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삶의 질에 관한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

        송건섭(Song, Keon-Sup),김영오(Kim, Young-Oh),권용현(Kwen, Yong-Hyun)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지방정부연구 Vol.12 No.4

        이 글은 지역 QOL수준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어온 주관적 객관적 평가지표들을 검토하고, 이를 이용하여 QOL수준을 평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의 8개 자치구·군과 인근지역의 8개의 자치 시·군 등 모두 16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7년에서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수집된 객관적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QOL에 관한 주관적 만족도에서는 대구 인근지역의 만족도가 광역지역보다 약간 더 높다. 또한 QOL지표를 이용한 종합적인 평가결과는 지역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만족도에서는 대구 광역지역은 가족주거와 건강관리가 높게, 인근지역은 가족주거와 공공안전이 높았다. 객관적 효율성에서는 전체적으로 지역 환경 및 참여여건이 높았는데, 그 중 대구 광역지역은 공공안전, 사회복지, 가족주거, 교육문화 등이 높았다. 인근 지역은 전체적으로 높지 않았으나 지역 환경, 교육문화, 지역참여 등은 높았다. 이러한 점에서 주관적 만족도와 객관적 효율성 평가에는 불일치가 존재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주민의 요구를 고려한 측정 가능한 QOL지표의 개발, 타당한 QOL평가방법의 적용, 대상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QOL평가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ubjective and objective indicators used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 (QOL), apply composing integrated indicators, present improving suggestions QOL level. The data related with the local residents" survey measuring subjective QOL"s satisfaction and local government"s service results in QOL"s evaluating objective efficiency from 2007 to 2008. The results show three aspects, namely subjective, objective and integrated method. The following are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the QOL level for reg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o improve the QOL level of all the 16 regions, the conditions of life for education and culture, social welfare, regional economy need to improve. Second, a plan of action to advance overall QOL is needed. If low evaluated indicators will develop selectively, the QOL of whole regions will become higher and a synergy effect will come to light gradually. Third,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indicator is regional economy. It relates to income, job, tax, employment etc. Accordingly, raising QOL levels need an improvement of economic conditions.

      • KCI등재

        고령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IADL, QOL과의 관계

        남용옥 ( Yong Ok Nam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0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4 No.3

        Objectives. In order to evaluate influence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ly living (IADL) and quality of life (QOL) relevant to oral healthcare status of the elderly, this study investigat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ral healthcare status, and IADL and QOL by using face scale. Method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with 315 data finally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dental examinations of the elderly over age 60 living in Jeollabukdo province. Results. 1. The numbers of remaining tooth of men and women are similar, and the higher age is, the more significant the number decreases (p<0.001) and IADL and QOL are also damaged, and women`s facial expressions are better than men`s. 2. IADL and QOL of people without complete denture or partial denture are high, which conversely means that IADL and QOL of people with many remaining teeth are high. IADL is high in people saying that they don`t need denture, and their QOL is also high and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less periodontal diseases are contracted and the cleaner oral cavity is, the higher IADL is and also QOL is shown positively, and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eanliness of oral cavity (p<0.05). 4. The relationships between chewing ability and IADL and QOL show that IADL and QOL are good in people who can chew all kinds of foods and have experiences of dental treatments, and IAD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but QOL i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 higher QOL and chewing ability are, the higher IADL is,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Conclusions. It can be considered that oral healthcare status of the elderly has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IADL or QOL. Especially, in order to heighten IADL of the elderly and then to promote QOL, as the number of remaining tooth has great influence, by aggressively applying this in oral healthcare educations or oral healthcare projects, IADL or QOL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영균(李永均),김동규(金東圭) 한국정책과학학회 2007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1 No.4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이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의 생활 전반에 대해 어떻게 인지(perception)하고 있는지? 거주지역에 있어서 총체적인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는지? 그리고 현재의 거주지역에서의 삶의 질에 대해 어떠한 평가를 하고 있는지? 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시민의 총체적인 삶의 질에 대한 현 주소를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시민의 삶의질 향상을 위한 지방정부의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총체적인 삶의 질을 측정함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구성하는 변수로 ① 건강한 생활여건, ② 경제적 활동여건, ③ 교육?문화적 활동여건, ④ 공공행정서비스 수준, ⑤ 보건 및 위생서비스 수준, ⑥ 자연환경 및 기타 생활여건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06년 현재 성남시 구시가지(수정구와 중원구)에 거주하는 시민 150명과 신시가지(분당구)에 거주하는 시민 15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시민의 거주지역 특성에 따라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남시의 총체적인 삶의 질 만족도 분석에서는 시민 모두가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시가지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구시가지에 거주하는 시민들보다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점에서 성남시에 있어서 삶의 질 향상에 관련하여 신시가지와 구시가지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주기적 평가를 통하여 보다 낙후된 지역에 대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건개선을 위한 정책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나아가 현재 성남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은 자연환경 및 교통여건, 환경관리적 여건, 시장?금융서비스 여건에 대한 만족도가 총체적인 삶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시정부는 시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이들 여건에 관련된 사항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필요가 있을 것이다. One of the fastest growing areas of policy-related research has concerned the development of social indicators as accurate measure of the well-being of society and of its citizens. To this, the use of social indicators to describe quality of life(QOL, defined as subjective welfare, well-being,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healthy and prosperous environment)) is an outgrowth of the normative connotations social indicators carry. Especially, this study has focused on several questions: Can we define the subjective QOL indicators for measuring citizen's global QOL? Can we evaluate and satisfy the overall life to the resident's area for the citizen? Do the residents satisfy on resident's QOL in the present? Is it possible to find the major factors to be affected the global QOL? On the basis of these question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residents' QOL. The study is to present the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global QOL to the resident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y. ① City government has to need the periodical diagnosis of the QOL indicators for improving the residents' QOL satisfaction. ② City government has to need the systematic selection of global QOL indicators. Thus, city government will manage the connection between city policy programmes and QOL indicators. ③ City government need to set the governance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the residents' QOL satisfaction. ④ City mayor will be a transfer leader to improve the residents' QOL satisfaction and to improve the city's competitiveness.

