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계열 대학원생의 과제 의미 인식과 질적연구방법론 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이인수(Lee In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교육계열 대학원생의 과제 인식과 과제 대처 양상, 그리고 질적연구방법론 수업경험이 주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교육계열 대학원생 8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부터 6월까지 2회에 걸쳐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고, 추후 개별 면담을 통해 지속적으로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원생들은 수업 시작 전과 수업 과정 중 과제 수행 단계, 그리고 과제 수행 후 과정을 거치면서 과제에 대한 인식, 과제에 대한 대처 양상, 그리고 수업경험이 주는 의미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처음에는 과제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으나 질적연구방법론 과제를 수행하면서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과제에 대한 대처 양상은 ‘과제의 양과 질 사이에서 줄타기’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수업 과정 중 과제 수행 단계를 거치면서 과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거나 과제의 의미를 발견하게 되기도 하였다. 수업경험에서는 ‘쉬우면서 핵심을 짚어주는 교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으며, 과제 수행 이후 과제에 대한 인식은 ‘기초가 없어 힘들었지만 전체 개념이 잡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수행 이후 대처 양상은 학습자의 니즈 부합 여부에 따라 ‘과제를 위한 과제’ vs ‘연구 수행에 큰 도움’이라는 2가지 양상이 나타났으며, 수업경험에서는 ‘자신이 할 연구를 자꾸 상상해보게 하는 과제’ 혹은 ‘미래에 좋은 연구자가 되기 위한 여정’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대학원생의 과제와 연구 수행 역량 간의 관계에 대한 고려를 통해 대학원 질적연구방법론 수업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in depth the task awareness and task response patterns of graduate student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meaning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lass experience. To this end, the researchers conducted thre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between April and June 2019 for eight graduate students in the education field. As a result of the study, graduate students were positively changing before and during the course of the class, during the course of the task performance, and in the sense of task awareness, task response patterns, and classroom experience, with many negative perceptions of the task at first, but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ask being carried out. The response to the task was shown as a tightrope betwee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task and as we went through the task performance phase, we became positively aware of the task or discovered the meaning of the task. The class experience presented the need for a textbook that makes it easy and points to the core, and the perception of the task after the task was difficult due to lack of foundation, but the whole concept was found to have been captured. After the assignment, two aspects of coping have been found: Task for the task vs Help for the study depending on the learner s needs, and the classroom experience has shown that it is a task that keeps you imagining your own research or a journey to become a good researcher in the future. This understanding is expected to enable class design through consideration between graduate students tasks and their ability to conduct research.

      • KCI등재후보

        한국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담당업무와 시험자가 인식하는 적절업무

        정인숙 대한임상약리학회 2011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Vol.19 No.2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current tasks done by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CRCs) and appropriate tasks of CRCs perceived by investigators, and to classify tasks for CRCs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standard, recommended, considered and limited task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533 CRCs and 114 investigators who have employed CRCs.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32 possible tasks of CRCs from August to November, 2010.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version 18.0) with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ere were 24 tasks being done by more than half of CRCs, and 15 tasks by more than 75 % of CRCs among 32 possible tasks. The most common task done by CRCs was 'collecting data based on the protocol' and the next was 'scheduling of subjects'. More than half of investigators perceived that all tasks but budgeting appropriate to be done by CRCs, and 18 tasks by more than 75 % of investigators. 13 tasks were classified as standard tasks, 14 as recommended tasks, four as considered tasks, and one as limited task. Conclusion: Standard and recommended tasks for CRCs in Korea have been drawn based on the current tasks done by CRCs and appropriate tasks of CRCs perceived by investigators. It is recommended that investigators utilize this results when they delegate tasks to CRCs and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could be provided so that CRCs perform standard and recommended tasks proficiently.

