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태원 산문세계에 나타난 부정적 인식과 정체성

        오영록 한국비평문학회 2019 批評文學 Vol.- No.73

        The studies on Park Taewon is still valuable. But, almost of thosestudies are limited to novels. Especially, Park Taewon is a writer whoconcentrated on imagery of the writings he wrote his experiences forhimself through novels, so the awareness embodied in novels is deeplyrelated to the awareness of essay. In this sense, Prose world of ParkTaewon can be understood more accurately from an angle of mutual textof novels and proses. In his novels and proses, there are various subjectssuch as women, aged men, central part, surrounding part, etc. Especially,the awareness shown in prose world of Park Taewon is shown bynegative realization on some subject. The negative realization shows ParkTaewon’s own identity by the awareness to classify others and himselfand becomes the base of Park Taewon’s prose world. First of all, women are the existence eaten into by selfishness andignorance in prose world of Park Taewon. As women are objects damedby capitalist desire in 「Daily life of novelist Gubo」, so the work isdifferent from existing works. Women of his prose are daughter or wife,who is directly related to Park Taewon closely, so the works show frankawareness. In 「Young people」, his two daughters, Sulyoung andSoyoung, cannot control their desire because of greed. 「Egoist」 showsselfish and dual appearance of his wife, seen by Park Taewon, throughseveral stories. In 「Vain thing」, weakness of Joseon women is that theyare passionate to myths. And, aged people are surplus existence who cannot help being deniedin prose world of Park Taewon. In 「Fallen bird」, he uses some agedperson who sticks to the glory of the past without living at present and thesituation he fears of his death as the most of narrative. In Chunbyun landscape, the aged are doing mysterious and impatient behaviors fortheir health. In 「Youngilmandam」, the aged have pretension andshamelessness. In 「Mohwagwan-Yongduri」, the aged make an excuse forall things. In 「Unlucky grandmother」, the aged person does not intend toreturn other’s fan, but cannot help returning. In 「Byungsangjabsul」, ParkTaewon is negative to longevity and points out that loneliness of the agedis nearly a kind of mental extinction of the aged. Finally, there is the awareness on central part and surrounding part asthe boundary of sungmun of gyungsung. In 「Mackerel」, a grandmotherclassifies out of sungmun and in sungmun and it is planned bydiscriminated sight. However, Park Taewon mentioned that he does