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Organic Characteristics of Self-organized Space

        한태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1

        (Background and Purpose) Perspectives on space design are changing in the wake of the re-emergence of the complex system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If the motives of space design in the 20th century were mainly inspired by physics or machines; a space for organic shapes is now being created, using computers and inspired by biology, under the complex system paradigm. The need to consider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nature inherent in the complex system paradigm, as well as the spatial application of such development characteristics has also been highlighted. More specifically, while a plethora of varied space design works emu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sms based on the “self-organization” principle is appearing, the majority of such works are not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self-organization inherent in nature. Rather, these works imitate nature morphologically by simply adopting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process. However, the purpose of space as a living system—which is created through self-organization under the complex system paradigm—is to create an organic space akin to nature; that is, to create an open system through various space designs that places uncertainty under control, rather than simply imitating nature morphologically. As su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a self-organizing space can play the role of the open system required to control the unpredictable aspect of modern society. It did so by examining the potential of the space structure and analyzing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space created through self-organization, a phenomenon inherent in nature. (Method) In Chapter 2,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n organism are interpreted from the systemic perspective, and its relational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rom its interpretation. In Chapter 3,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elf-organization are examin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homogeniza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al space from the generative position. In Chapter 4,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self-organized space cas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organic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Chapter 2 and self-organizing types. The spatial potential of controlling unpredictable parts of modern society as a living system are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results of analyzing organic characteristics through self-organizing types, can be categorized as follows: higher totality in self-aggregated organization, higher dynamic open structure in self-amplified organization, and higher nonlinear structure in the self-deformation organization. Overall, analysis revealed that the feedback structure had the largest proportion of organic characteristics in self organizing space.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that self-organized space can form the total structure by non-linear interaction through dynamic openings; induce the feedback of human, space, and nature; as well as play a role as a living system in controlling the uncertainty of modern society through its organ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사용자 세분화 전략에 따른 미래 사무공간 환경 특성 연구

        박신영 ( Park Shinyoung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20세기의 사무공간은 기업이나 관리자 중심의 관점에서 발달되어 왔고 조직에서 실제로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성원들의 입장은 크게 고려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이러한 흐름은 최근까지도 지속되었으나 팬데믹을 겪으며 재택근무나 자율근무제 등을 통해 과거와 다른 업무방식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사무공간의 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국내 인터넷 기술의 발달은 선두에 있고 이러한 기술의 보급은 업무방식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삶과 가치관을 변화시켰다. 앞으로의 사무공간은 일하기 위한 기능적 공간에 머무르지 않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관점이 반영된 인간적인 공간이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세분화 전략을 통해 개인의 가치를 통합하여 조직이 사용하는 공간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사무공간 특성을 연구한 선행연구들로부터 미래사무공간의 정의와 특성을 도출하고 둘째, 사용자 세분화 전략이 응용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사무공간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사용자 세분화 전략에 따라 문헌조사를 통해 미래 사무공간 사용자를 세분화하여 사용자 가치를 도출하였고 넷째, 도출한 결과들을 비교 분석하여 미래 사무공간 특성 정의를 위한 분석 모델을 만들고 선진적 사례를 선정·분석하여 구체적인 디자인 방안을 알아보았다. (결과) 그 결과, 사용자 세분화 전략의 응용은 미래 사무공간 특성 분석에 있어 유의미한 과정이며 다양한 공간 분야로의 확장가능성도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출된 미래사무공간의 8개 특성들은 세대 분석을 통해 발견한 사용자 가치가 복합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사용자들은 소통과 공유를 중시 여기면서 동시에 조직 내 개인의 위상과 정체성을 갖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행에 따른 공유 공간의 무조건적 적용을 재고해야하며 기업은 조직구성원들이 사무공간에서 기대하는 것에 귀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결론) 사무공간은 혁신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신세대와 이들에게 지혜를 줄 수 있는 기성세대가 함께 생활하는 작은 사회이기 때문에 각 세대를 이해하고 서로 협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중요하다. 미래사무공간은 이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양질의 공간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사용자 세분화 전략은 미래 사무공간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디자인을 구현하는 방법론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Office space in the 20th century has been developed around companies or managers, while the positions of members who actually occupy a major proportion of the organization have not been considered. This trend continued in Korea until recently, but changes in office settings became essential since COVID-19 has shifted the mode of work to telecommuting or through autonomous work systems. In particular, the expansion of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have changed people's lifestyle and values as well as their work in Korea. Future offices should not be a functional space for work alone, but a human space that reflects a user-centered perspective for a better life.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integrate individual values through user segmentation strategy and apply them to spaces used by organizations. (Method) First,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future office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on office space characteristics. Second, I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office through previous studies that applied user segmentation strategy. Third, according to the user segmentation strategy, future office users were subdivided based on literature data to derive user value. Fourth,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derived above, an analysis model was created to define future office space characteristics, and a specific design plan was identified by selecting and analyzing advanced cases.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user segmentation strategy is an important process in analyzing office space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and there is a sufficient possibility of expansion to various space fields. The eight characteristics of the derived future office space were a complex distribution of user values discovered through generational analysis. It has been shown that users not only value communication and sharing, but also want to have an individual's status and the identity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means that the trend of shared space should be reconsidered, and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listen to what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expect in office space. (Conclusions) Since office space can be considered a small-scale society where new generations that can create innovation and older generations that provide knowhow co-exist,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each generation can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The future office, therefore, needs to include high-quality spaces, and user segmentation strategy can be applied as a methodology to implement optimal design by intensively analyzing organizational members.

