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통상정보 : 창의성 여건이 지역경제 성장과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산업공단내 전기, 전자기업을 중심으로-

        김인철 ( In Chool Cheem ) 한국통상정보학회 2010 통상정보연구 Vol.12 No.4

        The theory of creative class has shown that the creative people are the key factor of success in regional economic growth. The creative people strengthen the economic competitiveness which is crucial to attract, cultivate and mobilize the resources of that region. In order to examine the theory of creative class for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firm productivity in Korea, this study uses the panel data of 492 Korean firms of the industrial complex producing electic and electronic manufactured goods. They are grouped into 10 industrial complexes among 16 metropolitan areas.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creative class and 3Ts arc related to the ratio of creative population density and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Specifically the creative core class is of more significance to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than the creative professional class or the creative artist class In our findings the panel analysis of random effects model shows that the talent index of 3Ts as well as the regional climates are related to the individual firm`s total factor productivity. This also reflects a conglomeration of the other regional climates statistically.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 of individual firms shows positive influence for each second consecutive year for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Sales volume also contributes to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hi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it is important to upgrade the level of creative climates by attracting the creative minds and R&D investment of the enterprises for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firm`s total factor productivity.

      • KCI등재

        창조성기반 지역혁신시스템의 가능성과 실천

        한세억 ( Han Saeeok ) 단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0 No.4

        최근 창조성기반 경제패러다임이 부상하면서 국가 및 지역수준에서 기업, 연구기관 및 대학 등을 중심으로 창조적 지식의 산출, 저장, 가공, 확산, 활용의 역동성 강화를 위한 지역혁신시스템의 구축, 운영이 정부의 핵심적 정책과제로 강조되고 있다. 창조성기반 지역혁신시스템의 경우, 나라와 지역마다 상이하다. 창조성에 대한 접근 및 활용가능성이 모든 지역에서 동일하지 않다. 왜냐하면 창조성 발현 및 활용기제가 획일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 글은 창조성기반 지역혁신시스템의 성공요인을 도출함으로써 창조적 지역혁신전략의 가능성과 실천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창조시대의 지역개발전략을 거시적 차원에서 접근, 창조성기반 지역혁신체제의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Creativity has been fast advancing i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comprehension and prospec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suggested implication for the purpose of realizing the specified regional development. Creativity-based regional innovation systems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The accessibility and availability of creativity is not the same in all regions. This is because creativity is not unifor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practice of creative regional innovation strategy by deriving the success factors of creativity-based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refore, this paper would like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based on creativity, approaching the local development of the creative society from the macro level.

      • KCI등재

        창조경제시대 창조적 환경과 지역발전의 의미

        이병민(Lee, Byung Mi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3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3

        창조경제시대 지역발전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경향은 창조적 활동이 촉진되기 위한 ‘창조적 환경(creative milieu)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경제의 패러다임이 지식(knowledge) 중심의 사회에서 창조성(creativity)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중심이 되는 창조도시는 산업과 예술적인 생태성, 창조적 계급과 자원의 유동성 뿐 아니라, 문화가 기반이 되는 전통의 복원과 공동체성 창출, 미학성의 추구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환경적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유의한 지역발전을 담보할 수 있다. 특히, 창조도시에서 언급되는 창조적 계급과 사회적 자본, 맥락의 특성을 어떻게 환경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조화를 이루게 하느냐가 성공적인 지역발전의 주요 요인이 된다. 예를 들어 산타페라는 미국의 도시를 살펴보면, 공예가들이라는 창조인력들이 밀집함으로서, 하나의 발전 기반이 마련되고, 이러한 조건들이 창조적 환경으로 발전해나가면서, 다양한 주체들의 선순환이 이루어지는 창조도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창조경제시대 창조적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구성인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과 다양한 자원들, 특히 인적자원의 확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개별적인 발전전략에서 생태계를 기본으로 하는 역할분담과 협력의 키워드가 훨씬 더 중요해질 것이라 여겨진다. Recent studies related regional development in creative economy era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reative milieu’ promoting the creative activities of specific regions which represent the changes of paradigm from knowledge-based society to creative-based society. Human-centered creative city & regional development is encouraged by the combination of several components; artistic ecology, creative class, liquidity of the creative class & resources, community-based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and pursuit of aesthetics. In particular, the creation of the city’s creative class, social capit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xt in terms of understanding how the environment, is the key factor in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area. For example, case of Santa Fe, in the United States, tell the story about creative city. By the concentration of artisans, the foundation for regional development is formulated and these conditions have been developed into a creative environment and eventually made a virtuous cycle for creative city. Finally, communication among composition agents and amplification of resources, especially human resourc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creating creative milieu in creative economy era and strategies of individual roles in the ecosystem, and cooperation on the basis of a keyword is much more important.

