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말 性理學 서적의 수용과 성리학적 문학 담론 양상 고찰

        류화정(Ryu, Hwa-J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7 No.-

        고려 말 性理學 서적과 주요 인물들에 대한 정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성리학의 수용이 성리학적 문학관의 이해를 동반한 것은 아니다. ‘성리학적 문학관’이라는 것은 실체는 없지만, 성리학을 수용한 지식인들에게 문학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유도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변했고, 그 실마리가 되는 생각은 어디서 유래했는지는 좀 더 세부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서적의 수용이라는 외부적 관점에서 성리학적 문학관의 기원을 밝혀보고자 했다. 사상의 轉移는 서적의 수용도 하나의 動因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성리학을 수용하기 전에는 蘇軾과 黃庭堅의 기교를 배우기 위해 골몰했다면, 성리학을 배운 이력이 있는 白文寶의 경우 經典에 나오는 문구들을 인용하여 성리학적 문학관을 피력했다. 그런데 그가 주로 언급한 내용이나 표현은 『四書集註』와 『近思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다음으로 고려에 들어온 성리학 텍스트들을 조사해서 구체적인 서지 정보를 획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그 속에 있는 문학 담론들을 추출하여 의미를 해석해 보았다. 실제로 고려로 들어온 성리학 서적들을 검토해 본 결과, 성리학적 문학관을 비교적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텍스트는 『四書集註』와 『近思錄』이었다. 그렇지만 고려 말에 성리학을 접한 지식인들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성리학 서적 속에 산발적으로 담긴 성리학적 문학관을 인지하고 창작으로 옮겨가는 과정은 오랜 시간이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성리학을 배우고 인식의 변화를 보이는 자료들도 있지만, 여전히 기존의 문학관을 고수하거나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것은 성리학적 문학관을 처음 인식하여 이해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과도기적인 모습으로, 매우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Information on books concerned Neo-Confucianism and key figure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s already widely known. However,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does not accompany the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Literature Ideas. ‘the Neo-Confucian Literature Ideas’ doesn t really exist, induced the intellectuals who embraced Neo-Confucianism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literature. In particular, it was necessary to reveal in more detail what has changed and where the idea of the clue originates. In this book, I wanted to reveal the origin of the Neo-Confucian Literary Ideas from an external perspective of accepting books. This is because the acceptance of books can be a factor in the movement of thought. Once they had been bent on learning So Sik(蘇軾) & Hwang Jeong Gyun(黃庭堅) s skills before accepting Neo-Confucianism, Baek Mun-bo(白文寶), who has a history of learning Neo-Confucianism, the Neo-Confucian Literary Ideas was expressed by quoting the phrases in the Confucian classics. But what he mainly mentioned or expressed was derived from Sishu jizhu(『四書集註』) & Jinsilu(『近思錄』). Next, I examined the Neo-Confucian texts that entered Goryeo to obtain specific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based on them, I extracted the literary discourse in it and interpreted the meaning. After examining the biblical books that actually came into Goryeo, Sishu jizhu(『四書集註』) & Jinsilu(『近思錄』) was the text that could recognize the Neo-Confucian literature relatively clearly.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intellectuals encountered Neo-Confucianism at the end of the Goryeo, and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moving to creative Neo-Confucian literature sporadically contained in Neo-Confucian books seems to have taken a long time. Some materials show a change in perception and learning Neo-Confucianism, but others still stick to existing literary views or fail to completely deviate from them. But this is a transitional form seen in the process of first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Neo-Confucian Literature Ideas, and I think it is a very natural process.

      • KCI등재

        연구논문 : 기호성리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이영자 ( Young Ja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1 儒學硏究 Vol.24 No.-