      • KCI등재

        특화 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장서이 ( Seoee Chang ),김용선 ( Yongsun Kim ),김억 ( Uk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생활방식의 다양화에 따른 여가 증대 등 사람들의 생활양식 변화로 인해 도서관의 다양한 역할과 노력을 더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수준 높은 서비스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에 의해 특화 도서관 사업이 나타났다. 그러나 지속적인 지원이 부족하고 후속적 사업으로 연결이 되지 않아 2002년 특화 도서관 사업이 중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도서관들은 특화 주제를 지정하여 특화 도서관으로써 활발히 운영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화 도서관을 사례중심으로 공간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특화 도서관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들을 살펴본 다음 사례 중심으로 분석 연구가 이루어진다. 첫 번째,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특화 도서관의 공간 구성 요소를 구축하여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구성 요소를 분석한다. 두 번째,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면적에 따른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특화 도서관 내 일반 자료실의 면적 비와 특화 공간의 면적 비를 비교하여 분석한다. 세 번째,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와 특화 공간의 형태를 도식화하여 그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특화 공간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통해 2002년 이전의 특화 공간은 도서/열람 공간을 운영하였으며, 2002년 이후 특화 공간은 도서/열람을 바탕으로 전시/공연과 체험의 성격을 갖는 공간을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화 공간의 면적에 따른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통해 2002년 이전과 이후 특화 공간은 일반자료실의 약 1/6 면적으로 과거와 비교하였을 때 제자리 상태로 중요도 또한 예전 그대로임을 알 수 있었다.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와 특화 공간의 형태 분석을 통해 2002년 이전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는 일체형이 4개관, 분리형이 1개관이며, 특화 공간 형태는 분리형이 4개관, 일체 속 분리형이 1개관이다. 2002년 이후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는 5개관 모두가 일체형이었으며, 특화 공간 형태는 일체형이 4개관, 분리형이 4개관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특화 도서관이 다양한 특화 주제를 지정하여 개관하며 활발히 운영 중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특화 도서관은 아직 많이 미흡한 상황이며, 그에 따라 특화 도서관에 관한 연구의 지속화가 진행되어 더욱 발전에 도모해야 한다. 따라서 특화 도서관의 정책 및 서비스 연구뿐만 아니라 특화 공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Due to the changes of people``s lifestyles such as leisure increase followed by the variety of lifestyles, different roles and efforts of libraries are more required. Accordingl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now,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d progressed a specialized library project from 1998 to 2000 in order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s well as high-quality services for library users. However, since there were no sufficient consistent support and succeeding projects, the specialized library project was suspended in 2002. Nevertheless, libraries have been operating so far as specialized libraries by designating specialized topics but related studie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space with a focus on specialized libraries and building basic data for the future research. (Method)This study examines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and proceeds with analysis focusing on following cases. First, in order to review the character of the specialized space of the analysis target, the space components of the specialized libraries are constructed and the components of the specialized space of the analysis target are analyzed. Secondly, to examine the importance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specialized space to be analyzed, the proportion of area of general reference room in specialized libraries, and the proportion of specialized space are compared and analyzed. Third, the building types of the specialized space of the analysis target and specialized space types are schematize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Through the analys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specialized space, it was found that specialized space before 2002 was operated for book/reading space, and specialized space has been operated for the space with the characters of exhibition/performance and experience based on book/reading since 2002.When the comparison of specialized space before and after 2000 was performed with around one-sixth area of the general reference room through the analysis to review the importance according to the area of space, it has been in a standstill and the importance also did not change. The analysis of the form of the buildings and the forms of specialized space reveals that the building forms of specialized space before 2002 were 4 unified buildings, and 1 separate building, and especially, there are 4 separate spaces and 1 separate space within unified building for the form of specialized space. After 2002, the building for of specialized space had been unified form for the 5 buildings, and the form of specialized space is 4 unified spaces, and 4 separate space. (Conclusions)It was concluded by this study that specialized libraries open by designating specialized subjects and are in active operation. However, South Korea``s specialized libraries are still largely insufficient, and the research of specialized libraries must be continued, contributing to more development. Therefore, follow-up research on specialized space is needed in addition to the research on policy and services of specialized libraries.

