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항 중성리 신라비>에 등장하는 喙部 소속 壹伐의 성격과 특징

        김재봉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1

        본 논고는 <중성리비>에 등장하는 喙部 소속 壹伐의 성격과 특징을 밝히기 위해서 구성되었다. <중성리비>에서 나타나는 壹伐은 외위 一伐과 형태가 일치한다. 하지만 이 壹伐은 왕경 6부인에게 수여되었기 때문에 지방민에게 수여된 관등인 외위로 볼 수 없다. 연구자들은 기존의 논리로 설명하기 힘든 <중성리비> 壹伐의 성격을 밝히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壹伐이 一伐干支 이전에 있었던 초기 관등이며 그 역할은 수장층인 干支를 보위하는 최고위 관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구들은 왕경 6부 중에서도 비주류 4부(本波部, 牟梁部, 斯彼部, 漢祇部)의 壹伐만을 상정하고 이루어진 연구이기 때문에 아무런 비판 없이 수용하기는 곤란하다. 壹伐을 연구하는 대다수의 학자들은 <중성리비>에서 壹伐의 소속부가 牟旦伐喙과 本波部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牟旦伐喙은 6부 중에 하나인 牟梁部로 보고 있다. 하지만 <중성리비>에 관한 다양한 학설, 6세기 초 신라 금석문의 서술 방식, <중성리비>의 다른 구절과의 연관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牟旦伐喙을 牟梁部로 해석하기는 힘들다. 牟旦伐喙은 牟旦伐과 喙으로 분리해서 해석하여야 한다. 이 경우에 牟旦伐은 소송을 제기한 ‘원고’를 의미하고 喙은 6부 중에서도 주류 2부(喙部, 沙喙部)에 속하는 喙部에 해당한다. 이렇게 본다면 壹伐의 소속부는 喙部와 本波部가 된다. 이 사실은 <중성리비>의 壹伐이 주류부와 비주류부에서 모두 사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주류부 壹伐은 기존 연구에서 파악한 것처럼 수장층인 干支를 보좌하는 최고위 관등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성격을 주류부 壹伐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주류부 壹伐이나 비주류부 壹伐은 모두 초기 관등인 壹伐에서 기원하였다. 따라서 주류부 壹伐 역시 비주류부 壹伐처럼 초기에는 干支를 보좌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주류부 壹伐의 이와 같은 특징은 <중성리비> 시기에 이미 사라지고 없었다. <중성리비>에서는 주류부 壹伐의 상위에 위치하는 ‘某干支’ 형태의 관등이 등장한다. 이 ‘某干支’ 형태의 관등은 干支가 주류부의 관등 체계 내에 편입되면서 탄생한 관등이다. 원래 주류부 壹伐이 보좌하여야 할 干支들은 ‘某干支’ 관등을 수여받고 국왕의 아래에 편제되었다. 이 과정에서 주류부 壹伐은 干支를 보위한다는 기존의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 그 결과 주류부 壹伐은 주류부 내부의 관등 체계 안에 융화되지 못한 이물질 같은 존재가 되었다. <중성리비>에서 壹伐이 특정한 직책 없이 ‘원고’인 牟旦伐로만 등장하는 것은 이러한 상황이 반영된 결과이다.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주류부 壹伐은 520년 율령 반포를 통해서 외위 一伐로 재편되면서 그 의미를 다시 회복할 수 있었다. 율령이 반포 되면서 외위가 정비되고 이에 따라 주류부 壹伐은 외위로 전환되었다. 주류부는 자신의 역할이 명확하지 않았던 壹伐을 외위로 전환함으로써 주류부 내의 관등 구조를 개편하고 외위의 하위 관등을 정비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류부 壹伐이 형태를 바꾼 외위 一伐은 외위 관등인 干을 도와서 지방 통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외위 一伐의 이러한 역할은 주류부 壹伐이 이전에 상실한 干支를 보좌하는 직무가 외위의 특징에 맞춰서 새롭게 부활한 것이다. 한편 비주류부 壹伐은 비주류부의 관등이 주류부에 편... The discussion was organiz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beol belonging to Tak-bu in <Jungseongribi>. The Ilbeol in <Jungseongribi> is consistent with the Oewi Ilbeol. However, as this Ilbeol was awarded to the Six-Bu people of the capital, it cannot be regarded as an Oewi awarded to the local people. Researchers have put considerable effort into revealing the nature of <Jungseongribi> Ilbeol,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using existing logic.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lbeol was an early official rank before the Ilbeol-Ganji, and its role was the highest official rank to assist the Ganji.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se studies without any criticism because they are conducted on the assumption of only the Ilbeol of four non-mainstream Bu (Bonpa-Bu, Moryang-Bu, Sapi-Bu, and Hangi-Bu) among the capital’s Six-Bu. Most scholars studying Ilbeol believe that it belongs to the ModanbeolTak and Bonpa-Bu in <Jungseongribi>. In addition, ModanbeolTak is viewed as one of the six Bu, namely, Moryang-Bu. However, considering the various theories on <Jungseongribi>, the method of describing Silla’s monument in the early 6th century,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phrases of <Jungseongribi>,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ModanbeolTak as a Moryang-Bu. ModanbeolTak should be interpreted separately as ModanbeolTak and Tak. In this case, Modanbeol refers to the plaintiff who files the lawsuit, and Tak corresponds to Tak-bu, which belongs to the two mainstream Bu (Tak-bu and Satak-bu). In this way, the affiliation of Ilbeol becomes Tak-bu and Bonpa-Bu. This means that the Ilbeol of <Jungseongribi> is used in both the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Bu. A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the non-mainstream Bu’s Ilbeol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official rank that assists the Ganji, meaning head. However, this character cannot be applied to the mainstream Bu’s Ilbeol. Both the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Bu’s Ilbeol originated from the early official rank. Therefore, the mainstream Bu’s Ilbeol would have assisted the Ganji in the beginning, similar to the non-mainstream Bu’s Ilbeol.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mainstream Bu’s Ilbeol had already disappeared during the <Jungseongribi> period. In <Jungseongribi>, the official rank in the form of “Mo-Ganji,” which is located above the mainstream Bu’s Ilbeol, appears. This official rank in the form of “Mo-Ganji” was created when Ganji was incorporated into the official rank system of the mainstream Bu. Originally, the Ganji assisted by the mainstream Bu’s Ilbeol was given the “Mo-Ganji” official rank by the king and organized thereunder. In this process, the mainstream Bu’s Ilbeol lost its existing meaning of assisting the Ganji. As a result, the mainstream Bu’s Ilbeol became a foreign substance that could not be integrated into the internal system of the mainstream Bu’s official rank. The mainstream Bu’s Ilbeol, which had lost its original function, was reorganized into an Oewi Ilbeol through the declaration of Yulryeong in 520, and its meaning was restored. With the declaration of Yulryeong, the Oewi was organized, and accordingly, the mainstream Bu’s Ilbeol was converted to Oewi Ilbeol. The mainstream Bu tried to organize its own structure and organize the lower Oewi by converting the Ilbeol, whose role was unclear to the Oewi. In this process, the Oewi lbeol that changed shape in the mainstream Bu’s Ilbeol, helped the Oewi official rank, Kan, to execute local governance. This role of the Oewi Ilbeol is a new revival of the duty of assisting the Ganji, which has been previously lost in the mainstream Bu’s Ilbeo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ewi. However, the non-mainstream Bu’s Ilbeol had the characteristics of an early official rank that assisted the Ganji before the official rank of the non-mainstream Bu was incorporated into the mainstream Bu. However, after the 530s, as the mainstream...