        본고에서는 기호성리학에 대한 정의를 밝히고, 기존의 연구 성과물에 대한 동향 및 과제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그 결과 기호성리학의 연구 동향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 및 특징이 있다. 먼저 기호성리학의 범주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이분법적 카테고리의 문제다. 기호성리학을 영남학파와 대별되는 기호학파의 성리학으로 정의하는 이분법에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둘째, 기호성리학의 인물별 연구 성과를 보면 한원진, 이간, 임성주, 송시열 등 일부 학자에 편중되어 있다. 아직까지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학자도 많아 연구물의 빈익빈부익부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호유학자 중 아직 발굴되지 않은 학자들에 대한 연구가 시도된다면 기호성리학은 지금보다 훨씬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풍성하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호성리학의 주제별 연구에서는 대체로 인물성동이론이나 미발심체순선유선악논쟁, 명덕주리주기논쟁 위주로만 연구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굵직한 논쟁 이외의 논쟁도 발굴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분석한 바에 따르면, 기호성리학의 전개양상은 너무도 다양하여 이를 연구하는 학자 간 관점에도 차이가 많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이견은 기호성리학이 갖는 ``개방성과 다양성``이라는 특성에서 기인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영남학과 기호학의 화합과 발전, 세계 속의 한국 유학(성리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다. 한국의 성리학, 곧 세계의 성리학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호성리학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들이 이전처럼 계속해서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학의 특수성이 투철하면 할수록 그 지역성을 벗어나 보편적인 세계화로 통하게 되듯이, 기호성리학의 발전이 곧 한국 성리학의 발전이 되고, 세계 속의 한국 성리학 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현대사회의 주류로 재부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intended to reveal the definition of Giho Neo-Confucianism and discuss the trend and task regarding previous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the following problem and characteristic showed in the trend of Giho Neo-Confucianism research. First, it is the problem of dichotomic category which was revealing the course of discussing the category of Giho Neo-Confucianism. The point is that the dichotomy of defining Giho Neo-Confucianism as Neo-Confucianism of Giho school which is separated from Youngnam school can have problem. Second, viewing the research result of Giho Neo-Confucianism for each individual, it focuses on partial scholars such as Han Won Jin, Lee Gan, Lim Sung Joo, Song Shi Yeol, Choi Ik Hyun, Lee Hang Ro, and etc. Because there are many scholars who are not researched, it seems that researches will still have such concentration. If researches on scholars who are not discovered yet are attempted among Giho Confucian scholars, Giho Neo-Confucianism will develop much more abundantly in quality and quantity than now. Finally, regarding research of Giho Neo-Confucianism for each subject, it showed conspicuous tendency of having discussions generally focusing on InMulSungDong-Yiron, MiBalSimCheSoonSunYooSunAk, or MyungDukJooRiJooKi. Other discussions aside to such centering discussions are necessary for discovery. According to the analysis until now, because the progress of Giho Neo-Confucianism is so diverse, its characteristic is that there is much difference in the viewpoints among scholars who study them. Such different view results from the characteristic of ``openness and diversity`` of Giho Neo-Confucianism. However, such characteristic is really necessary for harmony and development of Youngnam school and Giho school, and for Korean Confucianism (Neo-Confucianism ) to step up in the world. For Korean Neo-Confucianism to develop as world`s Neo-Confucianism, diverse discussions with different viewpoints should be actively held continually like the past. As regional studies become universally globalized breaking away from the region the more thorough its distinct characteristic is, the development of Giho Neo-Confucianism will become the development of Korean Neo-Confucianism, and it will be able to be reformed as Korean Neo-Confucianism in the world. And, furthermore, it will be able to rise up as the main stream of modern society.

