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군정기 서울의 치안과 경찰

        강혜경 서울역사편찬원 2008 서울과 역사 Vol.- No.71

        After liberation, the public security in Seoul had been handled by Kyonggi Provincial Police Department until 1946, when the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was founded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ment of Seoul Metropolis and took charge. The principal function of the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under U.S Military Government was to keep emergency control on the pretext of public security for forming a government led by the rightists. For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the situation in Seoul was so acute and often extreme that the curfew and frequent shoot-on-sight orders toward citizens were issued to characterize this period as the one for which the public security was considered to be prior to the freedom of individual citizens. However, the citizens of Seoul were still being suffered from various economic crimes even under such an emergency control. Over 50% of the total crimes after the liberation were thefts initiated by economic chaos, flooding unemployment and the increased cost of living due to vicious inflation. The traffic problem, an important part of ordinary life for citizens, had been downhill all the way and the power supply was so poor that sudden descents were often made on illegal electric apparatuses by the security branch of the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The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did not good work in controlling economic crimes and it was not easy for the citizens to keep a stable ordinary life. To maintain public peace against more and more crimes, the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strengthened the curfew and adopted martinetism, which arose a social controversy over the excessive arrests by the police. The police of the military government made a lot of undemocratic commitments (torture, assault, violation of human rights, corruption, pro-Japanese police) and the number of the police officers in the Metropolitan Police Department dismissed for undemocratic conduct reached 5,973 until February, 1948. Constitutional defects of the police still remained even after the government was established and it took time for the police to function as the very ‘police force’. 해방 이후 미군정기 서울의 치안은 처음에는 경기도경찰부에서 담당을 하다가 1946년 9월 서울특별시가 설치되면서 수도관구경찰청이 창설되어 치안을 담당하게 되었다. 미군정기 수도경찰청의 주요 활동내용은 치안을 유지한다는 명목으로 비상경계상태를 유지하면서 우익 주도의 정부수립을 보좌하는 것이었다. 미군정기 서울은 항상적으로 비상경계 혹은 준비상경계 상황이었으며, 야간통행금지와 수시로 시민에 대한 실탄발사 명령이 내려지는 등 시민의 자유보다는 치안유지가 급선무로 여겨지던 시기였다. 그렇지만 서울시민들은 항상적 비상경계상태에도 불구하고 각종 경제범죄에 시달려야 했다. 해방 후 경제적 혼란과 실업자 증가, 악성인플레로 인한 물가고 등으로 인해 총 범죄에서 절도죄가 50% 이상을 차지하였다. 시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는 서울의 교통문제도 나날이 악화되었으며, 전력상황도 좋지 못하여 수도경찰청 보안과에서는 수시로 불법 전기장치들을 단속하고 있었다. 수도경찰청은 경제범죄 단속에는 별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으며, 시민들의 생활은 안정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범죄가 나날이 증가하자 수도경찰청에서는 치안유지 대책으로 야간통행금지를 엄격하게 적용하고 엄벌주의를 채택하여 경찰의 과잉검속이 사회문제화 되기도 하였다. 군정경찰은 치안과 질서를 유지한다는 명목으로 각종 비민주적 행위(고문, 구타, 인권유린, 부패, 친일경찰)를 저질러, 1948년 2월까지 수도청 경관으로 비민주적 혐의로 파면당한 경찰관 수가 5,973명에 달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찰의 체질적 한계는 정부수립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져 경찰이 그야말로 ‘경찰’의 임무를 수행하기까지에는 많은 시일이 소요될 수밖에 없었다.