      • KCI등재

        해방 이후 제주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홍기표(Hong Ki-pyo) 제주학회 2018 濟州島硏究 Vol.50 No.-

        해방 후 제주사에 대한 연구사 정리는 그 동안 세 차례 있었다. 1983년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소, 1991년 제주도사연구회, 2011년 제주학회에서 수행하였다. 각각 당시까지의 제주사 연구 논저를 시대별, 주제별로 파악하여 그 성과를 검토하였다. 거기에 연구자 및 연구기관까지 소개하며 제주사 연구의 주체들을 파악할 수 있었다. 1983년의 연구사 정리는 1945년부터 1970년대 말까지 35년간 국내외에서 간행 발표된 역사 고고 분야에서의 제주도 관계 제반 논저를 개괄, 정리하였다. 1991년의 연구사 정리는 1980년대 논저를 대상으로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 두 차례의 연구사 정리는 제주사 연구 풍토나 역량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을 때의 산물이었다. 따라서 비교적 소량의 논저를 대상으로 그 내용과 비판 및 향후 주제 제시까지 세밀히 정리하였다. 2011년의 연구사 정리는 앞의 두 차례와 달리 내용의 소개와 검토까지 이루지는 못했다. 그 이유는 1990년대 이후 제주사 연구자의 증가, 연구기관(단체)의 창립이 이어지면서 다량의 연구 논저들이 쏟아져 나왔기 때문이었다. 본고는 이상의 연구사 성과를 검토한 후, 다음의 세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춰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째, 시대별 연구주제(연구자)와 전망. 둘째, 제주사 연구기관과 그 성과. 셋째, 제주사 연구과제 검토와 전망. 필자는 이상의 논지를 전개하기 위해 해방 이후부터 2017년 현재까지 제주사 관련 논저 목록을 작성 하였다. 논저는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연구휘보』 및 각 기관(단체)의 학술지 목록 등을 참고하여 대략 1,000편 전후가 수집되었다. 이상의 논저를 시대별, 주제별, 기관(단체)별 등으로 분류한 뒤 다음의 세 가지 목표를 설정하여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째 제주사의 주요 논저 목록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둘째 향후 제주사의 시대별 연구 방향과 주제를 제시한다. 셋째 제주사 연구의 과제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After liberation, there had been three times of study on history of Jeju so far. One of them had been taken by “Tamra” culture research institute in Jeju university in 1983, the other one taken by research society of history of Jeju in 1991 and lastly, taken by Jeju Academy in 2011. Each of them reviewed the outcome of studies by figuring out the research paper chronologically and per subjects. On top of that, it informed researchers and research institute which makes people can grasp who is the main agent of the research. First of all, the review of study in 1983 organized and summarized the books related history and archaeology field of Jeju from 1945 to the late 1970s. Second of all, the review of the study in 1991 provided a brief introduction to contents of books in 1980s and present future research tasks. These two times of studies had been done while the capability and condition of history research was not in good order. Therefore, with small quantity of books, relatively, this manuscript organizes the contents of those books by from criticizing to presenting future research task. Lastly, the review of study in 2011. This study did not introduce and review the content of the studies unlike the previous two reviews. This is because the researcher and research institute on history of Jeju had increased in number after 1990s, which produced a number of research papers. This manuscript reviews the outcome of the previous three studies. After that, it develop the contents focusing on next three subjects. 1. chronological research subject(or researcher) and the prospect. 2. Reseach institute of history of Jeju and the outcome. 3. Review on research subject of history of Jeju and the prospect. The writer of this article made a list of books related to history of Jeju from after liberation to 2017. This list consisted of about a thousand of books which are referred to 『A Collection of Reports of Korea History』 by the ‘National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s well as journal lists of each research institutes. These books are classified by periods, subjects, and institutes. With these sources, this article set up three goals. Firstly, Introducing a list of primary books about history of Jeju in detail. Secondly,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 and the subject of history of Jeju per period. Lastly, Suggesting the way of research on history of Jeju for conducting the study more synthetically and systematically.