      • KCI등재

        베트남 儒學思想 形成過程의 特徵 - 麗末鮮初 儒學 鼎立過程과의 比較를 통하여

        최복희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조선과 베트남 사회에서 성리학 사상이 도입되는 과정에서의 유사한 역사적 정치적 배경을 지적하고, 수용의 과정에서의 다른 점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작은 결론으로 필자는 베트남과 조선에서 성리학의 성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보았다. 첫째, 조선과 베트남 공히 성리학은 통치철학으로 도입되었다. 통치세력에게 있어서 성리학은 통치이데올로기로서 왕조의 정치력을 강화하기 위한 이념의 전파와 의례 장악의 수단이었다. 특히 통치세력이 실제로는 유교적 신념을 형성하지 못하면서 단지 수단으로 여겨졌다는 점이 공통적인 정황이었다. 둘째, 베트남과 조선의 경우 모두 조정의 정치적 의도에 의한 문화 수용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처음에는 문화양식으로서의 예로만 주목되었다는 점이 공통점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양자 사이의 차이를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의 경우에는 성리학은 예의 측면에서 일상공간에서 문화적 신념과 양식으로 구체화되었던 반면, 베트남의 경우에 성리학은 향촌의 유력한 기존 지도자들이 전통 관습들을 고수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였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잘 받아들여지지 못하였다. 베트남에서 예의 성리학적 개념은 잘 인지되지 못하여 형식적인 수준에서 이해되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강한 전통관념과 불교사상은 성리학을 베트남 사회가 받아드리는데 큰 장애가 되었다. 셋째, 조선과 베트남은 모두 고대의 공맹(孔孟)의 유학이 일찍부터 전래되었고, 그 후 통치세력의 필요에 의하여 성리학적 통치이념이 도입되었다. 이후, 성리학적 통치이념은 양국 통치세력들의 정치적 이해관계를 위해 적극적으로 채택되었다. 이러한 공통의 역사적 도입과정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성리학은 이전부터 유학의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토대를 형성해온 반면, 베트남의 경우 전통적 유학이 베트남 고유의 강한 전통과 관습의 벽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이러한 도입 초기의 차이는 양국 간 성리학적 특성의 차이로 이어졌다. 넷째, 조선과 베트남에서 모두 성리학 사상은 불교사상을 견제해야 하는 과제를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상이한 전통과 관습은 그 과제의 상이한 결과를 야기하였다. 조선의 경우에 성리학이 통치철학과 도덕규범의 강력한 정치사회적 이론으로 성립하는 동안 불교는 점차 종교적 역할의 수준에 머물게 되었다. 그러나, 베트남의 경우, 사찰이 출세간의 신성한 영역뿐만 아니라, 조정 관료들의 정치활동 공간 기능을 했던 예처럼, 이미 불교가 입세적 성격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현실주의적 사회가치인 유학이 새롭게 차지할 수 있는 이념적이고 사회적인 공간이 남아있지 않았다. 오히려 베트남 사회에서는 유학의 가족윤리와 예(禮) 사상보다 불교의 자비의 윤리가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This paper studies th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neo-Confucianism between Vietnam and Chosun by analyz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s of the ideological formation of those two different forms of the neo-Confucianism. With this academic work, this paper concludes in four terms. Firstly, in both Vietnam and Chosun, the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as a ruling philosophy. For the ruling groups in both countries, the neo-Confucianism was regarded as an effective ideological and ethical means to consolidate the its domination power over the country. The ruling groups in both countries only dealt with the neo-Confucianism as an ideological means for political aims while failing to establish it as a form of religious belief. Secondly, in both countries, the neo-Confucianism was adopted as 'courtesy(禮)', a Confucian culture pattern to dominate people by the ruling group in its initial time. This led to make some differences in the neo-Confucianism between Vietnam and Chosun, however. Whereas the neo-Confucianism was materialized as a form of cultural belief and mode in the Chosun society, the Vietnamese one was hardly accommodated in its society for leaders in its local communities strongly held fast to their traditional values and customs. In addition, the neo-Confucian notion of courtesy was not clearly conceptualized, but its form was only considered in the Vietnamese intellectual field. In particular, the relatively powerful traditional values and Buddhism functioned as a heavy obstacles for the neo-Confucianism to permeate into the Vietnam society. Thirdly, the traditional Confucianism was introduced into both Vietnam and Chosun in their early history. Afterwards, the neo-Confucian ruling ideology was imported by the ruling groups for their political interests in both countries. Despite their common historical background, the Chosun Confucianism had its own pre-constitu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while the social base of the Vietnam one was significantly weaker than the social influence of its tradition and customs. This initial difference resulted in each country's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eo-Confucianism. Lastly, the neo-Confucianism in both countries was given a fundamental task to check the traditional Buddhism. However, different traditions and customs resulted in different effects. In Chosun, while the neo-Confucianism developed as a powerful politico-social theory of the ruling philosophy and the moral criteria, the general role and effects of the Buddhism was limited within a religious level. Unlike Chosun, there was very little ideological or social space left for the newly introduced neo-Confucianism, which was very realistic, because the Vietnam Buddhism had a wordly success-oriented tendency in Vietnam. For example, a Vietnam Buddhist temple was functioning not only as a sacred area of Buddhism, but also an actual sphere for the political elite's negotiations. Rather, in the Vietnamese society, the Buddhist moral idea of benevolence was more popular and acceptable than the Confucian family ethics and thought of courtesy.

      • KCI등재

        안향(安珦)의 성리학(性理學) 전파(傳播)와 조선성리학(朝鮮性理學)의 정향(定向)

