 근시안적 편향과 평가모드에 따른 선호역전

        이찬희(Chan Hee Lee),김호일(Ho Il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4

        본 연구는 우량체보험 가입조건에 대한 근시안적 편향과 평가모드에 따른 우량체보험 가입조건의 선호역전을 실증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대학의 재학생(N=136)을 대상으로 실험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우량체보험의 가입조건에 대해 현재의 작은 이익인 보험료 할인을 미래의 큰 이익인 보험금 증액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와 같이 미래의 큰 이익보다 현재의 작은 이익을 더 선호하는 근시안적 편향을 보여주었다. 우량체보험 가입조건의 공동평가와 분리평가에서 공통적으로 보험료 할인을 보험금 증액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평가모드에 따라 선호역전이 발생한 선행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인 이유는 보험상품 고유의 특성인 무형상품, 미탐색품, 구매와 효용 간의 긴 시차 등의 영향과 사망위험을 보장하는 정기보험에 대한 니즈가 상대적으로 낮은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점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미개척분야인 행동보험학과 보험계약 체결단계에서 보험모집인이 우량체보험의 가입조건을 제시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myopic bias for the preferred-risk-insurance subscription conditions and the preference reversal of the preferred-risk-insurance subscription conditions according to evaluation mod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N=136) of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emium discount, which is a small gain in the present, is more preferred than an increase in insurance money, which is a big gain in the future, for the preferred-risk-insurance subscription conditions. This showed a myopic bias in favoring small gains in the present over big gains in the future, as in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 preference was not reversed according to the joint and separate evaluation of preferred-risk-insurance subscription conditions. In the joint and separate evaluation of preferred-risk-insurance subscription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the premium discount was more preferred than the increase of insured amounts in common,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howing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which preference reversal occurred by evaluation mode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insurance product, such as intangible goods, unsought goods, and long time lag between purchase and utility. It is thought tha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20s who have relatively low needs for term life insurance that covers the risk of dea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behavioral insurance which is an unexplored field, and in the presentation of subscription conditions of preferred risks at the stage of signing an insurance contract.

      • KCI등재

        방한 중국인의 한류선호도,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김민숙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2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out determinants affecting a medical tourist’s decision making.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Korean Wave preference and perceived risk on purchasing intention in medical tourism. The Korean Wave is not a temporary trend, and has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Korean cultural preference and competitiveness of Korean medical tourism industry. The Korean Wave preference and perceived risk of foreigners who have visited Korea can affect directly or indirectly purchasing intention of potential medical tourists due to their favorable attitude toward Korea. In previous research, the Korean Wave preference has been conceptualized uni-dimensionally even it has a multi-dimensional attributes. This study conceptualized Korean Wave preference multi-dimensionally which is made up of Korean Wave interest, Korean Wave contact and Korean Wave influence. The perceived risk of purchasing medical service also has been conceptualized without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medical service. Perceived risk in medical tourism, therefore, needs to be newly defined and operationalized to reflect the unique attributes of medical service. This paper developed two types of perceived risk such as perceived expectation discrepancy and perceived medical malpractice risk. Empirical analysis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s that most hypotheses but one were supported within the significance level of 10%. The result of hypotheses testing shows that the high level of contact with the Korean Wave reduces the perceived risk of medical malpractice but not the one of expectation discrepancy. And Korean Wave interest and Korean Wave influe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eduction of both perceived risks of expectation discrepancy and medical malpractice. The lower the perceived expectation discrepancy risk and perceived medical malpractice risk, the higher the medical tourism purchasing intention.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s theoretical validity is verified. 그 동안 의료관광객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인 결정요인으로 한류선호도와 지각된 위험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한류는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선호도와 의료관광산업의 경쟁력을 창출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외국인의 한류에 대한 선호도는 한국에 대한 호감과 태도를 통해 의료관광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첫째 한류선호도를 관심도, 접촉도, 영향도 등과 같이 다차원적으로 개념화하였다. 둘째, 의료관광에 수반되는 고유한 위험을 반영하기 위해, 지각된 위험의 유형을 크게 기대불일치 위험과 의료과실위험으로 새롭게 제시하였다. 이러한 유형은 의료관광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방한 경험이 있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한류에 대한 선호도와 지각된 위험이 의료관광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한 실증분석의 결과 유의수준 10%에서 대부분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가설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한류접촉도가 높다고 해서 지각된 기대불일치가 낮아지지는 않지만 지각된 의료과실위험은 낮아질 수 있다. 한류선호도를 구성하는 요인들이 지각된 기대불일치 위험과 의료과실 위험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러한 기대불일치 위험과 의료과실위험을 낮게 지각할수록 의료관광 구매의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한류선호도가 높아질수록 지각위험이 낮아지며, 한국의 의료관광에 대한 구매의도가 높아진다는 연구모형의 타당성은 입증되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내재위험회피도에 반영된 기대와 위험선호의 이질성