      • KCI등재

        행정안전부 경찰국설치에 대한 논의

        박호현 법제처 2022 법제 Vol.699 No.-

        The police recognize that the most important duty is to protect the people's lives, bodies and property. In addition, the police fulfill their given duties as volunteer police who provide public services to the people by stipulating the duties of the police through the National Police Organization and Operation Act and the Police Officer Duty Execution Act. However, it is not an exaggeration that in the past, the police organizaion was not the role of volunteer police that protected the human rights of the people and provided public services, but a national institution that infringed on the human rights, reigned over the people while only obeying the government's instructions and orders. Nevertheless, the police have come to recognize that the most important duty is to protect the people’s lives, bodies, and property by themselves over the course of time. However, the police are merely assistants in the investigation under the direction and supervision of the prosecution even though most cases are handled by the police. In particular, the prosecution are the head of the investigation, which directs and supervises the police, and is subject of the right to prosecute as well as to request a warrant. The prosecution have formed a top-down relationship with the police through certain roles and functions in the overall criminal justice process.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of the police to the prosecution has raised the need to distribute the power of the prosecution in the fact that the police are responsible for most of the criminal cases, and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e Prosecutor's Office Act and related regulations were revised through persistent efforts of the police. This revision of the law has resulted in the provision of the police's primary right to terminate investigations and even the anticommunist work that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was in charge of. Therefore, the police have become the most powerful state agency since it established, due to be given the authority to initiate investigations, to end the primary investigation, and to perform anticommunist duties after gaining the right to initiate investigations with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2007. The powerful authority that the police have been given now require checks and controls. Once the authority is concentrated in one institution, it may be resulted in abusing it. To solve this problem, the establishment of police department under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hereinafter referred to as MOIS) is requir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police department, the police will be under check and control to ensure that the power of the police is legally implemented. There are also negative argument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police department, such as whether police department can function as a practical check and control, and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police department is possible because the term 'public security' is not specified in the legal regulations of MOIS organiza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sser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police department under MOIS by examining the history of modern police and current legal regulations, furthermore, to suggest coming policy measures, while recognizing negative arguments about establishing of police department.

      • KCI등재

        미군정기 치안정책 연구

        김창윤(Kim Chang Yun) 한국공안행정학회 200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7 No.4

        미국은 미군정을 통해서 1945년에서 1948년까지 남한을 통치하였다. 본 연구는 미군정의 대한정책 중 특히 치안정책에 관한 연구이다. 미군정기의 치안정책은 크게 치안제도 도입기, 치안제도 성장기, 치안제도 확립기의 세가지 시기로 나뉜다. 첫번째 치안제도 도입기의 치안정책은 美전술군을 파견하여 치안을 유지하는 직접통치체제 구축 정책과 일제의 식민지치안체제의 부활을 통한 중앙집권적 치안체제 구축정책이었다. 두 번째 치안제도 성장기의 치안정책은 공산당제거라는 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치안제도 성장기의 치안정책은 치안기구확대 정책과 치안보조세력 확대라는 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미군정의 대한정책은 대한민국의 통치체제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각 분야의 기본적인 토대 수립에 있어서 지대한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미군정의 치안정책에 대한 이해는 독립국가를 수립하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미군정이후 전개되는 경찰체제의 특징과 치안제도의 발전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미군정의 치안정책은 각 시기별로 정치적 요인과 이데올로기적 요인에 따라서 영향을 받게 된다. 미군정 치안정책의 수립에 따라서 치안제도가 변화하게 되었으며, 이때의 치안제도는 중앙집권적인 경찰체제의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창설된 경찰제도는 이후의 한국경찰제도에 있어서 뿌리와도 같은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의 중앙집권적 경찰제도 창설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일본에서의 미군정 점령정책 중 치안정책과의 비교 틀을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American military occupations of Korea(1945-1948) after the world war Ⅱ had great influences on the history of Korea, the contents and system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s of police policy and their effects on the police systems in the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uses a policy process theory on the police policy of Korea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occup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olice policy of the introduction of police system period(1945.9-1946.3) are direct rule system building and centralized police system building. These policies are effected on an anti-soviet union and anti-communist policy. Secondly, the police policy of the growth of police system period (1946.4-1947.8) is removing the communist party. This policy is effected on strengthening south Korea and upbringing the neutrals policy. Thirdly, the police policy of the establishment of police system period(1947.9-1948.8) are the expansion of police system and the auxiliary police expansion building. These policies are effected on founding south Korea independence government policy.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determinants were much more important than socioeconomic determinants and these determinants effect on the policies of police. The policies of USAMGIK(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effect on the police policies in Korea and the police policies effect on the police systems too. In Korea, the policies of USAMGIK contributed to modernize the police policy and police system. The police of USAMGIK played the principal role in setting up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And centralized police system continued to exist for a long time.