notagree the thought, but 「Criminal and prize」 shows negative awareness onthe outside of sungmun. Especially, his 3 portraits 「Eumwo」, 「Tudo」,and 「Chaega」 show the situation that problems occurred out of thesungmun must be solved by resources in sungmun, the situation thatproblems are occurred by Joseon thief living out of sungmun, thesituation that problems caused by brokerage of Joseon person are solvedby assistance of Japanese person in sungmun, etc. Park Taewon designedGyungsung as inside and outside of sungmun and showed contemptagainst surrounding part and awareness aiming at central part. 박태원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소설에 한정되어 있다. 박태원의 경우 스스로 체험하며 남긴 글을 소설로 형상화함에주력했던 작가이기에 소설에서 구현된 의식은 수필에서의 의식과 깊은 관련을 지닌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보자면 박태원의 산문세계에 대한 이해는 소설과 수필의상호텍스트적인 차원에서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의 소설과 수필에서여성, 노인, 중심부와 주변부 등과 같이 다양한 대상이 나타난다. 박태원의 산문세계에 나타난 의식은 어떤 대상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드러난다. 이와 같은 부정적 인식은 타인과 자신을 구별하고자 하는 의식에 의해 박태원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역할을 하며 박태원 산문세계의 근간을 이룬다. 먼저 여성은 박태원의 산문세계에서 이기심과 무지함에 잠식당한 존재로 그려진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 여성들은 자본주의적 욕망에 경도된 대상들로나타난다는 점에서 기존의 작품과 차이를 지닌다. 그의 수필에 나타나는 여성은 박태원 가까이에서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딸 혹은 아내와 같은 이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진솔한 의식이 드러난다. 「어린것들」에서는 박태원의두 딸인 설영과 소영이 식탐에 빠져 욕망을 제어할 수 없는 대상으로 나타난다. 「에고이스트」은 박태원의 시선에 비친 이기적이고 이중적인 아내의 모습을 여러 일화를 통해 말하고 있다. 「허영심 많은 것」에서는 조선의 여인이 지닌 결점으로 미신이라 불러 마땅할 것들에 열정을 보이는 모습을 문제로 지적한다. 이와 같은 사항은 「재운」이란 소설 작품에서 그대로 주제화가 된다. 그리고 노인은 박태원의 산문세계에서 부정할 수밖에 없는 잉여적 존재로 나타난다. 「낙조」에서 현재를 살아가지 못하고 과거의 영광에 취해 살아가는 한 노인의모습과 함께 자신의 죽음을 두려워하는 상황을 서사의 대부분으로 사용한다. 천변풍경에서 노인들은 건강관리를 한다며 기괴하고 극성스러운 행위를 하는 존재들로 묘사된다. 「영일만담」에서 노인은 허세, 뻔뻔함을 지닌 존재로 나타난다. 「모화관 - 용두리」에서는 핑계로 모든 것을 일관하는 노인의 모습을 나타낸다. 「불운한 할멈」에서는 타인의 부채를 갚지 않으려 했다가 갚을 수밖에 없게 된 노인의 모습을 그려낸다. 「병상잡설」에서 박태원은 장수에 대한 비관론을 드러내며 노령만이 지닌 고독이 일종의 정신적 소멸에 가까움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경성의 성문을 경계로 한 중심부와 주변부에 대한 인식이 나타난다. 「고등어」에서 할멈은 성문 밖과 안을 구분하여 이를 차별적인 시선으로 구획한다. 그러나 박태원 자신은 이런 생각에 동조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히지만 「죄인과 상여」에서 성문 밖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드러낸다. 특히 그의 자화상 3연작으로 불리는 「음우」, 「투도」, 「채가」에서 성문 밖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성문 안의 자원으로 해결해야 하는 상황, 성문 밖에 사는 조선인 도둑에 의해 문제가 발생한 상황,조선인의 중개로 문제가 발생해 성문 안 일본인의 도움으로 이를 해결하는 상황등을 드러낸다. 박태원은 경성을 성문 밖과 안이라는 곳으로 구획하여 주변부에 대한 멸시와 함께 중심지에 대한 지향 의식을 드러낸다.

