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대 북한 인식변화 연구 : 북한전문가 심층 면담조사

        신상진 통일연구원 2008 統一 政策 硏究 Vol.17 No.1

        This paper tries to examine how China perceives North Korea through interview research on China's North Korea specialists before and after North Korea executed nuclear test in early october 2006. Under the premise that North Korea's nuclear test changed China's perceptions on North Korea considerably, the author asked 22 China's North Korea specialists how long Kim Jong-Il regime will sustain, who will succeed Kim Jong-Il, how North Korea's nuclear issue will be solved, how the relations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will be developed, and when and how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unified and how China will respond toward it in order to deduce China's changing perceptions to North Korea before and after North Korea's nuclear test.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almost all of China's North Korea specialists still perceive North Korea as a 'buffer zone' to China's security although the relations between China-North Korea had strained seriously because of North Korea's nuclear test in spite of Hu Jintao's request not to do. Even though China's North Korea specialists didn't regard North Korea as a military alliance any more, they thought that it would not for China's national security interests to break cooperative relations with North Korea. The result of this interview research also showed that China's North Korea specialists won't so supportive on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 Korea specialists in Beijing were more negative on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an the North Korea specialists in Yanji which located in northeast China. Another point of this research results is that China's North Korea policy will be affected by Sino-U.S. relations, and China and North Korea will maintain their traditional friendship and cooperation for several years. 이 연구는 2006년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한 기간을 전후하여 중국 내 북한전문가에 대한 면담조사를 통해 이들이 북한에 대해 지니고 있는 실제 인식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북한의 핵실험이 중국의 대북한 인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는 전제 아래, 북핵 실험 전후 중국의 대북 인식변화를 도출해 보기 위해 북한 김정일 정권의 안정성 여부와 후계체제 전망, 북핵문제 해결에 대한 중국의 인식, 중·북관계에 대한 평가와 전망, 그리고 북한 급변사태와 한반도 통일에 대한 중국의 인식 및 예상 대응을 주요 심층 면담 주제로 설정하였다. 북한의 핵실험 실시로 중·북관계가 극도로 경색된 상황에서도 중국 내 북한전문가들은 여전히 북한을 중국의 안보에 대한 완충지대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은 북한을 더 이상 동맹국으로 간주하지는 않지만, 대미·일 및 대한국 전략차원에서 북한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국의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였다. 한반도 통일에 대해서는 중국 내 북한전문가들의 입장이 다소 비관적으로 나타났다. 베이징에서 활동하는 북한 전문가 보다는 옌지의 북한 전문가들이 한반도 통일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중국은 중·미관계를 중요한 변수로 고려하여 대 북한 정책을 전개할 것이며, 상당기간 동안 중·북 간 우호협력관계가 지속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북한의 4,5차 핵실험과 사드 사태로 본 한중(韓中) 대립 -중국의 현상 유지냐, 한국의 현상 변경이냐-

        이정훈 ( Lee Jung-hoon ),왕유위 ( Wang Wei-wei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6 한일군사문화연구 Vol.22 No.-