        손흥철 ( Son Heung Chul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1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성리학을 고려에 전파한 회헌(晦軒) 안향(安珦. 1243∼1306)의 업적과 조선성리학에 끼친 학문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안향은 원(元)의 연경(燕京)에 갔을 때 성리학(性理學)에 심취하였고, 직접 주자서(朱子書)를 가지고 돌아와 성리학 연구와 교육에 열중하였다. 그 후 주자 성리학은 조선의 건국이념이 될 정도로 학문적, 역사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이에 회헌은 “동방주자(東方朱子)”로 칭송된다. 그러나 현재 그가 남긴 학문적 자료가 매우 적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그동안의 연구를 토대로 회헌의 시대인식과 성리학의 도입 과정을 비교 검토하고, 현재 전하는 자료를 통하여 회헌의 학문정신을 재조명하였다. 그리고 중국에서 성리학의 확산과정과 원나라에서의 성리학연구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회헌의 학문정신과 교육관을 연구하였다. 회헌은 교육이 국가를 바로세우는 가장 중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하였다. 끝으로 회헌이 전파한 성리학이 조선의 건국이념이 되었고, 회헌의 성리학으로부터 조선성리학의 발전과정이 이미 준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회헌으로부터 서원(書院)의 문화가 시작되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회헌의 시대정신과 그의 학문 진흥의 정신이 21세기 오늘의 시대에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안향의 교육관을 통하여 국가와 백성의 정신적 문화적 발전을 위해 학자와 교육자의 헌신적 자세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I studied the works of Hoeheon(晦軒) Anhyang(安珦. 1943-1306), who spread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to Goryeo(高麗), and the academic effects on Joseon‘s Neo-confucianism. When he went to the Yanjing(燕京) of Won(元) Dynasty, he became absorbed in Neo-confucianism and returned to Goryeo Dynasty with a book written by Zhuxi(朱熹), and he was absorbed in the study and education of Neo-confucianism. After that Neo-confucianism was then given academ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o the extent that it became the founding ideology of Joseon. Hoerheon is praised as “The eastern Zhuzi(朱子)”. But now, he has very little academic data.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s the introduction of Hoeheon's era perception and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reinvents Hoeheon's academic spirit through the current materials. In China, we studied the spread of Neo-confucianism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ism studies in the Won(元) Dynasty. Next, I studied the academic spirit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of Hoeheon. Hoerheon stressed that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project to establish a country correctly.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Neo-confucianism, which was introduced by Hoeheon, became the founding ideology of Joseon, and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Joseon Neo-confucianism was already prepared from Hoeheon's Neo-confucianism. It also confirmed that the culture of Seowon(書院) started from Hoehe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spirit of the era and the spirit of his academic advancement were also necessary in today's 21st century. Through Anhyang's educational offic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dicated attitude of scholars and educators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spiritual and cultural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 다산, 성리학과 탈성리학 사이에서

        김원명(Won-myoung KIM),서세영(Se-young SEO)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1 철학과 문화 Vol.22 No.-

        본 연구는 다산(茶山, 1762-1836)의『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에 나타난 유학(儒學)의 연속과 불연속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진 유학과 성리학의 천(天)과 명(命) 그리고 성(性) 개념의 비교를 통해 성리학의 특징을 제시하고, 다산의 학문이 이러한 성리학의 특징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밝힐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다산이 성리학과 탈성리학의 사이에서 어떻게 유학의 연속과 불연속적 특징이 드러나는지 밝힐 것이다. In this paper, we shall argue that within Dasan(茶山)'s philosophy there are both Neo-Confucian elements and what might be called the ‘post’ Neo-Confucian elements. First, we begin with an account of Neo-Confucianism, focusing o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requirements of Neo-Confucianism shall become clearer as the Neo-Confucianists' understanding of Tian(天) and Xing(性) is compared to the Confucianists'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m. We then illustrate how Dasan accepts the Neo-Confucianist's requirements (while rejecting some of them). Second, we shall show that Dasan rejects some of the Neo-Concianists' requirements. His rejecting is to be found within his explanation of Xing(性) and Ren(仁). Ren(仁), the Confucian moral principle, is equivalent to TianLi(天理) and also to XingLi(性理) according to the Neo-Confucianist. While Xing(性) is accepted as the universal principle by the Neo-Confucianists, Dasan interprets it as one's love towards one's own counterparts. He treats Daoxin(道心) to be the ground for Ren to be actualized. Hence, as we shall argue, while Dasan's philosophy is typically treated as a post Neo-Confucianism, it still falls within Neo-Confucianism. This is so especially when his studies are motivated by the Neo-Confucianists' concerns.

      • KCI등재

        성리학(性理學)의 예술적(藝術的) 표현(表現)에 관(關)한 연구(硏究) : 송대(宋代) 산수서(山水書)를 중심(中心)으로

        李在娟 ( Rhie Jaeyeon ) 한국유교학회 201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0 No.-