      • KCI등재

        중국 내 조선어 방언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현황과 과제

        안해련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5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중국 내 조선어 방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기존 연구의 미진한 점을 확인함으로써 궁극적으로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조선어 방언 연구 성과를 개관한 논의들과 달리 본 연구는 조선어 방언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총 37개의 상관 연구 성과를 찾아냈는데 기타 학과의 연구 성과와 비교해 상당히 부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7개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 연구, 음운 연구, 문법 연구, 어휘 연구, 담화 연구로 나누어 정리하였고 이를 토대로 조사 대상, 연구 주제, 방언 연구자 등 세 가지 방면으로 향후 조선어 방언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어 방언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한편 앞으로 조선어 방언 연구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두는 데 미력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to dat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identify the shortcomings in existing research, and propose future research tasks. Unlike the discussion summarizing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n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olinguistic study of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A total of 37 research results on sociolinguistics of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have been identified, but compared to research results from other disciplines, the number is relatively small. This study divides 37 research findings into comprehensive research, phonetics research, grammar research, vocabulary research, and discourse research. Based on this, it proposes the future sociolinguistic research tasks for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from three aspects: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ubjects, diversification of research content, and cultivation of dialect researchers. I hope this study can further confirm the necessity of conducting sociolinguistic research on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and open up new possibilities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dialect being used in China.

      • KCI등재

        북한여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석향 ( Seok Hyang Kim ),이은주 ( Eun Ju Lee ) 북한연구학회 2012 北韓硏究學會報 Vol.16 No.2

        이글은 1948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발표된 북한여성 관련 단행본과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을 통해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북한여성 연구의 시대별 연구동향, 주제별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인식론과 연구방법 측면에서 북한여성 연구의 쟁점을 분석하며, 북한여성 연구의 한계 및 과제를 밝혔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북한여성 연구는 1990년대에 활성화되 었으며 2000년 이후에는 외연의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인 심화를 이루었다. 이글은 북한여성 연구의 주제를 12개-여성일반, 법 · 정책 · 제도, 가족, 지위 및 역할, 이데올로기 · 정치사회화 · 정치문화, 여성상 · 여성이미지, 육아 및 보육, 남북한여성의 교류와 통일, 건강과 보건 · 미용과 패션, 여맹 및 조직생활, 여성 경제활동, 기타-로 유형화하였다. 북한여성연구는 4개의 주제-여성일반, 법 · 정책 ·제도, 가족, 여성상 · 여성이미지-에 연구성과가 집중되어 있다. 이처럼 북한여성 연구는 특정 주제에 집중되어 있고, 총론 수준에서 논의되었다. 따라서 연구주제를 확장하여 다양하게 하는 한편 주제를 구체화해야 한다. 아울러 인식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최근 북한여성 연구에서 여성주의 시각이 활용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 보면 이론의 부재, 정책 연구 중심, 기초연구의 부족 등의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연구방법 역시 다원화해야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여성연구``라는 큰 틀에서 북한여성 연구와 북한이탈여성 연구가 결합할 것을 제안해본다. This paper will show the general trend of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through the books, theses and dissertations since 1948 to 2012. At first, the trend with the change of times and with the change of themes shall be analyzed, and the points in dispute shall be analyzed at the aspects of the epistemology and the methodology. And then the limit and the task of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shall be shown.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had been begun since ``70s, and was flourished in ``90s, and after 2000, it was not only grown in quantity but also deepened in quality. This paper will categorize the theme of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to 12 patterns ; the women general, the law · the policy · the institution, the family, the status and role, the ideology, the political socialization, the political culture, the character and image of woman, the childcare and nurture, the woman intera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health and sanitation, the beauty art and fashion, the "The Women`s Union" and the life of the organization, the women`s economic activity, and the others.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are usually concentrated to 4 themes ; the women general, the law · the policy · the institution, the family, the features and image of women. We can know that the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to the special themes and studied as the level of general introduction. Thus we should study the more concrete themes as well as the more extensional and various themes. And we need to rebuild the epistemology of the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Nowadays the perspective of the feminism is used in this researches, I think it is desirable. At the aspect of methodology, the non-existence of the theory, the tendency to the study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he insufficiency of the fundamental researches are the problem to solve for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And we need to diversify the methodology, too. At the end of this paper, I will propose to combine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and the North Korean Women defector researches at the long perspective and as the grand level of women researches.