        2016년 북한의 4,5차 핵실험과 한국의 사드 배치 결정으로 한중 관계가 요동을 쳤다. 북한의 핵개발이 노골화 된 후 한국은 미국을 통한 북한 억제에 전력하다, 6자 회담을 계기로 중국을 통한 북한 제재에 큰 기대를 걸었다. 북한의 유일한 동맹국인 중국이 북한의 핵개발을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 급증한 한중 교역을 토대로 한중 관계를 개선하는데 노력한 것이다. 이를 구체화하는 행동으로 한국은 한중 FTA 발효와 한중 핫라인(직통전화)개설을 꼽았다. 2015년 한국은 두 가지를 달성했으나 중국은 유엔을 통한 북한제재에만 동의하고 중국 차원의 북한 제제는 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한국이 자위권 차원에서 사드 배치를 결정하자 한중 관계가 시끄러워지기 시작했다. 중국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반대한다고 하면서도 핵과 미사일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는 북한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그들의 국익 때문이다. 북한이 존재하는 것이 중국에 유리하다는 판단이 있어 국제사회의 압력과 한국의 집요한 노력을 막아주는 것이다. 이러한 중국의 판단은 지정학적 고려에서 나온 것이기에 바뀔 수가 없다. 중국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경제에 편입돼 있어 과거 소련이 그랬던 것처럼 중국 중심의 경제 블록을 만들 수 없다. 중국은 WTO 가입과 한국과의 경제교류를 통해 성장했으니 한국과의 교류를 끊을 수가 없다. 그러면서도 북한은 외부의 영향을 막아주는 완충국으로 둬야 하니 북한을 유지시키려 한다. 중국의 한반도 관(觀)은 양가적(兩家的)인 것이다. 중국은 북한을 버릴 수도 없고 한국을 버리지도 못한다. 남북한과 미국-북한 대립이 심해지면서 중국의 양가성(兩家性)이 위협을 받고 있다. 사드 배치에 대해 중국은 강하게 반발했지만 양국 관계는 전쟁으로 치닫기 어렵다. 이유는 한국과의 관계 유지가 중국에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경제를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양국은 워낙 많은 교류를 하고 있다. 따라서 다른 것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해놓고(agree to disagree), 합의점을 찾을 때까지 진흙밭을 헤쳐 나가는 것 같은(muddling through) 경쟁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쟁을 할때 중요한 것은 명분과 실력이다. 양측이 양보하지 못하는 경쟁을 하는 것은 양측의 주장이 모두 일리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쟁을 하는 도중 명분을 잃으면 불리해진다. 내부 모순에 의해 자멸을 해도 패배자가 된다. 이것이 한반도의 現狀을 유지하려는 중국과 한반도의 현상을 변화하려는 한국이 경쟁을 결정짓는 요소가 될 것이다. 이 갈등을 중재할 균형자를 미리 확보해놓은 것도 중요한 문제가 된다. Due to North Korea`s fourth nuclear experiment and THAAD deployment in South Korea, South Korea and China relations have been greatly disturbed. Since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became explicit, South Korea had made every effort to control North Korea through USA, and then with the six-party talks, started to expect that China, for being its one and only ally, would be able to impos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and has concentrated on improving South Korea and China relations based on galloping Korea-China trade. Two of specific exertions of this intention were the completion of FTA and establishment of hotline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in 2015. However, China only agreed to restrain North Korea through UN and never came forward at a governmental level. After North Korea`s fourth nuclear experiment, President Park Geun-hye gave hotline calls many times, but General Secretary Xi Jinping didn`t get them. It convinced South Korea that China had no will to deter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In response, South Korea with USA decided to deploy THAAD for its right of self-defense, provoking immense controversy in Korea-China relations. Even though claiming to oppose North Korea`s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the reason that China maintains relations with North Korea, which has been focusing national effort on it, is none other than China`s national interests. Judging that North Korea`s existence is favorable, China is sheltering it from international pressure and South Korea`s persistent endeavors. This judgment of China depends on geopolitical considerations and thus inevitable. China has been participating world economy, USA being its core, and thus cannot create its own economic Bloc in the same way as Soviet Union had Soviet economic Bloc.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has been accomplished through joining WTO and having economic exchanges with South Korea; there is no way that China could cut that relationship off. At the same time, China is trying to maintain North Korea as a buffer state against foreign powers. Its view on Korean peninsula is ambivalent. It can abandon neither North Korea nor South Korea. With intensifying conflicts between North Korea, South Korea, and USA, China`s ambivalence is being threatened. Despite China`s intense resistance to THAAD deployement, it is quite unlikely that a war might break out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for preserving the relationship is extremely important to the latter. There are simply so many exchanges happening in so many fields, including economy, between the two countries. Hence, they first have to agree to disagree, and then should struggle through competitions until reaching some middle grounds. This kind of strategy is called “Muddling Through.” (Charles E. Lindblom) The essential keys in that competition are justification and capability. Both sides have plausible arguments, resulting in both not giving an inch. Therefore any lack of justification becomes disadvantage. Self-destruction caused by internal contradictions also means defeat. This is the decisive element of the competitions between China, which pursues maintaining the status quo, and South Korea, which seeks transition, in Korean Peninsula. Advance preparation of future balancer`support, which will be able to mediate the Korea-China conflict, is very important.

      • KCI등재

        미·중 전면적 전략 경쟁시대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관계: 미·중관계와 북·중관계의 연관성

        신상진 ( Shin Sangji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4

        이 연구는 미·중관계가 중국의 대북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전면적 전략경쟁 상대로 규정하고 강도 높은 압박정책을 전개한 후 중국의 대북 정책과 북핵 정책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미·중관계가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논의했다. 또한 중국이 대미 관계에서 북한을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가, 중국의 대미 관계에서 북한의 전략 가치가 증대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미·중관계가 중국의 대북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이기는 하지만, 미·중관계가 불투명하고 대립구도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안보에 전략적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북한이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가도 북·중 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는 북한이 미·중 사이에서 줄타기를 통해 전략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U.S.-China relations on China's North Korea polic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hina-North Korea relations are determined by the superpower politic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China's North Korea policy and North Korea's nuclear policy after the United States began to refer to China as a strategic rival.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U.S.-China relationship is a decisive variable which affects China's North Korea policy and China-North Korea relations. The study also examined how China perceives and uses North Korea to deal with the United States, and whether the strategic value of North Korea has decreased or increased in China's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Since U.S.-China relations has been entered comprehensive strategic compet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North Korea, which is a strategic buffer in China's security,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China-North Korea relations. This means that North Korea is pursuing strategic interests through tightrope walking between the U.S. and China.

