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ictional Narratives Assessment: Social Validation Study

        윤환희(Hwan-Hee Yoon),김효선(Hyo Seon Kim),김정미(Jung-M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이 산출한 허구적 이야기에 대한 일반인과 교사 언어재활사의 주관적 평가 기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반인, 교사, 언어재활사에게 아동의 이야기를 듣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좋은 이야기’로 평가 일치가 이루어진 이야기에 대해서 특징을 주관적으로 기술하도록 한 뒤 피험자 집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좋은 이야기’와 ‘부족한 이야기’의 C-unit 수와 이야기문법 점수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피험자들에게 이야기 평가에 있어서 5가지 범주 20개 항목에 대하여 중요도를 7점 척도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의 이야기의 50%에 대해서 ‘좋은 이야기’와 ‘부족한 이야기’로 평가가 일치하였다. 둘째, 피험자들은 평가 기준에 대해 통일성, 이야기문법 구조, 창의력과 상상력 및 말 관련 요소 순으로 기술하였다. 셋째, ‘좋은 이야기’는 ‘부족한 이야기’에 비하여 C-unit의 수가 많고 이야기문법 점수가 높았다. 넷째, 피험자는 연구자가 제시한 이야기 5가지 평가항목 중에서 이야기문법 범주 항목의 중요도를 가장 높게 평가하고 구문을 낮게 평정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일반인 교사 언어재활사 모두 이야기를 평가할 때 텍스트 수준에서의 이야기 내용과 형식이 갖추어진 이야기를 ‘좋은 이야기’로 평가하였다. 일반인과 교사의 이야기 평가 기준은 대체로 일치하였으며 통일성, 이야기문법과 관련된 요소 이외에도 이야기의 창의력과 상상력에 대한 평가도 중요하게 간주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social validation of narrative assessment. Methods: A total of 60 laypersons, teachers, and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s) used interval scaling to rate the quality of narratives produced by 16 third-grade children. They were asked to write their subjective criteria about what contributes to narrative quality evaluation. They also completed a 20-item questionnaire. They assigned a number from a 7-point scale to indicate the extent to which 20 items influenced their quality ratings. The 20 items related to either vocabulary, story grammar, syntax, fluency, or sparkle. ‘Good narratives’ and ‘poor narratives’ were compared on dimensions of the number of C-units and story grammar analysis. Results: Agreement among laypersons, teachers and SLPs was found for a subset of ‘good narratives’ and ‘poor narratives’, which constituted 50% of the total narratives. ‘Good narratives’ have more C-units and story grammar elements than ‘poor narratives’. The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good narrative quality’ fell into 12 categories based on similarity of content. Coherence, story grammar, Creativity & Imagination, and characteristics concerning speech were ranked high by all listener groups. Relative to these aspects, grammar was ranked low. Conclusion: The judgements of the overall narrative quality were related to textual-level dimensions of form and content but had little relation to sentential-level dimensions. Laypersons and teachers generally agreed on the criteria for evaluating narratives. They paid more attention to creativity and imagination than SLPs.

      • KCI등재

        중국 고전서사의 변용 — 온라인 게임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김명구 한국중국소설학회 2022 中國小說論叢 Vol.67 No.-

