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묘일무 무보해(舞譜解) 동작의 형식을 활용한 춤사위 분석체계 연구

        임학선,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문묘일무 춤사위의 분석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국학예악록(國學禮樂錄)』과 『성문악지(聖門樂誌)』에 전하는 문묘일무보(文廟佾舞譜) 무보해(舞譜解) 동작의 형식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의 체계를 표형식의 분석틀로 제안하였다.『국학예악록(國學禮樂錄)』과 『성문악지(聖門樂誌)』에 전하는 문묘일무보(文廟佾舞譜) 무보해(舞譜解)에는 입지용(立之容), 무지용(舞之容), 수지용(首之容), 신지용(身之容), 수지용(手之容), 보지용(步之容), 족지용(足之容), 예지용(禮之容), 무구동작(舞具動作)을 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아홉 가지의 용어에는 하위 범주에 해당하는 동작들이 명칭과 술어로 상세히 기록되어있다. 본 연구는 이 아홉 가지의 동작군을 각기 분석하여 개별 동작군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이 동작군들을 크게 공간구성형식, 신체운동형식, 무구조작형식, 표현형식으로 나누었다. 이상과 같은 무보해 동작의 네 가지 형식은 문묘일무의 춤사위를 구조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묘일무보 춤사위 분석의 대안으로 무보해 동작의 형식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작의 형식은 각 동작의 운동자체를 술어로서 양식화하고 있어 동작 명칭을 움직임의 기호로 인식 할 수 있다. 무보해 동작의 형식에서 보여주듯이 무보해는 동작의 방향, 신체의 움직임, 무구의 움직임 등과 동작의 의미구조를 언어적 기호로 선택하고 있다. 또한 문묘일무가 갖는 시간적구조가 일자일음일무(一字一音一舞)라는 특성을 갖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표형식의 분석틀을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체계로 제시하였다. 표형식의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틀은 수직의 칸에 무보의 체계를 순차적으로 기술하고, 수평의 칸에 분석하고자 하는 춤사위의 내용을 기술할 수 있다. 수직의 칸에 기술된 문묘일무 춤사위 분석 체계를 맨 위 칸부터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문묘일무보 도본(圖本)의 춤사위그림⇨악장(樂章)⇨춤사위 술어⇨무보해 동작의 공간형식⇨무보해 동작의 신체형식⇨무보해 동작의 무구형식⇨무보해 동작의 표현형식’으로 기술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n analysis system on dance moves of Munmyoilmu. Forms of movements passed down by Munmyoilmubo demonstrative illustrations in Kukhakyeakrok and Seongmunakji are analyzed and by utilizing this, the analysis system of dance moves in Munmyoilmu is presented as an analytic frame with a table form. Munmyoilmubo demonstrative illustrations in Kukhakyeakrok and Seongmunakji introduce Ipjiyong (types of motions within standing), Mujiyong (types of motions within dancing), Sujiyong (head motion types), Shinjiyong (body motion types), Sujiyong (hands motion types), Bojiyong (types of motions within walking), Jokjiyong (feet motion types), Yejiyong (manners in types of motions) and Mugujiyong (movements performed with the instruments). These 9 terminologies describe movements which are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in detail with their names and technical terms. This study investigates features in each of the 9 groups by analyzing every group of terminologies respectively. These groups of movements are roughly divided into forms of space organization, physical activities, instruments operation and expressions. Aforementioned four forms of demonstrative illustrations can provide perspectives that enable to see dance moves of Munmyoilmu structurally.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utilizing movement forms of demonstrative illustrations as an alternative to analyze dance moves of Munmyoilmubo. Since forms of movements stylize each movement's physical activities as technical terms, it is able to recognize names of movements as signals of activities. As seen in movement forms of demonstrative illustrations, the illustrations adopt direction of movements, physical movements, movements of instruments and meaning structure of movements as linguistic signals. In addition, temporal structure which Munmyoilmu has is characterized by one-letter, one-note, one-movement so the analytic frame with a table form is presented as the analysis system on dance moves in Munmyoilmu. The system of dance notation and contents of dance moves to be analyzed can b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described within the table respectively. To explain the analysis system on dance moves of Munmyoilmu which is written in columns of the table from the top to the bottom stage by stage, it can be demonstrated as; (i) illustrations for dance moves in Munmyoilmubo drawings, (ii) Akjang (music composed in early Chosun Dynasty for official events), (iii) technical terms in dance moves, (iv) space forms of movements in demonstrative illustrations, (v) physical forms of movements in demonstrative illustrations, (vi) instrument forms of movements in demonstrative illustrations and (vii) expression forms of movements in demonstrative illustrations.