      • KCI등재

        해방 이후 범죄대응을 위한 경찰조직 변천에 관한 연구

        김창윤(Kim, Chang Yu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2 No.4

        대한민국은 해방이후 아프라카 가나와 가봉에도 뒤지는 세계 최빈국(1인당 GNI 45달러) 대열에서 2014년 세계 13위(1인당 GNI 2만 8천 180달러)로 급성장했다. OECD 국가이자 G20 국가로 선진국에 당당히 진입한 것이다. OECD 국가이자 G20 국가로 선진국에 진입한 우리 국민들은 역사의 정통성과 자긍심을 갖고 있다. 또한 국민들과 경찰구성원들은 대한민국의 국가발전에 가장 큰 초석을 다진 경찰의 정통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비록 역사적 과오는 있지만 경찰은 대한민국의 위대한 발전에 묵묵히 그리고 소리 없이 공헌한 숨은 조력자였다. 그러나 민주화 과정에 대한 경찰의 과오와 증가하는 다양한 범죄현 상, 고도 산업화와 정보화의 급진전에 따른 다양한 범죄의 증가는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경찰의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경찰 변화에 대한 요구가 한층 더 증대되면서 경찰은 아직도 국민의 애정과 신뢰를 받기보다는 질책과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지금까지 경찰의 역사에 대한 연구들에서는 과거 경찰의 역사를 소개만 하고 있을 뿐 경찰의 과오와 국민의 신뢰를 받기 위한 각 시기별 평가가 부족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 70년 회고를 위한 기본적 논의로써 첫째, 근대경찰인 경무청의 역사성과 정통성 문제를 다루었다. 둘째, 미군정기 경무국의 역사성과 정통성 문제를 논의하였 다. 마지막으로 민주화에 대한 경찰의 과오문제를 고찰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대한민국의 경이로운 발전과 함께한 해방 이후 경찰의 70주년을 경무국, 치안국, 치안본부, 경찰청으로 시대구분을 하여 그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경찰의 과오와 발전을 고찰하였다. This article is a primarily study on the 70th Korean Police History and Development since 1945 to 2015. Korean Police has been built on 21th October 1945. It is argued that Korean Police has been Good Police or Bad Police during the time of Modern Korean History. But Korean Police have a great role in the field of social safety and economy growth. Korean Police have been designed for the Korean people to be happy and feel safety from 1945 up until current time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nge of modern korean pol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eriod of Kyungmu Bureau(1945-1948) were the times of direct rule system building and centralized police system building. That times Police have had an anti-soviet union and anti-communist policy. Secondly, the period of Chian Bureau(1948-1974) were the times of removing the pro-communist and anti-government That times Police have had strengthened police power and obeying the people. Thirdly, the period of Chian Headquarter(1974-1991) were the times of control and order. That times Police have had protected military government and suppressed democracy. Fourthly, the period of Kyungchal Agency(1991-2015) were the times of contributing to modernize the police organization. In that time, Korea people have played the principal role in setting up the care and service policy of police. And police have taken issues of Police Administration, Detection Techniques, Criminal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Types of Crime and Legal Questions.

      • KCI등재

        경찰에 대한 절차적 통제방안 연구

        정웅석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2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4 No.4