      • KCI등재

        所謂 皇龍寺型 帶裝飾具의 再檢討

        최정범 영남고고학회 2018 嶺南考古學 Vol.- No.82

        Discoveries of Hwangnyongsa-style metal belts, usually brackets and belts as well as round and edge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pillar built in the center of this wooden pagoda in Gyeongju led the existence of this site to become known. Subsequent excavations have intermittently targeted local burial tombs but few cases have so far been found; it is nevertheless important to carefully consider the appearance, development, and extinction of these tombs as occurrences are only known from a limited time period between the late sixth century and early seventh century. One characteristic feature of Hwangnyongsa-style metal belts is that the ornament and the pattern are raised together; this means that when a belt is worn it buckled by inserting a bracket needle into a round ornament. This is different from the inverted leap-like shape of a metal belt and somewhat similar to the way that these items are depicted as being buckled in Chinese burial mound and mural figures. Most of the patterns seen on these metal belts are also shared with decorative designs seen on reliefs and murals from North dynasty and Sui dynasty ancient tombs; on this basis, these artifacts can be viewed as Chinese-influenced Silla metal belts. Hwangnyongsa-style and Tang-style metal belts have also not been differentiated from one another in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and it has been considered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method of ornament making innovatively changed from the use of patterns to none. Hwangnyongsa-style metal belts can therefore be included within the same category as their Tang-style counterparts, as part of the evolution of these items in China. It is known that the Silla dynasty formed political ties with the Chinese dynasty at some point during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via the tributary appointment system. This led to a transformation of cultures and products inside China to fit the situation within the Silla dynasty which was then utilized for regional control; the Silla dynasty ruled rural areas by providing Oewie to local forces newly incorporated into the area and by including numerous local owners into the Gyeongwie system subsequent to unification. The time between the mid-sixth century and the early seventh century when the Oewie system was functioning within the Silla dynasty therefore functioned as a tool for regional control and is consistent with the timing of the appearance of Hwangnyongsa-style metal belts in rural areas and changes in their form. 교구와 방형 및 원형의 과판, 대단장식으로 구성된 황룡사형 대장식구는 경주 황룡사지 목탑 심초 하부에서 출토되어 그 존재가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지방 고분군에서 간헐적으로 출토되었는데 그 사례가 많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6세기 후반~7세기 초라는 한정된 기간에만 확인되고 있어서 등장과 전개, 소멸에 대해 살필 필요가 있다. 황룡사형 대장식구의 큰 특징은 과판과 문양이 함께 주출되고 帶를 착용하였을 때 교구의 교침을 원형과판에 끼워 결구한다. 이는 역심엽형 대장식구와는 이질적이며, 오히려 중국의 도용과 벽화의 인물에 표현된 대장식구의 착용법에 가깝다. 아울러 대장식구에 주출된 문양의 대부분은 北朝~隋代고분의 부조 및 벽화에 표현된 장식도안과 상통하기에 중국의 영향을 받아 신라에 도입된 대장식구로 볼 수 있다. 더하여 황룡사형 대장식구와 당식 대장식구는 기존의 견해에서처럼 단절적이고 별개로 구분되는 대장식구가 아니라 문양이 주출된 것에서 무문양으로, 교구 제작 방법의 변화라는 형식적 변이를 거친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따라서 황룡사형 대장식구는 당식 대장식구의 한 범주로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는 중국에서 당식 대장식구의 변천과정과 궤를 함께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신라는 6세기 중엽의 어느 시점부터 중국 왕조와 조공책봉 관계를 통해 정치적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중국의 문물을 신라 내부의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지방통치에 활용하였다. 신라는 새롭게 영역에 편입된 지역 세력들에게 외위를 지급하여 지방을 통치하다가 통일 이후 외위를 소지한 지방민들을 경위제로 대거 편입시킨다. 외위제가 신라 내에서 기능하던 6세기 중엽이후 7세기 초 사이의 시간은 황룡사형 대장식구가 지방에 등장하고 형식의 변화를 겪는 시기와 부합하여 신라의 지방통치에 한 도구로써 기능하였다.