      • KCI등재

        국내 지방광역시의 장조산업 특성화를 위한 구조조정 기본방안

        구문모(Goo, Moon-Mo) 한국지역개발학회 2007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19 No.2

        This study deals with regional specialization and the creative industries in domestic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in tenns of creative employees and further drawing some policy implications of structural adjustment based on the theory of Richard Florida argng that fast-growing city-regions are those that manage to attract and keep creative works. His view implies that the workers in creative industries as one of the super-creative core in his classification may be the most decisive factor among others for their development in each region. The policy implemented since 1999 in Korea to set creative industry clusters in the metropolitan areas has been criticized in that it has not so much en effective in economic sense. An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creative industry workers in domestic metropolitan areas from 1999 to 2005 using location quotients and shift-shar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ome structural adjustment may be needed to develop existing creative industries in tenns of competitive advantage‘ Also the Florida' s theory implies that the regional policy makers may need to develop infrastructure to meet the needs for the creative worker to keep and attract them in future growth of the regions in the short run at least. This article has some limitations in that other important factors including employees to affect the economic growth of creative industries in the cities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would be different with more adequate data and including other factors.

      • KCI등재

        지역의 창조적 커뮤니티로서 코워킹 스페이스

        정수희,허동숙 한국경제지리학회 202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3 No.3

        Coworking spaces have been increasingly considered as a way of building an innovative entrepreneurship ecosystem and facilitating population inflow.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s and examining these various types in a regional context. Coworking spaces located or planned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areas in Japan and Korea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Through the case study,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a model of coworking spaces being a creative community in a region.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have distinctive features only for the regional context-based coworking spaces. Moreover, this new spaces should act as a multi-functional, convergent space and a venue for regional innovation. In a fast-changing work environment such as telework, the region-based coworking spaces can be reconsidered as the place that provides an alternative work, play, learn, and rest platform. Creative people hoping for new work and lifestyle may flow into the region through this intermediator, and thus foster the interplay between the creative community and regional environment. 코워킹 스페이스는 지역의 창업 및 혁신공간의 조성과 인구 유입을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 고려된다. 본 연구는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개념과 특징을 구체화하고, 지역적 맥락을 고려한 코워킹 스페이스의 여러 유형을 살펴보았다. 일본과 한국의 중소도시에 소재하거나 계획 중인 코워킹 스페이스를 대상으로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의 창조적 커뮤니티로서의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로컬지향의 코워킹 스페이스만의 차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융합공간이자 지역혁신의 장으로서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고, 근무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지역의 코워킹 스페이스는 대안적 근무⋅여가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의 기능과 방향성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 이 공간을 통해 지역에는 새로운 삶과 근무형태를 희망하는 창조 인력이 유입되고 지역 사회의 잠재력을 활용할 기회가 창출될 수 있다.

      • KCI등재

        창조경제정책논의와 지역발전

        남기범 ( Kee Bom Nahm ),송정은 ( Jung Eun Song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4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7 No.4