      • KCI등재

        중국의 대북한 영향력과 북중관계의 '재정상화'

        이희옥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 중소연구 Vol.42 No.3

        This study is an cases of how China exercised it to maintain its influence on North Korea. and trying to clarify the nature of re-normalization between Sino- North Korea relations in 2018. There are a long debate over China's influence on North Korea. Although China has exclusive influence over North Korea, the way it uses it is comparatively passive. This is because China wanted to overcome ‘the dilemma of influence’, which influence is lessened as use it.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North Korea, China's influence peddling has been the reason why North Korea's relationship with China has been restored despite six nuclear tests.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of learning the dilemma of influence after North Korea's first nuclear test is very significant. In other words, after the first nuclear test in 2006, China joined strong U.N. Security Council's sanctions. However, North Korea neutralized China's role on the Korean Peninsula by excluding China and attempting to resolve the issue through bilateral talks with the U.S. Since learning this experience, China has been reluctant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U.N. Security Council's resolution but opposed independent sanctions of individual and the secondary boycott affecting Chinese companies. In addition, China intended to keep the purpose of sanctions in dialogue, targeted sanction instead of comprehensive sanction, weakened the function of Six party talks, but maintained it as dialogue mechanism. China has also strictly separate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rom the North korea regime problem, and managed to keep its nuclear policy from affecting the North Korean regime. The maintaining of the bottom line of the influential background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has since helped restore bilateral relations. This study may have contribute to the new discussion of geopolitical factors, and the excessive discussion of a normal state versus a normal state between Sino-North Korea. 이 논문은 중국의 대북한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영향력을 어떻게 행사했는지를 6차례의 북핵실험을 사례로 연구한 것이다. 이를 통해 2018년 북중관계의 재정상화 성격을 구명하고자 한다. 중국의 대북한 영향력에 대한 오랜 논쟁이 있다. 이 논문은 중국이 북한에 대한 배타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나, 영향력을 사용하는 방식은 매우 소극적이다. 왜냐하면 영향력을 사용할수록 영향력이 약화되는 딜레마를 극복하고, 한반도에서 영향력을 유지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북한의 상황을 고려한 중국의 영향력 행사방식은 북한이 6차례의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북한과 중국관계가 회복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특히 북한의 제1차 핵실험 이후 영향력의 딜레마를 학습한 경험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즉 2006년 제1차 핵실험 이후, 강력한 국제제재에 동참했으나 북한은 중국을 배제하고 미국과 양자대화를 통해 문제해결을 시도하면서 한반도에서의 중국역할론을 무력화시켰다. 이러한 경험을 학습한 중국은 유엔 안보리의 제재결의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도 실제로 제재를 수행하는 데에는 소극적이었고, 국제제재에는 찬성하면서도 개별 국가의 독자제재와 중국기업에 영향을 주는 제3자 제재에도 반대했다. 또한 중국은 제재의 목적은 대화에 있고, 포괄제재 대신 표적제재를 관철했으며, 6자회담 기제가 기능이 약화되었지만 이를 대화기제로 활용하고자 했다. 또 하나는 북핵문제와 북한문제를 엄격하게 분리하면서 북핵정책이 그대로 북한정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관리했다. 이러한 북한과 중국 사이에서 영향력 행사의 저선(bottom line)을 유지한 것은 이후 양국관계를 재정상화할 수 있는 요인이 되었다. 이 논문은 북중관계에서 지정학적 요인, 과도한 정상국가 대 정상국가론 논의를 새롭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한중관계 30년 역사와 ‘북한 문제’에서의 중국 역할

