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와 문화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 중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임재민 ( Lim Jae Mi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17 중국언어연구 Vol.0 No.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integrated teaching of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targeting Pre-service Chinese teachers and to discuss the integration direction for integrative teaching based on the study. To do this, we began with collecting the opinions of Pre-service Chinese teachers by using the communication expressions and cultural material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hinese Curriculum. Next, we compared Chinese2 and Chinese culture textbooks based on the main text in Chinese1 textbooks. Finally, we confirmed the integration level and direction of 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f the class is conducted at the sentence level, it is possible to naturally carry out integrated teaching and there is no need to carry out a separate culture class. In other words, if the content of the text satisfies the sentence level rather than the vocabulary level, integrated teaching can be conducted.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textbook with sentences containing cultural material, and the amount of the communication expression and vocabulary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hinese Curriculum should also be adjusted. It is also necessary to reclassify or integrate the cultural material presented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hines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Chinese teachers have different standards for judging culture. This difference also affects the preparation of lessons and is directly linked to the progress of integrated teach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oncept of culture and its category, which can be used in secondary school, so that this can help Pre-service Chinese teachers prepare and organize the contents of class.

      • KCI등재

        한문교과 예비교사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모의수업에 대한 요구분석 및 교수- 학습모형 개발 -대학교원, 현직교원, 예비교원의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朴南洙 ( Park Nam-su ),許喆 ( Heo Chul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본 연구는 한문과 예비교원의 교수역량 강화를 모색하고자 모의수업에 대한 교원(대학교원, 중등교원, 예비교원)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교수 - 학습모형안과 표준화된 강의계획안을 도출하였다. 교원의 요구분석 결과, 모의수업에 대한 필요성과 교수역량 증진에 도움이 되는 교과목이라는 인식을 확인하였다. 교원들은 모의수업에 운영에 대한 표준화된 강의 계획안과 교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고, 예비교원의 경우에도 수업의 실제에 대한 요구사항이 높았으며 모의수업 중 동료피드백을 통해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 방법 도입의 요구가 확인되었다.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 횟수는 3회 이상으로 확대 운영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나타났다. 교생실습 시행시기에 대해 대학교원은 6학기에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과 달리, 예비교원은 교생실습 이전인 4~5학기에 시행되는 것이 요구분석 결과를 통해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원의 요구사항에 대한 텍스트 분석 결과 모의수업 실습실의 개선 및 설치 요구, 녹화 장비의 필요성이 언급되어 모의수업이 가능한 특화된 강의실 확보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원(대학교원, 중등교원, 예비교원)의 요구분석의 결과를 통해 모의수업에 대한 교수 - 학습 모형안과 강의계획안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모의수업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한문과 예비교원의 전문성 강화와 교원양성기관 평가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문교원양성과정을 운영 중인 한문과 모의 수업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편의표집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나 혼합연구를 통해 요구분석을 실시한 실증연구로서의 의의를 가지며, 후속연구로서 모의수업 평가 모형 및 평가도구 개발, 모의수업 교재 개발 및 적용을 통한 효과성 검증 실증연구를 제안한다. In this study,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a standardized syllabus wer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eds of teachers (University Faculty, middle-high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r simulated instruction classes in order to explore the reinforcement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teacher's need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cessity of simulated instruction classes and the perception that it is a subject that is helpful in enhancing teaching competency. Teachers mentioned the need for standardized syllabus and textbooks for operation in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 and even in the case of pre-service teachers, the requirements for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 were high, and various evaluation methods that could be improved through peer feedback during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 were introduced request was confirmed. University Faculty was a perception that the number of executions for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es should be expanded to 3 or more. Contrary to the opinion that it is appropriate to operate in the 6th semester for graduate school gradua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t was required to be implemented in the 4th and 5th semesters before the teaching practice for pre-service teache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text analysis on the requirements of pre-service teachers, the need for improvement and installation of simulated instruction classrooms and the need for recording equipment were mentioned, suggesting the need to secure specialized classrooms for mock less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syllabus for simulated instruction classes were developed through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needs of teachers (University Faculty, middle-high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sed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and evaluat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simulated instruction class curriculum that is operating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eacher training course. Since this study was arbitrarily sample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but it has significance as an empirical study that conducted a demand analysis through a mixed study. As a follow-up study, we propose an empirical study to verify effective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simulated instruction class evaluation model and evaluation tool,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imulated instruction class textbook.

      • KCI등재

        외국어로서 중국어교육 실습교사의 자기 효능감, 기술 수용성, 자기 성찰이 TPACK(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이,김경이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3

        The recognition that the use of EdTech in teaching method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has been spreading. This trend has also extended to the field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eachers' TPAC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teachers' self-efficacy, technological acceptance, and self-reflection on TPAC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teach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The goal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adoption of teaching methods using EdTech. As a research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PACK, self-efficacy, technological acceptance, and self-reflection as variables to analyze their correlation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PACK, self-efficacy, technological acceptance, and self-reflection perceptions.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had a positive impact on TPACK, indicating that higher self-efficacy among pre-service teachers was associated with higher TPACK levels. Similarly, higher levels of technological acceptance among pre-service teac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er TPACK levels.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self-reflection variable,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 on TPACK levels, strengthening the relationship. Therefore, to enhance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ir TPACK levels. To achieve this, teacher training and government support are recommended as necessary steps.