        본고에서는 宋代 山水畵 제작의 사상적 근거가 된 性理學의 미학적 고찰을 통해 성리학 사상이 예술적으로 어떻게 표현 · 발전되어 왔는가를 밝힘으로써, 미학적 측면에서 性理學의 영향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논하고자 한다. 또한 이 시기에 그려진 산수화의 표현 및 양식 발전 과정이 儒 · 佛 · 道 전통의 조화로부터 발생한 성리학 사상을 반영하여 어떠한 독특한 미감을 형성하게 되었는지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다수의 송대 산수화 작품들은 궁정화가는 물론 성리학적 소양을 갖춘 지식인이자 동시에 화가인 문인들에 의해 그려졌기 때문에, 이들 작품이 표현하는 예술성에 관한 연구는 당시 화가들의 사상과 철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 성리학의 출현은 중국 역사상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또한 그 영향도 지대하였다. 성리학자들은 유가의 절대적인 영향 하에 성립된 사상가였고, 그 중 일부는 저명한 화가이기도 하였다. 또한 송대 전후 400여 년간을 통해 중국 산수화는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여기에는 ‘양식’의 변혁이라는 중요한 발전도 포함된다. 그리고 이 시기 산수화의 주제 중 하나는 화가의 인격 반영으로, 이는 성리학자들의 ‘인격수양’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시대의 회화 작품에는 어떠한 형태로든 성리학적 이념이 반영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 결과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1장의 머리말에 이어 2장에서 성리학의 철학적 의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송대 산수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성리학의 기본 개념을 ‘理’와 ‘氣’를 중심으로 개관하였다. 이어 3장에서는, 우선 송대를 중심으로 한 중국 산수화의 발전 과정을 소개한 후, 이들 작품에 반영된 ‘氣韻生動’ · ‘餘白’ · ‘意境’이라는 세 가지 미학적 특징요소들을 성리학과 연관지어 검토해 봄으로써 성리학의 예술적 표현에 관한 의의를 추구해 보았다. 이로부터 송대 산수화는 성리학적 수양에 기초한 작가의 내면세계를 작품에 반영하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 of the Neo-Confucianism on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and points out the significance of the Neo-Confucian aesthetics. For this purpose, the author reviewed some general concepts of the Neo-Confucianism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Song Dynasty, firstly. Secondl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and the artistic transformation of the Neo-Confucianism are considere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introduced by the type classification of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In the third, the style of expression in the landscape paintings producted in this period and its process of development are investigated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o-Confucianism and the preceeded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derived from the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is surveyed. Finally, the author tries to find out the unique aesthetic sense of the Neo-Confucianism reflected on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As many of the paintings of Song Dynasty were drawn by the artists who were the painters and the Confucians, the study on the artistic ideas expressed in their works provide us the background thoughts of the philosophers themselves in those days. So it is pursued to investigate how the artistic idea of Neo-Confucianism is expressed on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in this paper . Throughout the Song Dynasty continued about 400 years, the field of Chinese landscape paintings had been developed greatly, including important revolution of ‘Style’ in their expression technique. And, one of the main theme of landscape painting in this period is the reflection of the painter's personality who were also a Neo-Confucianists. So the paintings were drawn to reveal the ideal of Neo-Confucianism. But until now, inspite of these importance, there are few reaserchers attention about this subject. All of these things are the reason why I attempt investigate this theme.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Temperament Vividness, the Margin and the Yijing are the three major factors which characterize the landscape paintings of Song Dynasty.