        With the inauguration of the Yoon Seok-ryul government, discussions on police reform are hot. The core of this can be seen as the establishment of a so-called “police station” withi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the reason why the establishment of a police station became a key task in the Yoon Seok-ryul government is that control of the police has been raised as police investigation rights have expanded. Accordingly,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Lee Sang-min launched the Police System Improvement Advisory Committee (hereinafter abbreviated as the Advisory Committee), established a police station in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ccording to the advisory committee’s recommendation, and the police station was launched on August 2, 2022. Regarding the launch of the police station, there is constant controversy over whether “security” is the secretary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nd Article 34 (5)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stipulates security affairs as the National Police Agency, but it is not separately stipulated in the duties of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owever,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Prosecutor’s Office Act in 2020, the prosecution’s command of investigation was abolished, and the scope of direct investigation was limited to six crimes, and reduced to two crimes (0.4%) through the revision in 2022. According to this, the judicial police have the right to initiate and proceed with the investigation of 99.6% cases and terminate the investigation, so a new interpretation of the police’s investigation work is needed. As a result, the Minister of Justice and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were forced to review the final attribution of the police investigation, and eventually appeared as a consultative office for the enactment of the Presidential Decree, which stipulates the investigation rules under Article 196 (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is is because Article 66 (Presidential Status/Responsibility) (4) stipulates that “administrative power belongs to the government” and Article 88 (Power/Composition of the State Council) (1) stipulates that “the State Council deliberates on important policies under the authority of the government”. However, no matter what judicial system is followe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s directly related to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eople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national criminal right, and it is difficult to correct it if it is incompletely designed due to the nature of the system. The problem is that although the Criminal Procedure Act was revised in the name of judicial reform, much of the case was granted to judicial police officers, ignoring the reality of Korea being investigated by judicial police officers, which is a modified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continental and Anglo-American judicial systems.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riminal Procedure Act with the police and the prosecutor’s system, and if necessary, reform should be carried out in a way that restores the prosecution’s (quasi) judicial character through the separation of the prosecutor’s (direct) investigation and the prosecution’s an investigative command. 윤석렬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찰개혁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그 핵심은 행정안전부 내 소위 ‘경찰국’ 신설로 볼 수 있는데, 윤석열 정부에서 경찰국 설치문제가 핵심과제가 된 이유는 경찰수사권이 확대됨에 따라 경찰에 대한 통제문제가 제기되 었기 때문이다. 이에 이상민 행안부장관은 경찰제도개선자문위원회(이하 ‘자문위’로약칭함)를 출범시켰으며, 자문위의 권고안에 따라 행안부 내 경찰국을 신설하였고,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2022년 8월 2일 경찰국이 출범하게 되었다. 문제는 경찰국 출범과 관련하여, ‘치안’이 행안부장관의 사무인지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 그 근거로 정부조직법 제34조 제5항에서 치안에 관한 사무를 행정안전부장관 소속 경찰청으로 규정하면서, 동조 제1항 행정안전부장관의 직무 내용에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들고 있다. 그러나 2020년 형사소송법 및 검찰청법 개정을 통해 검사의 수사지휘가 폐지되고, 사법경찰관의 수사주체성을 인정하면서, 검찰이 할 수 있는 직접수사의 범위가 6대 범죄로 한정되었고, 2022년 개정을 통해서 2대 범죄(0.4%)로 축소되었다. 이에 따르면 99.6% 사건에 대한 수사개시 및 진행 그리고 수사종결권을 사법경찰이 가지게 되었으므로 경찰의 수사업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경찰수사의 최종적인 귀속주체를 검토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며, 결국 법무부 장관과 행정안전부 장관이 형사소송법 제196조 제2항의 수사준칙에 관한 사항을 규정 하는 대통령령 제정의 협의관청으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왜냐하면 헌법 제4장 정부 제1절은 대통령이라고 칭하면서, 제66조(대통령의 지위/책무) 제4항은 ‘행정권은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정부에 속한다’고 규정하면서, 제2절 제1관 국무총리와 국무위원, 제2관 국무회의를 규정한 후, 제88조(국무회의의 권한/구성) 제1항은 ‘국무 회의는 정부의 권한에 속하는 중요한 정책을 심의한다’고 규정한 후, 제89조(국무회의 심의사항) 제3호에서 ‘대통령령안’을 국무회의의 심의사항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떤 사법체계를 따르더라도 형사사법제도는 국가형벌권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작용을 수반하여 국민의 권익과 직결되어 있고, 제도의 특성상 불완전하게 설계될 경우 이를 바로잡기 어렵다는 점이다. 문제는 사법개혁이라는 미명 하에 형사소송법이 개정되었지만, 사건의 상당부분이 사법경찰관리에 의해 수사되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외면한 채, 사법경찰관에게 수사종결권까지 부여한 것은 대륙법계는 물론 영미법계 사법체계와도 다른 변형적 구조라는 점이다. 결국 ‘치안’은 경찰이, ‘수사’는 검사가 하는 시스템으로 형사소송법을 재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검찰개혁 역시 필요하다면 ‘수사’와 ‘기소’의 분리가 아닌 검사의 ‘(직접)수사’와 검사의 ‘수사지휘’의 분리를 통한 검찰의 (준)사법적 성격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개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경찰의 역사성 및 정통성 확립과 미래 치안개혁 과제