      • KCI등재

        신라 법흥왕대 ‘及伐尺’과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役法’

        박남수(Park, Nam-soo) 신라사학회 2017 新羅史學報 Vol.0 No.40

        최근에 성산산성 목간의 ‘及伐尺’을 바탕으로 제시된 신라 초기 외위제 정비과정에 대한 견해와 관련하여, 법흥왕대 경위 17관등제 성립 여부를 비롯하여, 及伐尺과 壹金智의 관계를 살피고자 하였다. 아울러 성산산성 제17차 발굴보고에서 공개된 진내멸촌주 사면목간을 석독하여 村使人 及伐尺의 직임을 살피고, 성산산성 출토 목간이 세금 꾸러미에 대한 하찰목간이 아니라 축성에 동원된 입역자들이 입역기간 동안 소용되는 개인별 식량에 대한 부찰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진내멸촌주 사면목간에 개인별 식량(私糧)을 규정한 法은 당나라의 부역령 가운데 역역동원에 관한 규정으로서, 공사기간, 역역동원 방식, 공사 구역을 비롯하여, 丁役과 匠人의 立役을 막론하고 번상제나 이에 필요한 경비, 도구의 징발 및 급여 등에 대한 규정을 포괄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또한 최근에 보고된 성산산성 17차 발굴보고의 목간 가운데 보이는 ‘壬子年’의 기년에 주목하여,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제작시기를, 성산산성 출토 문서목간의 문장형식, ‘上干支’와 ‘大舍下智’ 등 관등 표기 방식과 비교하여 법흥왕 19년(532)의 임자년으로 판단하였다. 이 시기는 함안을 위요한 지역에서 신라와 백제가 각축을 벌이던 때로서, 《삼국사기》 지리지 咸安郡조에 보이는 법흥왕의 阿尸良國멸망 기사는 신라측에 전승된 자료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졌다. Recently, opinions on the organization process of the official rank system in the provincial government(外位, Oewi) in the early Silla have been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letters ‘Geupbeolcheok(及伐尺)’ written on the wooden tablets. Related to these opinions, this article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Geupbeolcheok and Ilgeumji(壹金智) including whether the 17 central government rank system(京位, Gyeongwi) was established under the King Beopheung or not. Additionally, interpreting the contents in a four-side wooden tablet recorded by Jinnaemyeolchonju introduced in the 17<SUP>th</SUP> research report of Sungsan mountain fortress, it was found that Chonsain(村使人) is a duty of Geupbeolcheok. Also, it was examined that the wooden tablets for name list of supplies was not about the tax in kind but about individual food stuffs(私糧) consumed by mobilized laborers for the construction of fortress during their statute labor period. In particular, the rules in the four-side wooden tablet was about the mobilization of statute labor, to compare the Labor Service Law of Tang. It includes the construction period, the mobilization system, the construction area as well as the duty rotation, expenses, requisition for tools and equipments and payment. In addition, focusing on "the year of Imja(壬子) in the sexagenary cycle’ written on a wooden tablet introduced in the 17<SUP>th</SUP> research report of Sungsan mountain fortress in Haman, it was assumed that this wooden tablet could be made in ‘the year of Imja(壬子)’, the 19<SUP>th</SUP> year(532) of King Beopheung’s reign, as a result of comparing sentence structures and transcriptional system of official rank such as ‘Sangganji(上干支)’ and ‘Daesahaji(大舍下智)’ shown in wooden tablets excavated from the Sungsan mountain fortress with other monumental inscriptions. That was the period in which Silla and Baekje was vying with each other for the domination on the area around Haman. Considering such a situation, it is possible that the record on the collapse of Asiryangguk(阿尸良國) by King Beopheung shown in the article ‘Hamangun’ in History fo Three Kingdoms(Samguksagi) could be based on the source handed down to Silla.

