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 프로젝트’ 연극에서의 신화 다시쓰기와 신화의 현재화-"꿈"과 "남산에서 길을 잃다"를 중심으로

        김성희 한국드라마학회 2019 드라마연구 Vol.0 No.59

        이 글은 국립극단의 ‘삼국유사 프로젝트’ 공연작품 중 두 편을 중심으로 신화와의 상호텍스트성과 신화의 재해석 문제, 신화 다시쓰기 방식과 신화의 현재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꿈>의 신화 다시쓰기 방식에서 특징적인 것은 ‘조신의 꿈’을 전복하여 여러 층위의 인물들과 여러 인용문들을 직조하는 파편화 전략을 통해 ‘이광수의 꿈’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조신의 플롯과 이광수의 플롯은 ‘꿈’이란 공통성은 지니지만, 둘의 알레고리적 유비관계보다는 이질성이 두드러진다. 신화와 역사적 삶이 충돌하고, 신화적 세계관이 친일행위를 둘러싼 역사인식과 길항한다. ‘친일’이라는 극히 민감한 이슈가 극의 다층적인 의미구조와 신화적 상징들을 압도해버린 것이다. <남산에서 길을 잃다>는 고대와 현대의 삶을 은유적 오버랩으로 구성하여, 산업화시대 노동자들의 희생과 꿈의 좌절이란 낯익은 서사에 신화적 아우라와 시적 상징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이 극은 과거와 현재가 서로를 참조하고, 현실과 환상이, 연극과 실재가 서로를 응시하게 만드는, 신화와 현대의 대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신화와 동시대 일상이란 서사의 두 층위를 유기적 극행동으로 교직한 게 아니라 독자/관객의 의미 해독의 틀을 규정하는 ‘자막’을 이용하는 도식적 방식으로 연결하고 있다. 신화에서 모티브를 가져와 작품을 쓴다는 것은 단순히 신화를 소재나 발상으로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신화의 의미와 구조, 세계관에 대한 깊이있는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고, 동시대의 맥락에서 새롭게 재해석하고 변주하여 현대에 의미와 가치를 갖는 이야기로 재창조하는 것이다. 신화와 현대의 삶은 그 형상 면에서 엄청난 차이가 있지만 그 본질이나 의미구조 면에선 현대인의 삶도 신화적 세계의 등가물이라는 것을 그려 보일 때 신화의 현재화가 성취된다. 『삼국유사』의 신화 다시쓰기는 우리 사회가 공유하는 집단적 기억과 역사적 경험, 그리고 그 안에 집적되어 있는 문화적 기원과 상징적 표상을 현대적으로 재코드화 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신화의 현재화는 신화를 동시대적 맥락과 관점으로 재해석, 재창조하는 방향을 가리키지만, 이것이 신화의 단순한 수용이나 변용, 그리고 현대적 의상과 언어, 생활상을 입혀 그리거나, 혹은 고대와 현대의 타임 슬립 장치 같은 표층적 차원을 의미하지 않는다. 국립극단의 ‘삼국유사 프로젝트’ 연극들 다수가 비판적 평가를 받았던 이유가 바로 신화의 현재화를 표층적 차원에서 이해하고 구현했기 때문이었다. 신화의 현재화는 고대 배경이든 현대 배경이든 간에 신화의 특성인 상징, 알레고리, 통과제의적 서사구조, 순환성, 원형 등을 서사의 맥락 속에 잠재적으로 담아내어 현대의 일상적 삶에도 여전히 신화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줄 때 성취되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wo plays from the National Theater Company's ‘Samkukyusa(三國遺事) Project’ focusing on the intertextuality with myths, the reinterpretation of myths, the rewriting of myths, and the the presentization of myths. What is special about the myth rewriting of Dream is Lee Kwang-Su's dream scene. It uses a fragmentation strategy that overturns the ‘Josin’s dream’ and weaves figures and quotes from different levels. This dream scene connects myths and history, and uses them as a symbol of the real world and history and as a symbolic model of the main narrative. However, Josin's plot and Lee's plot have the commonality of 'dream', but they are more heterogeneous than the allegorical analogy of the two. Myths and historical life clash, and mythical worldview antagonizes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pro-Japanese activity. The extremely sensitive issue of ‘pro-Japanese’ overwhelmed the multi-layered semantic structures and mythological symbols. Lost in Namsan consists of metaphorical overlaps between ancient and modern life, trying to give the mythical aura and poetic symbolism to the familiar narrative of sacrifice and frustration of dreams of workers in the age of industrial capitalism. This play presents the dialogue of myth and modern age in which the past and the present refer to each other, reality and fantasy, and the play and reality stare at each other. However, in the way of accepting myths, rather than reinventing mythological motifs and main narrative into organic structure, it used a simple way of connecting the narratives with modern narratives through the subtitles describing myth. Taking motifs from a myth and writing a work does not simply use the myth as a material or an idea, but requir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meaning, structure, and worldview of the myth. It is to recreate the story. The presentization of myth goes beyond the simple acceptance or transformation of myths, and includes the mythical symbols, allegory, mythological narrative structure, cyclical worldview, and archetypes in the context of narrative, so that they can be appeared in modern everyday life. It shows that myths still persist. Just as Samkukyusa contains myths, histories and fantasies, history is born from myth, history creates myth, and present life becomes one of myth someday. In other words, the presentization of myth is achieved when the work embodies that modern life is equivalent to the mythical world.