      • KCI등재

        예비 중국어 교사의 수업력에 관한 사례 연구

        임재민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17 중국어교육과연구 Vol.0 No.26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th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Chinese teachers. To do this, We gathered ideas, views, and opinions of Pre-service Chinese teachers based on three themes, such as the position recognition of Pre-service Chinese teachers, the understanding of conceptual knowledge, and the cultivation of practical knowledg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Chinese teachers, is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Chinese language, effective knowledge transfer method, induction of interest in Chinese language, active communication with students during class, and confidence in Chinese classes.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position recognition of Pre-service Chinese teachers is the starting point of teaching abilit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이야기하는 중국인 유학생과의 만남: 강점탐구 과정을 통해 본 경험적 인식의 변화

        견주연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9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보다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다문화교사교육이 이루어지는데 궁극적 목적을 두고, 강점 탐구(appreciative inquiry) 활용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경험적 인식 변화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국내 K대학 유아교육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한국인 재학생 33명, 중국인 유학생 3명, 총 36명이었다. 연구결과, 한국인 재학생의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경험적 인식 변화는 1) 타자화로 인한 경계 지음에서 경계 허묾으로 나아가기, 2) 편협한 시선에서 관대한 시선으로 바라보기, 3) 소극적 방관자에서 도전하는 주체자로 인식하기, 4) 스치는 인연에서 인생의 ‘벗’ 되기를 희망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외국인(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의 이해 및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ore positive and desirabl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exploring the changes in the experiential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interacting with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Korea through an appreciative inquiry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33 Korean students and thre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senior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changes in the experiential awareness of Korean pre-service teachers: 1) proceeding from building boundaries to demolishing boundaries related to otherness, 2) looking from a narrow perspective to a generous perspective, 3) perceiving being a passive bystander to being an agent of change, 4) hoping for the destiny to becoming a friend for life.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understanding of awareness in foreign(Chinese) students who are living in the Korean society as well a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

        예비 중국어 교사의 모의수업 발달 양상 연구

        임재민 ( Lim Jaemi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102

        This study conducted a simulated instruction for Pre-service Chinese teachers,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pattern of simulated instruction based on the self-reflection reports prepared by the Pre-service Chinese teachers. The self-reflection report consists of diagnostic evaluation and reflection evaluation. The components of diagnostic evaluation are introduction, motivation, progression, class composition, question-and-answer, voice, body movement, and media utilization, and the reflective evaluation elements are class preparation, progress, and evalu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pattern of simulated instruc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6 types(development type, distributed type, incomplete type, stagnant type, regressive type and other type), and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were found in the simulated instruction.

      • KCI등재

        汉语教职课程的相关问题分析及研究

        钱兢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5 No.-

        본 논문은 한국 소재 4년제 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중국어 교직 과정을 연구대상으로, 관련 대학교 홈페이지에 있는 인터넷 자료와 필자가 가르치고 있는 ‘중국어 교재 연구 및 지 도법’ 등 교직 과목을 통하여 수집한 데이터로 연구 분석을 하였습니다. 본 논문은 제2장에서 먼저 사범대학과 교원대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어 교직 과목의 강의 목표, 강의 방식 및 내용, 개설한 교직 교과목 수량, 중등학교 교육 현장과의 연관성 등 몇 가지 측면에서 조사해 논의합니다. 그리고 논문의 제3장에서는 비사범대 중국어 교직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해 이에 대한 개선점을 모색하려고 합니다. 끝으로 제4장 맺음말 부분은 본 논 문의 마무리가 될 것입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어 교직 과목을 더 발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비사법대에서 중국어 교직 과목을 가르치는 교수님들과 공유하는 것입니다. 교직 필수 과목은 동시에 중어중문학과의 전공 강의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강의 효과는 일반 수강생들의 전공 선호도와 선발된 교직 이수자의 교직 기대감에 모두 영향을 미칩니다. 본 논문은 효율적으로 교직 과목의 수업 구성과 진행 방식을 설계함으로써 중어중문 교원 양성 과정의 질적 향상과 더 발전적인 변화 방향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eaching process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eaching, which is operated by a general 4-year university in Korea. I analyzed the students us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of students teaching Chinese Textbook Research and Guidance. Based on the student's opinion, I will found a problem of teaching process in the Non-teachers college and I'm looking for improvem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way to develop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 of Chinese Language and it is to share with professors teaching Chinese teaching subjects in Non-teachers College. Teaching compulsory subjects are also majors in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the lectures will affect both the student's general preferences and the expectations of the selected teachers.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aspects such as teaching objectives of Chinese Teaching Subject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quantity of teaching curriculum opened, textbooks used, and relevance to Secondary School Education etc. By efficiently designing teaching structure and progress of teaching courses, we aim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Subjects in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to make further changes.