      • SWAL-QOL로 측정한 정상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김세연 대한연하재활학회 2011 대한연하재활학회지 Vol.3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노인을 대상으로 SWAL-QOL를 사용하여 성별과 연령,사레 경험 유무가 삶의 질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1년 5월 2일부터 5월 20일까지 연구자는 전주시와 인근지역의 경로당과 노인복지기관을 직접 방문 하여 60세 이상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번역된 SWAL-QOL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SWAL-QOL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연령에 따라 SWAL-QOL의 하위영역인 식사시간,증상 빈도,정신건강,사회성,수면영역과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SWAL-QOL의 영역,연 령,사레 경험 유무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사레 경험 유무는 부담감,식사시간,식사욕구,증상빈도,두 려움,정신건강,사회성,수면,SWAL-QOL총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연령은 식사시간,증상 빈도,의사소통,두려움,정신건강,사회성,수면,SWAL-QOL총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그러나 연령과 사레 경험 유무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노화로 인해 정상노인의 삼킴과 관련된 삶의 질이 감소함에 따라 정상노인도 연하치료 서비스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하며,노인들의 삼킴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삼킴 장애를 예방하고 기능을 증 진시키기 위한 작업치료 서비스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활용한 산림여가활동과 삶의 질 연구동향

        강병훈,장윤선,이정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4

        Quality of life(QoL) is a concept that encompasses life satisfaction, pleasure, happiness, and well-being as perceived by individuals, and is closely related to social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e risk. The Korea Forest Service enacted the 「Forest WELFARE PROMOTION ACT」 to improve the QoL based on forests and is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The forest environment and benefits of forest use are analyzed only fragmentarily, and a comprehensive discussion has not been made on the overall impact of forest use (forest leisure activities) for leisure purposes. Therefore, in this study, research trends on forests leisure activities and QoL are examined through scoping review on the scope of the subject, and forest environment, usage characteristics, QoL affecting factors, and QoL concepts are derived. We want to establish the factors in each area that affect. For this purpose, ‘Forest’ and ‘Quality of Life’ related papers were collected from 4 databases (ScienceDirect, Scopus, GreenFile, and PubMed), and the final 132 paper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lected papers, it was found that forest environment mainly had a lot of ‘Public’ areas with good accessibility, and that there were many studies on ‘Exposure’ and activity for the characteristics of use. The factors affecting the Qol due to the forest leisur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Health’, ‘Social health’, ‘Natural environment’, ‘Education’, ‘Recreation opportunity’, and ‘Economic’. QoL measurement concepts were areas such as ‘Well-being’, ‘Satisfaction’, ‘QoL’, and ‘Happiness’. As a result, accessibility and publicity of the forest environment are important for forests and QoL, and the characteristics of use reflect nature exposure or outdoor activity, and health, society, environment, education, recreation opportunities, and the economy are affected in the areas of QoL. These results confirm that forest leisure activities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oL in health, society, environment, education, leisure opportunities, and economic aspects. 삶의 질은 개인이 지각하는 삶에 대한 만족감, 즐거움, 행복, 웰빙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우울, 불안, 자살위험과 같은 사회문제와 관련이 깊다. 산림청에서는 산림을 기반으로한 삶의 질 향상 목적의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이다. 그러나 산림환경 및 산림이용에 따른 편익을 단편적으로만 분석하고 있으며, 여가목적의 산림이용(산림여가활동)이 삶의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종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 산림여가활동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산림환경, 이용특성, 삶의 질 영향 영역, 삶의 질 개념을 도출하며, 이를 통해 산림이 삶의 질 향상에 영향하는 각 영역의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4개 데이터베이스(ScienceDirect, Scopus, GreenFile, PubMed)에서 ‘산림’, ‘삶의 질’ 관련 논문을 수집하고, 최종 132개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을 분석한 결과, 산림환경은 주로 접근성이 좋은 ‘공공’ 영역이 많았으며, 이용특성은 산림환경 ‘노출’과 ‘활동’에 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여가활동으로 인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 ‘사회적 건전성’, ‘자연환경’, ‘교육’, ‘여가기회’, ‘경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한 삶의 질은 ‘웰빙’, ‘만족감’, ‘삶의 질’, ‘행복’과 같은 영역이었다. 종합해보면, 산림여가활동과 삶의 질의 관계에 있어서 산림환경의 접근성과 공공성이 중요하며, 이용특성은 노출 또는 일정의 물리적 행위를 반영하고, 삶의 질 영향 영역에는 건강, 사회적 건전성, 자연환경, 교육, 여가기회, 경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산림여가활동이 건강, 사회, 환경, 교육, 여가기회, 경제적 측면에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KCI등재