      • KCI등재

        문묘일무의 춤사위 ‘진퇴’에 담긴 교육철학적 가치

        임학선,김기화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1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7 No.2

        문묘 석전이 갖고 있는 공경의 교육철학적 가치는 문묘일무의 춤사위로 드러난다.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바람직한 인간’을 주지하듯 일무는 그 자체가 유가의 예악론 안에서 마치 하나의 소우주처럼 질서정연하게 움직여나간다. 거기에는 밖에 드러나는 동작 속에 가려져서 잘 보이지 않는 마음이 있는데, 그 마음을 수수지례(授受之禮)로 표현한 것이 바로 일무이며 수수지례가 곧 일무 춤사위의 철학적 배경이다. 본고에서는 이 수수지례의 마음을 잘 반영하고 있는 진퇴(進退)의 춤사위가 갖고 있는 구체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그 교육철학적 가치를 논하고자 고문헌에 대한 연구와 일무보(佾舞譜)의 분석을 통해서 나아가고 물러가는 진퇴를 교육철학적인 측면에서 논의 하였다. 진퇴는 일무(佾舞)의 위치에 춤의 기본방위인 동서남북의 사방(四方)에 네 개의 무표(舞表)를 세우고 춤추었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특히 진퇴는 스승에 대한 예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핵심동작으로 읍양(揖讓), 즉 공경과 사양과 겸양의 덕목을 나타내기 위해 반드시 행해야 하는 일무의 법도임을 고문헌 사료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는 곧 나아가서 행하는 읍(揖)의 춤사위는 공경을 의미하고, 물러가서 행하는 양(讓)의 춤사위는 사양과 겸양을 의미하는 것이다. 같은 춤사위라 하더라도 나아가서 행하면 읍의 의미가 되고, 물러가서 행하게 되면 양의 의미가 된다. 때문에 일무를 출 때는 반드시 진퇴로써 의미를 나타내게 됨을 알 수 있다. 문묘일무의 춤동작은 고대 궁중예법(宮中禮法)에서 유래되어 일관 된 모습으로 이어져 오늘에 이른다. 문묘일무의 춤사위 하나하나는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써 예의 일상적 몸짓에 악의 율동(리듬감)을 더하여 만들어 졌다. 바로 이처럼 문묘일무는 예악의 문화로 인간다움을 표현미학으로 담고 있다. 겉과 속을 서로 어우르는 관계의 미학이 바로 문묘일무의 예악문화이다. 따라서 문묘일무는 제례가 갖는 과거 시간을 현재 공간에서 재현하는 생명 축제로, 즉 시간이 갖는 생명성과 공간이 갖는 생활성을 통해 이념과 형식을 담는 공경의 악무라 할 수 있다. 문묘 제례를 통해 인간의 성정을 절제와 조화를 통한 미적 활동으로 승화시킨 문묘일무는 이제 미래 예측이 어려운 현대사회에 인간과 인간의 조화,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풀어가는 바람직한 인간을 위한 교육철학으로 현대인들에게 예악의 실천을 통한 아름다운 인간의 완성을 꿈꾸는 이상적 대안이 될 것이다. The educative and philosophical value of the admiration seen in the MunMyoSeokJeon (Ceremonies at Confucian Shrines) reveals in the movements of the MunMyoIlMu dance. As we are aware of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which is to create a desirable human being, IlMu shows orderly movements like a microcosm within a Confucian philosophy of the proprieties and music (YeAk). The dance has a heart that is invisible because it is hidden in the dance movements. It is Ilmu that expresses the heart in the manner of give-and-take, and the manner of give-and-take i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IlMu dance moves. JinToi, or the advance and retreat moves in the dance reflects the heart of manner of give-and-take well, and so this study focuses on what JinToi means to argue the educative and philosophical value of the dance moves. The study also discusses JinToi from the educative and philosophical aspect by studying old literatures and analyzing the pedigree of IlMu. JinToi stems from dancing with four dance signs set up at the four directions of north, south, east and west. In particular, old literature resources indicate EupYang is key moves in the IlMu dance to present honor to masters. Eup means admiration and Yang modesty and humbleness. Even the same dance moves can be Eup or Yang if they are done in the advanced or retreated position. Therefore JinToi shows meanings when dancing IlMu. The dance moves of IlMu originated from the ancient court manners to get to where it is today. Each movement of IlMu has a specific meaning, and the moves are the combination of the ordinary body moves of courtesy and rhythmical movements of music. So The MunMyoIlMu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proprieties and music, and expresses humanity. It is the esthetics of relationship that embraces in and out, which is exactly the philosophy of proprieties and music in the MunMyoIlMu. Therefore MunMyoIlMu is a celebration for life reveling the past in the present space, or an admirative music dance that includes an ideology and formality through life in time and daily lives in space. The MunMyoIlMu sublimates human temperament into an esthetic activity based on the balance of modesty and harmony through the ritual ceremony. Therefore, as an educative philosophy for a desirable human being who can create a harmony between man and man, and man and nature in today’s unpredictable society, the MunMyoIlMu will be an ideal way to hope to complete a beautiful human being by practicing proprieties and music.