      • KCI등재

        Myth and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eju Myth and Jeju Traditional Houses

        김영주,백유정,이석주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60 No.-

        A Mythology is a story the gods and divines described in the languages a To have their own myth means that they have their own semantics and philosophical concept in order to realize their dream or hope, symbolizing the imagery and event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in mythology. An architecture is human’s creative work to separate the inner space from the outer space and include their lives by constructing a structure to divide nature and even land. The human’s desire is represented well in the house or any structures. Therefore, the space composition of house is not restricted to the physical entity of the house. This thesis not only aims to show how the myth in Jeju island has influenced on the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but to discuss what meaning the myth has in the corelation between the space composition and the myth. Jeju Myth and Jeju traditional houses have many research accomplishments. However, research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myth and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is difficult to find. This is because Myth and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were considered separate subjects. This paper was intended to reveal the real meaning of Myth through the grafts of myth and traditional houses. To that end, This paper was intend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Jeju Myth Munjeon Bonpuree on the formation and space layout of Jeju traditional houses. All the characters in the story of Munjeon Bonpuree are members of the family and eventually become deities and take charge of each area of the house. In that all of the characters in Munjeon Bonpuree have a one-to-one responding position to the spaces of traditional house in Jeju, it is an important resource to read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Jeju traditional house. This is because the Jeju traditional houses based on Jeju myth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understanding Jeju citizens' view of world and religion.

      • KCI등재

        Myth and Architecture -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Jeju Myth and Jeju Traditional Houses

        Kim, Yeongjoo,Peck YooJung,Lee, Seog-Ju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60 No.-

        신화는 언어로 된 구성물로서 신적인 존재에 관한 이야기 또는 성스러운 이야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신화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집단 구성원 공동의 의미체계와 사유의 틀을갖추고 있음을 뜻하며, 미래에 실현해야 할 것들을 등장인물의 형상이나 사건으로 상징화되어있다. 건축은 외부공간과 구분되는 내부를 이루기 위해 만들어놓은 인간의 창작물이다. 자연과구분되고 땅과 구분되는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인간의 삶을 담아내고 있다. 여기에는 인간의희망과 욕망이 깃들여 있다. 주거형태의 구성이 단순히 물리적인 현상에만 국한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신화와 건축이라는 큰 틀에서 제주 신화가 제주전통민가의 공간배치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주신화와 제주건축의 상관성과 관련해서 제주전통민가의 공간배치에 있어 제주신화가 지니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제주신화와 제주민가와 관련한 많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신화와 전통 주거문화의 상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된 연구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이는 신화와 전통주거문화를 별개의 주제로 논의해 왔던 기존의 연구 성과의 한계이므로 이로부터 발생되는 사고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야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해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 성과와 달리 신화와 전통민가의 접목을 통해 신화의 실존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신화인<문전본풀이>를 중심으로 신화의 내력담이 전통민가의 형성과 공간배치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문전본풀이>에 나오는 인물들은 모두 가족 구성원으로서 제주민가의 공간과 일대일의 대응구조를 지닌다는 점에서 제주전통민가가 가진 의미구조를 밝힐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제주전통민가의 형성에 있어 제주신화가 지니는 의미에 대한 논의는 제주도민의 세계관과 종교심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되는 것이다. A Mythology is a story the gods and divines described in the languages a To have their own myth means that they have their own semantics and philosophical concept in order to realize their dream or hope, symbolizing the imagery and event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in mythology. An architecture is human’s creative work to separate the inner space from the outer space and include their lives by constructing a structure to divide nature and even land. The human’s desire is represented well in the house or any structures. Therefore, the space composition of house is not restricted to the physical entity of the house. This thesis not only aims to show how the myth in Jeju island has influenced on the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traditional houses but to discuss what meaning the myth has in the corelation between the space composition and the myth. Jeju Myth and Jeju traditional houses have many research accomplishments. However, research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myth and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is difficult to find. This is because Myth and traditional residential culture were considered separate subjects. This paper was intended to reveal the real meaning of Myth through the grafts of myth and traditional houses. To that end, This paper was intend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Jeju Myth Munjeon Bonpuree on the formation and space layout of Jeju traditional houses. All the characters in the story of Munjeon Bonpuree are members of the family and eventually become deities and take charge of each area of the house. In that all of the characters in Munjeon Bonpuree have a one-to-one responding position to the spaces of traditional house in Jeju, it is an important resource to read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Jeju traditional house. This is because the Jeju traditional houses based on Jeju myth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understanding Jeju citizens' view of world and religion.