        This study investigates in depth the organic relationship and feasibility between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and cultural contents based on various characteristics that emerge throughout the process of applying them to cultural contents employing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This study focuses on well-known ‘online game’ content such as ‘MOBA games’, ‘web browser games’, and ‘enhanced reality games’ t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on how to use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as game content. By adopting ancient Chinese narratives that are now deemed to be out of date, such cultural content utilization measurements allow for the examination of numerous ways that can be used to apply it to contemporary forms of cultural content.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can be portrayed more realistically by incorporating them into modern online games. In addition, by leveraging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that contain stories that have gathered over the course of a lengthy history, it is possible to build online games with a wide variety of topics and styles that span both ancient and modern tim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story, Chinese classic narrative-based games can be rich in content and themes. This way of creatively and practically applying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to cultural content enables researchers to broaden the scope of their studies to include narrative studies in many genres, areas, forms, and types, in addition to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In addition, through this process, it can serve as a key aspect in comprehending the complex meanings and contents suggested in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If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are incorporated or linked to cultural content in a variety of ways, it is believed that a variety of educational impacts can be produced in addition to the promotion of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본 연구는 중국의 고전서사를 활용하여 문화콘텐츠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특징을 기반으로 중국 고전서사와 문화콘텐츠의 유기적 연계성과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다. 본문에서는 ‘MOBA 게임’, ‘웹 브라우저 게임’, ‘증강현실 게임’ 등 널리 알려진 ‘온라인 게임’ 콘텐츠를 중심으로 중국 고전서사를 어떻게 게임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문화콘텐츠 운용 방안을 통해 ‘과거의 것’으로 여겨지는 중국 고전서사를 활용하여 현대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우리는 중국 고전의 서사를 현대의 온라인 게임 속에 운용함으로써 중국의 고전서사를 보다 실감 나게 구현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오랜 역사를 거쳐 축적된 스토리성을 지닌 중국 고전서사를 통해 고전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서사의 내용과 유형을 살펴볼 수 있고, 스토리 전개 과정에서 나타나는 풍부한 내용과 주제를 폭넓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은 우리가 중국의 고전서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와 지역, 형식과 유형에서의 서사 연구로 확장할 수 있으며, 그 속에 내포된 복잡한 의미와 내용을 더 깊이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처럼 중국 고전서사를 여러 방식으로 문화콘텐츠에 접목하거나 연계한다면 중국 고전서사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증진하면서 더불어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 서사의 비판적 검토와 전망

        임기환 역사교육학회 2022 역사교육논집 Vol.80 No.-

        History education is usually conducted through history textbooks, and the history narrative in history textbooks is the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history curriculum, the types of historical narrative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①Narrative as a context of change, ②Nrrative as causality, ③Narrative a synthesis of individual facts [phenomena], ④Narrative as interpretation or mode of thought. Also, based on the hierarchy of historical narratives, they were classified into Macro Narratives, Meso Narratives, and Micro Narratives. Based on the latter three types, among the historical narratives of historical Korean history textbooks, as examples of macroscopic narratives, Nation narratives, Nationalist narratives, and Internal Development Narratives were selected. These Macro Narratives were mainly the ones that were criticized. In this study, apart from seeking alternatives such as reconstruction of macro narratives such as national and national narratives, macro narratives were deconstructed in a transitional situation and a history textbook composition was proposed focusing on micro narratives and intermediate narratives. It is to dismantle the form of history outlines taken by historical Korean history textbooks.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sequence of history textbooks leading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e secured in the form of reconstructing the four types of historical narratives that I have classified.