        김창윤 한국공안행정학회 201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8 No.2

        This article is a primarily study on the History and Legitimacy of the Korean Police and Future Reform Task.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the IMF and the Bank of Korea in 2018, the Republic of Korea has joined the "30 -50 club" in the economic powerhouse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50 million and a national income of $ 31,349. Of the countries with more than 50 million people, there are only seven countries with more than US $ 30,000 in per capita income, including the United States, Germany, Japan, France, the United Kingdom, Italy and Korea. Korean Police has been built on 21th October 1945. It is argued that Korean Police has been Good Police or Bad Police during the time of Modern Korean History. But Korean Police have a great role in the field of social safety and economy growth. Korean Police have been designed for the Korean people to be happy and feel safety from 1945 up until current times.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hange of modern korean pol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eriod of Kyungmu Bureau(1945-1948) were the times of direct rule system building and centralized police system building. That times Police have had an anti-soviet union and anti-communist policy. Secondly, the period of Chian Bureau(1948-1974) were the times of removing the pro-communist and anti-government That times Police have had strengthened police power and obeying the people. Thirdly, the period of Chian Headquarter(1974-1991) were the times of control and order. That times Police have had protected military government and suppressed democracy. Fourthly, the period of Kyungchal Agency(1991-2017) were the times of contributing to modernize the police organization. In that time, Korea people have played the principal role in setting up the care and service policy of police. And police have taken issues of Police Administration, Detection Techniques, Criminal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Types of Crime and Legal Questions. 2018년 IMF와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인구 5,000만 명 이상, 국민소득 3만 1,349달러를 기록하면서 경제강국 ‘30-50클럽’에 가입했다. 인구 5천만 명 이상 규모를 가진 국가 중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는 국가는 미국, 독일, 일본,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우리나라까지 7개 나라뿐이다. 사실상 세계 7위의 경제강국으로 부상한 것이다. 우리 경찰의 뿌리는 아시아 최초의 유길준의‘민중적․민주적’ 경찰에서 시작하였다. 이후 김구선생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경무국장에 취임함에 따라 ‘항일과 독립운동’의 ‘애국경찰’로 이어지게 되었다. 해방 후의 경무국 시대는 정치적으로는 좌익세력에 의한 ‘내부혁명’적 상황이었으며, 사회적으로는 좌ㆍ우 대립에 의한 사회혼란이 극심한 분열상을 겪고 있었다. 경무국의 치안활동을 바탕으로 1948년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전역에서 5월 10일 UN의 감시 하에 총선거가 무사히 치러졌으며, 미군정은 제주4ㆍ3항쟁 등 남한 단독선거와 분단에 반대하는 국내 혁명적 민족주의세력의 ‘5ㆍ10선거’ 반대투쟁에도 불구하고 남한단독정부인 ‘대한민국’을 출범시켰다. 치안국 시대는 좌우의 극심한 이데올로기와 절대빈곤의 시대 그리고 전쟁의 참화를 이겨낸 ‘호국의 시대’였다. 경찰봉과 칼빈소총 만으로 공산주의 세력의 침투를 막았으며, 경찰에 대한 적대적인 불신 속에서도 사회안정을 유지하면서 경제발전의 초석이 되었던 시대였다. 치안본부시대는 우리 현대사의 가장 큰 굴곡을 경험한 시대였다. 군사정권의 민주화 탄압에 대한 안보치안의 역할이 증가하였으며, 경제발전을 위한 사회안정이 요구되었다. 이 당시 우리 경찰은 양자의 요구에 대한 딜레마에 놓여 있었지만 폭력조직을 사실상 와해하였으며, 외국공관과 국가중요시설의 철저한 경비로 외교문제로의 비화와 국가마비사태를 막았다. 또한 지속적인 경제성장이 이뤄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경찰청 시대는 최초로 정치적 중립과 민주화를 위해서 경찰위원회제도를 도입했으며, 경찰청장과 지방청장을 관청화 시켰다. 또한 경찰청장 임기제를 도입하여 경찰청장의 정치적 중립의무를 강화하였다. 경찰수뇌부의 부정적인 사례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찰관들은 군인, 검찰 등 유사직종보다 기본급이 군인보다 7-10%, 공안직 보다는 3-5% 낮은 수준에서도 묵묵히 맡은바 소임을 다했다. 지난 경찰의 역사는 영광과 과오가 함께 점철된 시간이었다. 이제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새로운 21세기를 준비해야 한다. 21세기 경찰이 나아갈 바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첫째, G20국가의 위상에 걸 맞는 선진 경찰상을 구현해야 한다. 둘째, 행복한 삶을 보장하는 ‘선진화된 범죄안전망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셋째, 국민행복을 위한 미래지향적 치안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KCI등재