      • KCI등재

        박태원의 일본 유학 배경

        강소영(Kang, So Young) 구보학회 2010 구보학보 Vol.6 No.-

        박태원은 1929년 고등학교 졸업 후, 1년간의 공백을 거쳐 1930년 일본에 건너가 4월부터 1년여간 호세이 法政 대학 예과에 적을 두고 동경 생활을 시작한다. 본고에서는 유학전의 박태원은 무엇을 지향했으며, 그와 동경유학생이 중심이 된 해외 문학파와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그가 왜 법정대학으로 유학을 가게 되었는지에 대한 유학의 배경에 대해서 고찰했다. 유학 전의 박태원은 서양문학과 일본문학, 한국문학을 두루 섭렵하며, 진(眞)과 열(熱)을 담은 한국적 문학의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조선의 마음을 강조했던 시인 김안서, 일본시인인 미쓰이시 가쓰고로(三石勝五郎)의 자연과 노동에의 예찬, 사이죠 야소(西條八十)의 서정적인 시의 세계를 통해 문학관을 정립하려고 했다. 박태원은 문학수업을 위해 고교를 휴학 중이던 1927년에, 해외문학파가 발간한 『해외문학』1, 2호를 읽고 그들의 문학의 방향에 공명하여 해외문학파 멤버 4명이 다니던 학교인 법정대학을 유학처로 선택했다. 법정대학은 그가 처음으로 문학을 배운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문하의 리버럴 지식인이 교수진으로 있었으며, 서양 문예사조강연회가 열려 유명한 학교이기도 했다는 점에도 영향을 받았다. 해외문학파는 일본이라고 하는 서양문학의 중간단계를 경유하지 않고, 서양문학 전공자에 의해서 서구 근대문학을 직접 번역 소개하여, 한국근대문학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박태원에게도 일본은 최종목적지가 아니라, 서양의 영문학을 배우기 위한 중간 경유지였다. 그러나 해외문학파는 한국문학에 필요한 외국문학의 선별소개나 서양과 한국문화라고 하는 두 방식의 균형, 세계각국이 놓인 상황의 차이에서 생기는 문제의 분석, 그 해결 방향의 제시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에 시대적 한계가 보인다. 이러한 당시 해외문학파의 한계는 일본에 가기 전의 박태원이 안고 있던 문학에 대한 고민과 겹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일본에 가서 일본이 아니라 서양의 “근대”를 보려고 했다. 그러나 식민지 지식인으로서의 자아는 일본 제국의 수도 동경과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비교할 수 밖에 없는 필연성에 직면하게 된다. After graduated high school in 1929, Taewon Park had a break about 1 year. Then he went to Japan in April 1930and started his Tokyo-Life. He entered to a preparatory course of Hosei Unievrsity.This work is considered as what he aimed for, how he was related in the foreign literature group, why he had to go Hosei university in Japan. Before he went to study abroad, he read through books covering all sorts of fields such as western, Japanese and Korean literature. So he sought a Korean literary method that pursues truth(眞) and passion(熱). Taewon Park tried to establish a view of literature through Korean poet, Anseo Kim who emphasized a mind of Chosun and Japanese poet, Mitsuishi Katsugoro who admired nature and labor, and Japanese poet, Saijoyaso who was in collusion with lyrical verse. He read the first and second “Foreign literature” published by the foreign literature group while he was taking time off for studying of literature. He chose the Hosei University as a study abroad because he was echoed by their literal focus.And he was affected by the point that Hosei was a very famous university for opening a lecture of a trend of western literature and having liberal and intellectual faculties who studied under Natsume Soseki. The foreign literature group aimed for establishing a modern Korean literature by introducing and translating modern western literatures directly without Japan, which was called as an intergrade of the western literature.Japan was not a destination but a route to learn western English literatures to him. But the foreign literature group had a periodic limitation. They did not reach analyses and solutions for some problems like introducing selected western literatures which were needed in Korean literature, a balanced culture between western and Korean, and differences of each country’s situation. It seems that these limitations of the foreign literature group overlapped with the problems that Taewon Park had before he went to the Japan. It can be seen that certain are more at risk than Taewon Park tried to see western “Modern”, not Japan.

      • KCI등재

        문장지 시절의 박태원

        배개화(Bae Gae-hwa) 우리말글학회 2008 우리말 글 Vol.44 No.-

        By reviewing works of Munjang magazine(1939. 2~1941. 4) relatively less studied, this paper traces the change of Park Taewon's literary trends. First Park, in a novel 〈Golmok-an; inside of the alley〉, made sharp criticism for the Act of the entrance system of middle school, announced August 31, 1939. The new Act for collecting students included a physical evaluation unit which is not regulated before, the main purpose of whom was to increase the combat ability of the students, expected to apply the volunteer army. Park criticized war time policy of Japan in colonial Korea by describing the dark facade of the low-class. Second, since having published 〈Golmok-an〉, Park, however, lost the sense of humor and warm hearted eyes on the life of Korean People under the colonial domination. His narrative voice changed from the polyphony to the monophony. The one is a voice of Park's modernism novels, but rather, the other is a voice of park's popular novel presenting an affectless description of the metropolitan life, such as Seoul. His professional writer’s character was well revealed in his novel 〈Aegyeong: the love story〉, sketching the love affair of the youth in Seoul. By describing verbal life of bilingual user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he exposed that Korean was colony of Japan for the frist time in his works. Third, Park continually published 〈Asea-ui Yeomyeong: dawn of the Asia〉, describing the detail process of Wangjingwei’s giving up anti-Japanese war, and of establishing Japan's puppet government in Nanjing and cooperating with Japan. In his novel 〈Asea-ui Yeomyeong〉, he introduced Wang's statement, December 27th, 1938, which stressed the necessity of self?autonomy in the boundary of Great-Asia Prosperity. By introducing Wang’s above statement, Park could be said to present his outlook for the future of colonial Korea as well. That is to say, Korea also should be able to obtain self-autonomy as a member of Japanese federal system. Forth, the autobiography trilogy published before and after 〈Asea-ui Yeomyeong〉 demonstrated that Park's interest moved into writing for a living, whose change is a result of influence by the compromise to Japan and real life.

