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도 없는 네트워크를 위한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

        조용만(Yong-Man Cho),강태원(Tae-Won Ka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4 No.5·6

        네트워크는 공학이나 자연과학은 물론이고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를 연구하는데 중요하게 사용되는 모델이다. 이런 네트워크를 좀 더 쉽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각적으로 네트워크의 특징을 잘 나타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그래프 레이아웃 연구는 컴퓨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많이 연구되고 있다. 그중에서 요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척도 없는(Scale-free) 네트워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복잡한 현상들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이 네트워크의 특징은 링크의 수(Degree)가 멱함수(power law) 분포를 보이고, 다수의 링크를 가지는 허브가 존재함이 알려졌다. 따라서 척도 없는 네트워크에서는 허브를 시각적으로 잘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기존의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은 클러스터를 잘 표현하는 정도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를 잘 표현하는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에서 허브들 간에 작용하는 허브성 척력이 거리에 반비례하고, 허브들의 degree가 a배 증가하면, 허브사이에 작용하는 척력의 크기는 a<SUP>γ</SUP>(γ는 연결선 지수)배가 된다. 또한, 전체 노드수와 전체 링크수에 따라 적용되는 힘의 크기를 조정하는 계수를 두어서 네트워크의 규모에 관계없이 허브성 척력이 적용되는 특성이 있다. 제안한 알고리즘이 허브를 잘 표현하는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인지를 기존의 방식과 실험을 통해서 비교하였다. 실험의 절차는 먼저 네트워크에 허브가 존재하는 지를 식별한다. 허브의 존재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은 연결선 지수를 확인하고, 연결선 지수의 값이 2와 3사이에 있으면 허브가 존재하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로 판단한다. 다음은 이 네트워크의 레이아웃 작성에 제안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 결과, 제안한 그래프 레이아웃 알고리즘이 기존의 Noack등의 클러스터중심의 알고리즘에 비해서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허브를 확실히 잘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network is an important model widely used in natural and social science as well as engineering. To analyze these networks easily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layout the features of networks visually. These Graph-Layout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recent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technology. Among them, the Scale-free Network that stands out in these days is widely used i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situations in various fields. The Scale-free Network is featured in two points. The first, the number of link(Degree) shows the Power-function distribution. The second, the network has the hub that has multiple links.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for us to represent the hub visually in Scale-free Network but the existing Graph-layout algorithms only represent clusters for the present. Therefor in this thesis we suggest Graph-layout algorithm that effectively presents the Scale-free network. The Hubity(hub+ity) repulsive force between hubs in suggested algorithm in this thesis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distance, and if the degree of hubs increases in a times the Hubity repulsive force between hubs is a<SUP>γ</SUP> times (γ is a connection line index). Also, if the algorithm has the counter that controls the force in proportion to the total node number and the total link number, The Hubity repulsive force is independent of the scale of a network. The proposed algorithm is compared with Graph-layout algorithm through an experiment. The experimental process is as follows: First of all, make out the hub that exists in the network or not. Check out the connection line index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hub, and then if the value of connection line index is between 2 and 3, then conclude the Scale-free network that has a hub. And then use the suggested algorithm. In result, We validated that the proposed Graph-layout algorithm showed the Scale-free network more effectively than the existing cluster-centered algorithms[Noack, etc.].

      • KCI등재후보

        네트워크로서의 학교 - 도시형 대안학교 운영원리의 평생교육적 해석

        정연순(Chung Yonsoo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6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3

          최근 학교 교육 영역에서도 교육 네트워크 논의가 활발하다. 그러나 막상 그것이 현실에서 어떻게 만들어지고 작동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이 연구는 도시형 대안학교들의 교육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그 의미를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네트워크에 기반한 학교 운영의 원리와 특성을 탐구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의 지원을 받는 14개 미인가 중고등 통합과정 대안학교들이었으며, 사례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과 운영원리의 해석을 통해 교육 네트워크는 각 주체의 보유자원과 기능 및 역할의 차이에서 시작되며(‘차이의 호혜적 교환’), 각 주체들은 고정된 위치와 경계를 넘어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고(‘전치와 역할전환’),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의존하면서 사회적 힘을 얻으며 자율적 협력이 가능해진다(‘상호의존을 통한 임파워링’)는 것을 읽어 낼 수 있었다. 도시형 대안학교가 이루어온 네트워크 실험의 성과들은 평생학습사회가 만들어갈 ‘미래 학교’의 상상력을 현실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Network becomes a buzzword in education. OECD suggests learning network as a main method for innovation and ‘schooling for tomorrow’. But we cannot hardly find the works which examine the realities and possibilities of learning network in schooling.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network in schooling in the perspectives of lifelong education. Analysis is conducted on fourteen urban alternative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city. Main research method is case study. Network is the main method which urban alternative schools take to survive and organize alternative learning. Using administration network, human network and learning resource network, these schools connect the communities and citizens to learning. Learning network can be started to interchange different resources, animated by the people crossing the social border and performing educational role. The communities and schools can be empowered with inter-reliance in the learning network. The learning network organized by th urban alternative schools show a model which schooling in the learning society can take.