      • KCI등재

        중국 한자학의 연구 동향 분석

        김은희 한국중국언어학회 2019 중국언어연구 Vol.0 No.84

        The present paper aims at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for the recent five years from 2014 to 2018. This paper takes on two big topical approaches: First,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is examined in its specific academic disciplines as categorized in the topic by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of China and Chinese academic circles. Second, statistic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fields discussed by the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Chinese major periodicals(核心期刊), CSSCI and other Chinese academic journals on Chinese characters study and by the ‘research tasks’ assigned as government-funded research projects. Based on the analysis,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of the research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n 1,083 academic papers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published in 11 academic journals are: the research fields of these papers may be divided in accordance to the periodical division of Chinese characters‘ development history into ’Ancient Chinese Characters‘, ’Modern Chinese characters‘, and ’Contemporary Chinese characters‘; major research fields of papers not classifiable in terms of historic periods are divided into 10 topics, including ’general theories on Chinese characters‘, ’dictionaries‘, ’Chinese characters used outside of China‘, ’the history of research on Chinese Characters‘,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etymology‘, and ’changes in Chinese characters‘.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 research is made on Ancient Chinese Characters(28.1%), followed by Modern Chinese Characters(17.3%), Contemporary Chinese Characters(17.2%), dictionaries (12.4%), general theories on Chinese characters(9.1%), and the culture of Chinese characters(8.4%) by the order of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In the research on Ancient Chinese characters, the largest numeric research performance was made on characters during the Warring States(43.6%), and, as research materials, jiandu (簡牘) occupied over 50%, of which chujian (楚簡) was the major topic. The topics of research tasks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conducted as the Chinese MOE and NSSFC funded projects have been confirmed as consistent with this result. The key word in contemporary China‘s research i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is ’expansion‘. On the aspect of research materials, there was expansion from the materials handed down since the ancient times to the materials excavated. On the chronological aspect, the expansion was made with the research on modern Chinese characters in Seal Script and Regular Script as a medium stage between Ancient characters and contemporary characters. Spatial expansion occurred in the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research materials on Chinese characters used from inside to the outside of China. The Chinese research in progress on the study of Chinese characters used outside of the country is noteworthy. Besides the Chinese character materials imported from China and handed down, those formulat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ancient times require consideration of the socio-cultural, educational, and political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ense, I look forward to Korean researchers’ taking initiative to lead further research in Chinese characters identifiable on the Korean peninsula. 본 논문은 최근 5년간(2014~2018) 중국 한자학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은 다음 두 가지 내용으로 구분된다. 먼저, 중국교육부 및 중국문자학계에서 분류하는 중국문자학의 세부 학문 분야를 살펴보고, 중국의 核心期刊 및 CSSCI, 기타 중국 문자학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그리고 중국의 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된 ‘연구과제’에 대한 연구 분야별 통계 분석을 통해서 연구 동향을 고찰한다. 본고에서 11종의 학술지에 게재된 1,083편의 한자학 관련 학술논문을 분석한 결과, 이들 논문의 연구 분야는 한자발전사의 단대 구분을 기준으로 ‘고대한자’, ‘근대한자’, ‘현대한자’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구분할 수 없는 논문의 주요 연구 분야는 ‘일반한자이론’, ‘자서’(字書), ‘역외한자’(域外漢字), ‘한자연구사’, ‘한자문화’, ‘한자자원’(漢字字源), ‘한자변천’의 10가지로 구분된다. 통계분석 결과, ‘고대한자’(28.1%)에 관한 연구 성과가 가장 두드러지며, ‘근대한자’(17.3%), ‘현대한자’(17.2%), ‘자서’(12.4%), ‘일반한자이론’(9.1%), ‘한자문화’(8.4%)의 순으로 논문 편수가 많다. ‘고대한자’에 관한 연구는 ‘전국문자’(43.6%)에 대한 연구 성과가 가장 많으며 연구자료는 簡牘(jiandu)이 50% 이상을 차지하며 그 중에 楚簡(chujian)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룬다. 중국 교육부(MOE) 및 중국 국가사회과학기금(NSSFC)의 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된 한자학 관련 연구과제의 내용도 이 결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현재 중국의 한자학 연구의 키워드는 ‘확장’이다. 자료의 측면에서 고대부터 전래된 문헌에서 출토문헌으로 연구 자료가 확장되었으며, 시기적으로는 고문자 및 현대한자의 중간단계로서 예서․해서를 연구하는 근대한자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었고, 중국 경내의 한자에서 역외 한자자료에 대한 수집과 정리로 공간적인 확장이 이루어졌다. 특히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역외한자에 관한 중국의 한자학 연구는 주목할 만하다. 중국에서 유입되어 전래된 한자자료 외에 고대 한반도에서 형성된 한자자료는 한반도의 사회문화적, 교육적, 정치적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앞으로 국내 학자들의 한반도 한자자료 연구에 대한 주도적인 역할을 기대해본다