        在日朝鮮人社會에 대한 日帝의 監視體制-憲兵隊의 役割과 그 限界를 中心으로-

        이승희 한일민족문제학회 2011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1 No.-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roles of military police in Imperial Japan’s system of monitoring the Society of Koreans in Japan, and to find the facts. During the period before World War II, Japan was defined as a ‘society with dual police system’ with a police force called Special Higher Police directed by the Home Ministry, and with military police directed by Japanese Army. It reflects that military police had such an important role as that of Special Higher Police as a police force of Japan. Koreans in Japan also similarly recognized the impact of military police as they were living abhorred by strict monitoring and cracking down of Special Higher Police and military police after moving from Chosun to Japan. But as we compare actual activities of Special Higher Police with those of military police, it makes us hesitate to conclude that they carried out similar roles. Police Bureau of the Home Ministry thoroughly made legal device to monitor Koreans in Japan by establishing and revising rules and regulations around the time of Annexation of Korea. And also Political Bureau set aside enough budget and workforce to Special Higher Police to collect information so that it could use the information in monitoring and cracking down on Koreans in Japan. Unlike this, even though they had a broad police right applicable to civilians, not normal to a military agency, military police had shortage of workforce, budget, information, and authority in monitoring and cracking down on Koreans in Japan. In the mainland Japan, military police monitored Koreans based on isolated and diverged responses because they could not establish a systematic monitoring system like Special Higher Police in the Home Ministry. And military police had little influence on Koreans in Japan in a civilian society not directly related to military. As a result, the gap between military police’s role in occupied countries, where they mainly led tasks of keeping public order, and in the mainland Japan, where their activities were largely limited, raises the need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to review military police’s roles in the system of maintaining public order in overall Imperial Japan. 本論文の目的は、在日朝鮮人社会に対する日本の監視体制のなか、憲兵隊が担っていた役割を検討し、その実態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戦前期における日本は、特高で象徴される内務省警察と陸軍の憲兵という「二重警察社会」であると規定されてきた。それは日本の社会において警察機構としての憲兵が担っていた役割が特高に劣らないほど大きかったという認識を反映している。朝鮮から日本へ渡って日本官憲の厳しい監視下におかれていた在日朝鮮人の認識もそれと似たようなものであったと言える。しかし、内務省特高と憲兵が実行していた「治安維持」活動を実際に比較してみると、この両者を同じ基準で評価することの問題性が浮彫りになる。内務省警保局は、韓国併合を前後した時期から在日朝鮮人を監視·取締を行える各種の例規を制定、または改正しながら法的措置を整備してきた。また特高には充分な予算と人員を投じて在日朝鮮人に関する情報を蒐集し、それに基づいて監視と取締を行った。一方、憲兵は軍の警察機関でありながら民間にまで行使できる幅広い警察権を保持していたが、人員·予算·情報·職権の限界により在日朝鮮人に対しては限定的な監視·取締活動を行わざるを得なかった。その結果、単発的、枝葉末節的な対応が主になったのである。特に憲兵は、軍と直接的な関連がない一般社会の中の在日朝鮮人に対しては殆んど影響力を行使す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憲兵が主導的に治安維持を担った植民地と憲兵の制限的な活動のみ許された本国の状況の違いから、帝国日本全体における治安維持体系上、憲兵が占める役割に対し、マクロな視点から接近する必要性を提起してくれると言えよう。

      • KCI등재후보

        대도시지역 순찰지구대 경찰관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특성, 경찰역할에 대한 인식, 근무환경 및 외부환경에 대한 인식의 영향

        황의갑 한국경찰연구학회 2008 한국경찰연구 Vol.7 No.2

        경찰에서는 집단화․광역화․흉폭화 경향을 보이는 현대 범죄에 효과적으로 대처한다는 명목으로 파출소를 통합하여 광역 순찰지구대체제로 개편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순찰지구대체제는 경찰관들로 하여금 광역화된 지역에서 신고출동과 단속위주로 근무토록 함으로써 지역주민들과 동반관계를 이루고 지역의 범죄관련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처하기 어려운 부정적인 상황을 초래하였다. 이런 문제와 관련하여 특히 도시지역 순찰지구대체제의 상황에 대한 진단과 대책이 시급하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직무만족에 관한 이론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대도시지역 순찰지구대 경찰관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개인특성, 역할인식, 근무환경인식 및 외부환경인식으로 분류하여 직무만족 관련 상황을 진단하였다. 서울시 4개 경찰서 20개 지구대 경찰관 737명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경찰관들의 태도 변인 중에서는 외부환경요인으로써 시민들이 경찰을 신뢰하고 존경하는 것에 대한 지구대 경찰관들의 인식이 직무만족에 가장 강한 영향을 주었으며 근무환경요인으로서 일하는 사람이 대우받는 보상의 형평성에 대한 인식과 지구대장의 만족스러운 리더십에 대한 인식이 뒤를 이었다. 개인특성요인과 관련해서는 근무경력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 직무만족도 제고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경찰관들의 태도변인이 시민의 경찰 신뢰 및 존경이라는 외부환경요인으로 진단되었다. 순찰지구대가 시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와 존경을 도모하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라면 현 체제는 일선 경찰관들의 직무만족을 통한 치안서비스 개선이라는 경찰개혁의 기본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뿐더러 지역민과의 파트너십에 근거한 범죄예방이라는 치안정책의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다고 보기도 어렵다. 외국사례를 토대로 이에 대한 대책을 논하였다. The police reformed the community based police substations into centralized patrol bureaus on the purpose of effectively handling collective and violent modern crime. By forcing officers to focus on dealing with calls for service and strict enforcement of the law, however, the centralized patrol bureau system resulted in some negative effects such as worse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fficers and citizens, preventing officers from recognizing and handling community problems based on partnerships with citizens, etc.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centralized patrol bureau system related to these problems especially in urban areas.As a part of such efforts, this research investigated job satisfaction among police officers in centralized patrol bureaus of urban areas by classifying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 as demographics, perceptions of the role of police, and perceptions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The empirical analyses of 737 police officers in 20 centralized patrol bureaus of 4 police stations in Seoul indicated that officers' perceptions of citizen trust and respect of the police had the strongest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among attitudinal variables, followed by an equity aspect of the reward and a satisfactory leadership of the head of their bureaus. Length of service was an important factor of job satisfaction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olicy suggestions for the reform of the centralized patrol system were discussed based on some examples of foreign countries.