        이 글에서는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정책의 문제점과 지역발전에의 함의점을 고찰했다. 정부의 과학기술 기반의창조산업정책은, 창조경제에서 ICT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는 창업을 촉진하고 ICT 기반의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협력적선순환 지식·기업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하지만 IT산업이 취약한 지역의 생태계에서의 배제는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며, 나아가 지역격차의 확대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 둘째, 창조경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창도도시 논의는저성장시대로 접어들면서 창조산업의 선도적 역할이 축소되었으며, 나아가, 도시규모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동해, 경제성장에 따른 급속한 공간적, 사회적 불균형을 가지고 있는 아시아지역의 도시공간체계 개선의 대안이 되기는 어렵다. 셋째, 기존의 테크노파크(TP), 기술혁신센터(TIC), 지역연구센터(RRC) 등의 모형을 답습한 창조경제혁신센터 모형은 기술 고착화의 위험성과 지역의 발전이 지체되고 현재의 상태에 안주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며, ‘연관 다양성’의부족으로 인한 근본 문제도 있다. 창조경제의 원래의 의미를 회복하고, 창조경제의 구축이 아니라 창조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며, 지역의 발전을 위해 대기업에 의존하는 벤처창업중심이 아니라, 대학-기업-기방정부가 협력하여 학연·산·관이 공식,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성과와 인력자원, 교육·훈련기능이 기업으로상시적으로 교호하고 지식이 수직, 수평적으로 교환되는 제도가 지역에 정착됨으로서, 혁신네트워크가 누적인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학습지역으로 발전하는 정책이 요구된다. This paper criticized the recent Korean ‘creative economy policies’ focused on regional developmentalimplications. Even though the policies targeted to promote ICT new startups and build virtuouscircle of ICT industrial ecosystem in Korea as a whole, the outside regions of the Seoul-Busan industrialaxis where the bases of ICT industries are very weak would suffer from systematic exclusion in ICT investmentsand deepening regional disparities. Second, ICT-centered policies would selectively affect oroperate commensurate with the size of regions in this low-growth, after-financial crisis age. Third, thepossibilities of regional insularity and lock-in in these low levels of ‘related variety’ regions would worsen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Lastly, the policies should be reoriented to fortify region-based creativeeconomic ecosystem based upon triple helix learning region.

      • KCI등재

        초등사회과 지리영역에서 교가(校歌) 노랫말에 나타난 지역 특성을 활용한 수업방안 탐색 -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

        황홍섭,박지수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song and to utilize it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We surveyed the whole school of elementary, middle, high and special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 used text mining technique, which is an effective technique to process unstructured data. In the analysis process, we used visualization method, wordcloud analysis and data ma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ds related to the human environment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word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frequency of related words that present dreams and visions to students is high.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requencies of words related to natural environment by region, the place names indicating the symbolic natural environment and the names indicating the geographical proximity were shown together, a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words having high proximity of geographical position was higher. Third, the frequency of words related to human environment was high in each age group, but the ratio of natural environment was continuously increasing. Fourth, the natural environment that represents Busan appeared in mountains, rivers and seas. These results can be used effectively in social studies, and specific ap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 utilization method in regionalization learning. In this process, basic activities are carried out through the school of the school where the students attend, and it is expected that they can improve the affection and thinking power of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through the supplementary and enrichment activities compared with other schools. Second, it is a utilization plan for the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the cour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design structure of the lesson was presented as a material of the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this process, it converged with the STEAM stage focusing on the activities emphasi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ocial studies. Through this, students will be able to practice the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of children through the familiar material of bridge, and to develop communication ability and aesthetic ability. 본 연구는 교가의 노랫말에 나타난 지역 특성을 파악하여, 초등 사회과 교육현장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부산광역시 소재의 초·중·고등학교와 특수학교를 포함한 전체 645개교의 교가를 모두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과정은 비정형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효과적인 기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였고, 분석 결과의 해석 과정에서는 시각화 기법인 워드 클라우드 분석과 지도화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가 노랫말에 나타난 지역 특성으로 인문환경 관련 단어가 자연환경 관련 단어보다 월등히 높았다. 특히 학생들에게 빛, 꿈, 슬기, 전당, 나라, 겨레, 기슭, 희망, 기상 등과 같이 비전을 제시하는 관련 단어의 빈도수가 높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학교급별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 다른 지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지역적 유사성을 보였다. 둘째, 지역별 자연환경 관련 단어의 빈도수는 부산의 상징적인 자연환경을 나타내는 낙동강, 금정산, 동해, 바다와 같은 단어의 빈도수 높을 뿐만 아니라 학교급별로 공통적으로 나타나나, 산, 강, 바다를 배경으로 한 다른 지역에 볼 수 없는 지역의 특수성을 보였다. 셋째, 시기별로 인문환경 관련 단어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자연환경이 차지하는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의 변천성을 보였다. 교가 속에 나타난 지역 특성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두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지역화 교육에서의 활용 방안이다. 이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의 교가는 내용의 지역화를 통해 지역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학교애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되, 수준별 학습과 관련하여 기본활동으로 한다. 다른 학교 교가와 비교하는 방법의 지역화를 통해 지역의 유사성을 감안하여 다른 학교를 이해하게 함으로써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되, 보충 및 심화활동을 통해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창의융합 수업에서의 활용 방안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융합 수업을 위한 수업의 설계 구조도를 제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는 사회과를 통해 지역 특성을 강조하는 수업활동을 중심으로 STEAM 단계와 융합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교가라는 친숙한 소재를 통해 공동체의 감성적 공감대를 통해 의사소통 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공동체 역량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모의 유교적 성향과 초등학생의 지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홍순천 ( Soon Cheon Hong ),손원숙 ( Won Sook Sohn ),김중욱 ( Jung Wook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유교적 성향과 초등학생의 지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창의성 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북의 초등학생 300명과 이들의 부모 30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t-검증을 통해 부모의 유교적 성향, 초등학생의 지능, 창의성의 성별, 지역별, 영재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고 부모의 유교적 성향과 초등학생의 지능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창의성, 지능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에 부모의 유교적 성향은 영재학생의 부모가 일반학생 부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 학생의 창의성과 지능이 읍면지역 학생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에 부모의 유교적 성향은 읍면지역 학생부모의 유교적 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교에서 부모 간의 유교적 성향과 창의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지능은 남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지능은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의 유교적 성향은 창의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of parents` confucianism and students` intelligence to be the useful materials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in field.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 of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identify the difference by gender, region, and giftedness and the relative effects of parents` confucianism and students` intelligence on students` crea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of the gift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gifted students, but gifted student parents` confucianism was lower than those of non-gifted students. Creativity and intelligence of students living in the urban area were higher than those living in the rural area, but parents` confucianism of rural stud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urban studen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parents` confucianism and creativity; however, the male students` intelligence was higher than those of female. Not parents` confucianism but students` intelligence influenced creativity significantly.