      • KCI등재후보

        Android Network Packet Monitoring & Analysis Using Wireshark and Debookee

        송미화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 Vol.8 No.4

        Recently, mobile traffic has increased tremendously due to the deployment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smart tablets. Android is the world’s most powerful mobile platform in smartphone.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provide seamless access to many applications and access to the Internet. It would involve network packet sharing communicated over the network. Network packet contains a lot of useful information about network activity that can be used as a description of the general network behaviours. To study what is the behaviours of the network packet, an effective tools such as network packet analyzers software used by network administrators to capture and analyze the network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more understanding about network information in live network packet captured from Android smartphone is the target and identify the best network analyzer software.

      • KCI등재

        경찰의 청소년비행예방 활동에 있어 유관기관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박상주(Park Sang Joo) 한국공안행정학회 2008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7 No.4

        현대의 치안환경은 경찰과 유관기관들간의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찰활동의 유관기관 네트워크에 대해 청소년비행예방 분야를 중심으로 경찰을 비롯한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기관들간의 연계 네트워크를 실증적으로 측정·분석하는 데 주 목적을 두었다. 전주시를 지역적 범위로 하여 경찰 및 청소년비행 유관기관들의 연계실태를 분석한 결과, 네트워크의 밀도가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며 소수 기관을 중심으로 한 연계의 집중화 경향이 나타났다. 경찰을 포함한 총 51개 유관기관 가운데 보호관찰소를 비롯한 17개 기관이 핵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히 보호관찰소를 비롯한 3개 기관의 중심성이 두드러지게 높아서 이들 기관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허브(hub)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학교의 경우 내향중심성에 비해 외향중심성이 낮게 나타나서 다른 기관과의 연계방식이 지나치게 수동적인 경향을 띠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각각의 기관들은 네트워크상 위치와 역할이 유사한 하위집단으로 군집화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찰의 경우 다른 핵심부 기관들에 비해 연계의 범위가 상대적으로 좁고 제한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그런 가운데 경찰과의 연계구축이 비교적 용이한 기관들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청소년비행예방 분야의 네트워크 구조와 개별 기관들의 역할과 위치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정책적 함의로서, 네트워크의 장기적 발전을 위한 관련 법제의 마련, 중심부 및 허브 기관 중심의 효율적 활성화 전략, 학교의 보다 적극적인 네트워크 참여, 네트워크 내에서 구조적으로 유사한 위치에 있는 기관들간의 집중적인 연계체제 수립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경찰의 경우 장기적으로는 연계기관의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기적으로는 네트워크의 핵심부에 위치하면서 경찰과의 연계에 용이한 기관들을 집중적으로 활용하는 전략 및 해당 기관들의 조직구조의 변화방안을 제안하였고, 아울러 네트워크 활성화의 조건으로 소년경찰 업무에 있어 재량확대의 필요성도 제기하였다. In contemporary policing a framework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has emerged as a promising approach to many areas of problem solving.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policing can contribute to effective police service delivery by sharing and pooling various resources of community agencies including the police and many other public or private organizations. This study makes an attempt at analyzing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of policing focused on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in Jeon-ju city. Results of the network analysis using survey data of 51 agencies show that juvenile delinquency prevention networks in Jeonju city are rather centralized and has rather low density.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effective strategies such as network management and relevant legislation facilitating active participation in networks be developed. Some agencies with high centrality scores may be utilized as network hubs for the other agencies including police organizations. In the case of schools, their outdegree scores are prominently lower than indegree scores, which implies that schools are too passive in their roles in networks and are required for more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ivalence, most agencies are meaningfully grouped into one of the four structurally equivalent groups. It is suggested that agencies belonging to the same groups take more systematic and intensive interaction with each other. With regard to police organizations, their linkages are rather narrowly bounded to relatively fewer agencies. That is, police organizations had better make more efforts to extend their linkages to wide-spreading agencies including those at the periphery. However, in the short run, it may also be an efficient strategy for police organizations to make more intensive linkages to those agencies which get higher betweenness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and closer to themselves in geodesic distance. Additionally, expansion of police officers' discretion in juvenile policing is desirable for activating policing networks.