      • KCI등재

        특집논문 4 : 신화와 역사: 의미 형성의 두 지층

        임현수 ( Hyun Soo Lim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3 종교문화비평 Vol.24 No.24

        이 글의 목적은 정진홍의 신화론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글은 정진홍의 신화론 중에서 두 가지 주제에 주목한다. 첫째는 신화정의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신화와 역사’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정진홍은 자신의 신화론에서 이 두 가지 주제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본 고는 정진홍의 신화론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그가 두 가지 관점을 통해서 앞의 두 주제들에 접근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고는 이 두 가지 관점을 각각 엘리아데의 길과 해석학의 길이라고 명명하였다. 엘리아데의 길에서 신화는 존재론적인 차원과 연결된다. 신화는 기원의 이야기이며, 삶의 본질과 행동의 규범을 제시한다. ‘신화와 역사’의 관계는 이원화된다. 엘리아데가 그랬던 것처럼 신화는 옹호되는 반면 역사는 비판의 대상이 된다. 해석학의 길에서 신화는 엘리아데의 길을 따르면서 마련했던 정의에서 벗어난다. 해석학의 길에서 신화는 고백의 언어로 정의된다. 신화는 사실에 대한 진술을 꾀하는 인식의 언어가 아니다. 신화는 사실의 잉여인 의미를 지향하는 고백의 언어이다. 여기서 이야기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이야기는 신화를 고백의 언어로 만드는데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해석학의 길에서는 엘리아데의 길에서 제시한 바 있었던 ‘신화와 역사’의 관계도 달라진다. 이 관점에 따르면 역사는 이야기로서 고백의 언어로 규정된다. 해석학의 길에서는 신화와 역사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정진홍은 해석학의 길을 따르면서 신화와 역사의 개념을 해체하고 이 둘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범주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정진홍의 신화론에서 발견된 두 개의 길은 그가 보여준 학문적 관심의 추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정진홍은 초기에는 엘리아데의 길을 따르다 점차 해석학의 길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가 해석학의 길을 따르면서 주장했던 새로운 범주의 탄생을 위하여 어떤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This essay is to analyse Chinhong Chung`s study of myth.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wo subjects in Chung`s study. The first is the definition of myth. The second is the relation of myth and history. Chung shows a special interest in them. It is identified that they have been approached through two perspectives. The two perspectives are named the Eliade`s way and the way of hermeneutics respectively. The Eliade`s way connects the myth with the ontological dimension. The myth is the narrative of origin and provides the essence of life and the norm of behavior. Myth and history are dichotomized on the Eliade`s way. The myth is defended as by M. Eliade while the history is criticised. The definition of myth on the way of hermeneutics is different from it on the Eliade`s way. The myth is defined as the language of confession on the way of hermeneutics. It is not the language of episteme that intends the statement of facts. It is the language of confession that reveals meaning as the surplus of facts. The importance of narrative is raised in this point. The narrative is a crucial agent that forms the myth as the language of confession. The relation of myth and history on the way of hermeneutics is different from it on the Eliade`s way. The history is a narrative on the way of hermeneutics.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the language of confession. The way of hermeneutics results in the bleariness of the borderline between myth and history. Chung insists that two concepts of myth and history should be deconstructed. He puts stress on the necessity of the new category that can cover them. The two perspectives in Chung`s study of myth reflect the change of his academic concern. It is presumed that Chung followed the Eliade`s way in the early days. But he has followed the way of hermeneutics gradually ever since. It is unknown that he prepares any programs for the production of the new category demanded on the way of hermeneutics.