      • KCI등재

        1992년~2019년 국내 학술지 게재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최은식 ( Choi Eunshik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1992년 ~ 2019년까지 지난 약 30년 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106편의 다문화 음악교육 관련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다문화 음악교육연구의 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문헌분석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다 많은 음악교육 연구자가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대상의 범위를 국외 문헌자료와 다양한 연령대의 학습자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방법에 있어 질적 방법과 실험적 방법의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 학습자의 주권 교육, 주류 한민족 학생을 위한 문화다양성 교육, 전 연령대 대상의 다문화 감수성 교육 등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연구주제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자국내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다문화 음악교육의 유형을 설정하고, 설정된 유형의 타당성을 검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기존에 연구된 다양한 다문화 음악 교육 방법과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or the past 30 years from 1992 to 2019, and to suggest future task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The categories of analysis were first, publication time, second, subjects, third, research methods, fourth, titles of the published journal, fifth, research topics, and sixth, typ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was most actively conducted in the 2010s. Second, the subject of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Third, descriptive research method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urth, the articles were published in 48 academic journals in 13 academic fields. Fifth,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usic teaching-learning materials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opic. And sixth, the type of amalgamation among Elliott’s type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adopted. The tasks of future research, which are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r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need to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Second, literature materials of other multicultural nations and learners of various ages should be included as research sub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experimental methods to verify the effects of formerly develope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ethods.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topics to include sovereignty education for learn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for mainstream Korean ethnic students, an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r all ages. Fift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easibility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ypes suitable for domestic situations, and methodological studies to realize them.