      • KCI등재

        대화 공간을 제공하는 마을 같은 도시형 공공병원의 건축공간 구성방식과 설계적용 연구

        이영진 ( Young Jin Lee ),이정만 ( Jung Man Lee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2015 의료·복지 건축 Vol.21 No.3

        Purpose: While medical standard is rapidly improved, welfare of users and employees in hospitals is not treated correspondingly. Intercommunication of hospital users i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for their welfare, and provision of conversation spaces within hospital environment needs to be expanded by architectural design. Space organization methods for the design of conversation space is to be embellished. Methods: Literature and hospital designs are analysed in order to develop the basis of argumentation for the hospital conversation space. 15 hospitals are reviewed and designed spaces for the intercommunication of the users are examined, Space organization efforts and design experiments are identified, and 6 organizational methods are proposed such as: 1) reducing territoriality 2) flowing space 3) categorizing and separating spaces 4) height variation 5) contact with outside and 6) Sun-lighted space. Results: 6 organization methods are confirmed in precedent hospital cases, and these proposed methods are applied in a new hospital design project to verify their usefulness. Implications: A hospital design project is presented based on these proposed methods of organization for the conversation space. Outcome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the formulation of human intercommunication spaces in other facilities.

      • KCI등재

        브랜드 아파트 발코니 구성의 디자인적 특성과 개인 및 공동공간 배치 특성 - 2013년 이후 입주한 수도권 중, 소형 평면을 중심으로 -

        최진희,오승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2012년 아파트 평면을 분석한 연구의 후속연구로 발코니의 구성 방식과 공간의 구성방식 분석을 통하여 브랜드의 특성을 도출하는 연구이다. 서울에 입주한 사례를 중심으로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공간의 구성에 대한 분석, 발코니의 개방형태에 대한 분석, 개인 및 공동공간의 배치 특성으로 분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기본구성과 변화구성요소로 나누었으며 개방형태는 1면, 2면, 3면 개방형과 전·후면개방형, 부분개방형, 한 면과 부분을 같이 계획한 복합형으로 분류하였다. 개인 및 공동공간의 분류형태는 개인-공동-개인으로 계획된 111형태, 개인-공동으로 계획된 11형태, 부채형태, ㄷ자 형태, ㄴ자(ㄱ자)형태로 분류하였다첫째, 공간 구성에서 래미안을 제외한 4개 브랜드는 면적이 넓어지면 R3를 계획한 반면, 래미안은 면적이 넓어져도 R3가 계획되지 않았다. Dr1은 래미안과 e-편한세상, 푸르지오에서 면적이 작은 경우 계획되지 않았다. 둘째, 발코니의 개방 형태는 자이와 푸르지오를 제외한 래미안, e-편한세상, 힐스테이트의 경우 전·후면 개방형이 50% 이상으로 계획된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개별 및 공동공간의 배치에서 111형태가 50%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ㄴ자(ㄱ자)의 형태가 25%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브랜드마다 평면상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향후 본 연구와 이전 연구를 비교하여 6년 동안의 평면의 변화를 분석하여 각 브랜드마다 특성을 찾는데 기초 연구가 되고자 한다. This study , as a subsequent study do analyzing apartment floor plan in 2012, involves deducing brand characteristics from analyzing the configuration methods of balcony and space. The range was set up, centering around the cases in Seoul, and the range was classified into space organization, balcony opening shape, personal and shared space arrangement characteristic for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space organization was divided into basic organization and change organization, and the basic organization was divided into individual space and shared space. First, in space organization, four brands except for Raemian planned R3 as the area became wider, while Raemian did not plan R3 even if the area became wider. Dr1 was not planned if the area was small in Raemian, e-Pyeonhansesang and Purgio. Second, in balcony opening shapes, Raemian, e-Pyeonhansesang and Hillstate, except for Xi and Purgio, planned frontal and rear opening shapes more than 50%. Third, in the arrangement of personal and shared spaces, the 111-shape was more than 50%, and ㄴ-(or ㄱ-) shape was more than 25%. In the future, this study would be basic research to look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d by analyzing the changes of the planes for six year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y.