      • KCI등재

        잉카와 한국의 건국신화 비교 연구

        최병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birth myth of Inca and Korea including myth elements such as the concept of sacredness, modes of production, subjects and ideologies of government, visions of the universe, and myth-making in order to clarify the prototypical thinking system of both nations. In Chapter Ⅱ, Incan birth myth was divided by regions of transmission to extract meanings of each myth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s for birth myth found in Cosco, the central Incan region, the meaning of original divinity of kings during the establishment and the following periods, characteristics of mercy and missions the God of Sun was to give to the agricultural Incan group (humans), and subjects and ideologies of governing activities were analyzed. As for birth myth found in eastern and northern areas, the symbolism of rock mountain caves, divinity of the brothers devoted to the place, the meaning of eldest brothers, and governing ideologies aroun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 were analyzed. As for birth myth found in western and southern regions, the identity of de-deified giants and the vision of the universe were explored. Chapter Ⅲ analyzed and summed up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 especially, Gojoseon, Goguryo, and Shilla according to myth elements of each. Chapter Ⅳ explor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comparative analyses of characteristics in birth myth of both nations. Chapter Ⅴ derived the prototypical thinking system of Incans and Koreans found in birth myth, the theme of this paper. 본 연구는 라틴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원형적 문화의식체계를 그들의 신화를 통해서 살펴보고자 하는 일련의 연구기획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본 연구는 잉카와 한국의 건국신화들에 내포된 신화소들을 중심으로 양국 신화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양국의 원형적 사유체계를 밝히는 데 주력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Ⅱ장에서 잉카의 건국신화들을 전승지역에 따라 구분, 각 신화에 내포된 의미들을 추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했다. Ⅲ장에서는 고조선, 고구려, 신라의 건국신화를 중심으로 한국의 건국신화에 나타난 내용과 특성을 각 신화에 나타난 신화소들을 중심으로 분석, 정리했다. Ⅳ장에서는 양국 건국신화의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여 그 유사성과 차별성을 밝혀 보았다. 그리고 이들을 바탕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인 건국신화에 나타난 잉카집단과 한국집단의 원형적 사유체계의 추출을 시도했다.