      • KCI등재

        주관적 사회계층이 중국 예비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

        진시우전,안진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본 연구는 중국 예비교사들이 인식한 주관적 사회계층, 자아정체성,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주관적 사회계층과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목적을 위해 중국 저장성(浙江省)에 위치한 H대학교와 W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98부의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및 Pearson's 상관계수 확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은 위계적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중국 예비교사들의 주관적 사회계층, 행복감, 자아정체성 및 그의 각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아정체성은 예비교사들의 행복감에 정적인 상관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사회계층과 자아정체성 및 자아정체성 하위요인들은 예비교사들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사회계층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성은 부분매개 효과가 작용을 한다. 결론 주관적 사회계층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정체성 발달지위도가 높아지므로 중국 예비교사들의 행복감도 높게 나타난다. 따라서 사회계층인식이 낮은 예비교사들의 행복감을 제고하기위하여 학교 내⋅외 관련 프로그램의 계획과 시행을 통하여 자아정체성을성취할 수 있도록 도움과 지원을 제공해야한다.

      • KCI등재후보

        海外教学经历对职前国际汉语教师信念的影响研究

        王玉倩,杨蓉蓉 중한연구학회 2023 중한연구학간 Vol.0 No.31

        教师信念直接影响教学行为、教育成效。本文以职前国际汉语教师为研究对象,在前人研究基础上,分别探讨有、无海外教学经历的职前国际汉语教师在语言本质信念、汉语学习信念、汉语教学信念、师生角色信念、职业信念五个维度的具体表现,并结合建模分析,发现海外教学经历会对职前国际汉语教师的语言本质信念、职业信念产生显著正向影响,对师生角色信念产生显著负向影响,对汉语学习信念、汉语教学信念无显著影响。

      • KCI등재

        PBL을 적용한 수업 사례연구- 중국어 ‘교재연구 및 지도법’ 수업을 중심으로 -

        채예령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중국어‘교재연구 및 지도법’에 PBL 교수법을 적용하여 수업모형을 설계, 수행했던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정보화시대 학습자들의 전공역량 향상과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증진, 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자기 주도 학습과 팀 학습이 중심이 되는 PBL 교수법의 활용 과정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PBL을 적용한 활동 결과물에 대한 교수자의 평가와 PBL 적용 후 수업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을 통해 기존의 전통 강의식 수업과의 차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PBL 수업에서 교수자 역할에 요구되는 모니터링, 교수자 개입의 최소화, 멘토 역할이 수업 전반에 걸쳐 꾸준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 첫째, ‘중국어 교과 교재 및 지도법’에 PBL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모형이 학습자들의 사고력, 문제 해결력, 자기 주도력, 프로젝트 수행 능력과 지식 확장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역할 전환 속에서 지속적인 의사소통과 모니터링이 프로젝트 수행에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PBL 적용 수업이 학습자 간의 원활한 상호작용 증진과 학습 능력 향상에 효율적이다. 넷째, 기존 전통수업과의 비교를 통해 학습자들 대부분이 PBL 적용 수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섯째, 중국어 이론과 개념을 PBL에 적용하여 지식 확장을 할 수 있었다. 여섯째, PBL 교수법이 학습자들에게 교과과정에서 쌓아온 전공지식과 경험을 기반으로 자기 주도적 역량을 발전시키고 성취감을 고취하고 자긍심을 심어주는 수업이었다. 결론적으로 PBL 적용 수업에서 그룹 활동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했으며 교수자의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코칭이 유기적으로 결합 될 때 학습 효율성이 더 향상되었다는 것 역시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ticipate the positiv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by designing and presenting a problem-based learning (PBL) application class model in the “Textbook Research and Teaching Method” class of Chinese education. After examining the previous studies tackling the application of PBL, a specific lesson scenario was designed by applying the PBL class model to the study of Chinese textbooks. Nex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ubjects were examined, and various indicators were presented to maximize the possibility of PBL application in Chinese education. Finally,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class applying PBL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the process into four parts. (1) In the PBL “ice-breaking” stage, the role of the learner and the teacher in the learning center was clarified, and the process indicators were presented. (2) In the stage of establishing the PBL hypothesis, the process was presented to recognize and solve the problems encountered when proposing the hypothesis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tructured and unstructured hypotheses. (3) In the PBL execution stage, examples of the learners’ performance plan form were presented to minimize difficulties that learners encounter during the performance process. (4) In the stage of organizing and presenting the PBL application class, the evaluation method was presented. Since th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pplying PBL were conducted in the second semester, the results have not been analyzed yet.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s left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