      • KCI등재

        기쁨의 신학적 서사에 대한 소고

        박형국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7 신학과 사회 Vol.31 No.4

        This article is an investigation into a theology of joy and the renewal of Christian narrative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eclipse of joy in the contemporary world. Posing the questions of where one can find the locus of the root of the faith of joy and how one can cultivate joy, which is a cornerstone of Christian faith, the author argues to ground theologically the faith of joy into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narrative. Biblical narratives may be regarded as the matrix to understand Christian joy. The author attempts to explicate the nature of the joy of the earliest Christian community displayed in the narratives of the Resurrection, the Pentecost, and the new-creation to reflect the theology of joy,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biblical narratives. In addition, the author examines theological reflections on joy suggested in three paradigmatic contemporary theological narratives. It is never desirable for the future of life to reduce a grand narrative of life to scientific-technological narratives. Therefore, contemporary Christian theologies might have to enhance an imagination to create more relevant theological narratives, thereby to develop the height, depth, and width of their ontological meanings without losing the vitality of life which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narrative deliver. Furthermore, contemporary Christians should bear witness to and practice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by creating Christian narratives in terms of conversing with variegated contemporary secular narratives. 필자는 본 연구에서 기쁨을 상실한 오늘날의 지구촌 현실을 배경으로 삼고 기쁨의 신학과 기독교 서사의 갱신에 대해 고찰한다. 기독교 신앙의 초석이라 할 수 있는 기쁨의 신앙적 뿌리를 어디에서 발견하고 또 어떻게 기쁨을 배양해야 할지를 질문하면서, 필자는 기쁨의 신앙과 신학의 근거를 성서와 신학의 핵심적인 서사들에 정초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성서의 서사들은 그리스도인의 기쁨을 이해하기 위한 심오한 모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기쁨의 신학에 대해 숙고하기 위해서 성서의 서사들에 주목하면서도 특별히 신약성서의 부활절, 오순절, 그리고 바울의 새 창조 서사에 나타나는 초기 그리스도인 공동체들의 기쁨의 성격을 해명한다. 아울러 성서의 서사를 모체로 하고 신학적인 해석을 통해 발전시킨 현대의 세 가지의 신학적 서사들을 범례로 선택하여 그 가운데 기쁨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생명의 대서사를 과학의 담론으로 축소하는 것은 생명의 미래를 위해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오늘날 기독교 신학자들은 성서의 서사들과 후대의 신학의 서사들이 담아내는 기쁨의 생명력을 잃지 않고 그 서사들의 존재론적 의미의 높이와 깊이와 너비를 계승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보다 적실한 신학적 서사를 위한 상상력을 키워야 할 것이다. 나아가 오늘날의 맥락을 수놓고 있는 다양한 서사들과 대화하면서 창의적인 신앙의 서사를 창출하여 하나님께서 온 창조세계를 다스린다는 복음을 힘차게 증언할 뿐만 아니라 삶 속에서 실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만화의 비(非)서사성 연구

        안소라(Ahn, So Ra),이원석(Lee, won soek)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36

        그림과 더불어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 것은 이야기이다. 문학, 영화, 연극 등 시간의 흐름을 다룬 예술의 경우 서사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장르는 없다. 만화 또한 그러하다. 만화는 짧게는 한 칸짜리 카툰에서부터 길게는 수십 편에 이르는 장편만화까지 그림으로 서사를 진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화에서 서사를 다루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어쩌면 문학이라는 장르에서 이미 연구되어진 바가 있기 때문에 소홀히 다루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같은 시각적 이미지를 가지고 서사를 풀어가는 영화는 영화서사에 대하여 심도 있는 고찰을 하고, 그것을 또다시 실험적으로 변형, 확대하여 그 층위가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면 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하다. 따라서 부족하나마 만화의 서사적 접근을 시도해 보려고 한다. 이 연구논문에서 다루게 될 서사는 비(非)서사 이다. 서사를 다루는 연구논문에서 비서사를 다룬다는 것이 아이러니 해 보일 수도 있겠지만 비서사 없이는 서사물이 존재할 수가 없다. 서사물 안에서 비서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서사를 구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Ⅱ장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문학이론 즉 서사이론에서 서사와 비서사에 대하여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토대로 Ⅲ장은 김한조의 『기억의 촉감』속에서 나타나는 비서사의 양식들을 분석하면서 만화의 비서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 볼 것이며, Ⅳ장은 제시했던 연구들에 대하여 정리하고 마무리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사는 만화에서 빠질 수 없는 구성요소이므로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져야 될 것이다. 이 연구논문이 만화의 서사에 대하여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초석이 되길 바란다. Stories have existed with the history of mankind along with drawings. Any genre of art that discusses the flow of time, such as literature, film, and play, cannot be free from narratives. The comics are not an exception. The comics tell the narratives with drawings from the cartoons in single blocks to the full-length series in tens of volumes. Nevertheless,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discuss the narratives in the comics. They may have been overlooked because they have been studied in the field of literature. However, I am envious of the field of film, which unravels the narratives with the same visual images, profoundly explores its own narratives and experimentally modifies and expands them into various levels. Therefore, I would like to make a narrative approach to the comics in this study. This study will discuss the non-narratives. It may sound ironic that the study of narratives will discuss the non-narratives, but the narratives cannot exist without the non-narratives. The non-narratives in the narratives compose the narratives in various ways. Therefore, Chapter Ⅱ will discuss how the theory of narratives in literature classifies the narratives and the non-narrativ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n, Chapter Ⅲ will analyze the forms of non-narratives in Han Jo Kim"s 『The Texture of Memory』 to discuss how the non-narratives of comics are composed, while Chapter Ⅳ will summarize the preceding studies. Finally, the narratives should be actively studied as it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comics. I hope that this study can lay the foundation for more in-depth discussions of the narratives in the comics.