        도시민의 생활양식과 삶의 질(QOL)

        정선기(Sun-Kee Chung)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25 No.2

        The following research reconsiders the lifestyle concept in sociological tradition and theoretically reconstructs a conceptual framework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style and the quality of life (QOL). It’s purpose is to explore group QOL differences resulting from lifestyle differences of urban residents. Through this research,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lifestyle concept,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the national research of quality of life for some time, can be emphasized. While also making suggestions on policy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y of QOL. First, it can be confirmed that while objective conditions are significant in the research on urban QOL, subjective perceptions cannot be ignored as major variables. Second, although social stratification factors remain an important variable in causing QOL differences among urban residents, regional variables, which were long overlooked, must also be considered a significant factor. Third, among lifestyles related to QOL, leisure was found to have the most effect ? active leisure activities in particular show a tighter relationship with QOL than passive attitudes. Fourth, th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ve lifestyle - considered an action towards self-realization ? and QOL can also be confirmed. An eco-friendly practice that sacrifices convenience, rather than a lifestyle that pursues it, shows a more significant QOL relation.

      • KCI등재후보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우울과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수정,김정기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8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2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MCI). Method :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selected based on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MMSE-DS). The group occupatinal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various cognitive domains and was performed 12 times for 6 weeks.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K) and Quality of Life(QOL) were used to ass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 : The elderly with MCI improved significantly on the SGDS-K and QOL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p<0.05). Particularly, in some items of the QO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results of the SGDS-K and QOL did not show any correlation(p>0.05). Conclusion : In the case of the elderly with MCI, the QOL scale and the depressive symptom tes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was applied for 6 weeks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MCI)를 가진 노인의 우울증과 삶의 질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경도인지장애 노인은 간이정신상태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 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은 다양한 인지 영역으로 구성되어6주 동안 12회 수행되었다. 노인우울증 척도 (SGDS-K)와 삶의 질 (QOL)을 사용하여 중재 전・후의 대상자의 우울증과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경도인지장애(MCI) 노인은 집단 작업치료 중재 프로그램 후 노인우울증 척도 (SGDS-K)와 삶의 질(QOL)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특히 삶의 질 평가 (QOL)중 일부 항목은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SGDS-K와 QOL의 결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경도인지장애(MCI)를 가진 노인의 경우, 집단작업치료 프로그램을 6주 동안 시행했을 때 삶의 질(QOL)과 우울 증상은 중재 전․후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 KCI등재