        이동률 현대중국학회 2022 現代中國硏究 Vol.24 No.1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process of forming and expanding China's role in North Korea issue, which has become a major variable in South Korea's diplomacy with China and Korea-China relations over the past 30 years sinc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addition, this article try to examine how the North Korean issue has played a role in the ups and downs of Korea-China relations over the past 30 years and approach the background and substance of the controversy over the role of China in the North Korean issue.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the "North Korea issue" has emerged in Korea-China relations, which the two countries must inevitably discuss and cooperate. In the process, Korea has been inspired and developed by the Chinese role on the North Korean issue as a series of situations in which Korea expects and asks China for cooperation, encourag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Korea-China relations. As a result, the ‘North Korean variable’ expanded abnormally in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and South Korea has placed a priority on China's role of North Korean issue in diplomacy with China. On the other hand, China sought a limited role when the North Korean issue seriously challenged its security or threatened to weaken its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China's influence on North Korea is evident, and it is difficult to deny China's role in North Korea nuclear issue. However, Korea has raised hopeful expectations in a situation where there are not many means to lead the “Chinese role”. 이 글은 한중수교 이후 지난 30년 한국의 대중외교와 한중관계에서 북한 문제가 주요 변수가 되고, 북한 문제에서의 중국 역할이 형성, 확장되는 과정을 복기한다. 아울러 지난 30년 한중관계의 기복에 북한 문제가어떠한 작용을 하였는지도 검토하여 이를 통해 북한 문제의 중국 역할에대한 논란의 배경과 실체에 접근하고자 한다. 수교 이후 한중관계에서는양국이 불가피하게 논의하고 협력해야 하는 ‘북한 문제’ 가 불거졌으며 이과정에서 한국은 한중관계의 비약적 발전에 고무되어 중국의 협력을 기대하고 요청하는 일련의 상황이 전개되면서 북한문제에서의 ‘중국 역할론’이잉태되고 발전되어 왔다. 수교와 수교 직후의 한중 양국의 전략적 동상이몽이 결과적으로 이후 양국관계 발전에서 북한 변수가 기형적으로 확장되고 한국은 대중국외교에서 북한 문제에 대한 중국 역할을 견인하는 것을우선하는 패턴이 자리 잡게 된 것이다. 반면에 중국은 북한 문제로 인해자국 안보가 심각하게 도전받거나 또는 한반도에서의 자국의 영향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을 때 제한적으로 역할을 모색했다. 북한에 대한 중국의영향력은 분명히 존재하고 북핵 해법을 모색하는 데 있어 중국의 역할 또한 부정키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한국은 ‘중국 역할’을 견인할 수있는 수단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희망적 기대를 키워왔다.

      • KCI등재

        냉전기 북한의 중국 인식 ― 한국전쟁 후 중국 방문기를 중심으로

        정문상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0 No.-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perception o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during the Cold War Era. Toward this end, the study reviewed Travel Report of China published in North Korea right after the Korean War. According to the Travel Report of China, North Korean intellectuals who visited China viewed China as a brother’s country tied with blood, a laborers’ country and a socialist country that succeeded in collectivization of agriculture. The perception did not originate from the fact that North Korea was a socialist country that shared the same ideology with China. It stemmed from the fact that they developed a sense of solidarity in terms of history, humanity and psychology while they engaged in a revolutionary movement even in China and that they shared a series of experiences during the Korean War and in the course of rebuilding the nation after the war. Through the Korean War, fellowship with China as comrades was further emphasized, and the image as an advanced industrialized socialist country and a country that successfully completed collectivization of agriculture was more enhanced. The Chinese military stationed in North Korea and support for collectivization of agriculture in North Korea by China are highly likely to contribute to leading North Korean intellectuals to form a certain perception on China. In reality, North Korea turned into a socialist country while the Chinese military was stationed, the collectivization of agriculture was implemented in China first, and it was encouraged by China despite opposition from the Soviet Union. In summary, the Korean War, and a series of efforts to rebuild the nation after the war and change into a socialist country were implemented under the greater influence of China on North Korea compared to the Soviet Union, and it appears to have ha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North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 on China during the Cold War Era. 이 글에서 검토 대상으로 삼았던 일부 방문기의 내용에 근거할 때, 한국전쟁 직후 중국을 방문한 북한 지식인들에게 중국은 ‘피로써 맺어진 형제의, 노동 인민의, 그리고 농업집단화에 성공한 사회주의 나라’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과 이미지는 같은 이념을 공유한 사회주의 국가였기에 표출되고 형성된 것은 아니었다. 멀리는 중국을 무대로 같은 이념으로 다양한 혁명운동을 전개해 왔던 데서 기인한 역사적, 인간적, 심리적 연대의식이, 가깝게는 한국전쟁과 전후 복구 과정에서 함께 공유했던 일련의 경험에서 기인하는 연대의식의 소산이자 표출이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한국전쟁을 통해 중국과의 ‘동지적 유대감’이 한층 강조되었으며, 전후 복구 과정에서는 ‘선진 공업 사회주의 국가로서의 이미지’와 ‘성공적인 농업집단화를 이룬 국가로서의 이미지’가 더욱 강화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중국군의 주둔이나 중국의 북한 농업집단화에 대한 지지 표명은 이러한 중국에 대한 북한 지식인의 이미지를 형성시킨 또 다른 현실적 배경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 북한 사회주의 개조과정은 대외적으로 보면 중국군이 계속 주둔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행되었으며, 농업집단화는 중국에서 선행적으로 개시되고 있었고 소련은 반대했지만 중국의 격려 속에서 추진되었기 때문이었다. 요컨대 한국전쟁과 그 후 추진된 일련의 전후 복구과정 그리고 동시에 추구된 사회주의개조 과정은 소련에 비해 중국의 북한에 대한 상대적으로 확대된 영향력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으며, 이러한 일련의 배경은 냉전기 북한(지식인)의 중국 인식을 결정짓는 현실적 배경으로 작용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후보