      • 승려와 수도사설화의 비교 연구

        루타나도미닉(Rutana, Dominik)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인간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승려설화와 폴란드 수도사설화의 비교를 통해 동서양의 종교문화에 관한 이해의 지평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다. 승려설화는 불교를 배경으로, 수도사 설화는 가톨릭을 배경으로 각각 생겨났다. 종교는 당대의 사회적・윤리적 의식세계를 대변하나 종교설화는 결코 그 종교가 갖는 교리를 바탕으로 이야기되는 것이 아니다. 설화의 내용은 각 종교가 그 시대의 민중에게 어떤 모습으로 비춰졌느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을 유형화하고 비교 분석하는 일은 그 시대의 종교와 사회의 관계를 밝히는 일이기도 하다. 우리는 설화를 통해 승려와 수도사들의 모습을 긍정적인 모습과 부정적인 모습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들이 가진 신이한 능력과 구제의 행위를 묘사한 이야기를 통해 긍정적인 모습을, 그들의 타락한 행위와 어리석음을 희화화한 이야기를 통해 부정적인 모습으로 각각 유형화 할 수 있다. 긍정적인 설화들은 정의를 지향하고자 하는 인간의 염원이 투사된 이야기들이고, 부정적인 설화들은 인간이 가진 도덕적 가치가 어디까지 유지될 수 있는지에 대한 윤리적 한계의 투사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두 설화의 유사성이라고 한다면, 지리적・문화적 상이성은 설화의 내용 형성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는 셈이다. 설화 속의 승려와 수도사의 모습은 주로 민중들의 종교에 대한 의식과 초월적인 것에 대한 기대를 바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설화의 모티프가 다양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변인은 폴란드 가톨릭의 오랜 유일신교적 전통 혹은 종교적 절대주의, 한국 불교의 오랜 포용주의적 전통 혹은 다종교 공존을 지향하는 관용주의로 말미암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Korean monk and Polish friar narratives and foster a deeper understanding of Eastern and Western religious culture by means of this comparison. Monk narratives were formed against a background of Buddhism, while friar narratives were formed against a background of Catholicism. Religion reflects the system of social and ethical consciousness of each era. However, religious narratives are not composed against a background of the doctrine of each religion. The content of the narratives, regardless of whether it is positive or negative, is based on the way the religion is perceived by the masses in each historical period. Therefore, by a typological proces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narratives, the correlation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in each historical period may be clearly revealed. Throughout these narratives, the image of the monk and friar can be classified as being either positive or negative. Narratives in which monks or friars are depicted as people who possess mysterious divine powers and stories which depict their acts of helping others demonstrate their positive aspects, while stories which show their depravation and caricatures in which their stupidity is depicted demonstrate their negative aspects. Ultimately, the positive narratives are stories tracing human desires, while the negative narratives trace the ethical limits of how long a human being can preserve his moral values. If it can be said that these two points are similar for both Korean and Polish narratives, consideration must be made that geographical and cultural features have little impact on the content of the narratives. It is because of the image of monks and friars,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is based on the people"s expectations towards religion, especially on people"s faith in the efficacy of religious miracles. It can only be said that the various differences in the narrative motifs are caused by variable origins - Polish Catholicism"s long monotheistic tradition or religious absolutism, and Korean Buddhism"s long tradition of embracing other religions or orientation towards multi-religious coexistence and tolerance.