      • KCI등재

        전송망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교육 모델 연구

        장문수,김유두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8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0 No.2

        통신망을 이루는 주요 구간 중에 전송망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구간에 대하여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제어 기술은 네트워크 산업에 걸쳐 네트워크 운용 및 프로비저닝을 활용한 네트워크 제어 환경의 변화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현재 PTN 장비의 보급화와 함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프로비저닝을 위한 구성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실제 상용망의 PTN 장비를 주축으로 프로비저닝을 구성하면서 SDN기반 제어 시스템 구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TN을 주축으로하는 패킷 기반 전송망에서의 SDN 시스템에 대한 내용과 동향을 살펴보고 SDN을 구성하기 위한 오픈소스인 OpenDaylight에대한 연구를 통해 실제 상용망에서 활용하고자 하는 핵심 기술에 대해서 연구한다. 그리고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운영 교육 모델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정의 제어 기술에 대해 연구한다. During the major sections of the network, Software-defined network control technology for the network area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network is becoming a change in network-controlled environments utilizing network operation and provisioning across the network industry. Currently development is underway along with the deployment of PTN equipment and configuration for provisioning is being phased out. It is actively introducing establishment of SDN-based control system while constructing provisioning of PTN equipment from actual commercial network. Therefore, in this thesis, we are going to look at the contents and trends of SDN systems in packet-based transmission networks based on PTN and use them in research on OpenDaylight, an open source for configuring SDN. It then Network Operator will study the software defined control techniques for operational education.

      • KCI등재

        『기업경영연구』 에서의 공동연구 네트워크 분석

        최일영,이현수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4

        There are filled with accredited journals and candidated journals which are published by 46 societies and 4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in the management field. In these circumstances, it is important to create a virtuous circle of sharing and diffusing knowledge through socialization of knowledge, externalization of knowledge, combination of knowledge, and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So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collaborations in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is useful to create a virtuous circle because researchers and research facilities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on research network not only share the ideas and the techniques of the research but also influence other researchers and other research facilitie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flow of knowledge in the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of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Our research methodology consisted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In the first step, we collected author data and research facility data from articles which is published in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from 1994 to 2012, and then we built 2 matrices called 2 mode data . One is comprised of articles and authors. The other is comprised of articles and research facilities. In the second step, we transformed 2 mode data to 1 mode data called adjacency matrix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authorship network and co-research facility network, respectively. In the last step, we performed 3 analyses on each network. One is the structure analysis which is an analysis for computing degree, density, diameter and so on in the network level. Another is the component analysis which is an analysis for searching strongly connected sub-network. And the other is the centrality analysis which is an analysis for computing degree centrality and the betweenness centrality in the node level. Through the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authorship network and co-affiliation network formed small-worlds because average diameter of two networks is less than 6 from 1994 to 2012. Second, lots of researchers of the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in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worked alone rather than in collaborative teams. Third, Busan formed an important research region in the early years since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was first issued in 1994. But,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ecame the core of the research clusters after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was selected as accredited journal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ourth,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researchers in Busan were high in the early years but thos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high later. From the our results, we found several implications for he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First,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need to serve as the useful platform for promot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thors who have the high degree centrality or high between centrality to boost collaborative researches. Second,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need to accept good researchers who live in Gangwon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 and Jeonna Province as board members to grow a society nationwide in its scope. We expect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경영학 분야에서는 50개의 기관(학회 46곳, 대학부설연구소 4곳)에서 등재(후보)지를 발간하고 있을 정도로 많은 학술지가 난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업경영연구의 지식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 지식의 흐름을 파악하였다. 분석을 위해 1994년~2012년 동안 기업경영연구에 게재된 논문 639편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자 네트워크 및 연구기관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해 밀도, 평균 최단길이, 직경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 분석, 컴포넌트 분석, 연결정도 중심성 및 매개중심성을 이용한 중심성 분석을 통해 지식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저자 네트워크 및 연구기관 네트워크는 비교적 좁은 세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평균적으로 6단계를 거치면 모두 연결되었다. 둘째, 기업경영연구에 논문을 게재하는 대다수 연구자들은 협업보다는 단독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셋째, 기업경영연구는 초창기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를 형성하다가 서울 및 경기도를 중심으로 클러스터가 이동하였다. 넷째, 연결정도 중심성 및 매개중심성은 초기 부산지역의 연구자가 높았지만, 등재지로 선정된 후 서울 및 경기도 지역의 연구자가 높았다. 따라서 기업경영연구가 지속적으로 발전 및 성장을 위해서는 지식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높은 저자 및 연구기관들과 소통할 수 있는 교류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전국적 규모의 학술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부산, 서울, 경기도 중심을 탈피하여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지역의 연구자들을 한국기업경영학회의 임원으로 초빙하여 지역 거점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 기반 언어 연구의 방법에 대하여

