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한국 행정학 분야의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김선문 ( Sun Moo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 행정학 분야의 시사점 제시와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모색을 위해,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지난 12년간 한국거버넌스학회보에 게재된 총 377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 행정학 및 지방행정의 연구경향을 분석하여 관련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기준은 크게 연구자의 특성별 경향, 연구영역별 경향, 연구방법별 경향의 세 가지로나누고 있다. 첫째, 연구자의 특성별 경향은 성별, 소속기관, 직업, 참여인원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둘째, 연구영역별 경향은 연구비의 지원여부, 연구주제별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별 경향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연구 접근법, 통계 분석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자의 특성 측면에서는 성별의 경우 84.9%가 남성 연구자, 소속기관의 경우 58.4%가 지방대학 연구자, 직업 분포에 있어서는 70.3%가 대학교수, 참여인원은 59.9%가 단독연구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연구영역별 측면에서는 연구비 지원의 논문이 36.1%,연구주제의 경우 분야별 행정 및 정책이 27.1%, 지방자치 및 행정이 24.1%를 차지하고있다. 연구방법별 측면에서는 양적연구가 35.0%, 질적연구가 65.0%이고, 통계 분석 방법에서는 회귀분석이 22.4%, 빈도분석이 18.1%, 요인분석이 13.5%로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최근 경향은 연구주제의 다양화, 양적연구의 증가, 고급통계분석 방법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어, 급변하는 행정환경에 상응하여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의 다양화가 나타나는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to analyse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by reviewing the papers published at 「Korean Governance Review」from 2003 to 2014.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lic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by analysing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and local administration. Analysis criteria are researcher attribute trend, research scope trend, and research method trend. First, researcher attribute trend includes gender, institution type, profession,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Second, research scope trend includes whether research funds are provided and subject of research. Last, research method trend includes research approach method an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As a analysis result, researcher attribute trend shows male 84.9% in gender, local university 58.4% in institution type, university professor 70.3% in profession, single research 59.9%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Research scope trend shows funds-provided research 36.1% in whether research funds are provided and policy and administration by field 27.1%, local self-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24.1% in subject of research. Research method trend shows quantitative research 35.0%, qualitative research 65.0% in research approach method and regression analysis 22.4%, frequency analysis 18.1%, factor analysis 13.5% in statistical analysis method. Moreover, recent trend shows diversification of subject of research, growth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increasing high statistical analysis method. Diversification of research scope and method appears cor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administration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09년∼2018년 학술지 중심으로

        송건(Song Jian),정진자(Chung Jin-Ja)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여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의 연구 분야에서 향후 연구 과제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의 최근 10년간(2009∼2018)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한국과 중국의 학술지 논문 33편을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학술지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시각장애연구지, 중국은 现代特殊教育이 연구중심지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자 수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2인 공동연구, 중국은 단독(1인)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대학교수, 중국은 특수학교 교사가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유형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 중국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는 한국과 중국 모두 통합교육 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유형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중국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시각중복장애유아 연구동향 분석 연구 또는 다른 장애유형 유아 연구 동향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시각장애 유아에 대한 조기교육, 진단평가, 교육환경 및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중국에서는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associated with the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examine the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tudy of Korea and China s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 last 10 years(2009-2018) in Korea and China Journa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sociated with the serving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re were treated with 33 journal articles section of the final selection of Korea and China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z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journals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Korea showed the research center for the visual impairment and China for modern special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Korea has the most two-person research and China has the highest number of independent researc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by researchers,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by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in China was the largest. Four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study subject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and China. Fifth, the type of trend research results are Korea s research, China showed the greatest literature. Sixth,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that Korea and China had the most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al themes. Seventh, as a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Korea and China showed the most themes that studied inclusive education for infants. Eigh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Korea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topics for inclusive education using research and case studies and China using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up studies ne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disorders or to compare them with other trends in young childhood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tents of early education, diagnosis and eval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thod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in the future, and to apply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in China.