      • 내포문화 발전 기본전략

        박상언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2 콘텐츠 문화 Vol.1 No.-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자원이 지역문화이면서도 지역문화의 발전을 통해서만 지역개발이 가능하다. 보령, 서산, 홍성, 예산, 태안, 당진, 서천 등 충남 서쪽의 7개 시· 군 지역을 이르는 내포(內浦)는 1990년대 세계화와 지방화의 동시적 흐 름, 2001년 서해안고속도로의 완전 개통, 2004년 중앙정부의‘내포문 화권 특정지역 지정’계획에 따라 지역개발의 한 중심에 서게 된다. 내포문화 발전을 위해서는 먼저, 외생적 요인에 의존하지 않는, 내 포의, 내포에 의한, 내포를 위한 내발적(內發的) 통합발전계획을 수립해 야 한다. 또한 점점 강화되고 있는 중앙정부의 지역문화정책과 함께 그 기본전략이 수립·추진되고, 21세기 문화를 포괄하는‘창조적 생태 도시’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내포문화 발전전략은 지난 세기의 물질적·유형적 개발전략과는 다른 패러다임 위에서 논의돼야 한다. 결론적으로 내포문화 발전을 위한 두 패러다임은‘지역 간 협력·상생을 통한 동반 발전’과‘내포 신도 시의 역할 정립’이어야 하며, 그 기본전략으로서‘내발적 통합발전계 획의 지향’,‘ 국가 지역문화정책과의 연계’,‘ 창조적 생태도시로의 이 행’을 제시한다. Local culture is not only the best important resources for the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but also it is only way to develop the local area. NAEPO which includes seven cities and counties in western part of Chungnam, such as Boryeong, Seosan, Hongseong, Yesan, Taean, Dangjin, and Seocheon have become at the center of region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imultaneous flow of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in 1990, the full opening of West Coast Highway in 2001, and the central government’s plan, ‘specifying NAEPO culture-specific region’. For the development of NAEPO culture, firstly we have to establish the integrated development plan which is of the NAEPO, by the NAEPO, and for the NAEPO, not depending on the exogenous factors. Also, the basic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pushed forward as central government’s regional culture policies is getting stronger. We should aim for‘creative ecological city’including 21st century culture. NAEPO culture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be discussed on a different paradigm with the past physical, tangible development strategies. In conclusion, ‘Win-win advancement by inter-regional cooperation’and‘Establishment of role of NAEPO new town’should be two paradigms for NAEPO culture development. For the basic strategies for these,‘ Aiming for inside-out integrated development strategy’,‘ connecting with government’s regional cultural policy’and ‘implementing creative ecological city’are suggested.