      • KCI등재

        16세기 중엽 順天府使 李楨의 성리학 진흥

        변동명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5 南道文化硏究 Vol.0 No.28

        龜巖 李楨(1512~1571)은 16세기 조선 성리학의 성장에 크게 이바지한 인물이었다. 그는 늘 외관 부임을 자청하였다. 그리고 지방에 나가서는 서원을 창건하고 성리학 서적을 간행하는 등 성리학을 진흥하고자 애를 썼다. 순천부사는 그가 재임한 최종 관직이었다. 더불어 당시 그는 50대 전반기로서 그 학문이나 경륜의 면에서 무르익은 경지에 접어든 인생의 원숙기였다. 이정의 생애에서 순천부사 시절이 각별함을 이해할 수가 있거니와, 그리하여 순천부사 시절의 활동을 더듬어 오랜 外官 守令으로서의 치적을 되새기며, 더욱이 성리학 진흥에 열성을 기울인 의미를 순천 지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헤아리는 게 이 글의 목표이다. 순천에 부임한 이정은 玉川書院을 건립하여 士林의 구심으로 삼았으며, 『景賢錄』과 『性理遺編』을 찬집해서 印刊하는 등 모두 6종의 성리학 관련 서적을 출간하였다. 그와 같은 활동에는 魚得江·宋麟壽와 周世鵬, 특히 李滉의 영향이 지대하였다. 아울러 奇大升을 비롯하여 昇平四隱과 같은 향중 士類의 적극적인 호응과 참여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李楨은 훈척 위주의 중앙정치에 비판적이었다. 그가 외관을 자청하여 즐겨 지방으로 나간 것은, 그러한 중앙과 거리를 두려는 의도에서였다. 그리하여 수령으로 부임한 고을에서마다 성리학 진흥에 열과 성을 다함으로써, 훈척정치를 점진적으로 극복하여 도학정치가 구현되는 이상사회로 나아가고자 노력하였다. 말하자면 李楨이 서원을 창건하고 서적을 편찬 간행하며 성리학 진흥에 나선 데에는, 훈척이 발호하는 중앙정치를 비판하는 의미가 담겨 있었던 셈이다. 순천에서도 또한 그러하기는 매한가지였다. 나아가 그의 학문과 경륜이 한층 빛을 발하는 만년의 원숙기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한층 각별하였다. 이정이 옥천서원을 건립하고 성리학 서적을 편찬 간행하여 보급하는 사이, 순천지역에서는 차츰 성리학적인 질서가 자리를 잡아갔다. 순천사림의 성장과 같은 게 그러한 징표였다. 김굉필의 감화 속에 태동기를 보낸 순천의 사림은, 이정의 성리학 진흥을 하나의 계기로 삼아 구래의 사족을 극복 흡수하며 성장을 거듭하였다. 그리하여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마침내 지역사회를 이끄는 핵심으로 자리를 잡기에 이르렀다. 성리학적인 질서를 정착시켜 도학정치가 실현될 토대를 구축하고자 애쓰던 순천부사 이정의 노력이, 순천사림의 성장으로 이어져 그러한 결과를 이룩해낸 것이었다. Yi Jeong (1512~1571) was a person wh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wards growing Neo-Confucianism of Yi Dynasty in the sixteenth century. He volunteered for a local governor. He, as a local governor, made every effort to stimulate the growth of Neo-Confucianism through establishing private academies (seoweon) and publishing books related to Neo-Confucianism. Magistrate of Suncheon County was a final post of his being in government service. Also he was then in the first half of his fifties, a mature age in his study and ability with experience. This article tried to look back upon the trace of Yi Jeong’s work in his time of being Magistrate of Suncheon County. The goal of this article was to find (in relation with the Suncheon community) the meaning of the fact that he paid special attention to stimulate the growth of Neo-Confucianism. Yi Jeong, who arrived in Suncheon County as Magistrate, established Okcheon Academy (Okcheon seoweon) as a center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sarim). He published six kinds of Neo-Confucian books. These efforts were greatly affected by Yi Hwang who was the foremost Korean Confucianist philosopher of his age. In addition,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Neo-Confucian literati like Gi Daeseung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rder to keep awa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ruled by the meritorious elite, Yi Jeong volunteered to be a local governor – the Magistrate of Suncheon County. He made every effort to stimulate the growth of Neo-Confucianism in every place he traveled as Magistrate. He expected that the Joseon society would advance to an ideal society in which the politics under the rule of the meritorious elite would be overcome and moral politics would be realized. While Yi Jeong established Okcheon Academy and published six kinds of Neo-Confucian books, the Neo-Confucian order gradually took its place in Suncheon district. The growth of the Neo-Confucian literati in Suncheon County was a sign. With the stimulation to grow Neo-Confucianism by Yi Jeong, the Neo-Confucian literati in Suncheon County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overcoming and absorbing the traditional yangban literati. Therefore, the Neo-Confucian literati in Suncheon County took an important position leading the Suncheon community while coping with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 KCI등재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성리학 - ‘여성주의적 성리학’은 가능한가? -