      • KCI등재

        조선 후기 경학연구의 회고와 과제

        최석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 장서각 Vol.- No.51

        이 글은 한국경학연구를 회고하면서 문제점을 지적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며, 경학연구의 시각과 과제를 필자의 시각으로 제시한 글이다. 먼저 기왕의 연구에서 경학의 개념 및 유교경전의 범주와 해석의 범주를 명확히 하지 않음으로써 파생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유교경전의 범주와 해석의 범주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한 필자의 시각을 제시하였다. 다음 기왕의 경학연구를 살펴본 결과, 철학분야와 문학분야에서 경학연구를 주도하였고, 연구 대상으로 한 경학가는 대부분 조선 후기 학자에 편중되어 있으며, 정약용·윤휴·이익 등 주자학에서 이탈하거나 실학적 성향을 보인 학자들에 집중되어 있고, 한 연구자가 여러 경전을 두루 연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1) 연구대상이 조선 후기에 치우친 데다 정약용의 경학에 편중되어 있다. 2) 경학가의 설을 심도 있게 논의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주자학’·‘탈주자학’·‘탈성리학’ 등으로 성급히 결론지으려 하였다. 3) 경전별로 변화양상을 추적하지 않고 특정 경학가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4) 특정 경학가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다 보니, 한 경학가의 경학세계를 총체적으로 파악하려 했다. 5) 경전별로 전문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어떤 경전은 연구가 매우 미미하다. 6) 연구 성과를 공유하지 못하고 각 분야의 시각으로만 논지를 전개하여 보편적 시각을 마련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향후 경학연구의 향방을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하였다. 하나는 주희의 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계승 발전시키려 한 경학가의 경학적 특징과 전통을 고찰하는 일이며, 하나는 주희의 衆說을 정리하여 定說을 확정하고 후대의 諸說 중 주희의 설과 다른 설을 分辨하려 한 학자들의 경학적 특징과 의의를 조명하는 일이다. 또한 필자의 한국경학 연구시각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1) 경전마다 전문연구자가 있어 경전별로 연구를 심화하는 시각이 필요하다. 2) 중국경학과 한국경학의 흐름 속에서 그 설의 특징을 찾는 시각이 필요하다. 3) 한 경학가의 특징적인 설이 갖는 경학사적 의미를 찾는 시각이 필요하다. 4) 연구자가 속한 분야의 접근방법이나 해석의 관점에 한정하지 말고 인접 학문분야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여 보편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한국경학연구의 과제로 1) 동아시아경학과의 교섭양상에 대한 고찰, 2) 경전의 체제와 판본의 변화에 대한 고찰, 3) 해석성향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한국경학사의 시대구분 문제를 경학사적 시각으로 모색할 시점에 와 있다고 제안하였다. This paper has pointed out the problems of classical studies research in South Korea through reflection, explored its future directions, and discussed its viewpoints and tasks from the perspective of a researcher. This study first pointed out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lack of clear categories of interpretation in the definition of classical studies and the category of Confucian scripture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provided the researcher’s viewpoint to establish the categories of Confucian scriptures and their interpretation. This study then examined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classical studies in general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found that the fields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took the lead in classical studies research in the nation. Most of these research efforts focused on classical scholars from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those who broke away from Zhu Xi studies, such as Jeong Yak-yong, Yun Hyu, and Yi Ik, or those who showed a tendency toward Silhak (Practical Learning). A single scholar of the era studied many different scriptures extensively. Based on this, the study pointed out the following problems: 1) Research efforts were biased toward the scholars of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centrated on the classical studies of Jeong Yak-yong. 2) They tried to draw a conclusion quickly in the direction of "semi-Zhu Xi studies," "post-Zhu Xi studies," and "post-Neo-Confucianism," while the theories of the classical scholars were not discussed in depth. 3) They did not accumulate the changing patterns through the scriptures and focused research on certain classical scholars. 4) They tried to find out the classical world of a single classical scholar in general as their research focused on certain classical scholars. 5) There was no specialized study of scriptures with very little research on specific scriptures. 6) They did not share their research results and developed their points only from the viewpoint of their respective fields, failing to establish a universal viewpoint. Pointing out these problems, the study proposed two major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classical studies. One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raditions of classical scholars who tried to accept, inherit, and develop Zhu Xi's theories. The other is to confirm Zhu Xi's established theories by sorting out public opinions, and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scholars who tried to distinguish his theories from those of later generations in terms of classical studies. The study also provided the investigator’s viewpoints for the research of classical studies in South Korea: 1) There is a need to intensify the research of scriptures by specialized researchers of each scripture. 2) There is a ne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heory in the streams of Chinese and Korean classical studies. 3)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a scholar's characteristic theory in the field of classical studies. 4)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universal standpoint by exchanging research results among related academic fields instead of limiting the scope to the approaches or interpretative perspectives of a scholar's field.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for classical studies in South Korea: 1) an examination of the patterns of negotiation with classical studies in East Asia; 2) an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the systems and editions of scriptures; and 3) an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the trends of interpretation.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it is time to explore the distinction of the Korean history of classical studies by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classical studies.