      • KCI등재

        신화와 예술의 창조

        홍명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3 프랑스어문교육 Vol.44 No.-

        La créativité et l’originalité sont les ressources fondamentales des arts depuis ses apparitions dans l’histoire humaine. Cette ressource des arts se définissait en deux directions opposées: l’une est celle qui se fondait sur le talent inné, l’autre un acquis à travers de l’effort personnel. Mais les résultats créatifs de l’homme ne sont que possibles sur les sédiments de l’histoire humaine. C’est le mythe, le sédiment de l’histoire humaine, qui avait influencé sur la création des arts. Depuis son apparition, le mythe était la ressource des arts par lui-même, et les arts ont nourri et renouvelé le mythe. Pour comprendre la créativité de l’art, donc, il nous faut comprendre d’abord l’inhérence de l’imaginaire mythique. Tous les mythes sont les histoires de la création primitive. L’artiste est un homme qui est attiré dans le champs de création primitive d’où il trouve un espace créatif du monde. Le mythe est une narration sociale qui contient une conscience latente. En ce sens, le mythe est tout d’abord une histoire anonyme errante dans une société. Il est commencé depuis le passé immémoriale et circule, en présent, en tant que histoire acceptée par les membres de société. Le mythe se change et se développe sans fin par sa répétition. Il se diffuse en divers variantes et divers versions selon leurs environnements géographiques et historiques. L’originalité et la créativité se confondent dans ces processus des changements de mythe. Le mythe constitue donc une source vivante, une ressource inépuisable de thèmes et motifs des œuvres artistiques. Mais la plupart du temps une «re-création» ne se limite pas à une simple reprise d’un récit mythique. Elle en assure au contraire une transformation dialectique, qui incorpore même des processus de démythologisation. Le paradoxe de la création est que le mythe ne devient créatif qu’en faisant l’objet d’une démythologisation. Au lieu de n’être qu’un exemple ou qu’un déclic pour l’invention d’une œuvre, le mythe offre une structure universelle, à partir de laquelle peuvent être engendrées toutes sortes d’œuvres. L’artiste ne devient imaginatif, créateur, qu’à partir du moment où l’espace mythique devient un espace de jeu, libère ses possibles, accède à une sorte de désacralisation. L’écriture romanesque peut, à cet égard, être considérée comme l'activité exemplaire, par laquelle le mythe est arraché à sa sacralité originelle, pour se métamorphoser en œuvre ouverte. Elle suspend la répétition sans fin du mythe, et elle le fait entrer dans le corps d’une œuvre définie, dans des signes et dans un texte. Le mythe est un des formes de l’imaginaire créative. Cette créativité fondé sur le caractère métamorphosant du mythe subit le plus grand changement, et renaît en tant que nouveau mythe lorsqu’il rencontre la créativité des arts. 예술작품이 다른 일반적인 유사작품들과 차별성을 보이는 것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독창성에 있다. 예술작품이 가지고 있는 독창성은 우리로 하여금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하고 우리 삶의 새로운 의미를 찾을 수 있게 해준다. 그러한 의미에서 예술은 일종의 문화현상이라 말할 수 있다. 그것은 예술이 일반 문화현상으로 수렴된다는 뜻이 아니라 문화를 기반으로 해서 만들어가는 창조의 결과라는 뜻이다. 인류가 살아오면서 축적해 온 이 문화의 대표적 유산 중의 하나가 바로 신화이다. 신화는 사실 단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 여러 모듈로 구성되어있다. 즉 신화들은 이야기들의 최소 단위인 신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중적이고 민담적인 이야기들 속에서 신화소들은 의미의 전달자로써 그 자체로 살아남으며, 다른 신화소들과 자유롭게 연결되어 전적으로 새로운 이야기들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각각의 신화는 신화소라는 부분들의 단순한 합이 아니다. 신화의 조각들인 신화소들은 스스로 형태가 변형되기도 하고 다른 조각들과의 조합에 의해 또 다른 신화소가 되기도 하면서 새로운 전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부분과 전체는 항상 상호의존적이고 상보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신화의 의미는 서로 다른 신화소들의 조합을 통하여 전체를 관통하는 내적 움직임에 의해 형성된다. 신화가 새로운 의미를 가지기 위해서는 탈신화의 과정을 겪어야 한다는 것은 바로 이런 차원에서이다. 예술 창조의 과정에서 예술가의 의식에 의해 탈신화화된 신화는 이러한 새로운 신화소들로 분해되고, 예술가의 창작의식은 그것들을 자신의 예술의 매체로써 사용하면서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물론 상상력의 힘이다. 예술가의 상상 활동을 통하여 구현되는 새로운 신화의 조합은 일견 개인적인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상상력의 근원이 되는 몽상 자체는 가장 개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 반대라고 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왜냐하면 ‘몽상은 인간을 자신의 우주에 단단히 뿌리박게’ 만들기 때문이다. 몽상가로써의 예술가는 항상 세계와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몽상을 통해 세계를 꿈꾼다. 이때의 세계는 예술가에게 있어서 인식이나 관념의 대상이 아니라 참여의 대상, 즉 창조의 대상이 되는 것이다. 신화를 차용한 예술작품이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은, 그것이 익숙한 이야기의 옷을 입은 것이기 때문이 아니라, 그 신화를 예술적 관점에서 재신화화 해냈기 때문이다. 신화는 스스로 변화하고 진화하는 창조적 상상계의 한 형태이다. 신화의 변동성에 근거하는 이 창조성은 예술의 창조성과 만날 때 더욱 큰 변화를 겪게 되고, 새로운 신화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구비전승의 <三台星>과 <北斗七星> 神話 一考 -무속신화와 건국신화의 상관성 및 신앙의 양상을 중심으로-