        광역생활권의 삶의 질(QOL) 영향요인

        송건섭(Keon Sup Song) 한국정부학회 2008 한국행정논집 Vol.20 No.3

        이 연구는 QOL에 대한 미국과 한국의 사례를 검토하고 QOL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한국의 대구지역과 미국의 시애틀지역의 QOL사례를 검토하고, 주관적인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QOL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평가지표로 QOL의 기본적인 공통지표이외 사회자본 지표, 참여지표 등이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전반적인 QOL 만족도에서 대구보다는 시애틀이 높다. 그리고 대구시는 인근지역보다는 높지만, 시애틀은 인근지역보다 낮았다. 셋째, QOL 하위지표 중 개선부문에 대해 대구와 인근지역은 교육과 문화가 가장 높은 반면, 시애틀과 인근지역은 교통 및 주거가 가장 높았다. 넷째, QOL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대구는 사회자본, 인근지역은 지역경제가 가장 높았고, 시애틀은 건강, 인근지역은 교통 및 주거생활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of life Daegu-area residents in the Korea and Seattle-area resident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way they live. The method was chosen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opinions of Daegu-Seattle residents about their own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subjective evaluation about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as the evaluative indicators social capital, citizen participation are very useful. Second, the Seattle area about the overall quality of life were proven higher than Daegu-area, and Daegu-area was higher than neighborhood area, but Seattle-area was lower than neighborhood area. Third, the education and culture factors were the highest in Daegu-area, the transportation and housing afford ability were the highest in Seattle area. Fourth,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were proven to is social capital in Daegu-area, regional economy in neighborhood area, while Seattle-area ranked health and neighborhood area ranked transportation, housing afford a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 KCI등재

        삶의 질에 관한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

        송건섭,김영오,권용현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2 No.4

        이 글은 지역 QOL수준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어온 주관적 객관적 평가지표들을 검토하고, 이를 이용하여 QOL수준을 평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의 8개 자치구·군과 인근지역의 8개의 자치 시·군 등 모두 16개 지역을 대상으로, 2007년에서 2008년까지 2년간에 걸쳐 수집된 객관적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측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QOL에 관한 주관적 만족도에서는 대구 인근지역의 만족도가 광역지역보다 약간 더 높다. 또한 QOL지표를 이용한 종합적인 평가결과는 지역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만족도에서는 대구 광역지역은 가족주거와 건강관리가 높게, 인근지역은 가족주거와 공공안전이 높았다. 객관적 효율성에서는 전체적으로 지역 환경 및 참여여건이 높았는데, 그 중 대구 광역지역은 공공안전, 사회복지, 가족주거, 교육문화 등이 높았다. 인근지역은 전체적으로 높지 않았으나 지역 환경, 교육문화, 지역참여 등은 높았다. 이러한 점에서 주관적 만족도와 객관적 효율성 평가에는 불일치가 존재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주민의 요구를 고려한 측정 가능한 QOL지표의 개발, 타당한 QOL평가방법의 적용, 대상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QOL평가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SCOPUSKCI등재

        백반증 환자의 삶의 질 평가

        전은경 ( Eun Kyoung Jeon ),박영옥 ( Young Ok Park ),서영준 ( Young Joon Seo ),이증훈 ( Jeung Hoon Lee ),박장규 ( Jang Kyu Park ) 대한피부과학회 2008 大韓皮膚科學會誌 Vol.46 No.7

        Background: Although vitiligo does not cause direct physical impairment or life-threatening conditions, it can produce significant psychosocial problems. Nevertheless, its effect on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patients has been neglected. Objective: This study compared quality of life (QOL) in patients with vitiligo and in healthy controls, and assessed the impact of vitiligo on the patients` QOL using Skindex-29.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105 vitiligo patients and 105 healthy controls, and the QOL scores of the groups were compared using Skindex-29.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QO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total Skindex-29, emotion, and function scores, but not the symptom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itiligo group than in the healthy controls. QOL, including symptom, function, and emotion scores, was significantly impaired in women, the elderly, married patients, and patients with a longer duration of disease, greater area of vitiligo, and lesions appearing on the exposed sites. But, symptom scores generall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ll aspects of QOL were impaired in patients with a previous treatment history, longer duration of treatment, and relatively low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reatment. Conclusion: Vitiligo can impair a patient`s QOL.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dermatologist to recognize and manage psychological problems to improve the QOL of vitiligo patients. (Korean J Dermatol 2008;46(7):874~88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