      • KCI등재

        융합형 교육공간 조성을 위한 건축설계스튜디오 공간구성방식에 대한 사례분석과 설계적용연구

        하나(Ha, Na),이정만(Lee, Jungman) 대한건축학회 201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1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design principles of studio space through case analyses and a design exercise in order to provide organizational ideas for the formulation of integrative educational space for STEAM. Characteristics of integrative education was studied to identify the space requirements. Similarity between STEAM and architectural studio education was argued, and 14 cases of studio design were analysed and space organization principles were developed with the result. During the process of study, four categories of designed aspects are observed such as 1. intervention of sights 2. high ceiling space 3. organizational flexibility 4. encounter of exterior environment. They are used as the premises of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7 space organization methods: 1.Visual communication of multi-layered space 2.Actively-used connecting space 3.Vertically diverging space 4.Multi-leveled space 5.Blurring space boundary 6.Intercommunication of in/out spaces 7.Introducing natural light. Then the methods of space organization are appli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ject of a elementary school STEAM space.

      • KCI등재

        웹 공간 이용만족도와 기관 명성 간의 관계

        권예지 ( Ye Ji Kwon ),차유리 ( Yu Ri Cha ),유현재 ( Hyun Jae Yu ) 한국PR학회 2014 PR연구 Vol.18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web space awareness, the current status of use for MFDS web space, and influential factors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MFDS web space. Also,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web space and the organization reputation. In order to examine research ques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1,000 adults over the age of 19 in South Korea. According to results, 71.3%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MFDS web space. MFDS web space experienced users (n =210) visited to pursue mainly inquiries / information. Influential factors on the satisfaction with web space were five: `Two-way communication`, `Dialogic loop`, `Usefulness information`, `Generation of return visits`, and `Ease of interface`. The variant that had the most powerful effect in the satisfaction with web space was `Two-way communication`. The satisfaction with web space positively affected to the organization reputation. Organization and health issue involvements did not have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satisfaction with web space and the organ-ization reputation. These result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ffectively managing web space and improving the organization reputation.