      • KCI등재

        조선후기 속리산 유산기에 나타난 유람의 양상과 의미

        김미란(Kim, mi-ra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29 No.-

        본고는 지금까지 확보된 20편의 속리산 유산기를 대상으로 여기에 나타난 조선후기 속리산 유람의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 살피고자 하였다. 속리산 유산기는 17세기에 비로서 등장하는데 이는 조선전기와 중기에 걸쳐 유산기에 영향을 미친 영남지역 사림들과는 달리 일반사대부들의 경우 유산을 기록하는데 있어서 소홀했던 성향 때문으로 판단된다. 17세기 속리산 유산기는 총 5편으로, 이 가운데 4편이 유산록의 체제로 기록되어 기존의 유람기록의 한 부류였던 유산기의 체제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다. 이 또한 조선중기까지 이어진 영남지역 사림들의 영향으로, 당시 유산기의 많은 양이 김종직의 「두류기행록」을 전범으로 한 유산록의 체제[동기-실행-총평의 3단계 구성]로 기록되었기 때문이다. 유람의 동기는 속리산이 승경으로 이름이 났기 때문이며, 더욱이 절경인 금강산에 버금가는 ‘소금강’이기 때문에가 가장 많았다. 유람의 계기는 거주지인접이나 근무지인접, 친인척 방문이 주를 이루었으나, 강대연과 같이 단순히 승경만을 위해 유람 길에 오른 경우도 있어서 당시 유람문화가 일반화, 보편화단계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18세기 속리산 유산기는 총 9편으로, 속리산 유산기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람의 동기와 계기, 목적, 서술체계면에서 17세기 속리산 유산기의 양상을 계승하고 있다. 18세기는 시대적인 변화에 힘입어 유람문학에 있어서도 형식적·내용적·문체적 변화가 나타난 시기이다. 그러나 18세기 속리산 유산기에는 이러한 변화의 양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19세기 속리산 유산기도 유람의 동기와 계기, 목적 등에서 이전시대와 별다른 차이점이 보이지 않는다. 다만 서술체계면에서 소품화, 간략화 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기존의 사실적, 객관적 위주의 서술에서 서정적, 주관적 위주의 서술이 강화되었다. 또한 속리산의 방문목적이 기존의 승경유람이나 고적답사에서 벗어나 지역문인들과의 교유의 장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1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속리산을 유람한 유람객들은 시종일관 속리산이 절경인 금강산에 버금가는 ‘소금강’이라는것과 호서제일의 승경이기에 속리산을 방문한다고 하였다. 금강산을 다녀오고 속리산을 방문한 사람들은 속리산의 바위봉우리들과 기암괴석들이 금강산의 만이천봉우리와 닮았다고 하였으며, 다녀오지 못한 사람들은 속리산의 승경에 감탄하며 굳이 천리 길을 나설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또한 속리산에 자리한 법주사, 복천사 등의 주요사찰과 암자는 고려조를 비롯해 조선전기 제왕의 주필처로 유명해지면서 유람객들의 방문과 그에 대한 기록이 끊이지 않았다. 특히 세조의 복천암 순행(巡幸) 기록은 빠지지 않고 등장하였다. 이렇듯 조선후기 속리산유람은 속리산의 빼어난 승경을 찾아 그것을 향유하며, 아울러 그 곳에 깃든 고적의 답사를 통해 문화와 역사의 현장을 직접 확인하는데 그 의미가 있었다고 하겠다. For 20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that have been obtained so f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aspect and meaning of Sokri mountain traveling in late Joseon as shown there.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appeared in the 17th century for the first time, and unlike the Neo‐Confucianists in the Yeongnam region, which influenced travel narratives throughout mid and late Joseon dynasty, in the case of the general Literati, it is judged that they had a neglected tendency to record heritage. There are a total of five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7th century. Of these, four are recorded in the Yusanrok system, which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system of travel narratives. For this as well, due to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ts in the Yeongnam region, which extended to mid Joseon, a large amount of travel narratives at the time were recorded as Yusanrok"s system of "three steps of motive‐execution‐general review" based on Kim