      • KCI등재

        1998-2021년간의 유아다문화교육 국내 학술 연구동향

        구정민,강은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4년간의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진단하여 앞으로의 예비유아교사의 교과교육과목인 유아다문화교육의 연구방향을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방법 유아다문화교육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학술연구정보 서비스(RISS)에서 24년간(1998-2021년)까지의 ‘유아다문화교육’ 주제어를 검색하여 수집된 610편의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유아다문화교육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최빈도 기준인 연도/분기(4년씩),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자의 소속학문의 5가지 기준을 채택하였다. 결과 유아다문화교육 학술논문을 년도와 4년 분기별로 분석한 결과, 4분기(2010-2013), 5분기(2014-2017), 6분기(2018-2021), 3분기(2006-2009), 1분기(1998-2001), 2분기(2002-2005) 순으로 증가와 감소의 곡선을 보였으나 유아다문화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실행되는 동향을 보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유아다문화연구의 가장 큰 변수인 교원의 다문화 인식관련 연구가 최빈도로 많았고 유아, 부모, 물적자원, 교육자원, 교육종사자 순으로 많게 드러났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 질적연구, 문헌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많았다. 연구주제로는 다문화교육 요소/내용에 대한 연구가 가장 집중적으로 많았고 다문화가정, 다문화 교육목표, 다문화 교사, 다문화교과교육, 다문화환경구성, 다문화교육기관, 다문화 교수학습방법, 다문화정책. 다문화 교육과정 순으로 많이 실행되고 있는 연구동향을 보였다. 연구자의 학문소속으로는 교육학(사회과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복합학, 인문학, 자연과학, 예술체육학, 공학 순으로 높은 연구동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지난 24년간의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이 3분기인 2006년도부터 계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가 5분기인2014년도부터 감소추세에 있으나 2006년도 이후의 기본적인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었다. 연구방법으로 양적연구를 보완할수 있는 질높은 질적연구가 필요하고 유아를 대상으로하는 연구에 대한 더 큰 관심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다문화사회의 유아를 교육학이 주를 이루고 있는 현재의 연구동향을 넘어서 사회문화적, 인문학, 복합학 등의 주변학문과 국가정책적 지원과 관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multicutural(MC) education(ED) for young children during 1998-2021, and to collect basic data to predict research direc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ECE) in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the future. Methods 610 final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fter 3 step filtering process were made for 909 original data collected by key words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299 data was excluded for its’ duplication, irrelevance, and no full texts provided. Most frequently used analytic criteria for searching research trends were adapted from preliminary studies in EC multicultural(MC) education(ED) research trends. Data analysis was made by research publication year & 4-year-term,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and researcher's academic area. Results As a result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for young children in the 4th(2010-2013), 5th(2014-2017), 6th(2018-2021), 3rd(2006-2009), 1st(1998-2001), and 2nd term(2002-2005) in order. There was an increase from the 1st term(1998-2001) to the 4th term(2010-2013), and a decrease from the 5th term(2014-2017) with a steady trend of many studies since then. According to research objects,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for in-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infants, parents, materual resources, education resources, education related workers, According to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views, and mixed research in research trend. The most popular reserch topics wer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llowed by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teaching goals,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multicultural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 multicultural educaion institutions, multicultural policies, and curricula. As analytic results by researcher’ academic area, social sciences with education mostly occupy the result persentage, and followed by humanities, inter-disciplinary sciences, natural sciences,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nd engineering. Conclusions This study show that the resarch trend on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over the past 24 years has been on a continuous increase since the third quarter of 2006, and has been on a downward trend since the fifth quarter of 2014. however, research on basic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2006 has been conducted. it was receiving continuous attention. Not only is there a need for high-quality qualitative research that can complement quantitative reserch as a research method, and greater interest in research targeting young children is needed, but it is also necessary to go beyond the current research trend that mainly focuses on pedagogy for children in a rapidly changing multicultural society. It suggests the need for national policy support and attention to peripheral disciplines such as socio-cultural, humanities, and complex studies.

      • KCI등재

        청소년 독자 연구의 주제 동향과 과제 - 국내·외 2000년부터 2020년(9월)까지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차해나 ( Cha Haen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5 No.-