        김세서리아 한국유교학회 202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1

        In this paper, I attempt to reexamine Neo-Confucianism, which often produces female-oppressive and male-centered norms, to a neo-Confucian thinking that secures space for women. By rearranging the Neo-Confucian meanings of ‘Overcoming my personal desires and returning to the rite is Ren.(克己復禮爲仁)’ and ‘One can learn to become a sage(聖人可學)’, we seek to newly understand desire, individuality, otherness, rite, and female subject matter of Neo-Confucianism. To do this, I first examine the positions of Confucian scholars of Ming and Qing Dynasty in China who criticize the Neo-Confucian interpretation of ‘Overcoming my personal desires(克己復禮)’. Pointing out the limitations of their interpretive approach, we find feminist meaning embodied in Neo-Confucian interpretation of ‘Overcoming my personal desires(克己復禮)’. In addition, as we examine ‘Sage-Becoming’ from a gender perspective, we observe the meaning of resistance and subversion of women. By doing so, I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Neo-Confucianism in relations to: the otherness inherent in Neo-Confucianism, the Productivity of rite related to subject formation, and the dual nature of neo-Confucianism through which it produces a point of resistance. In particular, we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eo-Confucianism and feminism by focusing on the process in which neo-Confucian norms and gender norms produce a hybrid subject of women-sage, its meaning and effect. 이 논문에서는 흔히 여성억압적이고 남성중심적인 규범을 산출하는 이론 근거로서의 성리학을 넘어서 여성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성리학적 사유를 가로지르는 작업을 시도한다. ‘극기복례위인(克己復禮爲仁)’과 ‘성인가학(聖人可學)’의 성리학적 의미를 재배치하여 성리학의 욕망, 개체성, 타자성, 예, 여성 주체 문제를 새롭게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극기복례에 대한 성리학적 해석을 비판하는 명청대 유학자들의 입장을 고찰하고, 이들 해석 방식이 산출하는 한계를 지적하는 속에서 극기복례에 대한 성리학적 해석에 내재하는 여성주의적 의미를 발견한다. 또한 ‘성인가학(聖人可學)’을 젠더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속에서 여성의 성인-되기가 보여주는 저항과 전복의 의미를 살펴본다. 그리하여 여성과 성리학의 관계를 성리학에 내재하는 타자성의 측면과 주체 형성과 관련한 예의 생산성 문제, 그리고 성리학의 양가성과 그것이 산출하는 저항의 지점을 논의한다. 특히 성리학적 규범과 젠더규범 사이에서 발생되는 양가성이 여성-성인이라는 혼종의 주체를 산출하는 과정과 그것의 의미, 효과에 주목함으로써 성리학과 여성주의의 관계를 재조망 한다.

      • KCI등재

        성리학의 심적 도덕 체계에 대한 두뇌 신경 과학적 접근 -『북계자의(北溪字義)』와 다마지오(Damasio)의 이론을 중심으로-

        吉勳燮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0

        이 글은 추상적 사고에 기초한 성리학의 심적 도덕 체계를 경험 과학을 통해 재해석해 보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러한 시도가 필요한 이유는 과거 성리학을 비롯한 유가 철학의 연구가 지나치게 형이상학적 논의에 치우침으로써 초래한 현실과의 괴리감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대안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성리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줌으로써 성리학 연구의 저변 확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이러한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 먼저 성리학의 주요 개념인 ‘성(性)’, ‘정(情)’, ‘심(心)’ 등을 두뇌 신경과학이 밝힌 심적 개념들과 연관 지어 재해석한 후, 성리학의 심적 도덕 체계를 두뇌 신경과학에서 말하고 있는 심적 절차로 재구성해 보려하였다. 다만 지면의 한계 상 그 연구 범위를 『북계자의』와 현대 뇌 과학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안토니오 다마지오(Antonio Damasio)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성리학에서 말하는 ‘성’은 다마지오가 말하는 ‘정서(Emotion)’와 대응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양자는 모두 ‘선천성’, ‘도덕성의 담지처’, ‘도덕감의 토대’라는 측면에서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성리학에서 말하는 ‘정’은 다마지오가 말하는 ‘느낌(Feeling)’과 대응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양자는 모두 ‘도덕성의 현실태’, ‘불선의 담지처’, ‘도덕성과 도덕적 행위의 연결고리’라는 측면에서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성리학에서 말하는 ‘심’은 다마지오가 말하는 ‘두뇌 신경회로가 만든 심적 표상’과 대응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양자는 모두 ‘몸의 주관자이며 몸과 분리될 수 없는 존재’, ‘의식 활동의 담지처’, ‘도덕의 가능태와 현실태를 모두 소유’라는 측면에서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넷째, ‘천리’→‘성’→‘정’→‘심’으로 이어지는 성리학의 심적 도덕 체계는 ‘감응적 존재자의 생존과 번성을 위한 자동 반응’→‘정서’→‘느낌’→‘두뇌 신경회로의 심적 표상’으로 이어지는 두뇌 신경과학의 심적 절차와 대응할 수 있다. 성리학의 형이상학적 개념들을 경험 과학적 사실로 재해석하려는 시도는, 그 자체로 그 둘 사이의 의미 충돌을 피할 수 없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시도는 추상적 사고에서 구상적 사고로 전환하고 있는 현대 철학의 흐름 속에서 성리학이 지향해야할 바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is essay is an attempt to reinterpret the mental moral system of Neo-Confucianism based on abstract thought through experiential science. The reason for such an attempt is that it presents an alternative to avoiding the divergence from the reality brought about by metaphysical discussion of past studies of Confucian philosophy including the Neo-Confucianism. In addition, by opening a new horizon for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we can expect to expand the base of research on Neo-Confucianism.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article first reinterprets the main concepts of nNeo-Confucianism such as 'Xing(性)', 'Qing(情)' and 'Xin(心)' in relation to the psychological concept revealed by brain neuroscience. After that, I tried to reconstruct the mental moral system of Neo-Confucianism with the mental process which is mentioned in the brain neuroscience. But with a limited amount of papers, I focused on the content of Beixi ziyi and the work of Antonio Damasio, who plays a leading role in current brain science. Through this, I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Xing(性)' in the Neo-Confucianism can be matched with 'emotion' in Damasio's study. The reason is that both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innateness', 'the place containing morality', and 'the foundation of moral sense'. Second, 'Qing(情)' in the Neo-Confucianism can be matched with 'Feeling' in Damasio's stud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both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revealed state of morality', 'the place containing bad(wrong),' and 'the link between morality and moral behavior'. Third, 'Xin(心)' in the Neo-Confucianism can be matched with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Brain Neural Circuit' in Damasio's stud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both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controller of the body and being unable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the place containing consciousness activities', and 'having both the potential state and revealed state of morality'. Fourth, the mental moral system of Neo-Confucianism that leads from 'Tianli(天理)' to 'Xing(性)' to 'Qing(情)' to 'Xin(心)' can be matched with the mental process of neuroscience that leads from 'automatic response for survival and prosperity' to 'emotion' to 'feeling' to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brain neural circuit'. The attempt to interpret the metaphysical concepts of Neo-Confucianism as experiential scientific facts poses a risk of inevitable semantic conflict between the two. Nonetheless, such an attempt would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s one direction of the Neo-Confucianism in the flow of contemporary philosophy that is shifting from abstract thinking to conceptual thinking.