Jong‐jik"s "Duryu Travel Record" as a canon. The frequent motive for traveling is that the Sokri mountain was named a place of excellent scenery, and that it was the most popular because it is "Small Geumgang" which is comparable to the superb Geumgang mountain. Occasions of traveling were mainly due to the proximity of residence, proximity to the workplace, and visits to relatives, but like Kang Dae‐yeon, there was a case of stepping on the path of traveling just for excellent scenery, showing that at that time, the traveling culture reached the stage of generalization and universalization. The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8th century are nine comprising the largest of the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and inheriting the aspects of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7th century in terms of motivation, purpose, and narrative system of traveling. In the eighteenth century, due to the changes in the times, there were formal, intellectual, and stylistic changes in the traveling literature. However, these changes did not appear in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8th century. Sokri mountain travel narratives in the 19th century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era in the motive, occasion, and purpose of traveling. But, in terms of narrative systems, the tendency to become smaller and simpler appeared, and lyrically, and subjectively focused narratives were strengthened from existing historical and objective narrative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visit to Sokri mountain was extended away from the existing excellent scenery traveling or ancient landmark exploration to the field of communion with the local literati.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ravelers who traveled to Sokri mountain sai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at they would go there because Sokri mountain is called "Small Geumgang" which is comparable to the superb Geumgang mountain, and because it is the best scenery of Hoseo region. Those who visited Geumgang mountain and visited Sokri mountain said that the rocky peaks and rocks of Sokri mountain resemble the 12,000peaks of Geumgang mountain, and those who had not been there admired the excellent scenery of the Sokri mountain and said that they did not need to make a 1,000 ri (390km) trip there. As the major temples and hermitages such as Beopju temple and Bokcheon temple on Sokri mountain became famous as a temporary station for kings in early Joseon as well as in Goryeo dynasty, the visit of travelers and the record of them were uninterrupted. In particular, the records of Sejo"s Royal Tour (巡幸) to Bokcheonam appear without fail. So, it was meaningful in that Sokri mountain traveling in late Joseon finds and enjoys the excellent scenery of Sokri mountain, directly identifie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ancient landmark.