      • KCI등재

        다문화배경 청년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

        윤성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A Study 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Young Adul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eongho Y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of previous research on young adul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to suggest future tasks. In this regard, 18 papers published in 2012-2021 were analyzed focusing on publication year, journal,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studies are increasing recently. Second, it was published in 16 academic journals. Third, the subject of research is expanding. Fourth, research methods are biased towards qualitative research. Fifth, the research topic mainly the problems or needs faced by the young adults. Future task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research and to activate interdisciplinary research.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subgroups and expand quantitative data including longitudinal data. Third, research on education, employment, marriage, and housing is necessary. Key Words: Multi-cultural Background, Young Adults, Previous Research, Research Trends, Future Tasks 다문화배경 청년에 관한 연구동향과 과제윤 성 호* 요약: 본 연구는 다문화배경 청년에 관한 선행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2-2021년까지 발표된 18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발표연도 및 학술지,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발표된 연구는 18편에 불과하며 최근 증가하고 있다. 둘째, 발표된 학술지는 16개이다. 셋째, 연구대상은 중도입국청년에서 전체 다문화배경 청년으로 확대되고 있다. 넷째, 연구방법은 주로 질적 연구에 치우쳐 있다. 다섯째, 연구주제는 성인기로 진입하는 청년이 직면한 문제나 욕구가 주로 다루어졌다. 앞으로의 과제는 첫째, 학술지의 기획주제로 선정해 관련 연구를 늘리고 학제 간 연구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둘째, 종단자료를 비롯한 다양한 양적자료를 확충해야 한다. 셋째, 진학, 취업, 결혼, 주택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어: 다문화 배경, 청년, 선행연구, 연구동향, 향후과제 □ 접수일: 2022년 1월 17일, 수정일: 2022년 2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전북대학교 강사(Lecturer, Jeonbuk National Univ., Email: ny2017@daum.net)

      • KCI등재후보

        아동상담과정연구의 동향: 현황과 과제

        신현정 ( Hyun Jung Shi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10 아동복지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담과정의 변화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상담과정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밝히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일천한 아동상담과정의 경향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것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변화양상과 과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상담은 시간을 동반하는, 필수적인 상호작용 과정이다. 따라서 상담과정을 밝히는 것은 상담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과 같을 만큼 상담과정연구는 어렵고도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측정하기 힘든 상호작용 위주의 상담과정의 세세한 측면은 간과되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아동상담과정연구가 아직 활성화되지 않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아동상담과정연구에서 치료적 관계나 사례를 중심으로 한 몇 편을 제외하면 상담과정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아동상담과정연구의 현황을 살펴보니, 우리나라 상담과정연구는 전화 및 사이버 상담과정, 치료관계, 그리고 사례연구가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었다. 그 중에서도, 치료관계를 연구한 논문이 증가 추세에 있었으며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상호작용의 모습을 그린 연구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연구방법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미미한 수준이지만 연구방법에서도 실증적인 측면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이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아동상담과정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가 양적으로 더욱 증가해야 하며 현상학적인 방법을 포함한 연구방법의 다양화도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아동상담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아동상담과정연구가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s at revealing the status and task of counseling process researches in Korea, as reviewing the trend of counseling process researches. Especially, it would be possible to get to know about change process and task of this study, focusing on child counseling process researches which have had relatively short history. Counseling is process of interaction with time that goes by. So it is very difficult and important as if knowing counseling process is as same as searching for what counseling is. But it might be easily ignored that the detail part of counseling process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each other which is difficult to measure. Through inquiring previous studies, I can get to know that researches about child counseling process do not become activated yet. Moreover there are few researches connected with child counseling process except those about therapeutic alliances and related to case. This study shows that more and more researches about telephone and cyber counseling, therapeutic alliances, case study have been increasing recently as trend change of counseling process. They are more focused on interaction. There are also change in part of research methods even though it is very little, getting out from aspect of empirical methods. To develop researches about child counseling process, many studies including variety of research methods should be carried by researchers. Besides, Many researches should be not only enlarged by another factors related to child counseling process, but also conducted by various researchers having different ey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