      • KCI등재

        원전입지공간의 생산과 주민의 전략적 실천 : 울진군 북면 주민조직의 반핵·찬핵활동을 중심으로

        황정화(Hwang, Junghwa) 한국환경사회학회 2020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4 No.2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산업계, 학계, 원전노동자, 언론 등으로부터 다양한 반대를 불러일으켰다. 그 중에는 원전 입지지역 주민들, 특히 신한울 3, 4호기의 건설 취소에 항의하는 울진군 북면의 주민들이 있다. 이들은 원자력발전소와 방사능폐기물처리장의 입지가 된 것을 ‘부당한 희생’으로 주장해 온 주민들과 대조적이며 사뭇 낯설기까지 하다. 본 논문은 입지지역 주민들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의 삶이 결부된 ‘공간’ 내부에 주목한다.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참고하여 공간생산을 위해 경합하는 정치적 과정으로 울진 북면공간을 분석하였다. 원자력발전소 입지가 된 이후 울진 북면에는 원자력발전과 송전을 위한 시설들이 배치되고, 원자력발전의 이데올로기가 재현되었으며 또한 안정적 입지관리를 위한 로컬전략이 구현되어 왔다. 북면 주민들은 원자력진흥을 위한 공간재현을 비대칭적 권력관계, 원전에 대한 경제적 의존, 희박해지는 소비효과, 분할적 노동, 일상적 안전과 비일상적 위험, 상대적 저발전 등으로 체험하고 있다. 원자력진흥의 공간재현은 북면 주민들이 주민조직화를 통해 단일한 주민 주체를 구성하려는 공간적 실천으로 이어졌으며, 주민대표조직은 북면의 이익과 주도권을 지키기 위해 반핵과 찬핵의 전략적 실천을 주도하고 있다. 공간생산과정의 분석을 통해 북면 주민들의 신한울 3, 4호기 건설 요구는 원전건설뿐 아니라 건설취소도 주민들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공간의 권리’ 주장이며, 에너지전환정책으로 북면 주민들이 맞닥뜨릴 경제적 충격에 대한 정부의 대책을 요구하기 위한 전략적 행위임을 알 수 있다. The space of Buk-myeon has been produced as a space for the nuclear plant. Until the 1980s, Buk-myeon was a village-centric social space, where the communitarian social culture was dominant. As the nuclear power plant was constructed, the space were fundamentally changed. Using Lefebvre’s theory of space production, Buk-myeon can be analyzed as ‘space of NP’, ‘experiencing space’, and ‘spatial practice’. The space of NP includes electricity-producing space, ideological space, and local strategy space. Experiencing space in comprised of the experience of state and local hierarchical power relations, the unstable economy of construction, the diminishing effect of collective consumption, divisional labor, routine safety and extraordinary danger, and the experience of unrealized development. In order to dissolve the contradictory spatial experiences, the experiences of hierarchical power relation and the economic dependency on the NP, the residents of Buk-myeon performed spatial practices. This was analyzed along the establishment of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and strategic anti/pro nuclear action. Buk-myeon residents protesting the Moon administration’s nuclear phase-out policy, are spatial subjects who have been constructed along the NP production process. They insist government should get consent of residents, not only for the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but also when canceling construction. However, The voices of local residents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meaningful discourse. This shows that the residents of Buk-myeon are active agents in local politics of space as well as subaltern subjects structurally subordinated to NP without full rights to their local space.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 자본주의 전후의 시ㆍ공간 관념의 변화

        인태정(In, Tae Jeo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12 문화와 사회 Vol.13 No.-

        시간과 공간은 무한히 텅 빈 공간도 아니며 사회적 구조나 관계와 무관한 절대적이고 물리적인 것도 아니다. 시간과 공간은 사회적 생산과 재생산, 혹은 노동과 여가를 둘러싼 다중적인 사회관계들이 상호 교차되고 중첩되는 사회적 네트워크이기도 하며 사회적 실천의 산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른 시ㆍ공간의 변화를 통해 시간과 공간이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형성의 산물임을 고찰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먼저 근대 이전의 사회에서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의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역사적으로 살펴보았는데 근데 이전의 사회에서 시간과 공간은 자연과의 합일과 공동체와의 합일 속에서 이루어졌다. 근대사회 이후에는 시ㆍ공간은 합리적으로 조직화되어가는 과정을 겪게 되었다. 즉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분리와 아울러 시간에 있어서 공적 시간과 사적 시간, 노동시간과 여가시간이 분리되어 조직되었고 공간에 있어서도 생산과 소비, 노동과 여가의 공간들이 분리되어 조직되었다. 이러한 시ㆍ공간 구조의 변화과정이 가지는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인간 활동의 구조이자 무대로서 시간과 공간은 끊임없는 정복과 확대의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 시?공간의 변화과정은 시ㆍ공간의 객체화에 따른 끊임없는 분리의 과정이자 소외의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셋째, 시?공간의 개별화과정으로서 근대 이전의 사회에서 가족 및 마을 공동체가 공유하던 시간과 공간이 점차 개인적으로 점유되는 과정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in korean modern societ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ime and space are not things among other things, nor products among other products. And Time and space are not absolute and physical, They are relative and social. In other words they subsume thing produced, and encompasses their interrelationships in their coexistence and simultaneity. Time and space before modern society had got united nature and human community. Time and space in modern society were seperated from nature and human community. Also Time and space in modern society were organized rationally. Time was divided and organized working time and resting time, the work-days and holidays. Space also divided and organized production space and reproduction space, production space and consumption space. As a result, Time and space have had three features. Firstly, it is the extension of time and space. The extension of time brings about 24-hour operation society. And The extension of space overcome regional boundary and national boundary. Secondly, it is objective process of time and space. The objective process of time and space brings about time compulsion and placelessness and in the end it brings about alienation of subject. Thirdly, it is individualization of time and space. Time and space were divided public time and space and private time and space, and people were apt to attach to private time and space.