        북한과 미국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거와 현재의 중국의 대 한반도 전략변화

        강준영 사단법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2018 한국국가전략 Vol.3 No.1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하고 ‘핵무력 완성’을 선언하자 동북아 정세가 다 시 격랑에 빠졌다. 작년 6차 핵실험과 ICBM급 시험 발사 도발은 시진핑 중국 주석의 대북 특사가 북한 설득에 실패하고, 미국은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한 상황에서 벌어졌다. 핵 보유를 눈앞에 둔 북한이 미국은 물론 중국의 어떠한 협상·설득에도 응하지 않겠다며 ‘마 이 웨이’를 선언한 것이다. 레드 라인(red line)을 넘어 이미 레드 존(red zone)에 진입한 것 과 다름없다. 지금까지와는 다른 위기가 찾아오고 있는 것이다. 핵탄두 소형화 기술까지 확 보하면 동북아 안보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Game changer)가 될 것 이기 때문이다.1)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을 두고 관련국들도 동상이몽이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무모하고 위험한 행동이라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경고했고 북한의 자금줄 을 차단할 실질적 방안이 계속 강구되고 있다.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에 준하는 조치를 통한 중국 압박 카드도 숨어있다. 중국은 늘 그렇듯 북한에 유엔 안보리 결의를 준수와 긴장 조성 행위 자제를 촉구하면서 관련 각국이 냉정을 유지해야한다는 말만 되풀이 하고 있다. 북한의 도발을 보고도 오히려 사드 반대를 천명하는 등 북한의 도발을 미·중 관 계의 틀에서 사드 문제와 연계하려는 속셈을 숨기지 않고 있다. 북핵과 미사일을 중·미 관계 카드의 하나로 인식하는 단면을 보이는 것이다. 핵심 사안인 북핵 문제는 점점 꼬이고 있다. 북핵 해결 방식을 둘러싸고 미·중간의 대립 이 지속되고 있고, 한·중 간에도 합의가 무색하게 사드 갈등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또 미국 은 중국에게 대북 원유공급 중단이나 무역 중단 등 초강력 대북 압박을 계속 주문하면서 군 사타격이 고려되고 있음을 끝없이 암시하고 있다. 한·미·중 세 나라가 모두 북한의 핵보유를 절대 용인할 수 없으며, 북핵 사태는 외교적 방식으로 해결돼야 한다는 점에서 이견이 없다. 그러나 접근 방식이 다르다. 미국은 최대의 압박으로 북한의 생각을 바꿔야 한다는 입장이 며, 한국 정부는 이를 협상으로 이끄는 수단으로 이해하면서 일차적으로 미국과 입장을 같 이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이러한 선제적 압박 방식으로는 북한을 설득할 수 없다면서 북 한의 핵·미사일 실험 중단과 한·미의 연합 군사훈련 중단이 동시에 진행돼야 한다는 쌍 중단 (雙中斷)을 주장한다. 한국 정부는 미국의 군사타격 논의에 대해 한반도에서의 전쟁 재발 절 대불가를 강력히 표명하고 있다. 중국의 쌍 중단 논의에 대해서도 자국 안보를 지키려는 합 법적 한·미 연합 군사훈련과 국제적 규범을 깨고 핵보유국이 되려는 북한의 불법행위는 결 코 교환할 수 없다는 논리로 수용을 거부하고 있다. 자칫 핵보유국 북한과 불안한 평화 사이 가 공존하는 매우 비상식적인 상황이 출현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더 이상 과거와 같은 대북 인식과 북핵 불용·한반도 비핵화 등과 같은 표면적 수사(修辭)로는 북핵 문제의 해결 방향을 잡을 수 없다는 점이다. 미국에서는 북핵 완성 시 간이 3개월도 남지 않았다는 주장도 나온다. 북한 역시 한편으로는 중국의 영향력을 반감시 키려 러시아와의 밀착을 시도하면서, 방북한 유엔 사무차장과의 회담을 통해 각급 소통 정 례화에 합의하는 등 시간도 벌고 미국의 예봉도 피하려는 전략... Northeast Asian region has been stirred again by North Korea launching an ICBM and declaring “the final stage for completing nuclear deterrence.” Last year, the situation where North Korea conducted the 6th nuclear test and made a nuclear provocation by test-launching an ICBM-grade rocket happened as China’s president Xi Jinping’s envoy failed to persuade North Korea and the U.S. designated a state sponsor of terrorism again. It means that North Korea declared to go “my way” without listening to any negotiation or persuasion of not only the U.S. but also China as it is facing completion of nuclear program. It is like crossing the red line and entering into the red zone. A completed different type of crises is coming. If North Korea secures the technology of miniaturizing nuclear warheads, it will be a game changer that can fundamentally change the security landscape in Northeast Asia. In the face of North Korea’s relentless provocation, concerned countries are taking it differently. U.S. President Donald Trump called North Korea’s provocation a reckless and dangerous action and warned North Korea that the U.S. would take all necessary measures to deal with it. There are continuous efforts to find practical ways to cut off source of North Korea’s funds. On the back side of such measures, President Trump is taking measures as strong as a secondary boycott to put pressure on China. As always, China keeps saying that North Korea should comply with the UN Security Council’s decisions and asking the regime to refrain from creating tension, and the concerned countries should stay calm. In front of North Korea’s provocation, China announced opposition to installation of the THAAD not hiding its purpose to bind North Korea’s provocation with the issue of installing the THAAD in the frame of the U.S.-China relationship. It shows an aspect of how China considers North Korean nuclear programs and missiles a card it can play with in the U.S.-China relationship. However, the key issue of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is getting more complicated. The U.S. and China are still arguing about how to resolve the problem of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leading to ongoing conflict over the THAAD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negating the agreements between the two. In addition, the U.S. keeps requesting China to take measures super that strongly pressure North Korea including cutting oil supply to North Korea and stopping trade with it while relentlessly implying that the U.S. has been considering military attack on North Korea. South Korea, the U.S., and China has reached an agreement on the basic principle that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would never be allowed and the nuclear problem should be solved in a diplomatic way. But each country has a different approach to deal with this. The U.S. believes that it should change North Korea by putting maximum pressure on it and the South Korean administration regards this approach as a means to bring North Korea to the negotiation table, standing in line with the U.S. for the meantime. However, Chinabelieves that such a preemptive measure pressuring North Korea cannot convince it, arguing for “freeze for freeze” initiative that stops both North Korean nuclear missile tests and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 at the same tim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expressing its strong intension to absolutely prevent another war in the Korean peninsula against the military attack discussed by the U.S. In regards to China’s approach to the “freeze for freeze” initiative that stops both the U.S. and North Korea, South Korea has been avoiding taking China’s idea on the basis of the logic and principle that the legal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 for protecting national security cannot be exchanged with North Korea’s illegal attempt to become a nuclear power breaking the international norms. It is because such an idea may lead to a very preposterous situation where South K...