      • KCI등재

        단주(丹朱) 해원(解寃) 전승(傳承)에 대한 문학치료적 접근

        고남식 ( Ko Nam-sik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6 문학치료연구 Vol.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story of Danju(단주) Haewon(해 원) is to search for the strong point of Danju narratives concerned with Oedipus(오이디푸스) narratives. According to four theme, this study is progressed as the common and distingtion between Danju narratives and Oedipus narratives. First, on the confrontation of father and son of Danju narratives is rational and Oedipus narratives is destiny. If Oedipus is doomed to killing the father, Danju killed Sun(순). The literary therapy is psycological consolation from killing Sun, comparing the killing father in Oedipus narratives. This matter is similarity on Oedipus mothers` self-destruction in Oedipus narratives. Second, Danju narratives advance to Danju Haewoon narratives. Danju Haewoon narratives present a non existing new point on Oedipus narratives. The literary therapy is based on Danju Haewoon narratives. Danju Haewoon narratives proffers recovering to the mass in the great position concerned with psycological settlement.

      • An Exploratory Study on Young Children's Spoken and Written Narratives of Personal Experience

        Young-Ja Lee,Geum-Gu Lee,Han-Na Oh 환태평양유아교육연구학회 2013 Asia-Pacific journal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 Vol.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young children respond when asked to create spoken and written narratives. To examine aspects of 5-year-olds’ spoken and written narratives about their personal experiences, the level of narrative, developmental stage of writing, and use of cohesive devic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wo relationships between the spoken and written narratives. For some children, the same level was found for both spoken and written narratives. But for other children, levels of spoken and written narratives differed. There were more children with a higher level of written narrative compared to spoken narrative than children with a lower level of written narrative compared to spoken narrative. Further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evel of written narratives and developmental stage of writing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 child’s developmental stage of writing could affect the level of 5-year-olds’ written narrativ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5-year-olds’ usage of cohesive devices when relating their personal experiences in their spoken and written narratives. The sum of conjunction and anaphoric references (i.e., cohesive devices) was higher in spoken narrative expressions than in written narrative expressions. In spoken narrative, children expressed de-contextualized language with cohesive devices to give additional explanation, considering the listener who had no knowledge of the event the child was relating. Further research about this aspect is proposed.

      • KCI등재

        질병서사에 나타난 고통의 언어와 증언의 윤리 - 젊은 여성 질병서사를 중심으로

        엄미옥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reproduction patterns of a sick body and language of pain in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and investigate the biomedical discourse 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 forming illness experiences as well as the aspect of ego being reconstructed, ultimately figuring out ethics of narratives as a testimony raised by illness narratives. In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the body in which pain is embodied loses the control ability, perceives time as a horizontal and spatial sense, feels shame, and stigmatizes itself. The narrator, however, monopolizes and accepts his or her illness in his or her own way and incorporates his or her illness experiences into his or her life through writing, thus creating a new ego. In this way, illness becomes a loss no longer and offers an opportunity to realize the vulnerability of human beings that are finite and doomed to perish. Young women's illness narratives testify that genderized medical knowledge and gender-discriminating stereotypes had women get mistaken about their illness or incapable of explaining it. Their illness narratives also wish that the world of illness will be recognized as a unique world and reveal their nature as resistant illness narratives to raise a question about a right to illness. The testimony of illness narratives establishes a bond of sympathy with readers, who in turn notice an ethical practice by functioning as a witness to the testimony. The testimony and ethics of narrative raised by the body of embodied pain will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of narrative competence in medical ethics. 본고는 젊은 여성들의 질병 서사에서 아픈 몸과 고통의 언어가 재현되는 양상을 밝히고 이를 통해 자아가 재구성되는 측면뿐만 아니라, 질병경험을 형성하는 생의학 담론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궁극적으로 질병서사가 제기하는 증언으로서 서사의 윤리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젊은 여성들의 질병서사에서 고통이 체현된 몸은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채 시간을 수평적인 공간적 감각으로 인식하며, 수치심을 느끼고 스스로를 낙인찍는다. 그러나 서술자는 질병을 나름의 방식으로 전유하여 수용하고, 글쓰기를 통해 질병경험을 삶으로 통합시켜 새로운 자아를 창조한다. 이로써 질병이 더 이상 상실이 아니라, 유한함과 필멸이라는 인간존재의 취약성을 깨닫는 계기가 된다. 한편 젊은 여성들의 질병서사는 젠더화된 의학지식과 성차별적 고정관념이 여성들의 질병을 오인하거나 설명할 수 없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증언한다. 그리고 질병세계가 고유하게 인정되길 바라며 질병권을 제기하는 저항적 질병서사로서의 성격을 드러낸다. 질병서사의 증언은 독자와 공감의 유대를 형성하고, 독자는 다시 증언에 대한 목격자로 기능함으로써 윤리적인 실천을 예고한다. 이러한 체현된 고통의 몸이 말하는 증언과 서사의 윤리는 의료윤리의 서사적 역량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