      • KCI등재

        박태원 소설의 도시풍경과 그 내부

        송기섭(Song, Ki-Seob)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박태원의 초기소설들은 도시소설로서의 독특한 양식을 구현한다. 도시라는 근대 문명은 박태원의 소설을 이루는 리얼리티의 기원을 이룬다. 여기서 우리가 보다 주목할 것은 도시 그 자체의 사회학적 변모 양상이 아니라 그것에 접근하는 작가의 독특한 창작기법이다. 작가 자신이 자주 언표했을 뿐만 아니라 플롯을 통해 확연히 보여준 고현학을 먼저 떠올릴 수 있으며, 카메라 기법을 또한 이와 연관하여 분석의 도구로 떠올릴 수 있다. 이러한 층위의 분석은 박태원 초기소설을 해명할 중심축으로 이미 개념적 이해의 함의를 보여온 바이다.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 본 것은 그의 초기소설들이 고유하게 개발한 ‘시선’이다. 먼저 그 시선의 주체는 작가나 서술자의 그것이 아니라 작중인물에게 부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작가의 간섭을 배제하고 장면이나 사건을 제시하는 리얼리즘의 온전한 구현을 가져온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리하여 박태원은 그의 도시소설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사건을 전달하는 리얼리즘 형식에 이르게 된다. 시각 주체는 두 방식으로 부여되는 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처럼 한 인물에게 독점적으로 주어지는 경우와 『천변풍경』처럼 여러 인물에게 교차적으로 주어지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것이 단일하게 주어질 경우, ‘구보’와 같은 보기 위하여 움직이는 존재를 창조하고 중층적으로 주어진 경우, 『천변 풍경』에서처럼 고정된 장소에서 세계를 관조하는 인물을 창조한다. 박태원의 소설은 이들에 의하여 눈에 보이는 세계를 말하는 양식이 된다. 여기서 더 주목할 것은 그들이 단순히 보는 것만이 아니라 그 눈을 통해 사유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보는 대상이 도시의 외관이기보다 그곳 사람들의 몸들이라는 사실이다. 박태원의 도시 풍경을 이루는 것은 바로 그 도시의 사람들이다. Landscape is something experienced by vision. The Landscape of city limits the sight. We have to walk around the street or draw public's attention to overcome it. “Writer Gubo's Day” was incarnated by the former, and “The Landscape of Ravine Side” was incarnated by the latter. Whatever the method of drawing attention was, it was a form of exploring city used in modernology. Park Taewon's modernology was a means of writing a novel forming city novels which contain the landscape of the city. In his landscape of the city is his professionalism as a writer. Park Taewon hoped to search for the life in the darkness of Seoul. He wrote stories that is focused on humanity. In “Writer Gubo's Day”, Gubo decides to possess his own life. He granted values on life in “The Setting Sun”, “Street”, and “Dreary Rain” as well. The Landscape of Ravine Side finds out the value of life in petty lives in Seoul. The life means absolution of human beings who have priority over fascination. The life he sought for correspond to labor of modern people, especially those who were in the city. In the novels of Park Taewon are people in the city and their body. Their lives are explored by the bodies and composed by possessing the bodies. The Landscape of the city is created by exploring their bodies. Gubo realizes that what guarantees a person is the person's body. Gubo feels that his existence is based on his body. While swayed in self-consciousness of his body, Gubo focuses on others' bodies. The Landscape of Ravine Side focuses on bodies as well. The body which Park Taewon considered as supremacy is a means of life and the scene of life.