      • KCI등재

        포항중성리신라비와 신라 관등제

        하일식(Ha Il Sik)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6

        중성리비가 만들어진 연도는 501년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그러나 60년 이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열어두고 계속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비문은 문단을 나누고 동사와 고유명사를 구분하기조차 어려운 내용이다. 그래서 지금까지 여러 가설들이 다양하게 제출되고 있다. 이 비문이 어떤 분쟁을 판결한 내용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들이 일치한다. 필자는 이 비문에 나타난 판결의 내용을 먼저 생각해보았다. 다음에는 분쟁에 관련된 사람들을 분석하여 분쟁의 양상과 분쟁의 대상을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뭔가를 뺏았다가 되돌려준 쪽은 왕경에 거주하는 두 귀족 가문이었고, 되찾은 쪽은 지방촌락의 주민 및 왕경의 다른 귀족으로 이해하였다. 한편, 분쟁의 대상은 흥해 지방의 토지 또는 그 토지로부터 수익을 얻어 가질 수 있는 권리가 아닐까 생각하였다. 이 권리를 행사하는 과정에는, 왕경의 권리 보유자와 그 집행자, 그리고 지방의 토지 소유자와 경작자, 지방관과 그를 보좌하는 현지인 등 다양한 사람들이 관련된다. 비문의 관련 인물들이 다양하고 복잡한 것은 그때문이다. 필자는 이 비문의 관등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비문이 왕경의 지배세력들이 완전히 관등제에 편입되기 직전 단계로서, 냉수리비와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The assumption that the Stele of Jungseok-ri was built in 501 seems to be the most plausible explanation. However, the other assumption that it had been built 60 years before the time, should also be considered and examined. Since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is hardly recognizabl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paragraphs, not to mention the verbs and the proper nouns.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various theori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inscription, while many have agreed on the possibility that it must be a record of judgement over a certain conflict.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aspects and object of the conflict, by first focusing on the contents of the record of judgement, and then analyzing the individuals who were involved in the conflicts. The result of my analysis is as follows : (1) The ones who took the object and then gave it back seem to be two of the aristocrat families who had lived in the capital, while the ones who were deprived of the object and then took it back were residents of a rural village and one of the other aristocrats in the capital. (2) It seems that the conflict was over an estate near Heung-hae, and the right to benefit from the estate. (3) the process of claiming the right involved various individuals including the rightholder from the capital, the executor, the owner of the estate from the rural area, the tiller of the estate, the rural officials, and the residents of the area assisting the officials. This is why the stele includes various and complicated names. In addition, I examined their official ranks inscribed in the stele, and concluded that this stele bears similarities with the Stele of Naengsu-ri(冷水里), as it also reflects the social state where the rural hierarchies were not completely incorporated yet into the official rank system.