        변영태 ( Young Tae Byun ),이명철 ( Myung Churl Yi ),강태훈 ( Tae Hun Kang ) 한국재무관리학회 2010 財務管理硏究 Vol.27 No.4

        본 연구는 Ait-Sahalia and Lo(2000), Jackwerth(2000), Perignon and Villa(2002) 등의 기존 연구들에서 발견된 내재위험회피도의 이례현상이 국내 금융자본시장에서도 관찰되는 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투자자 기대의 이질성을 중심으로 이례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능한 원인을 고찰하였다. 내재위험회피도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론으로는 Bliss and Panigirtzoglou(2004)과는 달리 완성시장의 가정과 효용함수의 범위를 사전적으로 제약하지 않으며, 기초자산 가격의 상태별로 시간가변적인 내재위험회피도를 추정할 수 있는 Jackwerth(2000), Ait-Sahalia and Lo(2000)의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KOSPI 200 지수와 지수옵션시장의 경우에도 선물가격 근처에서 스마일의 형태를 가지며, 음의 값을 가지는 내재위험회피도의 이례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주 관적확률분포의 추정기간이 줄어들수록 스마일의 굴곡도 단조감소하기 때문에, Ziegler(2007)가 이론적인 모형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지적하였던 투자자의 이질적 기대가 스마일의 이례현상을 설명하는 가능한 원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질적 기대로 인한 스마일의 패턴이 제거된 상대 위험 회피도 는 부의 수준이 증가할 때 단조 감소 하였는데, 이는 Benninga and Mayshar(2000)와Ziegler(2002)에 의해서 이론적으로 증명되고 Kliger and orilevy(2002)에 의해서 실증적으로 확인된 것처럼, 투자자의 위험선호가 이질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투자자들의 위험선호가 이질적일 경우, 음의 위험회피계수는 위험 선호적으로 의사 결정하는 투자자들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anomaly patterns of implied risk aversion obtained by comparing the statistical density of KOSPI 200 index returns and the state-price density implied in KOSPI 200 index options prices and potential source of the anomaly patterns with heterogeneous beliefs as center. The anomaly patterns can be summarized as pronounced U-shaped patterns and negative values of risk aversion. The methodology of Jackwerth(2000), Ait-Sahalia and Lo(2000)is used to infer implied risk aversion, which can estimate time-varying implied risk aversion functions across each state of underlying asset price at option`s maturity and do not need ex-ante assumptions of a complete market and the specific utility function of representative agent.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mplied risk aversion estimates are puzzling, exhibiting pronounced U-shaped patterns and negative values. Secondly, the smile patterns of implied risk aversion functions across several estimation periods of the subjective distributions suggest that heterogeneous beliefs are likely cause of the smile. When the smile patterns caused by heterogeneous beliefs are disappeared after applying subjective distributions having short-term estimating periods, preferences of the pricing-representative agent exhibit decreasing relative risk aversion functions. According to the theory derived by Benninga and Mayshar(2000),the essence of this results is heterogeneity in investor attitudes towards risk. Lastly, because of the investors` risk preferences heterogeneity, negative values of risk aversion imply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some investors who like to take risk and is even willing to pay for it.

      • KCI등재

        개인의 위험 선호와 보수체계: 고정급과 성과급의 선택을 중심으로

        이인재 통계청 2019 통계연구 Vol.24 No.4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individual risk preference on their choice of the methods of pay. Unlike fixed pay, performance pay has earnings risk contingent on the performance of an individual or a group. Therefore, risk-averse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prefer fixed pay than performance pay. Using the information on risk preference and the methods of pay in the 10th wave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paper tests this risk-sorting hypothesis. The results from the multinomial logit and multinomial probit models show that risk-averse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be selected into fixed pay and group performance pay, compared to individual performance pay. This result suggests that individuals are sorted into fixed and performance pay in the labor market according to their risk preferences. 본고는 개인의 위험선호(risk preference)가 보수체계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성과급(performance-base pay)은 고정급(fixed pay)과는 달리 성과에 따른 임금의 변동이라는 위험을 내포한다. 따라서 위험기피적인 개인일수록 성과급보다는 고정급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노동패널 10차년도의 위험선호와 보수체계 정보를 이용한 다항로짓(multinomial logit) 모형과 다항프로빗(multinomial probit) 모형의 추정결과에 의하면, 위험기피적 개인은 위험중립·선호적 개인에 비해 개인 성과급이 지급되는 일자리보다 집단 성과급 및 고정급이 지급되는 일자리를 선택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노동시장에서 보수체계의 선택에 관하여 개인의 위험선호에 따른 선별(sorting)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