      • KCI등재

        "An Encounter" : Blooms Day and Goobo's Day

        Min, Taeun 한국제임스조이스학회 2004 제임스조이스저널 Vol.10 No.2

        In the year when a complete translation of Ulysses appeared in Japan, Park Taewon, admittedly the first Korean modernist writer, went there to be exposed to the influences of Joyce. After reading Ulysses, it seems to me, Park was influenced by its styles and themes in one way or another, and in varying degrees. He mentions this novel twice and even discusses it briefly in A Day of Mr Goobo the Novelist. This paper traces the resemblances between them, including narrative technique. True, Park opposes what is termed "modernology" to Joyce's modernist technique, but these two do not seem to differ greatly. In short, Joyce and Park differ in degrees, not in kind, at least in these two works. The difference is that Joyce is more thorough, complex, and subtle in his experimentation with styles and his use of the stream of consciousness and allusions. As a result, Park's novella is less obscure and less open to many interpretations, unlike Joyce's text which is full of enigmas.

      • KCI등재후보

        도시공간에 대한 미디어적 인식과 소설의 서사-박태원의 소설과 공간으로서의 서울

        송민호 구보학회 2014 구보학보 Vol.0 No.11

        In this paper, I discussed with a problem about the relationship of the narrative of Park Taewon's novels and the actual space of Metropolis and media extension. Including the novel entitled One day of Mr. Kubo, novelist, a lot of novels which Park Taewon wrote in Kyungsung, spatial background, are meaningful as the text accumulating memory of the citizen who engage in the actual space of Seoul, while diffusing as media. Until now, in the discussion for spatial recognition of Park Taewon novel with a focus on the flaneur concept, novel riverside landscape was not well evaluated in a lack of the distinct thematic consciousness, compared to the creating way of Modernology in One day of Mr. Kubo. However, it is necessary to some reconsideration in such evaluation, if determined as the main spatial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which subject percepts space of his world. Park Taewon already wrote a process that Mr. Kubo rediscovered a affluent sense and a meaing of space in Seoul, while discovering the intimate old relationship through the wandering in the day in the big city in One day of Mr. Kubo. In other words, novel One day of Mr. Kubo could be a methodological novel with a preliminary work of a full scale creation, riverside landscape. 본 논문은 박태원의 소설 서사와 미디어적 확장의 대상으로서 서울이라는 실제 공간이라는 문제를 다룬다.「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비롯한 도시 경성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박태원의 일련의 소설들은 실제 서울의 공간을 미디어 삼아 확산해나가면서 서울이라는 공간을 영위하는 사람들의 기억을 누적시키는 텍스트로서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산책자 개념을 중심으로 한 박태원 소설의 공간 인식에 대한 논의에서는「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첨예한 고현학적 방법론에 비해, 『천변풍경』의 텍스트는 뚜렷한 주제의식이 존재하지 않는 세태소설로 평가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공간을 받아들이는 주체의 공간현상학적 문제로 판단한다면, 오히려 이러한 판단에는 어느 정도 재고가 필요하게 된다. 이미 박태원은「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속에서 대도시에서의 하루 동안의 방황을 통해 대도시의 기저에 존재하고 있는 친밀한 관계성을 발견하면서 풍요한 공간의 감각과 의미를 재발견하게 되는 과정을 기록하여 두고 있다. 즉「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바로 이후에 이어지는 본격적인 소설 창작으로서 『천변풍경』의 자리를 예비하는 방법론적인 소설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즉 박태원은 자신의 소설 서사 속에서 서울 공간의 풍요한 감각성을 되살리는 방식으로, 서울이라는 공간 자체를 소설 서사를 확산하는 미디어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글쓰기의 형상화와 예술관 드러내기: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과 박태원의 「적멸」 비교

        이영심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9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48