      • KCI등재

        해방 후 서울지역 교회 공간 활용: 정동제일교회를 중심으로

        장금현 한국교회사학회 2019 韓國敎會史學會誌 Vol.52 No.-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 공간 활용을 분석하여 지역교회가 사회와 무엇을 공유하고 영향을 끼쳤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정동제일 교회를 택하여 해방 후 교회 공간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신문, 보고서, 기사 등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공간은 단지 물리적인 공간만이 아닌 인간의 활동과 공간적인 실천이 결합된 공간을 의미한다. 이것을 “사회적 공간”(social space)으로 부른다. 해방공간에서 다양한 단체와 기관들은 자신들의 활동을 위하여 공간이 필요했다. YMCA나 학교강당, 천도교 강당 등은 실내공간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특히 교회건물은 예배공간만이 아닌 다양한 활동 공간으로 사람들에게 제공되었다. 서울에 위치한 정동제일교회는 수도권에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한 공간이었다. 김인영 목사가 재직하던 시기를 전후로 공간 활용도가 더욱 높았다. 그는 일제 강점기에 신흥우와 함께 YMCA와 적극신앙단에서 활동했으며, 해방 후에는 한국기독교연합회에서 활동했다. 기독교 정신 위에 대외적으로 활동했던 그의 행동은 정동제일교회 공간에서도 그대로 투영되었다. 비록 친일행적을 계기로 이전처럼 정치 일선에 나서지는 않았지만, 그는 시대적인 혼란을 극복하고 새로운 국가를 기대하며 시민사회에 공간을 제공하였다. 더 나아가 여러 시민단체들은 세계정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세계적인 석학이나 종교지도자들을 초청하여 시민들의 의식을 함양시켰다. 교회는 시민들의 다양한 욕구들 즉 문화적인 것, 경제적인 것, 결혼식과 장례식 등의 일상적인 것들을 위하여 공간을 제공하였다. 이것은 교회가 시민들의 생각과 욕구를 공유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승만과 관련된 단체들에게 결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 그의 정치활동을 지원하였다. 반탁과 관련된 집회와 강좌는 서울지역의 우파를 결집시켰고, 전국대회를 성공적으 로 개최한 독촉국민회는 1948년 제헌국회에서 다수당이 되어 정국을 주도 하였다. 정리하면 정동제일교회 공간은 사회적 관심을 공유하는 것을 넘어서 새로운 국가 건설을 세우는데 그 힘을 결집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use of church space to identify what the local church had shared and influenced with society. For this purpose, I selected First Church, Chong Dong and analyzed newspapers, reports and articles to identity how to use church space after liberation. Here space was not just a physical space, but a space where human activity and spatial practice are combined. This was called the “social space”. In the liberation space, variou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needed space for their activities. YMCA, school auditorium, and Chondogyo auditorium were highly preferred as indoor space. Especially church buildings were provided for people not only in worship space but also in various activities. First Church, Chong Dong in Seoul was a favorite place for many people in the metropolitan area. Space utilization was even higher around the time when Rev. In-Young Kim was in office. He worked with Heung-Wu Cynn in the YMCA and Juk-Kuk-Dan during the Japanese rule, and after liberation he was a member of the Korean Christian Association. His attitude, which acted externally on the Christian spirit, was projected in First Church, Chong Dong. His attitudes of participating in outside activities on the Christian spirit were also showed in First Church, Chong Dong. Even though he did not participate in politics as before, to overcome the period confusion and hope for a new nation he provided a space for Christian’s organizations, political organizations and civil societies. Furthermore, various NGOs invited world-class scholars and religious leaders to grasp the world situation and cultivate the citizens' consciousness. The church had provided space for the various needs of the citizens: cultural, economic, and everyday things such as marriage or gathering. This means that the church had communicated and shared ideas with its citizens. In particular, it supported Rhee’s political activities by providing a space where he could mobilize groups related to him. The meetings and lectures related to the council concentrated on the Right of Seoul, and the National Society for Rapid Realization of Korean Independence, which held the national convention, became the majority party in the constitutional assembly in 1948, leading the government. In summary, it is meaningful that First Church, Chong Dong’s space not only shared social interest, but also influenced the right wing to build a new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