        본 연구는 국내·외 청소년 독자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2000년부터 2020년 9월까지 국내 국어 교육 분야와 국외 문식성 교육 분야 주요 학술지에 수록된 172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와 국외의 청소년 독자 연구는 연구 주제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연구 주제의 동향을 검토한 결과, 국내에서는 청소년 독자의 인지·정의적 특성에 관한 주제가 주로 탐구되었으며 국외에서는 관련 특성을 전제로한 청소년 독자 정체성 연구가 활발했다. 또한 국내 연구가 인지·정의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정의한 것과 달리 국외에서는 각 특성별 하위 요인의 개념과 그것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한편, 교과 전공 영역의 읽기와 관련된 국내 연구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연구주제와 관련해 연구방법의 동향을 5년 단위로 검토한 결과, 국내·외 연구 모두 실험연구와 혼합연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조사연구가, 국외에서는 질적연구가 감소하였으며 조사연구는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 한편, 실증연구에 활용된 검사 도구는 국내가 국외에 비해 현저히 적었다. 끝으로, 국내·외 연구물은 ‘청소년 독자’로서의 특성을 중·고등학교 단위에 따라 달리 연구하고 있었으나 그 특성을 명시적으로 제시한 연구물은 30%가 채 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국내 청소년 독자 연구의 향후 과제로 인지·정의적 특성의 하위 구인, 교과 영역 읽기, 독자 정체성, 검사 도구 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in adolescent readers research and offered implications. 172 journal articles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nd literacy education, published from 2000 to September 2020, were analyzed to identify research trend. The study found out differences in the trends of research method and the research subject trend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the theme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were most popular in both studies.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studies mainly examined issues in identity matters. disciplinary literacy. The trends in research methods every five years, the proportion of experimental and mixed research in both studies was increasing. On the contrary, survey research in Korean studies and qualitative research in international studies decreased. In addition, there were few research tools used in the empirical study in Korean studies, Discussing the gap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about research trends, the study offered 4 areas(factors of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dentity. disciplinary literacy, test tool development)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정민영(Jung, Minyoung),조영종(Cho, Youngj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교육계에서 활발한 논의의 대상이 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하여 역량 중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다르게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는 차별점을 가지며, 최종적으로 학습자중심교육에 대한 연구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육의 사회적 책임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다. 방법 분석대상 논문은 총 84편으로, 1차~3차 검증 절차를 통해 선정되었다. 결과 도출을 위해 김선은(2019)과 하혁, 박대원(2020)의 연구방법론을 참고한 연구동향 분석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기술통계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Excel 이다. 분석준거는 양적 변화 동향,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대상 동향이다. 결과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중심 교육과정 관련 연구물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중기~후기 구간에 발행된 논문이 과반 수 이상을 차지했다. 둘째, 주요 연구영역 및 연구주제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항목은 교육과정 분석이었다. 셋째,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된 연구물이 많은 수량을 차지하고 있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연구논문의 항목을 중심으로 하는 문서였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들은 심층적이고 다방면에 걸쳐 시행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 극복을 위해서 연구자료를 더욱 충분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analyze research trend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fulfillment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systematically analyze competency based curriculum research trend. Methods This study, 84 papers were selected. Study method is research trend analyze method. Specifically, first, trends of quantitative. Second, trends of major area and topics. Third, trend of research method. Fourth, trend of research subject. Results This study results. First,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search is steadily increase, and more than half of theses are publishehd in the mid-late period. Second, the major research area and topics was curriculum analyze. Third, among the research methods, 69 papers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 of the research were documents centerd on curriculum, textbooks, and research papers. Conclusions In the future, research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ed to be conducted in a more in-depth and multi-faceted manner.