        This article compared “Nirvana” (Jeok Myeol) by Park Taewon with the last chapter of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by James Joyce, focusing on the embodiment of writing and the manifestation of the artistic point of view within the text. James Joyce inserted ‘the creational process of literary writing’ into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through a detailed description about Stephen’s writing of a villanelle. Furthermore, the last chapter without any special plot unfolds the literary theory of Stephen who finally recognizes his identity as an artist (or a writer). In the chapter, through his conversation with several other characters such as Davin, Stanley, and Lynch Joyce also effectively reveals Stephen’s artistic autonomy against the narrow minded Irish nationalism, Catholic religion, and the family system. Similarly Park Taewon’s “Nirvana” is ‘a novel about writing a novel’ because it sets up a novelist as its main character and constitutes the story from the process of his writing of a novel. And the novelist’s conversation with a fictional character who can be interpreted as another self of the novelist shows Park Taewon’s attempt to overcome the realistic constraints of Japanese imperialism by embracing the unconscious areas of human beings. Like this, the two writers, in common, inserted their struggle to solve the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nature of literature?” and “What does it mean to write a novel?” into their own text.

      • KCI등재

        북촌과 남촌/흥남/동경 사이의 거리- 박태원의 『천변풍경』에 나타난 장소성, 자본운동, 생태

        한만수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5

        세계화 속에서 자본의 이동은 순식간에 이뤄지고 전지구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인간의 삶과 인식범위는 일정한 제한을 지닐 수밖에 없다. 이런 시대에 문학은 어떤 구실을 할 수 있으며 또 해내야 할 것인가.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에 의해 쓰게 된 매우 작은 답변이다. 한국의 근대화가 시작되었던 1930년대 산출된 몇 작품(주로 박태원의 『천변풍경』)을 대상으로, 자본운동과 장소성이 어떻게 나타나 있는가를 분석하고, 그 결과와 문학 이외의 자료들이 파악한 당시의 자본운동을 대비하였다. 무엇이 결락되어있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를 찾아보고자 했다.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천변풍경』이 그리는 천변의 조선인들은 그저 생계유지에 급급하거나 도박에 빠져있을 뿐, 산업자본으로의 이행을 통한 부르주아로의 신분상승 의지가 없거나 불가능한 상태였다. 한편 현실 속에서는 그들의 생계유지를 위한 경제활동(생산, 소비, 저축 등)이란 자본운동에 의해 일본 자본의 이윤 극대화, 심지어 전쟁이나 노동탄압, 생태파괴 등에 기여했다. 하지만, 작품에서는 그런 자본운동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주로는 일본인과 그 거주지역인 남촌을 관찰하지 않았다는 점 때문이다. 둘째, 이 작품의 조선인들은 대부분 돈을 벌려는 의지는 강력하지만 그에 실패한다. 그러면서도 조선에서 자본이 어떤 흐름을 갖는가는 거의 관심이 없다. 따라서 개인의 욕망이 어떤 경제구조에 의해 좌절되는가를, 가난이 누구의 책임인가를 인식하기 어렵다. 셋째, 이 작품은 조선인 중에서도 가장 자본운동에서 소외된 개천 밑의 거지들에 대해서는 매우 냉소적인 어조를 유지한다. 가난한 자가 더 가난한 자를 타자화하는 것이다. 당대 대중도 작가도, 자본주의적 가치관에 동화되고 있을 뿐 가난의 원인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음을 뜻한다. 가난 속에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천변의 조선인에 대한 강력한 연민과 긍정은 이 작품의 널리 알려진 미덕이지만 이런 한계도 지적되어 마땅하다. 거지와 서민의 삶이 전세계적 자본운동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파악하지 못한 탓에 나타난 한계라 하겠다. 넷째, 자본운동의 세계화는, 내가 삶을 영위하면서 사용하는 재화 및 화폐가 전지구적 타자들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를 인식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는 오늘날 더 절실한 문제이며, 오늘의 문학은 이 문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본격적 탐색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는다. Japanese residential areas and Japanese people rarely appear in the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on the reasons for that. However, there has not been wide-range discussion on the issues that occurred as the result of it. This study analyzes how the capital movement is portrayed in Park Taewon's Chonbyun-pungkyeong (Landscape of the Riverside) and approaches the issue of not dealing with phenomena in relation to the Japanese colonization by contrasting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with the actual capital movement in the history.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osun people at Chonbyun (riverside of Chongkyechon) portrayed in Chonbyun-pungkyeong are either simply eking out a living in poverty or are addicted to gambling. They have no will to ascend the social status to the bourgeoisie nor the ascent of social status seem to be possible for them. Meanwhile, the actual capital movement of the time was structured in a way that the economic activity of the people (production, consumption, saving, etc) simply meant the maximization of Japanese capital and even was contributing to the war, labor repression and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However, such capital movement is not described properly in the novel. There's also no criticism of (Japanese) capital movement. It is mainly because the novel does not observe the Japanese people, the Japanese residential area of Namchon, and Heungnam which was the center of modern capital movement. Second, the Chosun people in the novel mostly have strong desire to earn money but always fail to do so. However, the novel does not observe the feature of capital movement in Chosun. Therefore, it is not easy to recognize what social structure frustrates the individual's desires and who are responsible for the poverty. Third, the strong sympathy and positive feeling for the people living assiduously even in the poverty is the well-known virtue of the novel. However it maintains a cynical tone towards the beggars under the river bridge, who are the most alienated ones from the capital movement. The poor is excluding the poorer as the other. This means that neither the public not the author knew the source of the poverty and they just assimilated to the capitalistic values. Fourth, even though Park Taewon has the strong desire for the materialistic achievement and the western/modern culture, he does not perceive that those are based on the capital movement of the colonial exploitation. The result of it is the familiar repetition of dichotomous cognition between the western/modern advancement and chosun/ pre-modern underdevelopment. One of the major reasons the Korean literature of the period avoided to deal with the Japanese and their residential areas was the censorship of the Japanese. This indicates that the censorship had more impact on the Korean literature than we have presumed.