      • KCI등재

        North Korea’s Nuclear Armament and China’s Strategic Dilemma

        왕양청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9 전략연구 Vol.- No.46

        Recently, the security and stability in Korean Peninsula highly attracts global attentions for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launched a series of missile tests and conducted an underground nuclear test. The tension in the Peninsula seems to be escalating.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members unanimously adopted Resolution 1874. It imposed a series of tougher sanctions on the DPRK.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olds its hedging strategy to the DPRK in different dimensions. For its long-term stance, China urges North Korea to live up to its commitment to denuclearization in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China calls for a calm response from all parties concerned and urges them to pursue peaceful resolu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provoked by North Korea through consultation and dialogue. How long China holds its hedging strategy depends on China and DPRK’s common interests. Therefore, studying China’s strategic intention and its military buildup is helpful to understand whether China is going to adjust its stance in the near future. Based on China’s strategic intention, its military build-up is the backbone for China to carryout its intention. Therefore, military modernization becomes China’s priority while its economic rapidly rises. Two very important factor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ile analyzing China’s perspective on the possibilities of the changes of military balance in Korean Peninsula. The first one is the willing of both the DPRK and China. The second one is the stability of the domestic situation in North Korea, especially during the power transition period. If North Korea continuously processes its nuclear program, the military balance would be changed asymmetrically. The situation of military imbalance can be divided into strategic and conventional levels. The strategic imbalance is to lean to the North, while the conventional one is to lean into the South in the Peninsula. In the recent years, China doesn’t take harsh actions toward North Korea even if China is strongly deman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the current stage, how it should act is a strategic dilemma for China. How much influence China has on North Korea is one of the key factors for China.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xpects China to do more efforts on this issue. Then, whether China takes harsh reaction to the DPRK and how China takes its actions are China’s strategic dilemma. If North Korea successfully accomplished its nuclear program, it would offer Japan and the ROK an excellent excuse to initiate their nuclear development programs. Then, China’s strategic superiority over the regional countries may fade, which doesn’t meet China’s national interests. To study China’s possible actions to the current development in Korean Peninsula, both strategic cultures of China and North Korea need to be studied. In the near future, Korean Peninsula remains as one of the potential flashpoints in the region. Descending the tension is the expect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 to bridge the gap is the cornerstone for resolving the current crisis. How China acts and how North Korea responds are followed by what China wants and what North Korea intends to. Without understanding mutual strategic cultures and their ultimate wants, the outcome may cause the situation worse. Recently, the security and stability in Korean Peninsula highly attracts global attentions for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launched a series of missile tests and conducted an underground nuclear test. The tension in the Peninsula seems to be escalating.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members unanimously adopted Resolution 1874. It imposed a series of tougher sanctions on the DPRK.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olds its hedging strategy to the DPRK in different dimensions. For its long-term stance, China urges North Korea to live up to its commitment to denuclearization in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China calls for a calm response from all parties concerned and urges them to pursue peaceful resolu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provoked by North Korea through consultation and dialogue. How long China holds its hedging strategy depends on China and DPRK’s common interests. Therefore, studying China’s strategic intention and its military buildup is helpful to understand whether China is going to adjust its stance in the near future. Based on China’s strategic intention, its military build-up is the backbone for China to carryout its intention. Therefore, military modernization becomes China’s priority while its economic rapidly rises. Two very important factors must be taken into account while analyzing China’s perspective on the possibilities of the changes of military balance in Korean Peninsula. The first one is the willing of both the DPRK and China. The second one is the stability of the domestic situation in North Korea, especially during the power transition period. If North Korea continuously processes its nuclear program, the military balance would be changed asymmetrically. The situation of military imbalance can be divided into strategic and conventional levels. The strategic imbalance is to lean to the North, while the conventional one is to lean into the South in the Peninsula. In the recent years, China doesn’t take harsh actions toward North Korea even if China is strongly deman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the current stage, how it should act is a strategic dilemma for China. How much influence China has on North Korea is one of the key factors for China.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xpects China to do more efforts on this issue. Then, whether China takes harsh reaction to the DPRK and how China takes its actions are China’s strategic dilemma. If North Korea successfully accomplished its nuclear program, it would offer Japan and the ROK an excellent excuse to initiate their nuclear development programs. Then, China’s strategic superiority over the regional countries may fade, which doesn’t meet China’s national interests. To study China’s possible actions to the current development in Korean Peninsula, both strategic cultures of China and North Korea need to be studied. In the near future, Korean Peninsula remains as one of the potential flashpoints in the region. Descending the tension is the expecta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 to bridge the gap is the cornerstone for resolving the current crisis. How China acts and how North Korea responds are followed by what China wants and what North Korea intends to. Without understanding mutual strategic cultures and their ultimate wants, the outcome may cause the situation worse.