      • KCI등재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이 유럽 영화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의의

        이석창(Lee, Sukchang)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8

        국제공동제작은 문화 제국주의를 경계하는 대항담론에서 탄생하여 영화의 생산과 소비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수단으로 간주되어 왔다. 특히 아시아나 유럽과 같이 지정학적으로 넓은 범위를 아우르는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은 상업 우선주의의 배제와 예술적 가치의 향상이라는 효과를 동반함으로써 오늘날 전 세계 영화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공동제작의 영향과 정책 등에 관련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범위가 개인과 국가단위로 국한되어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에 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고는 유럽의 권역 지원 프로그램인 유리마지(Eurimages), 크리에이티브 유럽(Creative Europe), 노르딕 영화 티비 펀드(Nordisk Film & TV Fond)를 중심으로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과 영화시장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과정에서 위 수단이 유럽의 영화시장에 산업적·문화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동력으로 작용하여 영화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국제공동제작은 권역 단위의 지원 프로그램이 출범한 이후 개인-국가-권역 3단계의 형태로 위험분담관계를 맺으며 영화실패에 관한 위험을 낮추었다. 그중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은 문화가치의 보존과 발전이라는 목표를 최우선으로 두었고, 이는 개인과 국가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에서 영화의 생산성이 강조되는 것과 차별되었다. 또한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은 권역영화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고, 그로 인해 각국의 문화와 언어의 다양성 보존, 정체성의 강화 및 사회적 화합이라는 특징이 해당 권역 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유럽은 유럽영화를 통해 국가 간의 연대를 공고히 할 목적으로 상업성 보다 문화적 가치에 중심을 둔 독립ㆍ예술영화를 문화교류와 공동체 연대의 매개체로 주목하였다. 이에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 영화 지원 프로그램은 영화의 제작과 배급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들이 제공하는 소프트론, 영화의 방영권 제공, 신용보증 등을 통해 영화제작자는 안정적인 재원을 마련할 수 있었다. 영화제자에게 제공된 지속적인 영화제작의 기회는 영화콘텐츠 생산의 활성화로 이어졌다. 또한 위 프로그램은 배급지원을 통해 해당 국가와 권역 단위를 넘어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배급망을 확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영화소비를 촉진하였다. 이처럼 권역 단위의 국제공동제작은 영화의 제작과 소비에 대한 지속가능한 선순환구조를 만들어내는 등 긍정적인 효과를 유럽 영화시장에 가져다주었다. International co-production, which stemmed from a counter-discourse against cultural colonialism, has been regarded as a way which activates film’s production and consumption. It is currently an eye-catching in the world film market, as affecting artistic values increased avoiding the commercial-first view. For that reason, the literature review on the impact and the policy of it have been made actively. However, there is lack of the research regarding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as the research range is limited at the individual and the national level. In order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and the film market, this essay focused on international co-production related to Eurimages, Creative Europe and Nordisk Film & TV Fond and discovered it is linked to a qualitative development of the film market as promoting an industrial growth and the cultural value. International co-production concentrating on the productivity has been in progress as a risk sharing method regarding the business failure, showing the individual-national-regional levels sinc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started. Th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made cultural value first and showed a distinction to that individual-national levels emphasized on the productivity. Moreover, it made an positive influence on the regional film’s prosperity which covered the wide region geographically. So that, culture and language’s diversity and the consolidation of identity and the social solidarity turned up at the region, and globalization and locality were emphasized. International co-production at the regional level supported the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in order for a development of European independent film, and soft-loan, televising right, credit guarantee helped making a ceaseless production environment as affording stable financial resources. The co-production program made an expansion of the film distribution network over the nation and the region. Therefore, European film market had a sustainable circulation and employment situation improved on the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