      • KCI등재

        대구권 성리학의 초기 정착 과정에 관한 기초 연구

        임종진(Lim, Jong-ji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2 No.-

        본 논문은 고려 말에서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서 大邱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性理學의 초기 정착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대구권 성리학의 초기 성립 및 전개 양상을 파악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초기대구권 성리학의 사상사적 특징들은 어떠했는가를 분석해 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구권 성리학의 초기 정착 과정에 영향을 끼친 배경적 요인을 시대적 상황[시간], 지리적 조건[공간], 인적여건[인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으며, 역사적 자료가 남아 있는 全伯英, 徐居正, 金宏弼, 楊熙止등에 대해서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초기 대구권 성리학의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 지역에 성리학[주자학]이 도입된 것은 비교적 이른 시기인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대구 지역의 성리학 수용과 전파에는 지역의 특정 가문들 중심의 家學을 통한 傳受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성리학의 정착 초기 때 대구는 영향력을 발휘하는 지역이라기보다는 주변 지역의 영향을 받는 곳이었다. 넷째, 고려 말의 이른바 절의파와 혁명파, 조선 초중기의 훈구파와 사림파라는 이분법적인 구도 속에서 대구의 인물들은 자신의 신념을 바탕으로 각자 주체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특징 중에는 한국성리학 전체에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을 가진 것도 있고, 대구만의 특수성을 가진 것도 있다. 그럼에도 대구라는 지역 이름을 붙인 것은, 이를 통해서 한국 성리학과 대구 성리학이 공유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드러내어 대구 성리학의 존재감을 확보하려는 의지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This research traces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Neo-Confucianism which had settled in the Daegu area from the late Koryo period to the early Choson period. It also aims to clarify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Daegu area, and to analyz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ough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Daegu Neo-Confucianism. This paper tries to separate the situational factors that had influenced on the early establishment process of Neo-Confucianism into periodical situations(time), geographical conditions(space), and personnel circumstances(human being). Thus I have studied Bakyoung Jun, Geojung Suh, Goengpil Kim, and Heeji Yang of whom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rema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Daegu Neo-Confucianism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esumed that the introduction of Neo-Confucianism into Daegu area had been relatively very early. Second, it seems that the adop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Neo-Confucianism in Daegu area had been made through the process of instruction by way of family academy. Third, Daegu at the time of the early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ism was not an influencing area but an area conditioned and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areas. Fourth, in the dichotomy of fidelity faction and revolution faction of the late Koryo period, and in the dualistic structure of Hoongu(central government centered) faction and Sarim(local academy) faction, the scholars of Daegu had made subjective choices according to the conviction of each of them. Among the characteristics, some are universalistic to the extent that they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Neo-Confucianism, but other have 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pplied only to the uniqueness of Daegu area. In spite of this fact, I name them Daegu Neo-Confucian scholars because I intend to secure the existential meaning of Daegu Neo-Confucianism by way of revealing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 of Korean Neo-Confucianism and Daegu Neo-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