      • KCI등재

        근대이후 한,중 문묘일무의 성격과 현황 비교연구

        임학선 ( Hak Sun Lim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2

        문묘일무는 유교제례무로 공자를 제사하는 춤이다. 한국의 석전(釋奠)과 문묘일무(文廟佾舞), 그리고 중국의 제공(祭孔)과 제공악무(祭孔樂舞)가 바로 공자의 제사와 공자제사무를 지칭하는 양국의 용어로 그 의미는 같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과 중국은 각기 다른 문화적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대이후 변화 발전을 이룬 한·중 문묘일무의 성격과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제Ⅱ장에서 한·중 문묘일무의 유래와 역대 한·중 문묘일무를 조사하였고, 제Ⅲ장에서는 양국 문묘일무의 차이, 즉 공자사당의 명칭, 공자제사의 명칭, 공자제사의 주무기관, 공자제사무의 춤이름, 춤형식, 춤동작과 춤추는 방법, 춤추는 위치 등의 차이를 분석하여 그 내용을 제시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근대이후 한·중 양국의 복원 방향과 그 내용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한국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수립 후의 문묘일무 복원과정을, 중국은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의 제공악무 복원과정을 조사하여 한·중 문묘일무의 차이와 현황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한·중 문묘일무는 근대 이후 양국의 시대적 배경과 제도적 차이, 전통계승과 복원의 관점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갖춘 춤으로 변화되었으며, 공자제사의 성격에 따라 춤사위 또한 각기 다른 표현 양상을 지니게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는 문묘일무는 동양무용의 시원을 이해하고 춤의 역사와 사상, 철학, 춤의 원리와 구조 등을 두루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무용으로, 본 연구가 미래의 무용학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oth Seokjeon and Munmyoilmu of Korea and Jegong and Jegongakmu of China refered to a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and a dance performed at such an occasion, respectively. However, nowadays there were different cultural patterns in them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nature and current state of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that had undergone changes and developments since the modern times. Chapter Ⅱ examined the origins of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and its performances throughout the history. Chapter Ⅲ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in the title of Confucius shrine, the name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the organizing agency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and the names, forms, movements, methods, and positions of memorial service dance for Confucius, then presenting the results. Chapter Ⅳ examined the restoration directions and results of Korea and China since the modern times by the periods. The findings showed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Munmyoilmu had evolved into a dance with different features from each other due to various factors since the modern times and that there had been different expressive styles in the dance step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nature of memorial service for Confucius.

      • KCI등재

        논문(論文) : 청대(淸代) 문묘일무보(文廟佾舞譜)의 미학적(美學的) 검토(檢討) -『국학예악록(國學禮樂錄)』,『학궁비고(學宮備考)』,『성문악지(聖門樂誌)』를 중심으로-

        김용복 ( Yong Bocr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10 漢文古典硏究 Vol.21 No.1