      • [논문 발표 3] 군 스포츠 경영 영역 간 국내 리더십 연구 동향 비교 탐색

        이준길 한국융합코칭학회 2024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4 No.1

        본 연구는 군과 경영 그리고 스포츠 영역에서 진행된 리더십 연구 동향을 비교하여 살펴보자 하 였다 이를 위해 군 경영 스포츠 영역을 구분하여 사회적인 이슈를 바탕으로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코칭 년 년 편 군 년 년 편 스포츠 년 년 편 영역에서 진행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세 영역에서 진행된 리더십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스포츠 리더십의 연구 동향은 선행연구를 정리하는 차원으로 분석했고 군과 경 영 영역에서의 리더십은 앞으로 진행될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리더십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정의에 관한 시사점이다 리더십 연구 동향에서 볼 수 있는 행동 조직 역할 을 기준으로 리더십 정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리더 중심의 다각적인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리더십 동향 연구에서 살펴본 기준 은 효과 검증 리더 정의 검증 리더의 유형과 관계 검증 을 볼 수 있다 셋째 학제 간 리더십 비 교연구가 필요하다 추후 연구는 서로의 영역에서 공통적인 부분과 학제 간 연구가 가능한 주제의 경우에는 리더십 비교연구가 구체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스포츠 리더십에서 제시한 연구 문 제는 군과 경영에서도 충분히 반영된 연구가 가능하다고 보인다 현장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의 경우 다른 영역에서 진행된 결과를 바탕으로 접근해 볼 수 있다 넷째 스포츠 리더십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수용한 연구를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군 리더십과 경영에서의 코칭 리더십은 시간 과 양적인 측면에서 아직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스포츠 영역에서 진행된 젠더 혹은 실패한 리더 십과 같은 주제 등은 바탕으로 군과 경영 영역에서도 연구 문제로 다루어 볼 만한 이슈라고 생각한 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and examine the research on 'leadership' trend conducted in the military, management, and sports fields. To this end, (military, management, spor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social issues. The analysis targets were examined based on research data conducted in coaching (65 articles from 2009 to 2018), the military (84 articles from 2012 to 2021), and sports (284 articles from 2000 to 2018).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leadership trends are as follows. This study looked at the research on 'leadership' trends conducted in the military, management, and sports fields. The research on trends in sports leadership was analyzed as a dimension of arrangement, and leadership in the military and management focused on presenting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leadership trend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implications for the definition of a leader. Research on the definition of leadership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behavior', 'organization', and 'role' that can be seen in the research on leadership trends. Second, multilateral verification research centered on 'leader' is needed. The criteria examined in the leadership trend study can be seen as 'effectiveness verification', 'leadership definition verification', and 'leadership type and relationship verification'. Third, interdisciplinary leadership comparison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research, specific leadership comparison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the case of common areas in each other's domains and topics that enable interdisciplinary research. It seems that the research problems suggested by sports leadership can be sufficiently reflected in the military and management. Problems that can not be solved in the field can be approached based on the results conducted in other areas. Fourth, research that has accepted the research problems suggested by sports leadership should be considered. It can be seen that military leadership and coaching leadership in management lack historical time and amount of research.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on sports leadership trends, topics such as gender or failed leadership should be dealt with as research problems in the military and management.

      • KCI등재

        국내 수영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박영호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4

        본 연구는 수영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수영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도별 추이, 연구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국내 수영 관련 연구 동향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수영 관련 연구 동향은 총 444편 가운데 2000~2004년 111편(25.0%), 2010~2014년 96편(21.6%), 2005~2009년 91편(20.5%), 2015~2019년 77편(17.3%), 2020~2023년 69편(15.5%)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분야에 따른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운동생리학 103편(23.2%), 스포츠심리학 99편(22.3%), 체육측정평가 84편(18.9%), 스포츠사회학 56편(12.6%), 스포츠의학 43편(9.7%), 스포츠경영학 30편(6.8%), 스포츠교육학 14편(3.2%), 운동역학 12편(2.7%), 스포츠영양학 3편(0.7%)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에 따른 분석 결과 성인 180편(40.5%), 선수 109편(24.5%), 혼합 34편(7.7%), 초등학생 30편(6.8%), 장애인 22편(5.0%), 중고등학생 19편(4.3%), 문헌 18편(4.1%), 노인 11편(2.5%), 지도자 11편(2.5%), 유치원 5편(1.1%), 학부모 5편(1.1%)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양적연구 419편(94.4%), 질적연구 25편(5.6%)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국내 수영 관련 연구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수영 관련 연구의 다양한 분야와 대상을 포함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향후 수영 관련연구는 질적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order to analyze swimming research trends, this study classified swimming-related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00 to 2023 according to yearly trends, research field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confirmed the domestic swimming-related research trend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 total of 444 papers were analyzed for swimming-related research trends. 111 articles (25.0%) from 2000 to 2004, 96 articles (21.6%) from 2010 to 2014, 91 articles (20.5%) from 2005 to 2009, 77 articles (17.3%) from 2015 to 2019, 69 articles from 2020 to 2023 (15.5%) appeared in that orde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research trends by research field, 103 papers (23.2%) in exercise physiology, 99 papers (22.3%) in sports psychology, 84 papers (18.9%) in physical educ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56 papers (12.6%) in sports sociology, and sports medicine. This was followed by 43 papers (9.7%), sports management 30 papers (6.8%), sports education 14 papers (3.2%), exercise mechanics 12 papers (2.7%), and sports nutrition 3 papers (0.7%).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180 adults (40.5%), 109 athletes (24.5%), 34 mixed (6.7%), 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6.8%), 22 disabled (5.0%), 1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4.3%), 18 literature research (4.1%), 11 elderly (2.5%), 11 leaders (2.5%), 5 kindergartens (1.1%) and 5 parents (1.1%).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research method, 419 quantitative studies (94.4%) were found, followed by 25 qualitative studies (5.6%). Considering the above, domestic swimming-related research is showing a gradual decreasing trend, which raises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including various fields and subjects of swimming-related research.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future swimming-related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using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including qualitative research.