        박종성 한국구비문학회 2003 口碑文學硏究 Vol.0 No.16

        About Oral Narrative of <Samtaeseong(三台星)>and <Bukduchilseong(北斗七星)> Myths-Relation between shamanism and national foundation myth and their religious aspects-Park, Jong-Seong(Seoul National University)Approaching studies from oral narrative constellation myths <Samtaeseong(三台星)> and <Bukduseong(北斗七星)>, including also <Jeseok-bonpuri(帝釋본풀이)>and <Chilseong-bonpuri(七星본풀이)> which are showing narrative connections with them, this article studies functional aspects of constellation spirits. In addition, I tried to classify correlational categories of <Samtaeseong(三台星)>-<Jeseok-bonpuri(帝釋본풀이)>-<Jumong myth(朱蒙神話)>, and <Bukduseong(北斗七星)>-<Chilseong-bonpuri(七星본풀이)> -<Sasinchilseong-bonpuri(蛇神七星본풀이)>-<Keumwa myth(金蛙神話)>.From the former category, correlations between <Samtaeseong(삼태성)>and <Jeseok-bonpuri(帝釋본풀이)>, <Samtaeseong(삼태성)>and <Jumong myth(朱蒙神話)> were studied. By analyses that <Jeseok-bonpuri(帝釋본풀이)> has correlation with <Jumong myth(朱蒙神話)>, I could confirm that <Samtaeseong(삼태성)> myth's two aspects are not separated but correlated with shamanism myth and national foundation myths.From the later category, correlations between <Bukduseong(북두칠성)>and <Chilseong-bonpuri(七星본풀이)>, <Sasinchilseong-bonpuri(蛇神七星본풀이)>and <Keumwa myth(金蛙神話)> were studied together with aspects of faith to the Big Dipper. As results of these studies, aspects and signs could be confirmed that myths having relations with Big Dipper are related to shamanism myth and national foundation myths.Though this article is studied on the limited basis of materials, I could see possibilities that Korean constellation myths are related to Korean mythic net.

      • KCI등재

        신화내부 시간범주에 따른 알타이신화 모티프 분류

        양민종(Yang Min-jong) 고조선단군학회 2010 고조선단군학 Vol.22 No.-

        Altaic myth-tales have been regarded by us as a collection of whole bunch of similar fantastic stories which contains Altaic mythological themes and characters. So it is quite natural for us to think that altaic myth-tales does not have a logically successive time structure within myth-talesstory-texts. However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re are certain possible common structures in the various Altaic myth-tales with which we can understand the Altaic myth-tales as a whole Mythology System, like a Chinese Mythology, an Indian Mythology, a Greek Mythology and so on. So the author tries to pin point 3 categories which may restructure the various myth-tales as a successive logical structure, like a Chinese mythology or a Greek mythology. The author suggests the 3 steps of Altaic Myth-tales with a view point of myth-time-logic. The first step is 〈altaic mythology before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The second phase is 〈altaic mythology after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The final stage is 〈an open myth-tales toward the epos-tales〉. Within above 3 categories, the author gives us various altaic myth-tale motifs which justify the author’s theory. If we can admit the authors suggestion as one of perspective ways of studies, it might b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intrinsic structure of altaic myth-t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hopes, can contribute to other myth-tales researchers to think over the possibilities and values of a certain Altaic myth-tales system.

      • KCI등재

        A Study on the Belief System of the Dangun Myth and its Reflection on Korean Christian Faith

        Cho, Jai Kook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5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religious ingredients from the Dangun myth, which has long been the heritage of ancient Koreans to regard it. In particular, I intend to analyze the texts of the Dangun myth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orming ancient culture and society, find out the religious ingredients, and clarify the analogy between the Dangun myth and Christian church in the meaning of deity.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elucidate the mystery concerning the Korean churches as follows: how the Korean Christian church understands the concept of God, or how the Korean Christian church has influence on such a rapid growth of churches in recent years. To achieve this aim, I worked for the following tasks. At first, I analyzed the editorial resources in the texts of the Dangun myth and their meanings in perspective of religions. The Dangun myth has been handed down by the Korean people’s remembrance and narratives so that it has influenced the religious beliefs of them in history. Thus, as I analyze the Dangun myth, I could seek the structural characters and religious meanings for the Gochosun people who have long desired in order to achieve their ideal vision. At second, I tried to examine the Dangun story as the myth concerning the foundation of a nation. I could urge that the bear group who founded Gochosun had developed its original culture and civilization. The Gochosun people had strongly kept his cultural identity and enlarged his subjectivity through a narrative of the Dangun myth. At third, I examined the religious ingredients and their meanings of today in the Dangun myth. I could find the three religious elements; the god and the belief of his descent, belief in fertility, the religious initiations and the harmony of heaven and earth. At fourth, I interpreted the belief system in the Dangun myth to compare with the Christian faith by hermeneutics. While the Dangun myth had the deity of three types of gods(Whan-in, Whan-ung, and Whan-gum), each of the three gods could compare with God the father, the Holy Spirit, and the Son in Christianity. Moreover, as the bear-woman of the Dangun Myth is changed into a human by great obedience to bore Dangun, Mary is obedient to God when she hears the message about her pregnancy by the Holy Spirit from an angel.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cause of the rapid growth of Korean Christian churches in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ingredients of Gochosun. I can mention the potentiality and capacity to accept Christian faith by the similarity of belief systems between Korean peoples’ religions and Western Christia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