        박선우 ( Park¸ Sun-woo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1 No.-

        본 연구에서는 관계형 데이터의 특성과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바탕으로 언어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 방법론을 소개함으로써 네트워크 분석 기반 언어 연구의 특징과 장단점을 논의하였다. 먼저 네트워크 분석의 대상이 되는 관계형 데이터의 특징을 알아보고, 네트워크 기반으로 이루어진 한국어 관련 연구들을 ‘1원 네트워크 분석, 2원 네크워크 분석’으로 구분하여 소개하였다. 1원 네트워크 분석의 사례로서는 소셜 미디어에서 지역어로 대화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역어의 기능을 분석한 연구와 텍스트 네트워크를 통한 토픽 모델링을 소개하였다. 덧붙여 단어 네트워크의 응집도를 통하여 중국어 고유명사의 한자음 표기와 원지음 표기의 레지스터(register) 차이를 분석한 연구도 소개하였다. 2원 네트워크 분석의 사례로서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강조·정도 부사의 의미거리를 계량적으로 측정한 연구와 동일한 방언형이 관찰되는 지역들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계층적으로 방언권을 구획하는 새로운 방언권 구획 분석방법을 소개하였다. 결론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연구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웠던 숨겨진 질서와 원리를 파악하고, 언어의 연구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stinctive features, pros and cons of network analysis-based linguistic researches by introducing the preceding studies and research methodologies based on network analysis. I explained the properties of linguistic relational data and introduced researches about Korean language, based on 1-mode network analysis and 2-mode network analysis. As examples of 1-mode network analysis, I presented three researches. The first is about communication networks between users who communicate in Gyeongsang Korean, which is dialect of Southeastern regions in Korea, on social media. Secondly, I presented the analyses of topic modeling over a text network based on corpus data. Thirdly, I explained how to distinguish the linguistic registers between the Chinese pronunciation and Sino-Koean pronunciation of Chinese proper nouns through cohesion in the text and word networks. As examples of 2-mode network analysis, I presented two researches. The first is about examining the semantic diastance of emphasizing degree adverbs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adverbs and predicates in Korean. Secondly I introduced a hierarchical clustering of Gyeongsang Korean by calculating the dialect-distances through the 2-mode network analysis. The conclusions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hidden trends and principles that were difficult to discover in existing studies through network analysis, and expanding the scope of language research and education. Finally I suggest to discover the hidden trends and principles through network analysis, and expand the horizons of linguistic researches.

      • Virtual Network Mapping Algorithm Based on Load Balancing

        Ming Jiang,Xijie Tang,Min Zhang,Ziyang Li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Grid and Distributed Comp Vol.9 No.9

        Recent studies for network virtualization have shown a promising way to overcome the Internet ossification. The one of the key issues in network virtualization is a virtual network mapping problem, i.e., mapping a virtual network to the physical network. The situations of dynamic arrivals of virtual network request and the limited life cycle of the virtual networks pose significant challenges to the virtual network mapping problem. A balance between the resource allocation of the physical network and the number of mapped virtual networks. In this paper, we have considered the time characteristics that virtual network requests when mapping algorithms so as to achieve the objective that the node load and link load can simultaneously reach a balance. Giving full consideration to mutual restraints of time and resources, we propose a two-dimensional discrete weighted model based on time and resources, and establish a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of minimizing the degree of two-dimensional load balancing. Moreover, we devise a VN embedding algorithms LB-VNE. Simulation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can increase the acceptance ratio and the revenue by the substrate network in the long term.