      • KCI등재

        특별사법경찰의 범죄수사 실태에 대한 실증적 고찰

        강필영 한국치안행정학회 2018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각종 행정법 위반 범죄의 수사를 위해 도입되는 특별사법경찰 (이하 특사경)이 일반 사법경찰을 보충하여 제대로 수사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 사례 를 통해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사경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데, 수사의 비전문성과 무관심으로 수사보다는 단속에 치중하고 단속결과를 경찰이나 검찰에 수사 의뢰하는 방식으로 단순히 ‘1차 수사기관’으로서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는 비판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과 자치구 특사경의 사례를 살펴본다. 범죄 사건을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는지 각종 범죄통계 자료를 분석하고, 특히 기초지방자 치단체 단위의 특사경 활동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해서 자치구 특사경의 범죄 수사 실태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사경이 도입되어도 특사경 조직과 활동을 강화하지 않으면, 특사경은 단속업무만을 수행하고, 수사는 수 사 전담조직인 민생사법경찰단이나 일반 사법경찰에 의뢰하는 실태를 확인할 수 있 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문수사조직이 필요하며, 그 이전이라도 업무에 대한 자 부심 강화, 교육을 통한 수사실무 능력 배양, 조사실과 장비 등 여건을 개선할 필요 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수사 전담 조직형성은 특사경 도입취지와 논리적 모순이 따른 다는 점이다. 셋째,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사경의 행정 전문성은 수사관 개인영역을 넘어 서 조직차원의 전문성으로 개념적 확장이 필요하다. 넷째, 특사경 수사 전담조직을 광역자치단체에 둘 것인지, 아니면 기초지방자치단체에 두어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이는 그 분야의 행정적 특성, 수사전문성, 지역사회의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특사경이 일반 사법경찰과의 관계에서 보충적 기능을 효과적으 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 전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rough case analysis whether special judicial police, which was introduced to investigate violations of all kinds of administrative law, is performing its investigative function properly. Despite the fact that special judicial police is on the rise of expansion, there has been criticism that it merely function as a primary investigation agency with lack of professionalism and interest in investigation, focusing more on control than investigation and requesting police or prosecution for investigation of the results of control. This study examines some of the cases of Seoul’s Judicial Police Bureau and other special judicial police in autonomous districts of Seoul. By analyzing various kinds of criminal statistics data, this study deals how each criminal case is handled and it also conducted survey on the status of special judicial police in autonomous districts for the deeper understanding of special judicial police on local government level.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unless it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are intensified, special judicial police may only perform control tasks, requesting special judicial police bureau or general judicial police to conduct investigation; As a partial solu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pecial judicial police in autonomous districts needs to establish a specialized investigative organization within itself, and preceding this, that the working conditions should be improved by encouraging the workers take pride in their work, cultivating practical qualifications in investigation through education, and improving conditions of facilities such as investigating rooms and equipment; second, however the current status of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investigation contradicts the introduction of special judicial police; third,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extend the concept of a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s expertise in administration to an organizational level, not an individual one; fourth, it still raises a question whether to place special investigation organization of special judicial police within metropolitan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This issue needs to be decided after overall consideration of various issues such as nature of administration, expertise in investigative area, and its influence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is should be the basic premise for special judicial police to perform its supplementary function effectively in its relationship with general judicial police.