      • KCI등재

        '구인회'와 한국 현대소설

        장영우(Young Woo Jang)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4

        ‘Guinhoi’ is the pure literature group played the role of characterization which change from korean modern literature to contemporary literature, their writers had a great effect to the realism tradition of korean modern novel and the experiment of conventions. Taejoon Lee·Taewon Park who goes to North Korea had effect to the junior writers, and Sang Lee`s literary text reproduced constantly as ‘a reach an apex of korean modern literature’. Youjung Kim`s novel was diminished as a pre-modern works pursuit a vein of humour and a nature of folk, but some junior writers who have a ‘Iyagi’ character inherited his novel`s feature. Taejoon Yi·Taewon Park·Youjung Kim are writers who gets interested in the experiment of conventions of korean modern novels on the basis of introduction of modernism literature. In particular Kim shows off new convention of a novel that unite a ‘Iyagi’ and a ‘novel’ that graft oral narrative & dialogue of korean tradition onto western modern novel. And these experiment takes more completely styles by Moongu Lee and Jungin Seo. Their novels will be continued as forming alternative genre named Korean ‘Iyagi’ style novel with big stream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established by Taejoon Lee and Taewon Park.

      • KCI등재

        越劇 ≪春香傳≫에 나타난 春香 형상의 변모— 唱劇 ≪春香傳≫과 비교를 중심으로

        이지은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9 中國學論叢 Vol.0 No.66

        The topic in this study is about the character of Chunhyang in the Chinese Yue opera Chunxiangzhuan(1954). In order to approach the subject, need to understand both various versions of Chunhyangjeon and the original work that influenced the Yue opera Chunxiangzhuan. Yue opera Chunxiangzhuan is an remake of the script of the North’s National Classical Arts Theater. At a similar time, Cho Un(1900~?) and Park Taewon(1910~1986) arranged the Chunhyangjeon in Changgeuk. In North Korea, Changgeuk Chunhyangjeon was performed in December 1954 with a major revision by Jo Un and Park Taewon. The Yue Oprea of Chunxiangzhuan is not an translation of Changgeuk Chunhyangjeon. However, the timing of the production is close, the composition and title of the act and scene is almost identical, and considerable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contents and stage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orks, focusing on the character of the Chunhyang, and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two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