        이 연구는 『國學禮樂錄』·『學宮備考』·『聖門樂誌』에 수록되어 있는 舞譜를 중심으로 춤동작의 審美形象을 美學的으로 검토한 것이다. 明·淸代의 문헌을 통해 文廟佾舞譜의 발전과정과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무보에 수록된 내용을 비교 검토하였다. 文廟佾舞譜는 舞具를 든 1人 혹은 2人의 舞員의 동작과 儀式節次에 따른 樂章歌詞, 문자로 기록한 樂譜, 춤의 내용을 담은 述語를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청대에는 춤동작을 설명한 舞譜解를 추가하여 기록하고 있다. 王朝의 변화에 따라 文廟佾舞譜는 발전 혹은 변화하였는데, 淸代의 새로운 제도의 도입으로 새로운 무보가 제작되었다. 이러한 무보들은 기존의 무보 형식은 그대로 유지하되 내용을 달리하거나 완전히 새로운 춤동작으로 제작된 것이다. 淸代의 『聖門樂誌』·『聖門禮樂統』·『國學禮樂錄』·『學宮備考』에는 舞譜 解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揖讓進退의 儀式 절차 속에서 佾舞의 춤추는 방법을 9종의 춤동작 `九之容`으로 규정하여 기록한 것이다. 九之容은 단순히 外形的 形態만을 규정한 것은 아니다. 九之容이 제시하는 9종의 춤동작은 內的 감정이 외적 審美形象으로 발현되는 일종의 形式美를 나타낸다. 九之容의 각각의 동작은 君子가 修身하고 處世 할 때 가져야할 九容의 의미와 상통된다. 九容의 의미를 통해 九之容의 춤동작을 살펴보면 춤을 추는 舞員의 마음가짐과 표현 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추상적 심미형상을 구체화 할 수 있다. 九容이 제시하는 구체적 몸가짐은 禮로써 修身하고 忠恕로서 仁을 실현하는 孔子의 가르침을 몸소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문묘일무보에 제시된 96동작의 審美形象은 군자의 마음과 몸가짐을 추상적으로 형상화 한 것이다. In this study the aesthetic images of dance movements were reviewed aesthetically, examining demonstrative illustrations in Kukhakyeakrok, Hakgungbigo and Seongmunakji. Dance illustrations were crosschecked,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ypes of Munmyoilmubo through the records of Ming and Qing dynasty. Munmyoilmubo describes with illustrations the motions of one dancer or two dancers holding dancing instruments, movement lyrics according to ceremonial procedure, music scores recorded with symbols and predicate of dances. Demonstrative illustrations which describe dancing motions were added in Qing dynasty. Munmyoilmubo was developed or transformed by the change of dynasties. New demonstrative illustration was manufactured because Qing dynasty introduced new systems. Traditional dance motions were recorded, and the changed ones or completely new ones were added in the new demonstrative illustrations. Dance explaining illustrations were recorded in Seongmunakji, Seongmunyeaktong, Gukhakyeakrok and Hakgungbigo in Qing dynasty, which define the dancing method of Ilmu as 9 types of motions, Gujiyong, in the ceremonial procedure of Eupyangjintoe. Gugiyong does not simply define only the appearance. The 9 types of motions show kinds of the beauty of form to develop internal feeling to aesthetical image. Each motion of Gujiyong indicates Guyong which is required to a man of virtue when cultivating moral character and rising in the world. If the dance motions of Gujiyong were examined, based on the meaning of Guyong, the right mind and expression of dancers, and the aesthetic image thereof are reflected in the dance motions. The attitude Guyong suggests is to practice Confucius teaching which is to train oneself with courtesy and to realize perfect virtue with faithfulness. Accordingly, the aesthetic images of 96 motions are to formulate a man of virtue`s mind and attitude.

      • KCI등재

        韓國 <문묘제례(文廟祭禮)>의 特殊性과 受容의 意味

        이하나(Lee, Ha-na)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문묘제례(文廟祭禮)>란 문묘(文廟)에서 공자(孔子)를 비롯하여 선성선사(先聖先師)에게 제사지내는 의식을 뜻하며 석전제(釋奠祭)라고도 불린다. 한국은 동아시아의 유교문화권 국가 중에서도 대표격인 나라로 여전히 방대한 유교문화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무형문화유산에 속하는 <문묘제례>는 유교문화의 요체로서 악(樂)·가(歌)·무(舞)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은 물론, 의례의 절차와 의식면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한국에서 <문묘제례>와 관련한 연구는 크게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의 두 영역에서 진행되었다. 하지만 각 학문 분야는 <문묘제례>의 다양한 구성요소 중 해당 학문 영역이 관심을 갖는 연구에만 집중한 나머지 <문묘제례>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조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이는 향후 진행될 <문묘제례> 연구가 제례의 모든 구성 요소를 아우를 수 있도록 보다 총체적인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 문제는 학문 통합적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극복이 가능할 것이다. 한국의 <문묘제례>는 수입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나 동국 18현의 문묘 종사, 천자의례로의 승격, 오랜 시간 단절 없는 계승과 보존의 노력 등으로 한국만의 특수성을 유지한 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는 아시아 전역에서 한국의 <문묘제례>가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논의되는 이유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에서는 한국형 <문묘제례>의 보존과 계승, 현대적 수용 방안에 대해서 계속해서 연구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문묘제례>는 교육적, 사회적, 외교적, 문화적 측면에서 그 수용의 의미를 내재하고 있는데, 21세기에는 특히 ‘문화적 측면의 의미’가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동아시아 유교문화의 보편성을 토대로 한국 문화의 특수성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한국<문묘제례>의 문화적 의미의 부각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유교문화의 긍정적인 측면을 알릴 수 있는 방편이 되는 것은 물론, 이 시대에 한국 <문묘제례>가 존재하는 참의미를 발견하는 통로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