      • KCI등재

        행정안전부 경찰국 및 지휘규칙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개선방안 연구

        백승엽 한국경찰연구학회 2023 한국경찰연구 Vol.22 No.1

        Since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in 1948, “public security" has been the responsibility of the Minister of Interior(currently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However, with the enactment of the Police Act in 1991, "public security" became the responsibility of the Commissioner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important policies regarding police affairs must be deliberated and resolved by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in advance. Unde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ay directly direct the Commissioner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important policie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However, since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is a general law and the Police Act is a special law,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ust comply with the Police Ac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Priority of the Special Act.” Under the Police Act,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s only authorized to refer important issues to the National Police Commission if necessary, or to require the commission to discuss them again if it deems the content of the deliberations and resolutions to be inappropriate. On August 2, 2022,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mended the Presidential Decree to create the “Police Bureau”,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lso enacted and implemented the Regulations on the Command of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re has been a lot of criticism from police officials, politician, related organizations, and scholars about such measures. There are three main criticisms, which the government needs to address as soon as possible. First, there is nothing "unconstitutional" about the newly created the Police Bureau itself. However, the nature of the work performed by the police department is not a‘subsidiary organ (Line)’ that carries out its duties attached to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but ‘assisting organs (Staff)’ that advice to the head of the agency through professional knowledge or technology so that the head of the agency can perform his duties more efficientl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change the name of the newly office to 'Public order Policy Officer' or 'Public order Planning Officer', which means 'Staff'.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Rules, any important work of the police must be approved by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advance.However, the "pre-approval authority" newly granted to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n Article 2 (1) of the Command Rules is not specifically delegated by the Police Act. Therefore, this provision is judged to be unconstitutional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s "Principle of Prohibition of Comprehensive Delegated Legislation".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remove this provision as soon as possible. Third, there are concerns about 'impartiality' and 'political neutrality' for police officials in the future. In order to dispel this concern,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transfer the "procedure for promotion to the senior superintendent's rank from the chief superintendent" currently organized by the "Central Promotion Review Committe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to the "ordinary promotion review committee" of each police agency. 1948년, 「정부조직법」 제정·시행 이후 ‘치안’ 은 내무부장관(현 행정안전부장관)의 소관 사무였다. 그러나 1991년, 「경찰법」이 제정되면서 ‘치안’은 경찰청장의 소관사무로 바뀌었고, 경찰사무에 관한 중요 정책 등은 사전에 반드시 국가경찰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야한다. 「정부조직법」 상 행정안전부장관은 경찰청의 중요 정책 수립에 관하여 경찰청장을 직접 지휘할 수 있다. 그런데 「정부조직법」은 일반법이고 「경찰법」은 특별법이므로, ‘특별법 우선의 원칙’에 따라 행정안전부장관은 「경찰법」에 따라야 한다. 행정안전부장관은「경찰법」에 따라 필요시 국가경찰위원회에 중요 안건을 부의하거나, 위원회 심의·의결 내용이 부적정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를 다시 논의하도록 요구하는 권한만 인정되어 있을 뿐이다. 「행정안전부」는 2022년 8월 2일자, ‘대통령령’을 개정하여 경찰국을 신설하였고, ‘행정안전부령’으로「행정안전부 장관의 소속 청장 지휘에 관한 규칙(지휘규칙)」도 제정·시행하였다. 이와 같은 조치에 대하여 그동안 경찰공무원, 정치인, 관련 단체 및 학자들로부터 많은 비판이 있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 세 가지이며, 정부는 빠른 시일 내 개선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첫째, 신설된 직제인 경찰국 자체는 ‘위헌성’이 없다. 그런데 경찰국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성격은 ‘보조기관(Line)이 아니라 ‘보좌기관(Staff)’ 이다. 따라서 그 직제의 명칭은 ‘보좌기관(Staff)’을 의미하는 ‘치안정책관’이나 ‘치안기획관’ 으로 변경하고 장관 직속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지휘규칙」 에 따라 앞으로 경찰의 중요업무는 사전에 행정안전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그런데 「지휘규칙」 제2조 제1항이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새롭게 부여한 ‘사전 승인 권한’은 「경찰법」이 구체적으로 위임하지 않은 내용이다. 따라서 이 조항은 헌법상 ‘포괄적 위임입법 금지원칙’에 위반하여 ‘위헌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 그러므로 이 조항은 빠른 시일 내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앞으로 경찰공무원에 대한 ‘인사의 공정성’ 및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현재 경찰청(본청) 소속 ‘중앙 승진심사위원회’에서 주관하는 ‘경정의 총경 계급으로의 승진심사 절차’를 각 경찰기관 소속 ‘보통 승진심사위원회’로 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