      • 네트워크 중립성과 방송통신위원회의 규제 근거

        이주연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1 Law & technology Vol.7 No.1

        네트워크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가 네트워크에 과다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P2P 등 일부 통신에 대한 통제 권한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반면 네트워크 사업자가 일부 네트워크 통신을 제한하는 것은 네트워크 중립성에 위배된다는 주장도 있다. 네트워크 중립성은 모든 인터넷 콘텐츠가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동등하게 처리되고 어떠한 차별도 없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① 비차별성, ② 상호접속성, ③ 접근성을 그 내용으로 한다. 네트워크 중립성 원칙을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해 찬반 논란이 있으나, 네트워크 시장이 과점시장에 가깝고 네트워크에 공공재적 성격이 있음을 감안할 때 네트워크 중립성 원칙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먼저 콘텐츠의 내용을 근거로 통신을 제한하는 것은 심층 패킷 조사를 전제로 한 것인데, 이는 검열금지 원칙에 어긋나며 네트워크 이용자의 사생활과 자유를 침해하고, 어떤 내용이 적법한지에 대해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중립성에 위배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사업자가 이용자의 접속을 끊어버리거나 우선순위를 두어 전송속도를 제한하는 것도 이용자와의 서비스 제공계약에 따른 의무를 불이행하는 것이고 네트워크 중립성에 위배된다. 과다한 트래픽의 문제는 서비스의 질에 따라 요금에 차등을 두고 그로부터 얻은 수익으로 투자하여 대역폭을 활용, 확대하는 방향으로 해결해야 한다. 최근 미국에서는 네트워크에서 P2P 통신을 제한한 Comcast사에 대해 FCC(미국연방통신위원회,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가 중립성 원칙을 위반했다는 명령을 내렸고, 이 명령에 대해 콜럼비아 주 항소법원의 판결이 있었다. 항소법원은 FCC가 Comcast사를 규제할 법적인 권한을 도출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Comcast사의 손을 들어 주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통신규제를 맡고 있는데, 전기통신사업법,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이 방송통신위원회의 규제 권한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동시에 네트워크 중립성 원칙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Concerns of network congestion provoked an argument that Network Providers should begranted to restrict file-sharing technologies-like peer to peer networks- which bring about heavytraffic load on their broadband network. But some people oppose to it on the basis of networkneutrality principle. ‘Network neutrality’is a principle that all internet traffic should be treatedequally. It consists of ①Non-discrimination, ②Interconnection, ③Acccess rules. It is difficult toexclude the network neutrality principle completely because broadband network has acharacteristic of public property as well as private property of network providers and its marketstructure is close to oligopoly. First, restricting ‘illegal’of ‘harmful’communication is madepossible by “Deep Packet Inspection”. But it can be against the Constitution and the networkneutrality principle because there aren’t any established criteria to judge what is illegal and harmful.Next, blocking access to network or regulating transmission speeds on the basis of priority is abreach of service providing contract. Prioritizing communications as an internal, unopened policymight result in a violation of the network neutrality. Instead, network congestion problem should besolved in a way to charge extra to a mass-scale communication and to expand current bandwidthand to make better use of it. Recently in US, FCC found that Comcast corporation had oversteppedits network management authority by blocking BitTorrent traffic. As Comcast appealed, UnitedStates Court of Appeals for the District of Columbia ruled that FCC had failed to draw a legal basisto regulate the behavior of Comcast. In Korea,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akes a role toregulate the field of communication and some acts like Telecommunication business act, Internetmultimedia broadcasting act, Utilization of digital network and protection of information act seem tosupport network neutrality principle and provide the legal basis of Korea CommunicationsCommission’s regulation on network providers.

      • 사회네트워크에서의 개인의 중심적 위치가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흡수능력과 상호의존성의 영향

        권주현,김민용,유호선 경희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2007 기업경영연구 Vol.13 No.-

        This study is regarding Social Network Analysis(SNA) effect tha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knowledge management from knowledge ecology's point of view. And this study first began to see if there is any possibility for substituting for Knowledge Performance improvement.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rifying the defini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by re-verifying how central positions in personal social network affect individual performance. Second, clarifying how two different personalities, absorptive capacity from individual capability point of view and interdependence, affect in network performance. To accomplish the study results, classified network types to two different types - friendship relationship and Advice relationship, in the first place. Grasp the result of network centrality, absorptive capacity, interdependence and empirical studies afterwar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closeness centrality and individual absorptive capacities of the advice network affects significantly in individual performance. Interdependence affects both in friendship network of individual network and advice network. However, not considering variables in results and individual characters variously, we faced limitation for clarifying independence and absorptive ability interaction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