      • KCI등재

        미중 전략경쟁과북·미·중 전략적 삼각관계의 변화 - 제3차 북핵 위기를 중심으로 -

        이우탁 ( Lee Woo Tak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21 북한학연구 Vol.17 No.1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본격화된 북핵 3차 위기를 전략적 삼각관계 이론을 적용해 분석해보면 그 이전과 다른 특징이 발견된다. 특히 변화된 미국과 중국 관계가 가장 큰 변수다. 미중 관계가 갈수록 패권대결 의식이 강화되면서 북핵 문제도 미중관계와 연계된 하나의 현안으로 분명하게 자리 매김 된다. 또 다른 특징은 북한의 핵능력이 사실상 핵보유국 수준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이는 1차 2차 북핵위기 때보다 강화된 북한의 전략적 위상을 보여주며, 고스란히 북미중 전략적 삼각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3차 핵위기가 전개된 과정을 시기적으로 구분해볼 때 김정은 집권초기(2009년~2012년 4월)는 3개의 변화된 양상이 나타난다. 먼저 2009년에는 미국(B)과 중국(C) 관계가 여전히 우호적인 반면, 북한(A)과 중국(B) 관계는 악화되고, 북한(A)과 미국 (B)관계도 악화되는 안정적 결혼 모형의 시기였다가 북한의 2차 핵실험(위기조성행위)으로 상황변화가 일어나 일시적으로 북한과 중국이 우호적 관계를 회복하고, 미중 관계도 여전히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3자 공존 모형에 가장 유사한 국면이 됐다. 하지만 2012년 2.29 합의 무산 이후 미국 내에서 대중국 기류가 크게 변한다. 중국의 부상을 용인해서는 안 된다는 중국위협론이 강하게 제기된 것이다. 이에 따라 북한의 핵무력 완성시기(2012년~2017년 3~6차 핵실험)는 줄곧 북한(A)과 미국(B)은 줄곧 부정적인 관계를 유지했고, 미국(B)과 중국(C)도 비우호적 관계로 넘어가는 관계였다. 북한과 중국 관계도 좀처럼 우호적인 관계를 회복하지 못했다. 가장 불안정한 삼각관계의 시기라 할 수 있다. 이후 갑작스럽게 북미 간 화려한 정상외교가 펼쳐진 시기(2018년~2020년 평창에서 하노이 노딜 이후)에는 북한과 미국이 기존의 적대관계에서 전격적으로 협상국면으로 전환하자, 북한과 중국 관계도 비우호적 관계에서 우호적으로 변해 갔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접근이 노골화되고, 이를 북한이 적극 활용한 결과다. 물론 미중 관계는 부정적 상태를 줄곧 유지했다. 말하자면 3자 비우호적 삼각관 계에서 전형적인 로맨틱 관계로 전환된 것을 알 수 있다. 당분간 이런 모형이 이 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패권도전국’ 중국을 압박하는 것을 최우선 외교정책으로 설정한 시기 인 만큼 3차 핵위기 시기에는 미국이 전략적 삼각관계의 양상을 결정하는 위치를 차지했다. 이는 북한이 주도했던 1차 핵위기 때와 중국의 주도적 역할이 두드러졌던 2차 핵위기 때와 확실하게 달라진 점이다. 이렇게 복잡하게 얽힌 전략적 상황은 북미중 전략적 삼각관계에도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모형이 등장될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New power dynamics in the thir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can be explained by Dittmer’s concept of a “strategic triangle. Changing U.S.-China relations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is case along with the coercive strategies from the Kim Jong-un regime. North Korea’s nuclear arms has thus become an issue linked to the hegemonic battle between the world’s two superpowers. Another concern is the continued advancement of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program. Through six nuclear tests-and a “successful” hydrogen bomb test-the country is now capable of producing plutonium and uranium-based nuclear weapons. This progress shows North Korea’s strategic position in the North Korea-U.S.-China relations, different from that at the time of the first and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es. Early days of the thir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from Kim Jong-un’s succession, 2009~April 2012)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Although U.S. (B) and China (C) had a good partnership in 2009, North Korea (A)-China (C) and North Korea-U.S relations worsened. After North Korea’s second nuclear test, however, the situation changed; crisis brought about China’s rapprochement with North Korea. This ultimately formed a trilateral model of coexistence. Yet, the collapse of the Feb. 29 agreement (or the Leap Day Deal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led the U.S. to question its partners. The China threat theory was raised, claiming that Americans must curb China’s rise. Accordingly, U.S. (B)-China (C) relations declined while North Korea conducted its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nuclear tests (2012~2017). North Korea’s ties with the two countries also became strained. It was the period of an “unstable triangle relationship.” When North Korea and the U.S. entered the negotiation phase (after No-deal Hanoi Summit, 2018~2020), China also reached out to North Korea for friendly talks. North Korea accepted this, but U.S.