      • 왁싱미용에 관한 학위논문 동향분석

        나지현(Ji Hyun Na),윤천성(Chun 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19 뷰티산업연구 Vol.13 No.1

        뷰티산업은 인류의 발전과 함께 꾸준한 성장을 해오고 있다. 인간의 아름답고자 하는 욕망은 시대를 아울러 인류의 염원이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피부, 헤어, 네일, 메이크업 등 여러 분야에서 관련 산업이 발전했고, 이에 따라 학계의 연구도 2000년대에는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다. 피부미용에서만 수백 편의 연구가 있었고, 석·박사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의 한 영역인 왁싱미용 연구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동향과 특성을 파악하여 뷰티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기초자료로 국회전자도서관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 수록된 2013년부터 2018년까지의 논문 23편을 세가지 시기로 분류하여 왁싱미용 관련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들은 연도별, 대학별, 연구 방법별, 연구 주제별에 따른 연구동향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은 제1시기 4편, 제2시기 11편, 제3시기 8편으로 총 23편의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대학별 연구동향은 총 17개의 대학이 평균 한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성신여대 생애복지대학원, 창원대 보건대학원, 대구한의대 한방산업대학원, 광운대 경영대학원이 2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건국대 산업대학원이 총 3편으로 가장 많은 학위논문을 발표하였다. 셋째, 연구 방법별 연구동향은 설계방법에 의한 연구동향을 실험연구와 조사연구를 나누어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에 의한 연구동향을 기술연구와 설명연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넷째, 연구 주제별 연구동향은 인식조사, 경영관리, 피부임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경영관리에 관련한 논문이 가장 많았고, 피부임상에 관련한 논문은 향후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왁싱미용에 관련한 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산업의 발전에 비해 발표된 논문이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좀 더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통해 왁싱미용의 연구방향이 제시되어 뷰티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beauty industry has been growing steadily with the development of mankind. Because human desire to be beautiful is the desire of mankind through all ages. Until now, related industries have developed in many fields such as skin, hair, nail and makeup. As a result, academic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n the 2000s. There have been hundreds of studies in skin beauty only, and master s and doctoral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research data needed for the beauty industry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s related to waxing beauty research, which is one area of skin beauty. We analyzed theses related to waxing beauty by classifying 23 articles from 2013 to 2018 into three periods in the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and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s basic data. The selected theses were categorized into research trends by year, university,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top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23 dissertations published in 4 researches in the first period, 11 in the second period, and 8 in the third period. Second, a total of 17 universities have published more than one paper, and Graduate School of Lifetime Welfare of Sungshin Women 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Oriental Medicine Industry of Daegu Haany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of Kwangwoon University have published more than two papers, and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of Konkuk University has published three papers as the greatest number of dissertations.. Third, as research trends by research method, research trends by design method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research and investigative research, and research trends by analysis method were divided into technical research and explanatory research. Fourth, research trends by research themes were divided into cognitive research, business management, and skin clinical research. The most relevant papers related to business management and skin clinical trials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theses related to waxing beauty,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ot many published articles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study direction of waxing beauty will be presented through the study of more various subjects, which will help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 KCI등재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국내 연구동향 : 2010년~2020년을 중심으로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학술지 46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내용, 관련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9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단일대상의 경우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조금 많았고, 혼합대상일 경우 ‘교사-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넷째, 자료수집 방법별 동향은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의사소통에 따른 효과성 연구가 높았다. 여섯째, 관련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의사소통이 종속변인으로는 수업태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주제로 진행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의사소통 연구의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the domestic treend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o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ethods 46 journals from 2010 to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research perid, research subject,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content, and trends of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research on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is on the rise, and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2019. Second, as for the trend of each research subject, in the case of a single subject, studies targeting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and in the case of mixed subjects, there were many studies targeting ‘teacher-college students’. Thir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in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ourth,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used as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as high. six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communication was the most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lass attitude was the most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trends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conducted on the topic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and provides directions for future communication studies.

      • KCI등재

        국내 대학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연구동향

        조보람(Boram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2003년부터 2022년 8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77편의 학술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유형, 연구내용, 전공영역, 관련변인의 동향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 사이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영역별 동향은 간호학과 언어학에서 활용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가상현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가상현실 활용 수업이, 매개변인으로는 몰입이, 종속변인으로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활용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2 to January 2023. 77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3 to August 2022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 major area, and trends in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the most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was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2. Secon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ird, as for the trend by major area, utilization was high in nursing and linguistics.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programs and studies on their effects were the most common. Fifth,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showed that classes using virtual realit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low as mediating variable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research trend of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