      • KCI등재

        신라의 분쟁 처리와 지방지배-중성리비와 냉수리비 비교분석-

        서지영(Seo, Ji-young)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3

        「중성리비」와 「냉수리비」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서술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분쟁을 처리하는 절차와 구성원의 역할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하급의 실무진이 사건을 조사하고, ‘간지’급 이상의 고위 지배층이 판결한 뒤 교를 내렸으며, 도사 등의 실무진이 판결내용을 집행하였다. 다만 下敎를 내린 의결집단과 집행을 담당한 실무 집단의 소속부와 관등의 양상은 차이가 있었다. 「중성리비」는 왕을 비롯하여 탁부, 사탁부인으로 의결이 이루어졌지만, 「냉수리비」는 탁부, 사탁부 이외 본피부와 사피부의 "간지" 계층도 참여하였다. 「냉수리비」의 "간지"들은 신라 왕의 소집 명령을 받아 국정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비록 과거 사로국 단계의 위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신라 왕에게 용인 받은 세력으로 관료집단으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냉수리비」에서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의결집단에 참여한 것은, 部의 수장적 지위보다 국왕의 관료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보유한 간지 관등은 기존 部主의 전통적 지위를 명목상 인정해 준 것으로, 일원적 관등체계가 마련되기 전 명예적 성격이 강한 간지를 예우하는 과도기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집행을 담당한 중앙의 실무진은 두 비 모두 탁부와 사탁부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나마 이하 하급관등자와 도사가 중심이었다. 「냉수리비」는 판결을 집행한 실무진을 ‘典事人’으로 하여 하나의 직군으로 기록하였지만, 「중성리비」는 역할에 따라 분산된 채 기록되어 있었다. 판결을 알리는 방식도 「중성리비」는 典書 여모두가 판결 사실을 기록하고 심도리를 통해 널리 알린, 반면 「냉수리비」는 중앙의 ‘典事人’이 “煞牛拔誥” 한 뒤 ‘故記’하였고, 이것을 다시 촌주가 “世中了事”하고 故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냉수리비」에서의 사건 처리는 중앙 왕경인 집단의 판결 집행, 지방 촌주의 확인이라는 이중적 절차를 행한 것이며,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敎令’ 전달 체계를 알 수 있다. 두 비의 분쟁은 모두 경제적 이권을 둘러싼 다툼이다. 「중성리비」의 분쟁은 두지사간지와 일부지가 빼앗은 4개 촌을 모단벌탁으로 다시 돌리는 수취와 관련된 문제이고, 「냉수리비」는 절거리 개인의 재산과 관련된 다툼이었다. 이 두 비는 농업생산력 증대와 이에 따른 재화의 유통, 市肆와 東市의 설치 등 당시의 경제적 상황을 잘 보여준다. 또 「냉수리비」는 "별교"의 형태로 상속자를 명시하였고, 패소측에게 이의를 제기하면 중죄를 받을 것임을 서약하도록 하여 법을 강제하였다. 이것은 지역, 촌에서 일어난 분쟁에 신라중앙이 개입하여 판결을 내리고, 이를 준수하도록 강제하여 지방에 미치는 중앙의 통치력을 확인할 수 있다. 6세기 초 신라 중앙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지방에 행정력을 발동하고, 지방지배를 실현해나가고 있었다.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aspects of disputes and their handling process were examined. The two inscriptions were different in the way they were written. The procedure for handling disputes was the same. All the voting groups were high-ranking officials above the kan-ji(干支). The working group consisted of people who held official positions such as nama-gwan-deung(奈麻-官等) or lower-ranking officials. Judgment and execution of disputes were centered on the king, the people of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The operation of the state was decided only by the king,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without going through a six-bu(6部) agreement. In the public opinion group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people such as Gan-ji-gwan-deung(干支-官等) and others from Bonpi-bu(本彼部) and Sapi-bu(斯彼部) participated. This indicates that he belongs to the royal priesthood, not the head of the bu(部). Bonpi-bu, Sapi-bu, and Jamtak-bu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Bongpyeong-ri Silla Stone Monument took part in state affairs by referring the kan-ji. This is an undifferentiated bureaucracy used in the governance structure of small countries in the past.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by the king"s religious group. Modanbeol-tak (牟旦伐喙) and bonpa-tak(本波喙) are the structures of kan-ji-ilbeol(干支-壹伐) for public opinion-group. The Ch"on(村) shows a similar form in the structure of kan-ji-ilgeumji(干支-壹金知).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revealed their superior status through the use of differentiated kanji series including ilganji(壹干支). bu of Modanbeol-tak(牟旦伐喙), bonpa-tak(本波喙) and Ch"on(村) use different government structures, and a social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stages app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