-China relations remained relatively cold. In other words, there was a transition from an “unstable triangle relationship” to a “romantic triangle relationship,” where A has a positive link with both B and C while B and C has a negative link. This model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The U.S. was the most influential player in this triangle relationship during the third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it stepped up its pressure on China-the hegemonic challenger. This aspect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North Korean nuclear crises period, when North Korea and China took the main roles, respectively. No one can predict how exactly the North Korea-U.S. relations will unfold in the future. As the saying goes: “We have no eternal allies, and we have no perpetual enemies in world politics. What is clear is that denuclearization negotiations with North Korea will require a prolonged diplomatic engagement. Moreover, the U.S. and China’s fight for global dominance is likely to grow more intense. This complex situation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new triangular model that will reflect the future of North Korea-U.S.-China relations.

      • KCI등재

        중국의 대북 경제정책과 경제협력에 관한 연구

        박종철 한국동북아학회 2012 한국동북아논총 Vol.17 No.1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ina leadership’s Korea economic policy toward North after North Korea’s second nuclear test, and major changes and structure of North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and of borderland development. China’s economic cooperation to North Korea until in the middle of 2000’s was mainly on simple trading and small scale investment. Chinese government did not approve large scale investment in North Korea. In late 2000’s, North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is entering state of borderl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expanding industry cooperation. After 2009, North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maintains its background of China-US conflict, strengthened South Korea-US alliance, serious South Korea-China conflict and North Korea’s systematic crisis. Especially, increasing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and borderland development after the second nuclear test have strong correlation. For revitalizing North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China is approaching from a perspective of strengthening the Korean peninsula status quo and North Korea is approaching from a perspective of maintaining its system strategically. Under Hu Jintao-Xi jinping and Kim Jong Un’s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North Korea-China economic cooperation is maintaining its status quo plus reinforcement. 이 연구는 제 2차 북핵실험 이후 중국지도부의 대북경제정책의 조정과 북중 경제협력과 접경개발을 둘러싼 주요 변화와 구조에 관한 분석이다. 한중수교 이후 2000년대 중반까지 중국의 대북 경제협력은 단순한 무역거래나 소규모 투자가 중심이 되었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기 북중경제협력은 접경지역 인프라 건설과 산업협력으로 확대되는 국면을 맞고 있다. 2009년 이후 북중 경제협력은 중미갈등과 한미동맹, 한중갈등, 그리고 북한의 체제위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특히 제2차 북핵실험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 고조와 북중 경제협력과 접경개발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북중 경제협력의 활성화에 대하여 후진타오-시진핑 정권은 한반도 현상유지강화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김정일-김정은 정권은 체제유지전략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북중 경제협력은 김정일 사후 김정은 집단지도체제 하에서도 현상유지강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